바랑키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랑키야는 콜롬비아 대서양 주의 항구 도시로, 마그달레나 강 서쪽에 위치하며 카리브 해로 유입되는 지점에 인접해 있다. 1813년 공식 설립되었으며, 콜롬비아의 다른 도시들과 달리 스페인 식민 시대에 건설된 곳은 아니다. 남아메리카 최초의 항공사인 SCADTA(현재 아비안카)가 설립된 곳으로, 콜롬비아 독립 전쟁 당시 독립군을 지지했다. 19세기 중반 증기선 도입으로 중요성이 커졌고, 1825년에는 독일인 후안 베르나르도 엘베르스가 마그달레나 강에 증기선을 도입하여 커피 수출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 20세기에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두 번째로 상업 항공편이 시작되었고, 시리아, 팔레스타인, 레바논 등지에서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현대 도시로 발전했다. 바랑키야는 주요 산업 중심지이며, 카니발 축제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롬비아의 항구 도시 - 카르타헤나 (콜롬비아)
카르타헤나는 콜롬비아 북부 카리브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스페인 제국의 중요한 항구로 발전하여 금, 은, 에메랄드 등 아메리카 대륙의 산물 수출과 노예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지구를 보유하고 있다. - 콜롬비아의 항구 도시 - 바랑카베르메하
바랑카베르메하는 콜롬비아의 석유 중심 도시로서 석유 산업 발전에 따라 사회, 문화적으로 변화했으며, 마그달레나 강 둑에 위치하고 열대 몬순 기후를 띠며 축우 산업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이다. - 카리브해의 항구 도시 - 포르토프랭스
포르토프랭스는 곤아브 만에 위치한 아이티의 수도로, 1749년 건설되어 2010년 대지진과 갱단 발호로 피해를 입었으며, 커피와 설탕 수출이 주요 산업이고 투생 루베르튀르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 카리브해의 항구 도시 - 산토도밍고
산토도밍고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수도이자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유럽 도시로서, 카리브해 무역 중심지로 발전하며 식민지 건설과 정복, 태평양 발견에 기여했고, 정치적 격변과 외세 지배를 겪었으나 현재는 경제 성장과 함께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가진 도시로 발전했다. - 콜롬비아의 주도 - 보고타
보고타는 콜롬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안데스 산맥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무이스카 원주민 정착지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콜롬비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역사와 문화유적, 예술 활동과 사회경제적 불균형이 공존하는 도시이다. - 콜롬비아의 주도 - 메데인
메데인은 콜롬비아 안티오키아 주의 수도이자 아부라 계곡의 대도시로, 커피 재배와 산업화를 통해 발전했으나 마약 카르텔의 활동으로 어려움을 겪은 후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적인 도시로 변모했으며, 현재는 콜롬비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중심지이지만 빈부격차와 사회적 불평등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바랑키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별칭 | 콜롬비아의 황금 문 |
표어 | 와서 바랑키야에 살아라 |
위치 | 콜롬비아 카리브 아틀란티코 주 |
설립일 | 1813년 4월 7일 |
시장 | 알레한드로 차르 (급진적 변화) |
고도 | 18 m |
인구 | 1,206,319 명 (2018년 기준) |
인구 순위 | 4위 |
인구 밀도 | 8,618 명/km² |
도시 인구 | 1,326,588 명 |
수도권 인구 | 2,370,000 명 |
거주민 | 바랑키예로/아 |
GDP (PPP, 2015년 불변 가치) | 298억 달러 (2023년) |
시간대 | UTC-5 |
우편 번호 | 080020 |
지역 번호 | 57 + 5 |
웹사이트 | 바랑키야 공식 웹사이트 |
면적 | 154 km² |
추정 인구 | 1,327,209 명 (2023년 기준) |
행정 구역 | |
국가 | 콜롬비아 |
지역 | 카리브 지역 |
도 | 아틀란티코 주 |
지리 | |
강 | 마그달레나 강 하구에서 떨어져 있다. |
거리 | 카리브 해에서 떨어져 있다. |
경제 | |
주요 산업 | 무역 산업 서비스 어업 |
교통 | |
공항 | 에르네스토 코르티소스 국제공항 |
항구 | 콜롬비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및 강 항구 중 하나이다. |
문화 및 관광 | |
축제 | 바랑키야 카니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스포츠 | 2027년 팬아메리카 게임 개최 예정 |
기타 정보 | |
별명 | 콜롬비아의 황금 문 |
2. 역사
바랑키야는 1629년경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이 형성되었지만, 유럽계 주민이 없어 자치체로 인정받지 못했다. 공식 설립년도는 1813년으로, 콜롬비아 주요 도시 중에서는 역사가 짧은 편이다. 그럼에도 카리브해 해상 교통의 중심지로서 급속히 발전하여 한때 콜롬비아 제2의 도시로 불리기도 했다.
19세기 중반 마그달레나 강에 증기선이 다니기 시작하면서 바랑키야의 중요성이 커졌다. 1825년 11월 10일 증기선 항로가 개통되면서,[27] 바랑키야는 콜롬비아 내륙 도시 및 국제 상인들과 활발한 물품 교류를 시작했고, 커피 수출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28]
또한 바랑키야는 남아메리카 최초의 항공사인 SCADTA(현재의 아비안카)가 설립된 곳으로, 항공 및 공항의 발상지로도 알려져 있다.
1831년 신그라나다 공화국이 건국되자 바랑키야에서는 라파엘 우르다네타의 독재에 맞선 혁명과, 이 혁명을 진압한 이그나시오 루케 장군이 주도한 혁명, 두 차례의 혁명이 발생했다.[25]
1840년, 바랑키야의 상인과 무역업자들은 '시벨레스'라는 독립 주를 설립하려 했다. 이들은 라몬 안티구에다 대령을 지도자로 선포하고, 카르타헤나와 산타 마르타의 도시들이 수출을 통제하는 것을 막고 사바닐라 마을을 독립 항구로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 반란은 카르타헤나군에 의해 진압되었다.[25] 1845년, 바랑키야는 카르타헤나 주를 구성하는 9개 지역 중 하나였다.[29]
1849년 말,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 대통령은 사바닐라 만을 상품 수출 항구로 재개발하는 법령을 발표하고, 새로운 교역량을 수용하기 위해 살가르 성(Castillo de Salgar)이라는 세관을 건설했다.[30][31] 같은 해 6월 초, 파나마에서 온 선적을 통해 카르타헤나에서 발생한 콜레라가 바랑키야에 발생했다.[32]
1852년 3월 20일, 신그라나다 의회는 카르타헤나 주에서 바랑키야, 솔레다드, 사바날라르가 지역을 분리하여 바랑키야를 중심으로 사바닐라 주를 설립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29] 1854년 5월 2일,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는 보고타에서 혁명가 호세 마리아 멜로에 맞선 싸움에서 시민들의 지지를 받기 위해 바랑키야에 도착했다.[25] 1857년 10월 7일, 볼리바르 주의 제헌의회는 바랑키야에 "시(ciudad)" 지위를 부여했고, 같은 해 바랑키야 시의회는 도시를 세 지역으로 구분했다.[33]
그라나다 연방 시대인 1859년 11월 6일, 보수당의 호아킨 포사다 구티에레스 장군은 자유당 지도자 비센테 팔라시오가 방어하는 바랑키야 시 광장을 공격하여 승리했다. 그 후, 도시는 12월 9일에 자유당 지도자 마누엘 카베사에 의해 탈환되었다.[25]
1861년 1월 25일, 볼리바르 주의 후안 호세 니에토 질 장군은 바랑키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1862년 12월 26일 법률에 따라 바랑키야는 같은 이름의 주의 주도가 되었고, 볼리바르 주는 12개 주로 나뉘었다.
콜롬비아 합중국이 설립되면서 바랑키야의 증가하는 상업적 중요성으로 인해 1869년부터 1871년 사이에 볼리바르 철도(Ferrocarril de Bolívar), 즉 현재 콜롬비아 공화국의 최초 철도가 건설되었다. 이 철도는 바랑키야와 세관이 위치한 사바닐라(살가르)를 연결했다. 수심이 얕아 철도를 푸에르토 쿠피노까지 연장해야 했고, 쿠바 출신 엔지니어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시스네로스는 당시 영국 사우스엔드온시의 부두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부두를 건설했다.[30][31][34]
1872년, 콜레라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전염병이 도시에서 발생했다.[35] 1876년에는 엄청난 양의 밀수품이 살가르에서 도시로 들어왔다.[36]
19세기 후반 수십 년 동안 바랑키야는 1877년 상수도 회사 설립, 1884년 노새가 끄는 트램 도입, 1885년 9월 1일 콜롬비아 최초의 전화 설치 등 여러 발전을 경험했다. 전화 프로젝트의 계약자는 오하이오 출신 전기 기술자 오를란도 플라이였다.[37] 미국 시민 윌리엄 래드에 의해 콜롬비아 최초의 민간 전화 서비스인 콜롬비아-웨스트인디아 이동 통신 회사가 설립되었다.[37] 이 시기에 바랑키야는 전략적인 지리적 위치와 급증하는 사업으로 인해 콜롬비아의 주요 강 항구 중 하나가 되었다.[38]
1885년 1월 6일, 리카르도 가이탄 오베소 장군이 이끄는 혁명군이 도시를 점령했다. 2월 11일, 정부 수반 비센테 카를로스 우루에타 장군이 니콜라스 히메노 콜란테 장군이 방어하는 지역을 공격하여 오베소를 물리쳤지만, 추가 병력에 의해 패배했다.[25] 다음 해 현대 콜롬비아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바랑키야는 바랑키야와 사바날라르가 주를 포함하는 34개 주 중 하나가 되었다.[29] 1890년 증기 트램 도입과 1893년 푸에르토 콜롬비아 항구 건설(20세기까지 바랑키야 항구로 기능)을 통해 콜롬비아의 주요 항구로 자리 잡았다.[39]
바랑키야에는 콜롬비아 국군 제1사단이 주둔하고 있으며, 제2기계화여단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2기계화여단은 제4기계화보병대대, 제2군사경찰대대, 제2지원부대 및 기타 부대들로 구성된다.[92] 인근 마람보 마을에는 콜롬비아 공군 제3공중전투사령부가 위치하고 있으며, 헌법 질서를 유지하고 공중 작전에 대한 국가 주권을 행사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93] 제3공중전투사령부의 관할 구역은 콜롬비아 북부 본토, 산 안드레스, 프로비덴시아, 산타 카탈리나 제도의 섬 지역, 그리고 카리브해의 콜롬비아 영해를 포함한다.[94]
2005년 DANE 인구 조사에 따르면, 2007년 6월 30일 기준 바랑키야 인구는 1,148,506명이며, 대도시권 인구는 1,821,517명이다.[109] 이는 콜롬비아 카리브 해안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보고타, 메데인, 칼리에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110] 도시 지역에 약 1,144,470명, 농촌 지역에 4,03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6918.71명이다. 인구의 47.5%가 남성이고 나머지 52.5%가 여성이다. 가구의 약 57.9%가 4명 이하이다. 도시 인구의 26.7%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태어났고 0.4%는 다른 나라에서 태어났다. 바랑키야 인구의 5.3%는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다.[109]
1994년 제142호 법률 제102조에 따라 도시의 여러 지역은 콜롬비아 주택의 6가지 사회경제적 범주에 따라 분류된다.[111][112] 1, 2 계층은 도시의 남동부, 남서부, 북서부, 북동부 지역에 해당하며, 3, 4 계층은 남중부, 중부, 북부 지역에 해당하고, 5, 6 계층은 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20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거주 인구의 61.5%가 주택에, 32.4%가 아파트에, 6.2%가 다른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거주지 변경 원인 중 지난 5년 동안 거주지를 변경한 바랑키야 인구의 63.3%는 가족적인 이유로 변경했다. 9.2%는 일자리 찾기의 어려움 때문이고, 13.3%는 다른 이유이며, 2%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이다.[109]
2. 1. 기원과 식민지 시대

바랑키야라는 이름은 도시가 형성된 마그달레나 강 인근 지역에 존재했던 협곡을 가리킨다. 아메리카의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barranca"라는 이름은 해안 지역 사회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바랑카베르메하, 바랑카 누에바, 바랑카 비에하 등). 이 이름은 아라곤어의 변형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12]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이 지역은 카마초 또는 카마시 인디언 유적지로 알려졌으며,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가 바랑카스 데 카마초, 바랑카스 데 산 니콜라스, 바랑키야 데 카마초, 바랑키야 데 산 니콜라스 등의 토지를 중심으로 지역 개발을 시작했고, 이로부터 도시 이름이 유래했다.[13]
카르타헤나나 보고타와는 달리, 바랑키야는 스페인 식민 시대에 건설된 도시가 아니며,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유적지 위에 세워진 도시도 아니다. 바랑키야의 현재 영토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53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오비에도 이 발데스가 기록한 것이다.[21] 그는 카르타헤나를 건설한 페드로 데 에레디아의 경로를 묘사하며, 그가 카르타헤나를 건설하기 몇 주 전에 이곳에 상륙했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곳은 산타마르타 인디언들이 내륙으로 들어가기 위한 카누 상륙 지점이었다고 한다. 그들은 말린 새우가 가득 든 두 개의 카누를 가지고 마그달레나 강으로 가서 이 상품과 소금 등 다른 물품을 거래했다.[22] 그러나 카마쉬 인디언들이 이 지역을 점거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착지는 1629년경에 세워졌다.[23] 이러한 이유로 도시는 건설일을 기념하지 않고 1813년 4월 7일 도시로 선포된 날을 기념한다.[24]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이 형성된 것은 1629년경이지만, 유럽계 주민이 없었기 때문에 자치체로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바랑키야의 공식 설립년도는 1813년이다. 콜롬비아 주요 도시 중에서는 비교적 역사가 짧은 도시이다.
카마쉬 인디오(스페인어식 표기로는 ''카마초'' 또는 ''카마치'')의 거주지는 바랑키야의 최초의 영구적인 인간 정착지로 알려져 있다. 16세기에는 스페인 왕관으로부터 뛰어난 군사적 공로를 인정받아 엔콤미엔다가 카피탄 도밍고 데 산타 크루스에게 부여되었다. 이 엔콤미엔다는 1559년 산타 크루스의 사망 후 그의 미망인 아나 시메네스의 손에 들어온 후 사라졌다. 그녀는 갈라파의 두 번째 엔콤멘데로인 돈 페드로 데 바로스 1세가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카마초 주민들을 임의로 빼앗아 자신의 엔콤미엔다로 데려가는 무자비한 폭력 행위의 희생자가 되었다.

1627년에서 1637년 사이에 돈 페드로 데 바로스 1세의 증손자인 니콜라스 데 바로스가 하시엔다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를 설립했다. 이 농장은 강변에 세워졌다. 원래 부동산 면적은 24.78km2였다. 페드로 바스케스 부에소는 이 부동산을 41.3km2로 확장했다. 바로스는 이 부동산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집을 짓고 가족을 부양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그의 농장 운영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바로스 사후 이 부동산은 건강, 나이 또는 농장주와의 친분으로 인해 머물 수 있도록 허락받은 사람들과 같은 다른 사람들을 수용하기 시작했다. 말람보와 갈라파 출신의 인디언들도 있었다. 1681년까지 이 농장은 바랑카스 데 산 니콜라스로 알려진 마을로 여겨졌다. 1700년 이전에 바랑키야는 티에라덴트로의 아게라에 의해 점령되었고, 1772년에 같은 집단에 의해 타운십이 확장되어 판사 평의회가 추가되었다.[25]
19세기 후반에 역사가 도밍고 말라베트가 홍보한 바랑키야의 기원은 구전 전통에 의해 뒷받침되지도 않았고 과학적으로 검증되지도 않았다. 블랑코 바로스의 1987년 북부 티에라덴트로와 바랑키야의 기원에 관한 책은 이 도시가 이웃 마을인 갈라파의 농부들이 자신의 땅을 떠나 가축을 따라 마그달레나 강으로 간 결과 건설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13]

콜롬비아 독립 전쟁 시대에 바랑키야는 독립군을 지지하는 도시로 두각을 나타냈다. 1812년, 피에르 라바튀 장군은 시티오비에호와 시티오누에보에서 왕당파 군대를 공격하여 패퇴시켰다. 1813년 4월 7일, 이후 "바랑키야의 날"(el Día de Barranquilla)로 기념되는 날,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자유 독립국의 총독인 마누엘 로드리게스 토리세스는 바랑키야에 "빌라"(villa)의 지위를 부여했다. 이를 통해 바랑키야는 특정 특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를 왕당파의 거점인 산타 마르타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보여준 용기와 애국심을 인정받아 바를로벤토(또는 티에라덴트로) 주의 주도가 되었다.
1815년, 부유한 상인인 호아킨 발레호는 3개월 동안 자비로 독립군 부대를 유지했다. 발렌틴 캅마니 대령이 이끄는 스페인군이 바랑키야에 접근하자 주민들은 저항했지만 1815년 4월 25일에 패배했다. 바랑키야 주민들은 왕당파 군대에 공격받아 포로로 잡혔고, 발레호의 독립군 부대도 패배했다. 그 후 5~6년 동안 바랑키야는 공화파 군사 작전의 중심지였다.[25] 1821년 10월 10일, 카르타헤나의 마지막 왕당파 거점이 함락되었다. 당시 카르타헤나는 바랑키야가 속한 볼리바르 자치국의 수도였다. 같은 해, 바랑키야는 최초의 시장인 아구스틴 델 발레의 통치를 받았는데, 그는 자신의 집에서 시장직을 수행했고, 그 집은 나중에 군 본부로 개조되었다. 1823년 7월 24일, 해상 전투인 마라카이보 호 전투가 벌어져 그란 콜롬비아에서 스페인 왕당파의 최종 추방으로 이어졌다.[26]

2. 2. 독립 시대 (1810–1823)
콜롬비아 독립 전쟁 시기에 바랑키야는 독립군을 지지하는 도시로 두각을 나타냈다. 1812년, 피에르 라바튀 장군은 시티오비에호와 시티오누에보에서 왕당파 군대를 공격하여 패퇴시켰다. 1813년 4월 7일, 이후 "바랑키야의 날"(el Día de Barranquilla)로 기념되는 날,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자유 독립국의 총독인 마누엘 로드리게스 토리세스는 바랑키야에 "빌라"(villa)의 지위를 부여했다. 이를 통해 바랑키야는 특정 특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를 왕당파의 거점인 산타 마르타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보여준 용기와 애국심을 인정받아 바를로벤토(또는 티에라덴트로) 주의 주도가 되었다.[25]1815년, 부유한 상인인 호아킨 발레호는 3개월 동안 자비로 독립군 부대를 유지했다. 발렌틴 캅마니 대령이 이끄는 스페인군이 바랑키야에 접근하자 주민들은 저항했지만 1815년 4월 25일에 패배하여 왕당파 군대에 공격받아 포로로 잡혔고, 발레호의 독립군 부대도 패배했다. 그 후 5~6년 동안 바랑키야는 공화파 군사 작전의 중심지였다.[25] 1821년 10월 10일, 카르타헤나의 마지막 왕당파 거점이 함락되었다. 당시 카르타헤나는 바랑키야가 속한 볼리바르 자치국의 수도였다. 같은 해, 바랑키야는 최초의 시장인 아구스틴 델 발레의 통치를 받았는데, 그는 자신의 집에서 시장직을 수행했고, 그 집은 나중에 군 본부로 개조되었다. 1823년 7월 24일, 해상 전투인 마라카이보 호 전투가 벌어져 그란 콜롬비아에서 스페인 왕당파의 최종 추방으로 이어졌다.[26]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마을이 형성된 것은 1629년경이지만, 유럽계 주민이 없었기 때문에 자치체로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바랑키야의 공식 설립년도는 1813년으로 되어 있다. 콜롬비아 주요 도시 중에서는 비교적 역사가 짧은 도시이다. 그러나 카리브해 해상 교통의 중심지로서 급속히 발전하여 콜롬비아 제2의 도시라고 불린 시대도 있었다.
2. 3. 공화국 시대
바랑키야는 1629년경 아메리카 원주민 마을이 형성되었지만, 유럽계 주민이 없어 자치체로 인정받지 못했다. 공식 설립년도는 1813년으로, 콜롬비아 주요 도시 중에서는 역사가 짧은 편이다. 그럼에도 카리브해 해상 교통의 중심지로서 급속히 발전하여 한때 콜롬비아 제2의 도시로 불리기도 했다.19세기 중반 마그달레나 강에 증기선이 다니기 시작하면서 바랑키야의 중요성이 커졌다. 1825년 11월 10일 증기선 항로가 개통되면서,[27] 바랑키야는 콜롬비아 내륙 도시 및 국제 상인들과 활발한 물품 교류를 시작했고, 커피 수출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28]
또한 바랑키야는 남아메리카 최초의 항공사인 SCADTA(현재의 아비안카)가 설립된 곳으로, 항공 및 공항의 발상지로도 알려져 있다.
2. 3. 1. 19세기
카르타헤나나 보고타와 같은 콜롬비아의 다른 도시들과 달리, 바랑키야는 스페인 식민 시대에 건설되거나 콜럼버스 이전 시대 유적지 위에 세워진 도시가 아니다. 바랑키야의 현재 영토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53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오비에도 이 발데스가 기록했다.[21] 그는 카르타헤나를 건설한 페드로 데 에레디아의 경로를 묘사하며, 그가 카르타헤나를 건설하기 몇 주 전에 이곳에 상륙했었다고 말한다. 이곳은 산타마르타 인디언들이 내륙으로 들어가기 위한 카누 상륙 지점이었으며, 그들은 말린 새우가 가득 든 두 개의 카누를 가지고 마그달레나 강으로 가서 이 상품과 소금 등 다른 물품을 거래했다.[22] 그러나 카마쉬 인디언들이 이 지역을 점거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착지는 1629년경에 세워졌다.[23] 이러한 이유로 도시는 건설일을 기념하지 않고 1813년 4월 7일 도시로 선포된 날을 기념한다.[24]1627년에서 1637년 사이에 니콜라스 데 바로스는 강변에 하시엔다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 농장을 설립했다. 원래 부동산 면적은 24.78km2였으나, 페드로 바스케스 부에소가 41.3km2로 확장했다. 바로스는 이 부동산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집을 짓고 가족을 부양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그의 농장 운영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바로스 사후 이 부동산은 다른 사람들을 수용하기 시작했으며, 말람보와 갈라파 출신의 인디언들도 있었다. 1681년까지 이 농장은 바랑카스 데 산 니콜라스로 알려진 마을로 여겨졌다. 1700년 이전에 바랑키야는 티에라덴트로의 아게라에 의해 점령되었고, 1772년에 같은 집단에 의해 타운십이 확장되어 판사 평의회가 추가되었다.[25]
콜롬비아 독립 전쟁 시대에 바랑키야는 독립군을 지지하는 도시로 두각을 나타냈다. 1812년, 피에르 라바튀 장군은 시티오비에호와 시티오누에보에서 왕당파 군대를 공격하여 패퇴시켰다. 1813년 4월 7일, 이후 "바랑키야의 날"(el Día de Barranquilla)로 기념되는 날,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자유 독립국의 총독인 마누엘 로드리게스 토리세스는 바랑키야에 "빌라"(villa)의 지위를 부여했다. 이를 통해 바랑키야는 특정 특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바를로벤토(또는 티에라덴트로) 주의 주도가 되었다.
1815년, 호아킨 발레호는 3개월 동안 자비로 독립군 부대를 유지했다. 발렌틴 캅마니 대령이 이끄는 스페인군이 바랑키야에 접근하자 주민들은 저항했지만 1815년 4월 25일에 패배했다. 바랑키야 주민들은 왕당파 군대에 공격받아 포로로 잡혔고, 발레호의 독립군 부대도 패배했다. 그 후 5~6년 동안 바랑키야는 공화파 군사 작전의 중심지였다.[25] 1821년 10월 10일, 카르타헤나의 마지막 왕당파 거점이 함락되었다. 당시 카르타헤나는 바랑키야가 속한 볼리바르 자치국의 수도였다. 같은 해, 바랑키야는 최초의 시장인 아구스틴 델 발레의 통치를 받았는데, 그는 자신의 집에서 시장직을 수행했고, 그 집은 나중에 군 본부로 개조되었다. 1823년 7월 24일, 해상 전투인 마라카이보 호 전투가 벌어져 그란 콜롬비아에서 스페인 왕당파의 최종 추방으로 이어졌다.[26]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마을이 형성된 것은 1629년경이지만, 유럽계 주민이 없었기 때문에 자치체로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바랑키야의 공식 설립년도는 1813년으로 되어 있다. 콜롬비아 주요 도시 중에서는 비교적 역사가 짧은 도시이다. 그러나 카리브해 해상 교통의 중심지로서 급속히 발전하여 콜롬비아 제2의 도시라고 불린 시대도 있었다.
2. 3. 2. 20세기
1921년, 마르코 피델 수아레스 대통령은 항구 도시로서 바랑키야의 경제적 중요성을 인정하여 '레푸블리카의 황금문'(Puerta de Oro de la República)이라고 불렀다. 1946년 제5회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 개막식에서 마리아노 오스피나 페레스 대통령은 "황금문"이라는 도시의 별칭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14][15]19세기 중반, 증기선이 마그달레나 강을 항해하면서 바랑키야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1825년 11월 10일 증기선 항로가 개통되면서,[27] 바랑키야는 콜롬비아 내륙 도시 및 국제 상인들과 활발한 물품 교류를 시작했고, 커피 수출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28]
바랑키야는 항공 및 공항의 발상지로도 알려져 있다. 남아메리카 최초의 항공사인 SCADTA가 바랑키야에서 설립되었으며, 이는 현재의 아비안카이다.
2. 4. 21세기
19세기 중반, 증기선 도입과 함께 바랑키야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1825년 11월 10일, 독일인 후안 베르나르도 엘베르스(Juan Bernardo Elbers)는 마그달레나 강(Magdalena River) 항로를 개통하여[27] 바랑키야가 콜롬비아 내륙 및 국제 상인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커피 수출의 주요 항구가 되도록 했다.[28]3. 지리
이 도시는 대서양 주 북동쪽 모퉁이, 마그달레나 강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카리브해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에서 7.5km 떨어져 있다.[59] 시정구역은 154 km2로, 아틀란티코 주 면적의 4.5%에 해당한다. 바랑키야는 북위 10° 59' 16", 서경 74° 47' 20"에 위치하며, 도시 중심인 '플라사 데 라 파스(Plaza de la Paz)'를 기준으로 한다.
도시 지역은 약간 경사진 평면에 건설되었으며, 동서 방향으로 최고 높이가 4m에서 98m이다. 도시 외곽에서는 최대 120m의 높이를 나타내는 곳도 있다. 구글 어스에 따르면, 도시 높이는 서쪽 방파제의 0m에서 로스 노갈레스(Los Nogales) 지역의 최대 142m까지 다양하다.
행정적으로 바랑키야는 동쪽으로는 마그달레나 주 (마그달레나 강이 경계), 북쪽으로는 푸에르토 콜롬비아와 카리브해, 서쪽으로는 푸에르토 콜롬비아, 갈라파(Galapa), 투바라(Tubará) 시, 남쪽으로는 솔레다드 시와 접한다.
주요 하천은 마그달레나 강이며, 아리바(Arriba), 로스 트람포소스(Los Tramposos), 라 아우야마(La Ahuyama) 등 여러 개울과 말로르킨 습지가 있다. 바랑키야 북부는 "강우 침투 가능성이 높은" 지역인 반면, 남부 지역은 "침투율이 낮고 토양이 불량하며 강우로 인한 홍수 가능성이 있다."[61]
이 지역 지질은 서쪽 언덕은 제3기(Miocene과 Pliocene), 강바닥 등 평평한 지역은 제4기(Pleistocene과 Holocene)이다. 주요 구성 물질은 제4기 충적층,[62] 호성층,[63] 하성호성층이다.[64] 지형은 강둑, 제방, 계단, 계곡, 좁고 작은 충적선상지에서부터 습지, 늪, 평지, 언덕까지 다양하다.
바랑키야는 건조 열대림 식생을 가지고 있으며, 선인장, 맹그로브, 타베부이아 로제아(자주색 로블), 플람보이앙(불꽃나무) 등 다양한 종들이 서식한다. 마그달레나 강물이 닿는 비옥한 땅에서는 에키호르니아 아주레아(Eichhornia azurea), 틸파 앙구스티폴리아(Typha angustifolia) 등 수생식물과 아나카르디움 엑셀숨(Anacardium excelsum) 같은 나무를 볼 수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글리리시디아 세피움(Gliricidia sepium), 카시아 노도사(Cassia nodosa) 등 다양한 나무가 자란다. 망고, 사포딜라, 해변포도 등 과일 나무도 있다.
올빼미, 참새목 작은 새, 앵무새 등 조류와 숭어 등 어류, 나비, 파리, 모기 등 곤충류, 이구아나, 뱀 등 파충류가 도시에서 발견된다.
바랑키야는 마그달레나 강, 말로르킨 습지 등 중요한 생태계를 포함한다. 라 빅토리아 하천은 바랑키야 식물원을 통과하며, 약 7헥타르 면적의 이 식물원은 희귀한 토종 식물과 동물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한다.[71]
카리브해에 면한 항구 도시로, 마그달레나 강 하구 근처, 강 서쪽에 위치한다. 식민지 시대, 마그달레나 강 수운은 콜롬비아 주요 교통 수단이자 수도 보고타로 가는 유일한 길이었다.
3. 1. 기후
바랑키야는 열대 사바나 기후(쾨펜 ''Aw'')를 가지고 있으며, 일 년 내내 덥고 습도가 높다. 평균 기온은 28.4°C이다.[65] 낮 기온은 보통 32°C 정도를 유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1월 말부터 4월 초까지 무역풍이 낮 동안의 기온을 보다 쾌적하게 식혀준다. 저녁과 밤에는 강한 바람으로 인해 기온이 변할 수 있다. 우기는 4월부터 6월까지, 그리고 8월부터 11월까지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거리가 침수되어 "아로요스"(개울)가 발생하고, 일부 지역의 적절하지 못한 배수 시설로 인해 매우 위험할 수 있다.[66][67]다음은 바랑키야 (에르네스토 코르티소스 국제공항)의 기후를 나타낸 표이다. (1981–2010년 기준)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38.2 | 37.6 | 37.8 | 39.5 | 39.3 | 39.8 | 39.2 | 39.0 | 38.4 | 38.6 | 38.4 | 39.5 | 39.8 |
평균 최고 기온 (°C) | 31.4 | 31.7 | 32.4 | 33.1 | 33.4 | 33.2 | 32.9 | 33.3 | 33.0 | 32.5 | 32.2 | 31.7 | 32.6 |
평균 기온 (°C) | 26.7 | 26.8 | 27.2 | 27.8 | 28.2 | 28.2 | 28.0 | 28.1 | 27.8 | 27.4 | 27.5 | 27.1 | 27.6 |
평균 최저 기온 (°C) | 23.6 | 23.9 | 24.2 | 24.9 | 24.9 | 24.8 | 24.6 | 24.6 | 24.1 | 23.9 | 24.1 | 24.0 | 24.3 |
최저 기온 기록 (°C) | 18.0 | 18.0 | 18.8 | 18.8 | 18.0 | 20.5 | 19.4 | 20.9 | 20.0 | 14.9 | 18.5 | 19.5 | 14.9 |
평균 강수량 (mm) | 1.2 | 0.5 | 1.9 | 31.8 | 118.0 | 83.0 | 92.1 | 112.6 | 160.5 | 169.6 | 95.6 | 37.5 | 904.2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0 | 0 | 1 | 4 | 9 | 10 | 8 | 11 | 14 | 16 | 9 | 3 | 83 |
평균 상대 습도 (%) | 79 | 78 | 77 | 79 | 81 | 82 | 81 | 82 | 84 | 86 | 84 | 81 | 81 |
평균 일조 시간 | 285.2 | 248.4 | 244.9 | 210.0 | 189.1 | 201.0 | 217.0 | 207.7 | 171.0 | 167.4 | 186.0 | 244.9 | - |
4. 행정
1905년 국가 재편의 일환으로 바랑키야를 주도로 하는 아틀란티코 주가 신설되었다.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쳐 1910년 최종적으로 아틀란티코 주가 설립되었다.[29] 바랑키야는 경제 호황과 함께 1905년 바랑키야 상공회의소가 설립되었고, 1909년에는 보카스 데 세니사 개방이 국가적 필요로 인정받았다.[40]
1919년, 마르코 피델 수아레스 대통령은 바랑키야에 "황금 공화국의 관문(Golden Gate Republic)"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47] 1936년에는 알폰소 로페즈 푸마헤호 대통령이 바랑키야 해양 터미널을 개장했다. 1993년에는 바랑키야가 "특별 산업항구 지구" 지위를 부여받았다.[56]
바랑키야는 4년 임기의 시장이 행정부를 이끌며, 현재 시장은 2020년에 취임한 하이메 푸마헤호 하인스이다.[76] 각 지역에는 선출된 시장과 지역 행정 위원회가 구성되어 지방 정부의 행정 업무를 조정한다. 엘사 노게라 아틀란티코 주지사는[77] 바랑키야에 사무실을 두고 주요 기관 운영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바랑키야 시장은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여러 기관이 시장에게 직접 보고한다. 행정 및 기술 부서는 시장 자문, 도시 관리, 프로젝트 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78]
중앙 행정 | 분권화된 기관 |
---|---|
시장실 | 바랑키야 대도시권 |
정부 비서실 | 바랑키야 대도시 교통 터미널 S.A. |
계획 비서실 | 트랜스메트로 S.A. |
재정 비서실 | 바랑키야 중앙 지구 개발 촉진회사 S.A. – 프로모센트로 |
보건 비서실 | 바랑키야 도시 개발 기업 – 에두바르 |
공공 인프라 비서실 | 바랑키야 환경 기술 행정부 – 다마브 |
사회 관리 비서실 | 카르나발 S.A. |
교육 비서실 | |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 비서실 | |
이동성 비서실 | |
도시 관리 및 공공 공간 비서실 | |
문화, 유산 및 관광 비서실 | |
총무 비서실 |
사법부의 경우, 바랑키야 사법구는 바랑키야 사법구 고등법원, 바랑키야 사법 관할구, 솔레다드 사법 관할구, 사바날라르가 사법 관할구로 구성된다. 법원은 민사-가족, 노동, 형사 재판부로 구성된다.[79][80]
4. 1. 행정 구역
1905년 4월 17일, 국가 재편의 일환으로 바랑키야와 사바날라르가 주, 볼리바르 주를 포함하는 아틀란티코 주가 신설되고 바랑키야가 주도가 되었다.[29] 1908년에는 바랑키야 주(Department of Barranquilla)로 변경되었다가, 1909년 바랑키야 주는 폐지되고 다시 볼리바르 주에 통합되었다.[29] 1910년 7월 14일, 바랑키야를 주도로 하는 아틀란티코 주가 최종적으로 설립되었다.[29]2002년, 바랑키야 지구는 정치적, 행정적으로 리오마르, 노르테-센트로 이스토리코, 수르 오시덴테, 수르 오리엔테, 메트로폴리타나의 다섯 개 지역으로 나뉘었다.[81] 각 지역은 선출된 시장과 시장이 임명한 지역 시장이 공동으로 관리하며, 이들은 지역 행정 위원회를 구성한다. 지역은 다시 188개의 ''바리오''(구역)로 세분된다.[82][83]
지역 지도 | 도시-농촌 지도 |
---|---|
![]() | ![]() |
지역: 1. 리오마르 2. 노르테-센트로 이스토리코 3. 수르 오시덴테 4. 수르 오리엔테. | 코레히미엔토스: 1. 라 플라야 (에두아르도 산토스) 2. 후안 미나. |
1993년에는 바랑키야 지구에 라스 플로레스 지역, 라 플라야 마을, 마그달레나 강 습지대 말로르킨의 보카스 데 세니사 서쪽 방파제가 포함되었다.[73]
4. 2. 대도시권
1981년 바랑키야 대도시권(Metropolitan Area of Barranquilla)이 인근 도시까지 확장되면서 조성되었다. 1993년 8월 18일 콜롬비아 의회는 1993년 8월 1일 제정된 법률 제17호를 통해 바랑키야에 "특별 산업항구 지구(Special District, Industrial and Port)" 지위를 부여했다.[56]5. 경제
바랑키야는 콜롬비아 독립 전쟁 당시 독립군 지지 도시로, 1813년 "빌라"(villa) 지위를 부여받았다. 19세기 중반, 후안 베르나르도 엘베르스(Juan Bernardo Elbers)가 마그달레나 강(Magdalena River)에 증기선을 도입하면서, 바랑키야는 콜롬비아 내륙과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커피 수출의 주요 항구가 되었으며, 1869년부터 1871년 사이에는 콜롬비아 최초의 철도인 볼리바르 철도(Ferrocarril de Bolívar)가 건설되어 바랑키야와 사바닐라(살가르)를 연결했다.
19세기 후반, 바랑키야는 상수도(1877년), 노새 트램(1884년), 콜롬비아 최초 전화(1885년) 등 발전을 경험하며 콜롬비아의 주요 항구로 자리 잡았다. 1993년에는 특별 산업 지구이자 항구 도시로 지정되었다.
바랑키야는 주요 산업 중심지이며, 제조업, 상업, 금융, 서비스업, 어업이 활발하다. 주요 산업 제품은 식물성 지방 및 오일, 의약품, 화학 제품, 신발, 유제품, 육류, 음료, 건축 자재, 가구, 플라스틱, 시멘트, 금속 가공 부품, 의류, 버스 및 보트, 석유 제품 등이다. 항구는 농촌 지역의 목화, 커피, 석유와 도시의 산업 제품 수출입 중심지 역할을 한다.
DANE(콜롬비아 국립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0년 2월부터 4월까지 바랑키야의 전체 노동 참가율(TGP)은 58.5%, 고용률(TO)은 53.5%, 실업률(TD)은 5.5%였다. 20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사업체의 12.0%가 제조업, 65.2%가 상업, 51.3%가 서비스업에 종사했다.
바랑키야는 여러 산업 단지와 자유무역지대를 갖추고 있으며, 특히 바랑키야 자유무역지대(Zona Franca de Barranquilla)는 국가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곳 중 하나이다. 해상 및 하천 터미널은 카리브 지역의 산업 및 상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바랑키야 항은 마그달레나 강과 카리브해를 통해 국가 내륙 및 국제 무역을 연결한다. 당국은 석탄 수요 증가에 따라 "수페르푸에르토(Superpuerto)"로 불리는 바랑키야 심해항 개발을 고려하고 있다.
항목 | 값 (2006년) |
---|---|
GDP | 46.05억달러 (10조 8,581억 8,500만 콜롬보 페소) |
1인당 GDP | 2209USD (494만 5,029 콜롬보 페소) |
항목 | 값 (2010년) |
실업률 | 9.2%[95] |
연간 물가 상승률 | 3.38%[96] |
월간 물가 상승률 | 0.28% |
항목 | 값 (2009년) |
국가 위험 | 38.85 포인트[97] |
6. 인구
DANE의 20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2007년 6월 30일 기준 바랑키야의 인구는 1,148,506명이며, 대도시권 인구는 1,821,517명이다.[109] 이는 콜롬비아 카리브 해안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보고타, 메데인, 칼리에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110]
1994년 제142호 법률 제102조에 따라 도시의 여러 지역은 콜롬비아 주택의 6가지 사회경제적 범주에 따라 분류된다.[111][112] 1, 2 계층은 도시의 남동부, 남서부, 북서부, 북동부 지역에 해당하며, 3, 4 계층은 남중부, 중부, 북부 지역에 해당하고, 5, 6 계층은 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도시 지역에는 약 1,144,470명, 농촌 지역에는 4,036명이 거주하고 있다. 인구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6918.71명이다. 인구의 47.5%가 남성이고 나머지 52.5%가 여성이다. 가구의 약 57.9%가 4명 이하이다. 도시 인구의 26.7%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태어났고 0.4%는 다른 나라에서 태어났다. 바랑키야 인구의 5.3%는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다.[109]
20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거주 인구의 61.5%가 주택에, 32.4%가 아파트에, 6.2%가 다른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지난 5년간 거주지를 변경한 바랑키야 인구의 63.3%는 가족적인 이유로, 9.2%는 일자리 찾기의 어려움 때문에, 13.3%는 다른 이유로, 2%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변경했다.[109]
연도 | 인구 |
---|---|
1905 | 38,555 |
1938 | 150,395 |
1951 | 279,627 |
1964 | 498,301 |
1973 | 703,488 |
1985 | 899,781 |
1993 | 1,026,370 |
2005 | 1,112,889 |
2018 | 1,206,319 |
* DANE 인구 조사 |
6. 1. 범죄 및 안전
바랑키야의 대기 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다. 자동차 배기가스가 주 원인(34%)이며, 산업(18%)도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자동차 배출 오염물질은 일산화탄소(89.12%), 이산화황(0.23%), 탄화수소(6.46%), 질소산화물(3.82%), 기타 미립자(0.37%) 등이다.[72]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체 연료 차량을 천연가스 차량으로 전환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12개 이상의 천연가스 주유소가 설치되어 있다.[72] 바랑키야는 산업으로 인한 대기 오염이 콜롬비아에서 네 번째로 심각한 도시이다.[72]콜롬비아 수문기상환경연구소(IDEAM)에 따르면, 바랑키야의 월별 미세먼지 농도는 허용되는 국제 기준(70 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을 훨씬 초과하는 160 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를 기록했다.[73] 이는 차량 연료의 낮은 품질 때문이며, 황 함량이 매우 높은 수준(휘발유 5,000ppm, 경유 4,500ppm)이다.[73]
마그달레나 강, 말로르킨 습지 등 바랑키야의 지표수계는 하수 및 고형 폐기물 투기로 인해 오염되었다.[74] 말로르킨 습지의 경우, 습지 조성과 폐수처리장 건설을 통해 환경적 영향이 감소되었다.[74]
주거 지역의 허용 소음 수준은 64데시벨, 상업 및 산업 지역은 70~75데시벨이다.[75] 그러나 바랑키야 중심부는 러시아워의 차량 통행과 상업 활동으로 인해 소음이 90데시벨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주민 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다.[75]
7. 도시 경관
바랑키야는 카르타헤나나 보고타와 같은 다른 콜롬비아 도시들과는 달리, 스페인 식민 시대에 건설되지 않았고 콜럼버스 이전 시대 유적 위에 세워지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랑키야는 독특하고 다양한 도시 경관을 자랑한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바랑키야는 마그달레나 강을 통한 활발한 무역과 푸에르토 콜롬비아 항구의 건설로 급속히 성장했다. 이 시기, 북미, 유럽, 중동, 아시아 등지에서 온 이민자들은 다양한 건축 양식을 도입하여 도시에 국제적인 분위기를 불어넣었다.[132]
도시 곳곳에는 신고전주의, 아르데코, 신식민지 건축, 모더니즘, 현대 건축, 절충주의, 무데하르, 스페인 후기 바로크, 모자라베 양식, 그리고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양식의 카리브해 건축 등 다채로운 건축물들이 자리 잡고 있다.[132] 특히 오스카르 니마이어, 르 코르뷔지에, 레오폴도 로터, 미스 반 데어 로에, 리처드 노이트라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의 영향을 받은 건물들도 눈에 띈다.[132]
바랑키야는 활발한 상업 및 비즈니스 관광 중심지로, 특히 카니발과 새해 전야제 기간에는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도시 북쪽 지역은 현대적인 인프라와 고급 주택가, 공원, 호텔, 쇼핑센터가 밀집해 있으며, 문화 및 비즈니스 중심지 역할을 한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마그달레나 강 하구인 보카스 데 세니사, 한때 세계에서 가장 긴 부두 중 하나였던 푸에르토 콜롬비아 항구, 다양한 동식물을 만날 수 있는 바랑키야 동물원 등이 있다.
7. 1. 센트로 이스토리코 (역사 지구)
바랑키야는 카르타헤나나 보고타와 달리 스페인 식민 시대에 건설되거나 콜럼버스 이전 시대 유적지 위에 세워진 도시가 아니다. 바랑키야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533년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오비에도 이 발데스의 기록에서 나타난다.[21] 그는 페드로 데 에레디아가 카르타헤나 건설 몇 주 전 이곳에 상륙했으며, 이곳이 산타마르타 인디언들의 카누 상륙 지점이었다고 설명한다. 그들은 말린 새우를 싣고 마그달레나 강으로 가 소금 등과 교역했다.[22] 1629년경 카마쉬 인디언들의 정착지가 세워졌으며,[23] 이러한 이유로 바랑키야는 건설일 대신 1813년 4월 7일 도시로 선포된 날을 기념한다.[24]16세기, 카피탄 도밍고 데 산타 크루스에게 엔콤미엔다가 부여되었다. 이 엔콤미엔다는 그의 사후 미망인에게 넘어갔다가, 갈라파의 엔콤멘데로 돈 페드로 데 바로스 1세의 폭력으로 사라졌다.
1627년에서 1637년 사이, 니콜라스 데 바로스가 하시엔다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를 설립했다. 원래 면적은 24.78km2였으나, 페드로 바스케스 부에소에 의해 41.3km2로 확장되었다. 바로스 사후, 이 농장은 여러 사람들을 수용하며 1681년까지 바랑카스 데 산 니콜라스 마을로 성장했다. 1772년에는 판사 평의회가 추가되었다.[25]
19세기 후반, 도밍고 말라베트는 바랑키야의 기원이 구전 전통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블랑코 바로스는 1987년 저서에서 바랑키야가 갈라파 농부들이 가축을 따라 마그달레나 강으로 이동하면서 건설되었다고 주장했다.[13]
콜롬비아 독립 전쟁 시기, 바랑키야는 독립군 지지 도시로 활약했다. 1813년, 마누엘 로드리게스 토리세스는 바랑키야에 "빌라"(villa) 지위를 부여하고 바를로벤토 주의 주도로 삼았다.
1815년, 호아킨 발레호는 독립군 부대를 지원했으나, 스페인군에 의해 주민들이 포로로 잡히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바랑키야는 공화파 군사 작전의 중심지가 되었다.[25] 1821년, 바랑키야는 아구스틴 델 발레 시장의 통치를 받았고, 마라카이보 호 전투를 통해 스페인 왕당파가 최종 추방되었다.[26]
바랑키야의 중심 역사 지구(Centro histórico)는 카레라스 35번가와 46번가, 칼레스 30번가와 46번가 사이에 위치하며, 산 로케(San Roque)와 다운타운 지역의 일부를 포함한다.[123] 이곳은 도시의 역사 중심지이자 북중앙 지구의 일부로, 시와 부서의 행정부 청사가 있다. 1980년대까지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중심부 쇠퇴로 상업과 금융이 북쪽으로 이동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심 역사 지구는 여전히 경제적으로 중요하며 활발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큰 건물들이 많다. 1999년, 문화부에 의해 국가적으로 보호되는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124] 1990년대부터 복구 과정이 진행 중이다.[125][126] 바랑키야 중심부 개발은 Promocentro가 후원하고 있다.[127][128]
; 볼리바르 산책로(El paseo de Bolívar)

바랑키야 중심부에 있는 볼리바르 산책로(Paseo de Bolívar)는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거리이며, 도시 확장의 기원이다. 19세기 후반에는 칼레 안차(Calle Ancha, 넓은 거리)로 불렸으나, 1886년 아벨로(Abello)로 개명되었다. 20세기 초에는 파세오 데 콜론(Paseo de Colón)으로 불리다가, 1937년 시몬 볼리바르 기마상이 있는 광장이 조성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29] 이곳은 역사 중심부의 중추이며, 많은 건물들이 복원되고 있다.[130]
7. 2. 공공 장소
바랑키야는 수년간 활발한 비즈니스와 상업 관광 중심지로 발전해 왔으며, 특히 카니발과 새해 전야제 기간에는 많은 관광객이 유입된다.도시 북쪽 지역은 인프라 측면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잘 갖춰진 곳으로, 최고급 주택가, 공원, 호텔, 쇼핑센터가 있다. 또한 바랑키야의 문화 및 비즈니스 중심지이기도 하다. 도시에서 매우 중요한 새로운 인프라 개발과 도시 건축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호텔 측면에서 볼 때, 이 도시는 적절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레지던스부터 여관, 그리고 5성급 국내외 호텔 체인까지 모든 것을 찾을 수 있다. 최고급 호텔들은 도시 북쪽, 중요한 비즈니스 지역과 쇼핑센터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이곳은 행사, 컨벤션, 회의 등을 개최하는 데에도 자주 사용된다.
바랑키야는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국내외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상점과 쇼핑몰을 제공한다. 주요 상업 지역은 도시 중심부와 북쪽이다. 칼레 98은 바랑키야 북쪽에 위치한 고급 지역으로, 새로운 쇼핑센터, 스포츠 단지, 주거 단지와 함께 도시 확장의 중심축이다.
칼레 84는 도시 북쪽에 위치하며,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기간 동안 축제 장소로 유행했다. "룸바 거리(Calle de la Rumba)"라고 불렸다. 칼레 무리요는 로베르토 멜렌데스 경기장 근처의 도시 중심부와 남쪽 끝에서 시작하는 넓은 지역이다. 카레라 53은 워싱턴 공원을 중심으로 고급 주택가인 엘 컨트리와 알토 프라도에 위치해 있으며, 고급 레스토랑, 바, 나이트클럽이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다음이 있다.
;'''보카스 데 세니사와 마그달레나 강'''

보카스 데 세니사는 카리브해에 있는 마그달레나 강의 하구이다. 바랑키야 항구에 접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때로 라스 플로레스에서 보카스 데 세니사로 출발하는 강 바지선을 이용한 여행이 조직된다. 또한 강을 따라 작은 보트를 이용하여 현지 레스토랑을 즐기고 인근 늪지를 둘러보는 특별한 관광도 있다.
;'''푸에르토 콜롬비아 항구'''
1893년 바랑키야 철도 및 부두 회사(Barranquilla Railway & Pier Company)에 의해 쿠바 출신 엔지니어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시스네로스의 감독하에 건설된 이웃 지방 자치체 푸에르토 콜롬비아의 부두는 한때 세계에서 가장 긴 부두 중 하나였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수천 명의 이민자들이 이 항구를 통해 이 나라에 들어왔다. 2008년 점진적인 훼손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폐쇄되었다. 2009년 3월 7일 강풍으로 인해 구조물의 마지막 200미터가 붕괴되어 완전 폐쇄되고 주민들이 대피했다. 1998년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복원 작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의 비극으로 인해 지방 정부는 재건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138]
;'''바랑키야 동물원'''

바랑키야 동물원은 다채로운 국내외 동물 종을 보유한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콜롬비아 동물군과 멸종 위기 종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139] 닭에서 코끼리, 사자에 이르기까지 140종 이상의 500마리 이상의 동물, 그리고 다양한 포유류, 어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영장류가 있다.

7. 3. 건축
바랑키야의 건축물은 20세기에 주로 건설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다양한 건축 양식들이 유입되어 국제적인 분위기를 띠고 있다. 이러한 건축적 특징은 북미, 유럽, 중동, 아시아 등지에서 온 사람들의 영향을 보여준다.[132]주요 건축 양식으로는 신고전주의, 아르데코, 신식민지 건축, 모더니즘, 현대 건축, 절충주의, 무데하르, 스페인 후기 바로크, 모자라베 양식, 그리고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양식의 카리브해 건축 등이 있다. 오스카르 니마이어, 르 코르뷔지에, 레오폴도 로터, 미스 반 데어 로에, 리처드 노이트라 등 국제적인 건축가들의 영향도 엿보인다.[132]
; 공화국 시대 건축

"공화국 시대 건축" 양식은 1819년 독립 이후부터 1930년경까지의 건축을 의미하며, 후기 바로크와 신고전주의 스페인 양식을 포함한다.
20세기 초, 바랑키야에서는 신고전주의 건물들이 많이 지어졌다. 대표적인 예로는 라 살레 연구소, 비야 에랄도, 아틀란티코 자치 지역 기관(알바로 세페다 사무디오의 전 거주지), 에세키엘 로사도의 주택, 후네라리아 하르디네스 델 레쿠에르도, 복원된 세관 건물, 전 바랑키야 상업 은행, 뱅크 두간드 이 라 펄라 등이 있으며, 주로 엘 프라도 지구와 바랑키야 역사 중심지에 위치한다. 호텔 엘 프라도(스페인 후기 바로크 양식), 아틀란티코 대학교의 미술대학, 인텐덴시아 플루비알 등도 주목할 만하다.[132][133]
; 전환기 (1930-1945)

근대 건축 운동 이전의 콜롬비아 건축은 공화국 시대 건물과 크게 다르다. 이 시기에는 아르누보와 아르데코 양식이 두드러진다.[132]
1930년대의 전형적인 아르데코 양식 건물들이 많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로멜리오 마르티네스 경기장(1935년), 바랑키야 지방 도서관(1945년), 렉스 극장(1935년), 옛 메트로 극장(1946년, 구 아폴로 극장), 샤레 세덱 회당(1946-1947년), 농업 전시회 건물(1936년, 후에 공업학교가 됨), 에카르트 빌딩(1939년), 벨라비스타 지구의 쿠바 건축가 마누엘 카레라의 전 주택, 가르시아 빌딩(1938년), 콜론 극장(1946년), 전 아비앙카 건물(1934년)(마지막 네 건물은 마누엘 카레라가 설계) 등이 있다.[132][134][135] 로멜리오 마르티네스 경기장은 1995년 국립 기념물로 지정된 바랑키야 최초의 아르데코 건물이다.[136]
; 근대 건축 운동 (1945-1970)

근대 건축은 장식적인 디자인을 지양하고 콘크리트의 건축 합리주의 경향을 보인다. 대표적인 근대 건축물로는 국립 건물(1945년)(레오폴도 로터 설계), 마리아 레이나 대성당(1955년 착공), 구 농업 신용 은행 건물(1964년)(페르난도 마르티네스 사나브리아 설계) 등이 있다. 세나 건물, 통신 건물(알레한드로 오브레곤의 조각이 있는 광장), 아틀란티코 대학교 건물, 시청 건물(구 공화국 은행 건물)도 주목할 만하다.[132][137]
; (1970-1985)

이 시기에는 건축의 상업화가 이루어지면서 공간적 질과 미적 감각이 다소 희생되었다. 주택 단지와 폐쇄형 쇼핑센터가 증가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이 나타나 역사적 양식을 강조하기도 했다. 역사 중심지와 같은 중요한 건축 유산 건물들이 보호되기 시작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건물로는 이그제큐티브 센터 I, 지라솔 빌딩, 방코 포풀라르, 보고타, 방콜롬비아 타워, 로드리고 라라 보닐라 건물 등이 있다.[132]
; 현대 건축
최근에는 바랑키야 세계 무역 센터, 도시 북부의 여러 아파트 타워, 메트로텔 본사, 프라도 사무 센터 등의 건물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 건물들은 엘 프라도 지구의 건축 양식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고전주의 양식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132]
; 종교 건축물

바랑키야에는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예배 장소들이 많다. 신고딕 양식부터 바로크 양식, 네오 무데하르 양식까지 다양하다.
주요 종교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마리아 레이나 대성당: 신고딕 양식,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 교회: 신고딕 양식, 톨렌티노의 성 니콜라스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산 로케 교회: 성 로크 봉헌, 쌍둥이 시계탑, 역사적 중요성.
- 무염시태 성모 교회: 공화국 시대 건축, 엘 프라도 지구, 무염시태 기념.
- 끊임없는 도움의 성모 교회: 20세기 초 건축 양식, 끊임없는 도움의 성모 봉헌.
- 산 호세 살레시오회 교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요셉 성인 봉헌.
- 카르멜 산의 성모 교회: 카르멜 산의 성모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예수 성심 교회: 예수 성심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묵주 성모 교회: 묵주 성모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치킨키라의 묵주 성모 교회: 치킨키라의 묵주 성모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토르코로마의 은총의 성모 본당: 토르코로마의 은총의 성모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교회: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 봉헌, 도시 중심부.
- 성가정 교회: 성가정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중앙 침례교회
- 세르반테스 고등학교 예배당: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 쿠바의 자비의 성모 교회: 쿠바의 자비의 성모 봉헌,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샤레 세덱 회당: 노르테-센트로 히스토리코 지역.
- 오스만 벤 아판 모스크: 리오마르 지역.
8. 문화
바랑키야는 대도시이자 산업 도시로, 세계 각국의 사업가와 출장객들이 자주 방문한다.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볼거리는 바랑키야 카니발(Carnaval de Barranquilla)이다. 이 축제는 재의 수요일 전 4일 동안 열리며, 2003년 11월 유네스코는 이 축제를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 중 하나로 선정했다.[209]
현지 주민과 콜롬비아 사람들은 바랑키야를 "쿠람바"(Curramba, "축제"를 뜻하는 단어) 또는 "콜롬비아로 가는 황금 문"(Puerta de Oro de Colombia)이라고 부른다. 바랑키야가 마그달레나 강 삼각주에 위치하여 콜롬비아에서 대서양으로 향하는 중요한 상업 항구가 되었기 때문이다. 1921년 마르코 피델 수아레스 대통령은 바랑키야를 '레푸블리카의 황금문'(Puerta de Oro de la República)이라고 불렀고, 1946년 마리아노 오스피나 페레스 대통령은 이 별칭을 재확인했다.[14][15]
바랑키야 주민들은 '바랑키예로스'(Barranquilleros)라고 불리며, 외향적이고 친근하며 편안한 행동을 보인다. 또한 긍정적이고 열린 마음을 가졌으며, 목표 지향적이고 근면한 태도를 보인다.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 대통령은 1849년 바랑키야를 '라 아레노사'(La Arenosa, '모래 많은 곳')라고 불렀다.[16] 20세기 중반 언론인 후안 에우헤니오 카냐베라는 바랑키야를 '쿠람바, 라 벨라'(Curramba, la Bella)라고 칭했다.[17] 아구스틴 니에토 카바예로는 바랑키야를 "열린 팔의 도시", 엔리케 안시사르는 "미국의 등대"라고 불렀다.[18]
;깃발
1811년 카르타헤나 독립을 이끈 애국자들이 현재 깃발을 채택했다. 세 개의 직사각형(빨강, 노랑, 초록)으로 구성되며, 중앙에는 8각형 은색 별이 있다. 빨강은 애국자의 피, 노랑은 자유와 희망의 태양, 초록은 고향을, 별은 연합의 8개 주를 상징한다. 1910년 시의회에서 바랑키야 깃발로 승인했다.[19][20]
;문장
1813년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주지사 마누엘 로드리게스 토리세스가 카르타헤나 독립에 기여한 애국자들을 기리기 위해 도시 지위를 부여하면서 문장을 언급했다.[20]
;시가
[http://es.wikisource.org/wiki/Himno_de_Barranquilla 바랑키야 시가]는 1942년 시의회에서 공식 채택되었다. 가사는 아미라 데 라 로사, 음악은 시몬 우르비나의 작품이다.[20]
;기타 상징
히비스커스 로사시넨시스, 타베부이아 로제아 꽃, 볼라티니아 자카리나, 이구아나가 도시의 상징으로 사용된다.[20]
아미라 드 라 로사 극장은 1982년부터 문화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극작가 아미라 데 라 로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로만티코 박물관은 도시 역사를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한다. 카리브 박물관은 카리브 문화 공원에 있다. 인류학 및 민족학 박물관은 아틀란티코 대학교에 있으며, 원주민 문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현대미술 박물관은 20세기 후반 주요 예술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카리브 문화 공원으로 이전될 예정이다.[141][142]
항공 박물관은 해군 장교 학교에 있으며, 20세기 초 바랑키야 상업 항공 발전 역사를 기념한다. 아틀란티코 박물관은 아틀란티코 주 정부 구 청사에 위치한 지역 박물관이다.[143] 카니발 박물관은 2011년 설립되었으며, 아바호 지역 카니발 하우스에 있다.[144] 극장은 2016년 구조적 문제로 폐쇄되었으며,[145] 보수 및 개장 관련 논란이 있었다.[146]
;카리브 문화공원
카리브 문화공원은 콜롬비아 카리브 해 연안의 자연, 문화, 역사를 홍보하는 문화 단지이다. 카리브 박물관, 어린이 도서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전문 도서관 등이 있다. 2단계 개발에는 현대미술관과 영화 자료관이 추가될 예정이다.[147]
;콜롬보 아메리카노 문화센터
1956년 개관한 [http://colomboamericano.org 콜롬보 아메리카노 문화센터]는 바랑키야에서 미국 문화와 영어의 상징이다. 콜롬비아와 미국 간 우호 관계 증진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영어 교육, 미국 교육 상담 정보 등을 제공한다. 조지 워싱턴 도서관은 방대한 자료를 보유한 공공 2개 국어 도서관이다.
;구 세관 건물
구 세관 건물은 1990년대에 복원되어 어린이 도서관, 역사 기록 보관소, 음악 자료 센터, 알레한드로 오브레곤의 "바랑키야의 상징" 등을 수용하고 있다.
;기타
레스토랑 바 "라 쿠에바"는 20세기에 문화 활동으로 유명했다.[148] 카르나발 하우스, 카리브 영화 자료관[149], 바랑키야 천체 투영관[150]도 주요 문화 시설이다.
바랑키야 시의 문화는 시장에게 배정된 바랑키야 문화관광청[151]과 여러 기관에서 홍보하고 있다.
8. 1. 바랑키야 카니발

바랑키야는 일 년 내내 다양한 문화 활동이 활발하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콜롬비아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 중 하나인 바랑키야 카니발이다. 매년 2월에 열리는 다문화 행사로, 19세기 문화 전통을 강조하는 4일간의 축제, 의상, 퍼레이드를 통해 전 세계를 환영한다. 재의 수요일 전 4일(토, 일, 월, 화) 동안, 보통 2월이나 3월 초에 열린다. 2001년 콜롬비아 국회에서 "국가 문화유산"으로 선포되었고, 2003년에는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유산 걸작"으로 지정되었다. 이 도시는 민속춤, 노래, 놀이, 전설, 이야기, 미신 등 다양한 문화적 표현의 중심지이며, 이들 중 많은 부분이 카니발 기간에 절정에 달한다.[209]
8. 2. 기타 문화 행사
바랑키야 카니발은 콜롬비아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 중 하나로, 매년 2월에 열리는 다문화 행사이다. 19세기 문화 전통을 강조하는 4일간의 축제, 의상, 퍼레이드를 통해 전 세계를 환영한다. 재의 수요일 전 4일(토, 일, 월, 화) 동안, 보통 2월이나 3월 초에 열린다. 2001년 콜롬비아 국회에서 "국가 문화유산"으로 선포되었고, 2003년에는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유산 걸작"으로 지정되었다.[153] 이 도시는 민속춤, 노래, 놀이, 전설, 이야기, 미신 등 다양한 문화적 표현의 중심지이며, 이들 중 많은 부분이 카니발 기간에 절정에 달한다.바랑키야는 예술 전시회, 전시회, 문학 워크숍, 철학 강연, 연극, 시 워크숍, 춤, 전시회, 콘서트, 카니발 기간 중에 열리는 오케스트라 축제와 ''바랑키야 재즈''와 같은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 1957년부터 고전 음악 보급을 위한 "월간 콘서트"를 개최하고 있다.
바랑키야의 카니발 및 관련 행사 외에도, 이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행사는 다음과 같다. 바랑키야 재즈 페스티벌(Barranquijazz)은 9월에 아미라 데 라 로사 극장 등 여러 장소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재즈 거장들을 초청하는 재즈 페스티벌이다. 카르나발 데 라스 아르테스(Carnaval de las Artes)는 국내외 저명한 지식인, 작가, 영화 제작자, 음악가 및 예술가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문화 행사이다. 스타디움 동쪽에서는 수공예 및 민속 박람회(Feria Artesanal y Folclórica)가 열리고, 12월에는 유니버설 묘지 부지에서 장난감 박람회(Feria del Juguete)가 열린다. 8월에는 유머와 이야기가 가득한 국제 구연자 페스티벌 "엘 카리베 쿠엔타"(Festival Internacional de Cuenteros ''El Caribe Cuenta'')가 매년 개최된다. 바랑키야 상공회의소가 3월에 노르테 대학교에서 개최하는 연례 패션 행사 플라타포르마 케이 이벤트(Plataforma K. Evento)도 있다. 바랑키야 상공회의소가 매년 주최하는 살롱 데 아르티스타스 코스테뇨스(Salón de Artistas Costeños) 미술 축제와, 바랑키야 문화구청과 주 문화국이 지원하는 미체 록 페스티벌(Miche Rock Festival)도 있다.[153]
8. 3. 언어
바랑키야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콜롬비아 카리브 해안에서 사용되는 방언인 더 넓은 의미의 카리브해 스페인어 분류의 하위 방언이다.8. 4. 음악
쿰비아(Cumbia)는 바랑키야 시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음악 리듬이자 춤으로, 콜롬비아 카리브 지역 전체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그 외 중요한 음악 리듬으로는 풀라도, 할라오, 푸야, 가라바토, 쿰비온, 찬데, 포로, 가이타, 불레렝게, 메레쿰베, 발레나토(vallenato) 및 파하리토가 있다. 전통 춤으로는 콩고, 마팔레, 손 데 네그로, 디아블로스, 구사노, 파로타스가 있다. 또한 유명한 바랑키야 카니발(Carnaval de Barranquilla)과 관련된 마리몬다스, 모노쿠코스, 토리토스도 있다.[152]유명한 살사 가수 조 아로요(Joe Arroyo)는 이 도시와 카니발을 열렬히 사랑했으며, 1988년 앨범 ''푸에고 엔 미 멘테(Fuego En Mi Mente)''의 "엔 바랑키야 메 케도(En Barranquilla Me Quedo)"와 "카니발(Carnaval)"과 같은 노래에서도 알 수 있다. 그는 생애의 많은 부분을 바랑키야에서 보냈고, 바랑키야에서 사망한 후 이 도시의 묘지에 매장되었다. 그의 명예를 기리는 동상인 "라 에스타투아 델 조 아로요(La Estatua del Joe Arroyo)"는 2011년 12월 17일에 제막되었다. 바랑키야 출신인 샤키라(Shakira)는 2011년 11월 9일, 라틴 레코딩 아카데미 올해의 인물(Latin Recording Academy Person of the Year)로 선정되는 자리에서 만달레이 베이 이벤트 센터(Mandalay Bay Events Center)에서 아로요의 "엔 바랑키야 메 케도"를 커버하여 그를 기렸다.
바랑키야는 행크 스노우의 노래 나는 모든 곳에 가봤다 (I've been Everywhere), 특히 존니 캐시가 부른 버전에서 언급된다. 또한, 여러 차례 샤키라(Shakira)의 노래 엉덩이가 거짓말을 하지 않아(Hips Don't Lie)와 자전거(La Bicicleta)에서 언급되었다.
8. 5. 음식
바랑키야는 다양한 국제 요리를 제공하는 도시이다. 크리올 요리부터 시리아-레바논 요리(중동 이민자 후손들의 영향), 중국 요리, 일본 요리, 브라질 요리, 페루 요리, 프랑스 요리, 이탈리아 요리, 태국 요리, 스페인 요리 등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이 도시의 대표적인 요리는 흰 쌀밥이며, 카사바 빵과 함께 제공된다. 소금에 절인 고기를 넣은 강낭콩 스튜인 산코초 데 구안두(또는 구안둘)는 이 지역의 특별한 음식으로 연례 축제까지 열린다.
그 외에도 부티파라스 솔레데냐스, 수에로, 케소 코스테뇨, 튀긴 아레파, 카리마뇰라, 엠파나다, 컵케이크, 파타코네스, 검은콩 밥, 치피치피 및 쿠카요, 국수, 라스파오, 볼리, 설탕물, 타마린드, 사포테, 니스페로와 같은 음료, 코코넛 캔디와 부활절 캔디, 케이크, 생선, 새우와 굴,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요리와 돼지껍데기 등 다양한 음식을 즐길 수 있다.[154][155]
카수엘라 데 마리스코스라는 해산물 스튜와 패스트푸드인 추조 데스그라나도 역시 바랑키야에서 맛볼 수 있는 음식이다.[156][157]
9. 교육
바랑키야의 교육은 교육부와 지방 자치구청장에 의해 규제된다.[158] 이 도시는 초등, 중등 및 대학교육을 포함한 국가 교육 체계와 여러 기술 및 전문 교육 기관을 제공한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바랑키야는 출신 지역에 교육 기관이 없어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없었던 많은 학생들을 받아들였으나, 최근 몇 년 동안 이 지역의 교육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바랑키야의 교육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마누엘 마리아 살가도(Manuel María Salgado): 1849년 바랑키야 연구소(Instituto de Barranquilla)를 설립한 바랑키야 고등학교의 선구자
- 카를 마이젤(Karl Meisel): 1881년 콜레지오 리봉(Colegio Ribón)을 설립하고 1908년 콜레지오 데 바랑키야(Colegio de Barranquilla)로 개명한 독일 교육자
- 후리오 엔리케 블랑코(Julio Enrique Blanco): 아틀란티코 대학교(Universidad del Atlántico)를 설립
- 라몬 레노위츠키(Ramón Renowitzky): 20세기 중반 교육부 장관 역임
- 알베르토 아사(Alberto Assa): 터키 출신 교육자이자 번역가
DANE이 2005년 실시한 인구 조사에 따르면, 3~5세 인구의 66.5%, 6~10세 인구의 89.2%, 11~17세 인구의 83.7%가 정규 교육 기관에 다니고 있다. 12.8%가 전문직 수준에 도달했고, 1.4%가 전문 학위,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거주 인구는 6.2%이며, 5세 이상 인구의 94.1%가 읽고 쓸 줄 안다.[109]

바랑키야에는 높은 학문적 기준과 연구를 갖춘 여러 대학교가 있다.
학부 과정에서는 공학, 보건 과학, 경제 및 행정 과학, 기초 과학, 교육학, 사회 과학, 미술, 법학 등 다양한 과정을 제공한다.
대학원 과정의 경우, 북부 대학교는 사회과학, 산업공학, 기계공학, 심리학 등 15개의 박사 과정을 제공하며,[167] 아틀란티코 대학교는 과학교육 박사 과정을 제공한다.[168] 북부 대학교는 공학, 보건 과학, 교육학, 환경학, 행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석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167] 아틀란티코 대학교, 시몬 볼리바르 대학교, 카리브 자치 대학교 등 다른 대학교들도 석사 과정을 제공한다.
바랑키야에는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를 포함한 중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ICFES(Instituto Colombiano para la Evaluación de la Educación)가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169]
국가 직업훈련 서비스 기관인 SENA(Servicio Nacional de Aprendizaje)는 기술 및 기술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바랑키야에는 다음 4개의 SENA 센터가 있다.
2009년부터 바랑키야에는 소레다드 아틀란티코 기술대학(Instituto Tecnológico de Soledad Atlántico, ITSA)이 설립되어 전기기계 정비, 전자, 통신, 컴퓨팅, 산업 공정, 농업 산업 생산, 국제 무역 및 국제 비즈니스, 사업 관리 등 기술 분야의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ITSA는 저소득층 1, 2 계층 출신 약 9,600명의 학생들을 보유하고 있다.[171]
2008년부터 바랑키야는 토지 통합을 통해 라스 아메리카스, 리파야, 7월 7일, 레볼로 지역에 교육 공원을 건설하여 학교 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추진해왔다. 이 공원에는 도서관, 강당, 컴퓨터실, 체육시설, 교실과 같은 지역 사회 서비스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172] 2010년에는 총 5,760명 수용 규모의 현대식 대학교 4곳이 개교했다. 라스 카예나스에 2곳, 시우다델라 베인테 데 훌리오에 1곳, 리파야에 1곳으로, 각 대학교는 1,440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다.[173] 2009년 2월에는 샤키라가 건설하고 바랑키야 지방정부가 지역 사회 자원을 통해 지원한 라 플라야의 '피에스 데스칼소스' 대학교가 개교하여 1,800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174][175]
과학 및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국가혁신시스템(National Innovation System), 콜시엔시아스(Colciencias)가 정의한 국가 정책의 요청에 따라 주로 대학에서 이루어진다. 아틀란티코 대학교는 과학, 기술 및 혁신을 위한 정보 및 지식 자원 국제 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 for Information and Knowledge Sources for Sciences, Technology and Innovation)에 등록 및 인정받은 콜시엔시아스(Colciencias)와 같은 연구 그룹을 보유한 기관이다. 대학들은 의학, 화학, 지구물리학, 생물학, 물리학, 미생물학, 법학, 역사, 철학, 카리브 문화, 통신 및 다양한 공학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과학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176][177][178]
바랑키야의 공공 도서관으로는 바랑키야 주립 도서관(Barranquilla Departmental Library), 카리브 파일럿 도서관(Biblioteca Piloto del Caribe), 훌리오 호에니히스베르그 도서관(Julio Hoenigsberg)이 있다. 또한 아틀란티코 대학교와 노르테 대학교를 비롯한 대학 도서관도 주목할 만하다.
10. 교통
바랑키야는 에르네스토 코르티소스 국제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공항은 도시 남쪽 솔레다드에 있으며, 1919년에 건설되어 남아메리카 최초의 공항이 되었다.[179] 마이애미와 파나마 시로 가는 국제선과 보고타, 메데인, 칼리 등 국내 주요 도시로 가는 노선이 운항된다. 공항에서는 허츠(Hertz)와 내셔널 카 렌탈(National Car Rental)을 통해 렌터카를 예약할 수 있다.
마그달레나강 위에 건설된 푸마헤호 다리는 콜롬비아에서 가장 긴 다리로, 길이가 1.5kmkm가 조금 넘는다. 이 다리는 바랑키야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시설이다.[158]
2001년에는 트랜스메트로 대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이 개발되기 시작했다.[181] 2015년에는 하루 약 11만 명이 이 시스템을 이용했으며,[182] 현재 경전철 노선이 계획 단계에 있다.[183]
택시는 최소 3.5kmkm까지 4300 COP(미화 2.17달러)의 요금이 적용되며, 이동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여러 민간 회사가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며, 2015년부터는 우버도 운영을 시작했다. 버스와 미니버스는 모델과 편의 시설에 따라 요금이 다르며, 1,300 COP에서 1,500 COP 사이이다.
도시 남쪽의 솔레다드에는 바랑키야 대도시 교통 터미널[184]이 있어 국내 주요 도시와 베네수엘라로 육로 이동이 가능하다.
10. 1. 대중교통
바랑키야에서 대중교통으로 통근(출퇴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77분이다. 대중교통 이용자의 17%는 매일 2시간 넘게 이동한다. 대중교통 정류장이나 역에서 기다리는 평균 시간은 15분이며, 이용자의 20%는 매일 평균 20분 넘게 기다린다. 대중교통을 한 번 이용할 때 평균 이동 거리는 5.9km이며, 5%의 이용자는 편도로 12km 넘게 이동한다.[186]10. 2. 항구
바랑키야는 막달레나강 삼각주에 위치하여 콜롬비아에서 대서양으로 향하는 가장 중요한 상업 항구가 되었다.[27] 19세기 중반, 독일인 후안 베르나르도 엘베르스(Juan Bernardo Elbers)가 마그달레나 강을 항해하는 증기선을 도입하면서 바랑키야는 콜롬비아 내륙 도시들과 국제 상인들과의 활발한 물품 교류를 시작했고, 커피 수출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 1869년부터 1871년 사이에는 현재 콜롬비아 공화국의 최초 철도인 볼리바르 철도(Ferrocarril de Bolívar)가 건설되어 바랑키야와 세관이 위치한 사바닐라(살가르)를 연결했다. 수심이 얕아 철도를 푸에르토 쿠피노(Puerto Cupino)까지 연장해야 했고, 쿠바 출신 엔지니어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시스네로스(Francisco Javier Cisneros)는 당시 영국 사우스엔드온시(Southend-on-Sea)의 부두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부두를 건설했다.[30][31][34] 1893년에는 푸에르토 콜롬비아(Puerto Colombia) 항구가 건설되어 20세기까지 바랑키야 항구로 기능했다.[39] 화물은 철도로 바랑키야로 운송된 후 강을 통해 내륙으로 운송되었다.해상 및 하천 항구는 지역의 산업 및 상업 발전의 원동력이다. 바랑키야 항구는 마그달레나 강을 통해 내륙과 연결되며, 카리브 해 연안을 통해 미국, 유럽, 아시아와 수백만 톤의 물품이 거래되는 두 개의 주요 항로를 담당한다.[101]

바랑키야는 주요 해항 및 강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화물량 기준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큰 항구이다. 수상 터미널은 민간 기업인 바랑키야 지역 항만회사(Sociedad Portuaria Regional de Barranquilla)가 관리, 운영 및 마케팅을 담당한다. 바랑키야 항의 교통은 바랑키야 항만장이 규제하며, 항만장은 도착, 출발, 선박 상태, 안전, 면허, 광고 등 해상 활동의 지휘, 조정 및 통제를 담당한다.[185]
2017년 3월 31일, 경찰은 바랑키야 항구에서 스페인으로 수출될 금속 폐기물이 실린 해상 컨테이너에서 6.1톤(최종 가격 약 2억 유로)의 코카인을 발견하여 압수했다.[208]
11. 스포츠
바랑키야의 스포츠는 체육부와 시청 체육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158] 20세기 초부터 가장 중요한 스포츠는 축구, 야구, 권투였다. 그 외에도 농구, 육상, 수영, 체스, 사이클, 스케이팅, 볼링, 테니스, 골프, 사격, 가라테, 태권도, 패러글라이딩, BMX, 카트 레이싱, 모터스포츠, 낚시, 스쿼시, 서핑, 역도, 소프트볼이 행해지고 있다.
바랑키야는 월드컵 예선에서 이탈리아(1990), 미국(1994), 프랑스(1998), 독일(2006), 브라질(2014), 러시아(2018), 카타르(2022) 대회를 앞두고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를 개최했다. 1992년 제14회 전국체전을 개최했고, 2006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의 공동 개최지였으며, 2018년 제23회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했다. 또한 1946년 제5회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했고, 1961년 볼리바리아노 게임 IV의 개최지였으며, 2001 코파 아메리카 A조 경기를 개최했다. 2011년에는 7월 29일부터 8월 20일까지 콜롬비아에서 열린 U-20 월드컵의 개막전을 개최했다.[187]
이 도시는 발전된 스포츠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1946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 1961년 볼리바르 게임 등 여러 국제 행사와 2018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할 수 있었다.
로베르토 멜렌데스 메트로폴리타노 경기장(Estadio Metropolitano Roberto Meléndez)은 1986년 5월 11일에 개장했으며, 관중 수용 인원은 49,612명이다. 축구 경기장, 육상 트랙(장거리 달리기, 멀리뛰기, 창던지기, 해머던지기) 등을 갖추고 있다. 1990년, 1994년, 1998년, 2006년 월드컵 예선 기간 동안 콜롬비아 국가 축구팀의 본거지였다.
로멜리오 마르티네스 경기장(Estadio Romelio Martínez)은 1935년 제3회 전국 올림픽 게임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수용 인원은 20,000명이다. 2018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하기 위해 개보수되었다.
에드가르 렌테리아 경기장(Estadio Édgar Rentería)은 구 토마스 아리에타 경기장(Estadio Tomás Arrieta)을 1946년 제5회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위해 건설되었고, 2018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하기 위해 재건축한것이다. 바랑키야 출신의 상징적인 메이저리거를 기리기 위해 변경되었다. 새로운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12,000명이다.
엘리아스 체그윈 농구 경기장(Estadio de Baloncesto Elías Chegwin)은 1992년에 개장했으며, 2018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하기 위해 개보수되었다. 3,000석을 갖추고 있으며, 콜롬비아에서 유일하게 에어컨이 설치된 스포츠 경기장이다.
라파엘 바스케스 메트로폴리타노 벨로드롬(Velódromo Metropolitano Rafael Vásquez) 또한 제14회 전국 게임의 일환으로 1992년에 개장했다.
올림픽 수영장 단지는 2018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을 개최하기 위해 재건축된 현대적인 시설이다. 2,130석을 갖추고 있다.
이 도시에는 또한 사격장과 스케이트장인 "라파엘 나란호 페르투스(Rafael Naranjo Pertuz)"(1992년)가 있으며, 내부에는 롤러 하키 경기장, 테니스 코트, BMX 트랙, 볼링장이 있다. 리파야, 라 마그달레나, 산 펠리페 등 여러 지역에 스포츠 센터가 있다.
2024년 8월 바랑키야는 카르타헤나와 함께 2024 U-15 야구 월드컵을 공동 개최했다.[188]
바랑키야는 콜롬비아에서 프로 축구를 하는 여러 팀의 연고지였다. 주니어 FC는 1부 리그에서, 바랑키야 FC는 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189] 카리브 자치 대학교 축구 클럽(Universidad Autónoma del Caribe Fútbol Club)은 바랑키야에 행정 본부를 두고 있으며, 마르코스 엔리케스 데 사바날라르가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190] 바랑키야를 연고로 했던 다른 프로 팀으로는 후벤투드 주니어(1929년 1부 리그 승격, 1936년 아틀레티코 주니어로 개명), 데포르티보 바랑키야(1949년 창단), 스포르팅(1950년 창단), 리베르타드(1956년 창단), 그리고 우니코스타(1995년 창단)가 있다.[191][192][193] 야구의 경우 카이마네스 데 바랑키야가 콜롬비아 프로 야구 리그의 바랑키야 연고팀이다. 바랑키야에는 1995년, 1997년, 1998년 콜롬비아 프로 토너먼트에서 세 번 우승한 카이마네스라는 농구팀도 있었다.[194]
팀 | 리그 | 종목 | 경기장 | 창단 | 우승 횟수 |
---|---|---|---|---|---|
주니어 FC | 프리메라 A | 축구 | 로베르토 멜렌데스 메트로폴리타노 경기장 | 1924 | 13 |
카이마네스 BBC | LCBP | 야구 | 토마스 아리에타 경기장 | 1984 | 10 |
바랑키야 FC | 프리메라 B | 축구 | 로멜리오 마르티네스 경기장 | 2005 | 0 |
티타네스 데 바랑키야 | 콜롬비아 프로 농구 리그, 아메리카 농구 챔피언스 리그 | 농구 | 엘리아스 체그윈 아레나 데포르티바 | 2018 | 4 |
2022년 10월 31일, 바랑키야 시장 하이메 푸마헤호(Jaime Pumarejo)는 포뮬러 원 CEO 스테파노 도메니칼리(Stefano Domenicali),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매니저, 페르난도 알론소(Fernando Alonso)의 매니저 루이스 가르시아 아바드(Luis García Abad)를 비롯한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관계자들을 바랑키야에 초청하여 카리브 그랑프리(Caribbean Grand Prix)라는 이름으로 바랑키야에서 포뮬러 원 경주를 개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푸마헤호 시장에 따르면, 바랑키야 대도시권 내에 두 가지의 반(半)도로 서킷 계획이 지역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으며, 그 중 하나는 마그달레나 강(Magdalena River)을 따라 부분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2024년 또는 2025년에 첫 그랑프리가 개최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희망적으로" 10년 계약을 체결할 것이다.[195][196] 당시 콜롬비아 대통령 이반 두케(Iván Duque)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발표하며, 푸마헤호 시장과 마찬가지로 이 프로젝트가 도시, 지역, 국가에 가져올 재정적 및 관광적 이점을 강조했다.[197][198]
12. 자매 도시
툴라, 러시아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가오슝, 타이완
난징, 중화인민공화국
브라운스빌, 미국[207]
탬파, 미국
마이애미, 미국
애버딘, 스코틀랜드
참조
[1]
웹사이트
DANE – Proyecciones de población
https://www.dane.gov[...]
2015-09-28
[2]
웹사이트
informacion-capital-DANE-2019
https://www.dane.gov[...]
2019-12-29
[3]
웹사이트
TelluBase—Colombia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4]
웹사이트
DANE – Proyecciones de población
https://www.dane.gov[...]
[5]
웹사이트
BOLETÍN ESTADÍSTICO TRÁFICO PORTUARIO EN COLOMBIA Año 2019
https://www.supertra[...]
2021-03-04
[6]
웹사이트
Barranquilla · Population
http://population.ci[...]
2017-11-21
[7]
웹사이트
¡Gran noticia! Barranquilla será sede de los Juegos Panamericanos del 2027
https://www.elpais.c[...]
2021-08-27
[8]
웹사이트
SKNVibes {{!}} Barranquilla will be the host city of the 2027 Pan American Games
https://www.sknvibes[...]
[9]
웹사이트
Proclamation 2003: "The Carnival of Barranquilla"
http://www.unesco.or[...]
UNESCO
[10]
웹사이트
Heritage of the Nation
https://web.archive.[...]
Carnaval de Barranquilla Foundation
[11]
웹사이트
UNESCO - Carnival of Barranquilla
https://ich.unesco.o[...]
[12]
서적
Barranquilla, incógnita de un nombre. En: Revista Olas
[13]
서적
El Norte de Tierradentro y los orígenes de Barranquilla
https://books.google[...]
Banco de la República
[14]
웹사이트
Puerta de Oro
https://web.archive.[...]
Campo Elías Romero Fuenmayor, Museo de Estética Virtual. Universidad del Norte
[15]
서적
Tras las huellas de nuestros inmigrantes
https://web.archive.[...]
El Heraldo. Revista Dominical
[16]
서적
Mitos en la historia de Barranquilla: Análisis crítico de los problemas historiográficos de una ciudad del Caribe colombiano
http://dialnet.uniri[...]
Universidad del Atlántico
[17]
웹사이트
La columna de Chelo de Castro
http://www.elheraldo[...]
Chelo De Castro
[18]
서적
Lecturas locales
Imprenta Departamental
[19]
웹사이트
Conoce a Barranquilla. Símbolos
https://web.archive.[...]
Alcaldía Distrital de Barranquilla
[20]
웹사이트
Símbolos patrios
http://www.concejoba[...]
Concejo Distrital de Barranquilla
[21]
서적
Renovación de centros históricos en grandes ciudades latinoamericanas: repercusiones socioeconómicas, urbanístico-estructurales y medioambientales-urbanas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el Norte
[22]
서적
Los orígenes de Barranquilla
Ediciones Uninorte
[23]
서적
Colombia and the United States, 1765–1934
https://books.google[...]
Ayer Publishing
1970-06
[24]
서적
VIVA Travel Guides Colombia
https://books.google[...]
Viva Publishing Network
2009-02
[25]
서적
Geografía del departamento del Atlántico en 1909
Gobernación del Atlántico
[26]
웹사이트
Construyendo el Caribe colombian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7]
서적
Lecturas locales
Imprenta Departamental
[28]
웹사이트
Decreto Que Concede a Juan Bernardo Elbers Privilegio Exclusivo para Establecer Buques de Vapor en el Río de Magdalena.
https://web.archive.[...]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29]
웹사이트
Departamento del Atlántico. Historia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Sobre las olas un barco va
http://www.lablaa.or[...]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31]
웹사이트
Sabanilla, Salgar Puerto Colombia y Santa Marta
https://web.archive.[...]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32]
서적
Barranquilla en los tiempos del cólera. Historia de una epidemia
Barranquilla
1991-03-17
[33]
웹사이트
Historia de Barranquilla.
https://web.archive.[...]
Universidad Autónoma del Caribe
[34]
웹사이트
Construcción
https://web.archive.[...]
Corporación Luis Eduardo Nieto Arteta
[35]
간행물
El Promotor
Barranquilla
1872-07-06
[36]
서적
Barranquilla en los inicios del modelo liberal decimonónico 1849–1870. En: Historia general de Barranquilla. Sucesos
Mejoras. Publicaciones de la Academia de la Historia de Barranquilla
[37]
웹사이트
41. TELÉFONO
http://www.lablaa.or[...]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2008-09-13
[38]
웹사이트
Comercio, transporte y sociedad en Barranquilla, en la primera mitad del siglo XIX
http://www.lablaa.or[...]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2008-07-09
[39]
웹사이트
Puerto Colombia. Barranquilla. Atlántico
http://www.lablaa.or[...]
2008-07-09
[40]
웹사이트
EL CANAPÉ REPUBLICANO Y LA GENERACIÓN DEL CENTENARIO
http://www.lablaa.or[...]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2008-10-07
[41]
웹사이트
Colombia al vuelo
http://lablaa.org/bl[...]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2008-10-26
[42]
웹사이트
Nace Scadta
http://www.colombial[...]
2008-10-26
[43]
웹사이트
Cronología histórica del correo en Colombia
http://www.adpostale[...]
Adpostal
2008-10-27
[44]
서적
Colombia 1893: by Clímaco Calderón and Edward E. Britton
https://books.google[...]
s.n.
2011-04-19
[45]
서적
Arab and Jewish immigrants in Latin America: image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F. Cass
1998-03-01
[46]
서적
CTA journal
https://books.google[...]
California Teachers Association
2011-04-19
[47]
웹사이트
La Liga Costeña de 1919, una expresión de poder regional
http://www.lablaa.or[...]
2008-10-07
[48]
웹사이트
COLOMBIA Y EL MUNDO 1920
http://www.lablaa.or[...]
Revista Credencial Historia. Edición 191
2008-10-27
[49]
웹사이트
Scadta
http://www.palacio.o[...]
2009-04-17
[50]
서적
La Modernización de Barranquilla, 1905–1930. En: Historia general de Barranquilla. Sucesos.
Mejoras. Publicaciones de la Academia de la Historia de Barranquilla
[51]
서적
Primer censo nacional de edificios. En: La Modernización de Barranquilla, 1905–1930. Historia general de Barranquilla. Sucesos.
Mejoras. Publicaciones de la Academia de la Historia de Barranquilla
[52]
서적
El siglo XX colombiano
Credencial Historia
[53]
웹사이트
La música cubana en Barranquilla
http://ciruelo.unino[...]
2008-10-26
[54]
웹사이트
Colombia y el mundo 1930
http://www.lablaa.or[...]
Revista Credencial Historia. Edición 202
2008-10-27
[55]
웹사이트
Quiénes somos – Antecedentes
http://www.zonafranc[...]
Zona Franca de Barranquilla
2010-01-26
[56]
서적
Derecho Constitucional Colombiano de la carta de 1991 y sus Reformas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el Rosario
2011-04-19
[57]
서적
Colombia: inside the labyrinth
https://archive.org/[...]
Latin America Bureau (Research and Action)
1990-05-01
[58]
웹사이트
Barranquilla
http://www.colombiai[...]
Colombia Info
2011-04-19
[59]
서적
International military digest
https://books.google[...]
The Cumulative Digest Corporation
2011-04-19
[60]
웹사이트
Hidrología
http://www.arroyosde[...]
Arroyos de Barranquilla
2011-04-19
[61]
서적
Resumen de la Hidrogeología de los departamentos del Atlántico y Bolívar al norte del Canal del Dique
[62]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Coastal Landfor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10-01
[63]
서적
Regional archaeology in the Valle de la Plata, Colombia: a preliminary report on the 1984 season of the Proyecto Arqueólogico Valle de la Plat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011-04-19
[64]
서적
Jose Agustín Blanco Barros – Obras completas Tomo I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el Norte
2011-04-19
[65]
서적
Publications in climatology
https://books.google[...]
Laboratory of Climatology (C.W. Thornthwaite Associates)
2011-04-19
[66]
서적
Colombia: physical features, natural resources, means of communication, manufactures and industrial development
https://archive.org/[...]
D. Appleton & company
2011-04-19
[67]
서적
International environment reporter: current report
https://books.google[...]
Bureau of National Affairs (Arlington
2011-04-19
[68]
웹사이트
Promedios Climatológicos 1981–2010
http://www.ideam.gov[...]
Instituto de Hidrologia Meteorologia y Estudios Ambientales
2024-06-03
[69]
웹사이트
Promedios Climatológicos 1971-2000
http://www.ideam.gov[...]
Instituto de Hidrologia, Meteorologia y Estudios Ambientales
2015-12-01
[70]
웹사이트
Promedios Climatológicos 1981–2010
http://www.ideam.gov[...]
Instituto de Hidrologia Meteorologia y Estudios Ambientales
2024-06-03
[71]
웹사이트
DECRETO No. 0270 DE 2004. POR MEDIO DEL CUAL SE CREA EL FONDO MIXTO DE PROTECCION, PROMOCION Y APOYO AL JARDIN BOTANICO
https://www.alcaldia[...]
Alcaldía Distrital de Barranquilla
2011-04-20
[72]
서적
LINEAMIENTOS PARA LA FORMULACIÓN DE LA POLITICA DE PREVENCIÓN Y CONTROL DE LA CONTAMINACIÓN DEL AIRE
http://www.dnp.gov.c[...]
dnp.gov.co
2011-04-19
[73]
웹사이트
Distrito, sin equipos para control ambiental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19
[74]
웹사이트
Estación Depuradora de Aguas Residuales
http://perico.aaa.co[...]
Triple A
2011-04-19
[75]
웹사이트
ACUERDO No. 0002 DE 2005. POR MEDIO DEL CUAL SE DICTAN NORMAS SOBRE LA CONTAMINACIÓN POR RUIDOS EN EL DISTRITO DE BARRANQUILLA
http://www.alcaldiab[...]
Concejo de Barranquilla
2011-04-19
[76]
웹사이트
Alcaldía de Barranquilla
https://www.barranqu[...]
2021-08-12
[77]
웹사이트
La Gobernadora
https://www.atlantic[...]
2023-02-26
[78]
웹사이트
Directorio de Entidades
http://www.barranqui[...]
Alcaldía de Barranquilla
2011-04-20
[79]
웹사이트
ACUERDO No. 128. "Por medio del cual se redistribuyen los Despachos Judiciales del Distrito Judicial de Barranquilla."
http://www.ramajudic[...]
CONSEJO SUPERIOR DE LA JUDICATURA. SALA ADMINISTRATIVA
2011-04-20
[80]
웹사이트
ACUERDO No. PSAA07-4244 DE 2007. (Noviembre 26). Por el cual se determina el número de despachos judiciales que ejercerán funciones de control de garantías y de conocimiento del Sistema Penal Acusatorio y de conocimiento de causas de la ley 600 de 2000 en el Distrito Judicial de Barranquilla
http://www.ramajudic[...]
CONSEJO SUPERIOR DE LA JUDICATURA. SALA ADMINISTRATIVA
2011-04-20
[81]
서적
Acuerdo No. 006 del 10 de agosto de 2006
Concejo Distrital de Barranquilla
[82]
웹사이트
Plan de Salud Territorial del distrito de Barranquilla 2008–2011
http://www.asivamose[...]
Alcaldía de Barranquilla. Secretaría de Salud Pública Distrital
2011-04-20
[83]
웹사이트
Algunos Datos de Interés
http://www.carnavald[...]
2011-04-20
[84]
웹사이트
AMB – Qué es
http://www.ambq.gov.[...]
Área Metropolitana de Barranquilla
2008-04-20
[85]
웹사이트
Conflictos urbanísticos de Barranquilla
http://ciruelo.unino[...]
Aleksey Herrera
2011-04-20
[86]
웹사이트
Ley 128 de 1994
http://www.secretari[...]
Congreso de Colombia
2011-04-20
[87]
웹사이트
Preguntas frecuentes
http://www.ambq.gov.[...]
Área Metropolitana de Barranquilla
2011-04-20
[88]
웹사이트
Información general
http://www.galapa-at[...]
Alcaldía de Galapa
2011-04-20
[89]
웹사이트
Información general
http://www.malambo-a[...]
Alcaldía de Malambo
2011-04-20
[90]
웹사이트
Información general
http://www.puertocol[...]
Alcaldía de Puerto Colombia
2011-04-20
[91]
웹사이트
Información general
http://www.soledad-a[...]
Alcaldía de Soledad
2011-04-20
[92]
웹사이트
Segunda Brigada – Primera División.
http://www.primeradi[...]
Ejército Nacional de Colombia
2011-04-20
[93]
웹사이트
CACOM 3: Misión
http://www.fac.mil.c[...]
Fuerza Aérea Colombiana
2011-04-20
[94]
웹사이트
CACOM 3: Reseña histórica
http://www.fac.mil.c[...]
Fuerza Aérea Colombiana
2011-04-20
[95]
웹사이트
Boletín económico 2010.
http://www.elheraldo[...]
Fundesarrollo-Cámara de Comercio de Barranquilla
2011-02-14
[96]
웹사이트
ÍNDICE DE PRECIOS AL CONSUMIDOR DICIEMBRE DE 2010.
http://www.dane.gov.[...]
DANE
2011-02-08
[97]
웹사이트
Datos para IRPA 2009 por país y por variable.
http://www.economias[...]
Observatorio del Desarrollo
2011-02-08
[98]
웹사이트
Semáforo Económico Regional y Boletín de Coyuntura Económica Barranquilla Diciembre de 2010
http://www.camarabaq[...]
Cámara de Comercio de Barranquilla
2011-01-07
[99]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World Bank: the early year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04-21
[100]
웹사이트
Barranquilla {bah-rahn-kee'-ah}
http://home1.gte.net[...]
home1.gate.net
2011-04-21
[101]
웹사이트
Barranquilla Profile
https://www.trade.go[...]
[102]
서적
Arab and Jewish immigrants in Latin America: image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F. Cass
2011-04-21
[103]
웹사이트
Home page site Gran Central de Abastos del Caribe
http://www.granabast[...]
Gran Central de Abastos del Caribe
2011-04-19
[104]
웹사이트
Colombia. Índice de Densidad Industrial por departamentos según cuatro principales municipios (IDI)(1)
http://www.dane.gov.[...]
DANE
2011-04-19
[105]
웹사이트
Zona Franca de Barranquilla
http://www.zonafranc[...]
Zona Franca de Barranquilla
2011-04-19
[106]
웹사이트
Aprobadas otras dos zonas francas para la Costa Caribe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19
[107]
웹사이트
Home page Zona Franca La Cayena
http://www.zofracar.[...]
Zona Franca La Cayena
2011-04-19
[108]
웹사이트
Informacion General
http://www.barranqui[...]
Government of Barranquilla
2011-04-19
[109]
웹사이트
DANE:Censo General 2005. Perfil Barranquilla-Atlántico
http://www.dane.gov.[...]
2011-04-19
[110]
웹사이트
Municipal Populations in 2005
http://190.25.231.24[...]
Departamento Administrativo Nacional de Estadística
2011-04-27
[111]
웹사이트
Ley 142 de 1994 (julio 11), artículo 102
http://www.secretari[...]
Congreso de Colombia
2011-04-19
[112]
웹사이트
Ley 689 de 2001, artículo 16
http://www.secretari[...]
Congreso de Colombia
2011-04-19
[113]
웹사이트
Resultados nacimientos y defunciones
http://www.dane.gov.[...]
DANE
2011-04-19
[114]
웹사이트
Estado actual de salud – Barranquilla – Atlántico
http://www.asivamose[...]
Centro de Estudios e Investigación en Salud. Fundación Santa Fe de Bogotá
2011-04-19
[115]
웹사이트
Tasa de mortalidad infantil
http://www.alcaldiab[...]
Alcaldía Distrital de Barranquilla
2011-04-19
[116]
웹사이트
Observatorio de seguridad. Informe cifras enero-diciembre 2007
http://www.camarabaq[...]
Cámara de Comercio de Barranquilla
2011-04-19
[117]
웹사이트
Estadísticas. Comparativo delitos de mayor impacto
http://oasportal.pol[...]
Policía Nacional de Colombia
2011-04-19
[118]
웹사이트
Seguridad Ciudadana
http://oasportal.pol[...]
Policía Nacional de Colombia
2011-04-19
[119]
웹사이트
Gestión Comunitaria. Policía de Manzana en Bicicleta
http://oasportal.pol[...]
Policía Nacional de Colombia
2011-04-19
[120]
웹사이트
Video registró el atroz asesinato de un joven ingeniero por robarle su carro
https://www.vanguard[...]
El Universal
2023-11-17
[121]
웹사이트
Violent mugging of young man sparks outrage and demand for justice in Barranquilla
https://lacartita.co[...]
2023-11-18
[122]
웹사이트
Pánico en Barranquilla por balacera en medio del intento de robo a una joyería
https://noticias.car[...]
2023-11-17
[123]
웹사이트
El centro histórico de Barranquilla: problemáticas ambientales y sociales
http://www.uninorte.[...]
Memorias. Revista Digital de Historia y Arqueología desde el Caribe. Universidad del Norte
2011-04-20
[124]
웹사이트
LISTA DE BIENES DECLARADOS BIEN DE INTERES CULTURAL DE CARÁCTER NACIONAL – MONUMENTO NACIONAL
http://www.mincultur[...]
Ministerio de Cultura
2011-04-20
[125]
웹사이트
Así será el Centro históric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0
[126]
웹사이트
Concurso Público de Anteproyecto Arquitectónico para el Diseño de Diferentes Sectores Urbanos para la Recuperación del Espacio Público del Centro Histórico de Barranquilla
http://www.mincultur[...]
Ministerio de Cultura
2011-04-20
[127]
웹사이트
Centro histórico cambiará de cara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0
[128]
웹사이트
El nuevo Centr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0
[129]
서적
Paseo de Bolívar. Espacio vital de Barranquilla
Ediciones Corporación Mayor del Desarrollo Simón Bolívar
[130]
웹사이트
Traslado de Caja Agraria obligaría a su remodelación
http://www.elheraldo[...]
El Heraldo. Germán Corcho
2011-04-20
[131]
웹사이트
2 mil ventas callejeras de comidas siguen en el limb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0
[132]
서적
Barranquilla: Umbral de la arquitectura en Colombia
Grijalbo
[133]
서적
Hotel El Prado: Símbolo arquitectónico de nuestra identidad. En: Revista Guía Cultural de Barranquilla. V.3, NO.16
[134]
서적
Barranquilla art déco
Observatorio del Caribe Colombiano
[135]
웹사이트
BARRANQUILLA, CIUDAD ART DÉCO
http://www.proec.ufg[...]
2011-04-21
[136]
웹사이트
Bienes de Interés Cultural de Carácter Nacional
http://www.mincultur[...]
Ministerio de Cultura de Colombia
2011-04-21
[137]
서적
Architecture: Modern Movement in Barranquilla, 1946–1964
Cementos del Caribe – Universidad del Atlantico
[138]
웹사이트
Lo que la desidia y las olas destruyeron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1
[139]
웹사이트
Zoológico de Barranquilla
http://www.zoobaq.or[...]
Zoológico de Barranquilla
2011-04-21
[140]
웹사이트
La Sinfonia Latina que desperto al Amira
https://www.elherald[...]
2020-11-06
[141]
웹사이트
Web oficial Museo de Arte Moderno de Barranquilla
http://www.mambq.org[...]
Museo de Arte Moderno de Barranquilla
2011-04-21
[142]
웹사이트
Quiénes somos
https://archive.toda[...]
Museo de Arte Moderno de Barranquilla
2011-04-21
[143]
뉴스
El Museo Atlántico está listo en un 70%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1-12
[144]
웹사이트
Sala de l Carnaval 'Elsa Caridi', para aprender y gozar
https://web.archive.[...]
Fundación Carnaval de Barranquilla
2011-04-21
[145]
웹사이트
ELESPECTADOR.COM
https://www.elespect[...]
2020-04-13
[146]
웹사이트
Opiniones divididas sobre crisis de escenarios culturales en Barranquilla
https://www.publimet[...]
2019-03-28
[147]
웹사이트
Presentación
http://www.culturaca[...]
Parque Cultural del Caribe
[148]
웹사이트
La Cueva
https://web.archive.[...]
Fundación La Cueva
[149]
웹사이트
Fundación Cinemateca del Caribe
http://cinematecadel[...]
Cinemateca del Caribe
[150]
웹사이트
Planetario de Barranquilla
https://web.archive.[...]
Combarranquilla
[151]
웹사이트
Instituto Distrital de Cultura y Turismo de Barranquilla
https://web.archive.[...]
Instituto Distrital de Cultura y Turismo de Barranquilla
[152]
웹사이트
Manifestaciones culturales
https://web.archive.[...]
Fundación Carnaval de Barranquilla
[153]
웹사이트
El evento
https://web.archive.[...]
Miche.com
[154]
서적
La cocina criolla. Recetas de Córdoba y regiones de la costa Caribe
Domus Libri
[155]
서적
Cartagena de Indias en la Olla
Ediciones Gamma
[156]
웹사이트
Cazuela de mariscos
https://elcampesino.[...]
2017-07-27
[157]
웹사이트
Chuzo desgranado: una sabrosura del ingenio costeño
https://www.elherald[...]
2019-10-07
[158]
웹사이트
Organigrama Distrital
http://www.barranqui[...]
Alcaldía de Barranquilla
[159]
웹사이트
Acreditación institucional de la Universidad del Norte
http://www.uninorte.[...]
Universidad del Norte
[160]
웹사이트
Home page Universidad Autónoma del Caribe
http://www.uac.edu.c[...]
Universidad Autónoma del Caribe
[161]
웹사이트
Home page Universidad Libre Seccional Barranquilla
http://www.unilibreb[...]
Universidad Libre Seccional Barranquilla
[162]
웹사이트
Home page Universidad Simón Bolívar
http://www.unisimonb[...]
Universidad Simón Bolívar
[163]
웹사이트
Home page Universidad Metropolitana
https://web.archive.[...]
Universidad Metropolitana
[164]
웹사이트
Home page Corporación Universitaria de la Costa
http://www.cuc.edu.c[...]
Corporación Universitaria de la Costa
[165]
웹사이트
Home page Universidad Antonio Nariño
http://www.uan.edu.c[...]
Universidad Antonio Nariño
[166]
웹사이트
Home page Fundación Universitaria San Martín Barranquilla
https://web.archive.[...]
Fundación Universitaria San Martín Barranquilla
[167]
웹사이트
Programas de pregrado y de postgrado en Barranquilla
https://web.archive.[...]
Universidad del Norte
[168]
웹사이트
Departamento de Postgrados
https://web.archive.[...]
Universidad del Atlántico
[169]
웹사이트
Búsqueda por municipios
http://w3.icfes.gov.[...]
ICFES
[170]
웹사이트
Regionales – Atlántico
http://www.sena.edu.[...]
Servicio Nacional de Aprendizaje
[171]
뉴스
Barranquilla ya tiene su instituto tecnológic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172]
웹사이트
Plan de Valorización por Beneficio General
https://web.archive.[...]
Alcaldía de Barranquilla
[173]
뉴스
Comenzó megacolegio para 1.440 estudiantes
http://www.barranqui[...]
Alcaldía de Barranquilla
[174]
웹사이트
Listo el Parque Educativo 7 de Abril
https://web.archive.[...]
Ministerio de Educación Nacional de Colombia
[175]
뉴스
Con obras como ésta, Shakira nos reta: Uribe
http://www.elheraldo[...]
El Heraldo
[176]
웹사이트
ScienTI Colombia
https://web.archive.[...]
Colciencias
2011-04-21
[177]
웹사이트
Grupos de Investigación
https://web.archive.[...]
Universidad del Norte
2011-04-21
[178]
웹사이트
Investigaciones
http://www.uniatlant[...]
Universidad del Atlántico. Vicerrectoría de Investigación
2008-08-03
[179]
서적
Colombia
https://archive.org/[...]
Bradt Travel Guides
2008-07-17
[180]
뉴스
Llueven quejas por el cierre de las oficinas de Metrotránsit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2
[181]
웹사이트
TransMetro – Página oficial
http://www.transmetr[...]
Sistema de Transporte Masivo de Barranquilla y su Área Metropolitana
2011-04-22
[182]
뉴스
En Barranquilla, Transmetro arregló 81 buses que tenía dañados
http://www.eltiempo.[...]
El Tiempo
2015-04-29
[183]
웹사이트
Barranquilla light rail project moves forward
https://www.railjour[...]
2018-11-16
[184]
웹사이트
Página oficial
http://www.ttbaq.com[...]
Terminal Metropolitana de Transportes de Barranquilla
2011-04-22
[185]
웹사이트
Home page Dirección General Marítima
http://www.dimar.mil[...]
Dirección General Marítima – Dimar
2011-04-22
[186]
웹사이트
Barranquilla Public Transportation Statistics
https://moovitapp.co[...]
Global Public Transit Index by Moovit
[187]
뉴스
Barranquilla será la sede del partido inaugural del Mundial Sub-20 de Fútbol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1
[188]
웹사이트
Schedule revealed for WBSC U-15 Baseball World Cup 2024; Hosts Colombia take on Italy on opening day
https://www.wbsc.org[...]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WBSC)
[189]
뉴스
La Uniautónoma FC tendrá sabor costeñ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4-22
[190]
뉴스
Sabanalarga pasa prueba de la Dimayor y será sede de la Uniautónoma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1-23
[191]
뉴스
Junior cierra puertas a la Uniautónoma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1-21
[192]
뉴스
Junior tal vez nos tiene miedo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11-01-22
[193]
웹사이트
Colombia – Foundation Dates of Clubs
https://www.rsssf.or[...]
The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1-04-22
[194]
웹사이트
Baloncesto Profesional Colombiano
https://web.archive.[...]
Latinbasket
2011-04-22
[195]
웹사이트
Stefano Domenicali, presidente de la F1, recorrió Barranquilla con Pumarejo
https://www.elherald[...]
2022-10-31
[196]
웹사이트
Colombia eyeing long-term contract to join F1 calendar
https://www.motorspo[...]
2022-11-02
[197]
웹사이트
Stefano Domenicali, presidente de la F1, recorrió Barranquilla con Pumarejo
https://www.elherald[...]
2022-10-31
[198]
웹사이트
Colombia at work to bring Formula 1 to Barranquilla
https://scuderiafans[...]
2022-01-23
[199]
웹사이트
Home page Ministerio de la Protección Social
https://web.archive.[...]
Ministerio de la Protección Social
2011-04-20
[200]
웹사이트
Página oficial de Caprecom
http://www.caprecom.[...]
Caprecom
2011-04-20
[201]
웹사이트
Home page Cruz Roja Colombiana
http://www.cruzrojac[...]
Cruz Roja Colombiana
2011-04-20
[202]
웹사이트
Home page Instituto Colombiano de Bienestar Familiar (ICBF)
http://www.icbf.gov.[...]
Instituto Colombiano de Bienestar Familiar (ICBF)
2011-04-20
[203]
서적
Music, race, & nation: música tropical in Colomb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4]
서적
International commerce
https://books.google[...]
Bureau of International Commerce
[205]
서적
The West Indies & Caribbean year book: Anuario comercial de las Antillas y países del Caribe
https://books.google[...]
Caribook Ltd.
[206]
뉴스
Llega ADN, primer diario gratuito de circulación masiva en Colombia
https://archive.toda[...]
El Tiempo
2011-04-01
[207]
뉴스
Barranquilla signs sister city agreement with Brownsville, Texas
http://www.elheraldo[...]
El Heraldo
[208]
뉴스
コカイン6.1トン押収、過去3番目の規模 コロンビア
https://www.afpbb.co[...]
AFP
2017-04-03
[209]
웹사이트
UNESCO - Carnival of Barranquilla
https://ich.unesco.o[...]
[210]
웹인용
Promedios Climatológicos 1971–2000
https://web.archive.[...]
Instituto de Hidrologia Meteorologia y Estudios Ambientales
2015-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