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트주의는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철학 사상을 따르는 일련의 윤리적, 정치적, 인식론적, 미학적 관점을 포괄하는 철학적 흐름이다. 칸트주의 윤리학은 의무론적 윤리학으로, 행위의 동기나 결과보다는 행위의 보편적 격률에 따른 의무를 강조한다. 칸트는 자연의 합목적성을 주장하며, 인간을 자연의 최종 목적으로 보았다. 정치 철학에서 칸트는 개인의 자율성과 보편적 인권을 옹호하며 공화제를 지지했다. 칸트의 사상은 20세기 후반 정치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존 롤스와 같은 철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칸트주의는 칸트의 직계 제자부터 현대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자들을 포함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학적 방법론 - 합리성
합리성은 이유에 따라 행동하거나 합리적인 품질을 의미하며 능력, 과정, 정신 상태 등으로 나눌 수 있고, 학문적 담론에서 다양한 이론과 논쟁점을 가지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된다. - 철학적 방법론 - 해석학 (철학)
텍스트, 인간 경험, 문화 현상 등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이론 및 방법론인 해석학은 '해석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헤르메스의 역할에서 기원을 찾으며, 여러 철학자들에 의해 심화되어 현대 철학의 중요한 흐름이 되었다. - 철학적 전통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는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제시한 사회, 경제, 정치 이론을 포괄하는 세계관으로, 계급 투쟁을 강조하며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생산 수단의 공유 소유를 통해 자본주의의 착취적 노동 조건을 없애려 한다. - 철학적 전통 -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은 이슬람 세계에서 그리스 철학, 이슬람 신학, 인도 및 페르시아 철학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칼람과 팔사파의 두 흐름 속에서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같은 철학자들을 배출하며 종교, 신비주의, 유럽 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동서로 나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칸트주의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평생 그곳에서 연구하며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등을 통해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칸트주의 -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은 융이 정립한 심리학 이론으로 개인 및 집단 무의식, 원형을 중심으로 심리를 탐구하며, 콤플렉스, 심리 유형론, 공시성 등의 핵심 개념을 포함하고, 꿈, 신화, 종교 등을 활용해 자기실현을 목표로 하지만 과학적 검증 어려움과 비판도 존재한다.
칸트주의 | |
---|---|
철학 사상 | |
학파 | 근대 철학, 계몽주의 |
주요 인물 | 임마누엘 칸트 |
영향 받은 사상 | 합리주의, 경험주의, 아이작 뉴턴의 과학 |
영향을 준 사상 | 독일 관념주의, 실존주의, 현상학, 윤리학, 비판 이론 |
주요 저서 | 《순수 이성 비판》 《실천 이성 비판》 《판단력 비판》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영구 평화를 위하여》 |
핵심 개념 | |
선험적 종합 판단 | 선험적 종합 판단 |
정언 명령 | 정언 명령 |
선의지 | 선의지 |
물자체 | 물자체 |
칸트의 도덕 철학 | 칸트의 도덕 철학 |
숭고미 | 숭고미 |
준칙 | 준칙 |
목적 왕국 | 목적 왕국 |
실천 이성 | 실천 이성 |
선험 철학 | 선험 철학 |
비판 철학 | 비판 철학 |
영구 평화 | 영구 평화 |
의무론 | 의무론 |
이성 | 이성 |
자유 | 자유 |
도덕 | 도덕 |
윤리 | 윤리 |
인간 존엄성 | 인간 존엄성 |
인식론 | 인식론 |
2. 윤리학
칸트주의 윤리학은 의무론적 윤리학으로, 행위의 결과보다는 동기와 의무를 강조한다. 칸트에 따르면, 모든 행위는 서로 다른 기본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행위의 도덕성이 판별된다.[7]
칸트 윤리학은 감정이나 최종 목표보다는 전적으로 의무에 중점을 둔다. 칸트는 이성에 대한 견해와 모든 사람이 근본적으로 이성적인 존재라는 믿음에 기초하여 윤리학을 정립했으며, 정언 명법을 통해 격률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했다.
칸트는 이성적인 행위만이 도덕적으로 선하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단지 동정심 때문에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좋은 행위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한, 행위의 결과는 우리의 통제 밖에 있으므로, 결과가 행위의 도덕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없다고 보았다.
2. 1. 정언 명법
칸트 윤리학의 핵심 개념인 정언 명법은 보편화 가능한 도덕 법칙으로, 이성적 존재인 인간이 따라야 할 도덕적 의무를 제시한다. 칸트는 행위의 기저에 있는 격률(개인적 행동 원칙)이 이성에 부합하는지에 따라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한다.정언 명법은 다음과 같은 사고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먼저, 특정 격률을 보편화하여 모든 사람이 동일한 상황에서 그 격률에 따라 행동하는 세상을 상상한다. 그리고 그 격률과 관련된 행위가 그러한 세상에서도 여전히 가능한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짜증 나게 하는 사람은 누구든 죽여라"라는 격률은 보편화될 경우 자기 파멸을 초래하므로 비이성적이다.
격률을 보편화하면 다음 두 가지 모순 중 하나가 발생할 수 있다.
- 구상의 모순: 격률이 보편화되면 더 이상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 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는 "완전 의무"로 이어진다.
- 의지의 모순: 격률의 보편화가 개인의 의지와 모순되는 경우이다. 이는 "불완전 의무"로 이어진다.
칸트는 정언 명법의 여러 공식들을 제시했다.
# 당신의 격률이 보편적인 법칙이 되기를 바랄 수 있는 격률에 따라서만 행동하라.[1]
# 당신 자신과 다른 사람의 인격을 결코 수단으로만 대하지 말고, 항상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도록 행동하라.[2]
# 모든 이성적인 존재는 자신의 격률을 통해 마치 목적의 보편적인 왕국에서 입법하는 구성원인 것처럼 행동해야 한다.[3]
3. 목적론
칸트는 자연이 합목적성을 가지고 존재하며 인간은 자연의 최종 목적이라고 보았다.[8] 즉, 인간을 포함한 유기체[9]의 존재에는 의도가 있으며, 반대로 인간의 행동은 자연의 합목적성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당위가 있다는 것이다.
4. 정치 철학
칸트는 별도의 정치 철학 저서를 쓰지 않았지만, 그의 사상은 20세기 후반 현대 정치 철학, 특히 자유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10] 그는 존 롤스와 같은 주요 정치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개인의 자율성과 보편적 인권을 강조하고 공화제를 지지하는 그의 철학은 현대 인권 개념의 기초가 되었다.[11][12][13]
4. 1. 존 롤스와의 관계
정치 철학에서 칸트는 20세기 후반 주요 정치 철학자들에게 광범위하고 증대되는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존 롤스[4][5]는 정치 제도에 대한 자유주의적 관점의 기초를 설정하는 데 있어 칸트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롤스의 칸트 해석은 심각한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한때 당연하게 여겨졌던 것보다 더 광범위한 질문에 걸쳐 칸트적 고려 사항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4. 2. 보편적 인권과 공화주의
칸트는 개인의 자율성과 자연의 합목적성에 입각하여 보편적 인권을 주장하였고, 이를 위해 공화제를 지지하였다.[11] 칸트가 말하는 합목적적 자율성을 지닌 개인은 후일 "인격"이라는 개념으로 발전하여, 인권을 주장하는 주요 근거가 되었다.[12] 또한 칸트는 국가보다 개개인의 인권이 우선한다고 보아, 보편적 인권을 갖는 개개인은 국가적 경계와 상관없이 어디든 머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13]5. 칸트주의자
칸트주의에는 칸트의 철학을 따르는 다양한 집단이 포함된다. 칸트를 거의 그대로 따른 철학자로는 카를 레온하르트 라인홀트, 야코프 프리드리히 프리스, 잘로몬 마이몬, 프리드리히 에두아르트 베네케 등이 있다.[1] 신칸트주의로부터 독립한 칸트 철학자를 포괄하는 비판주의가 있다.[1]
5. 1. 칸트의 직계 제자 및 추종자
- 마르쿠스 헤르츠
- 고틀로프 벤야민 예셰
- 카를 크리스티안 에르하르트 슈미트
- 요한 고트프리트 키제베터
- 빌헬름 트라우고트 크루크
- 프리드리히 고틀로프 보른
5. 2. 19세기 신칸트주의
19세기 후반에는 마르부르크 학파, 남서 독일 학파 등 신칸트주의 학파들이 등장했다.[1]5. 3. 현대 칸트 연구자
다음은 현대 칸트 연구자들이다.- 헨리 E. 앨리슨[1]
- 라이너 브란트[1]
- 폴 가이어[1]
- 디터 하인리히[1]
- 오트프리트 횔페[1]
- 헬무트 홀츠하이[1]
- 게롤트 프라우스[1]
- 디터 셰네커[1]
- 디트마어 하이데만[1]
- 프리드리히 카를 포르베르크[1]
- 에릭 바일[1]
- 장 페라리[1]
- 클로드 피셰[1]
- 모니크 카스티요[1]
- 로베르 테이스[1]
6. 관련 저서
- 임마누엘 칸트, 백종현 역,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년
- 헨리 앨리슨(Henry Allison) (2004)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
- 토마스 옥스터 (1982) ''칸트의 도덕적 목적론''
- 루이스 화이트 벡(Lewis White Beck) (1960) ''칸트의 실천 이성 비판에 대한 해설''
- R. 베이너와 W.J. 부스 (편) (1993) ''칸트와 정치 철학''
- 게리 밴햄 (2000) ''칸트와 미학의 목적''
- 게리 밴햄 (2000) "목적론, 초월적 반성 그리고 인공 생명" ''테크네마: 철학과 기술 저널'' 6호.
- 게리 밴햄 (2003) ''칸트의 실천 철학: 비판에서 교의로''
- 게리 밴햄 (2006) ''칸트의 초월적 상상력''
- 하워드 케이길(Howard Caygill) (1989) ''판단의 예술''
- 하워드 케이길 (1995) ''칸트 사전''
- 메리 J. 그레고어(Mary Gregor) (1963) ''자유의 법칙: 형이상학적 덕론에서 정언 명령의 적용에 대한 칸트의 방법 연구''
- 스티븐 팜퀴스트 (1993) ''칸트의 관점 체계: 비판 철학의 건축적 해석''
- 스티븐 팜퀴스트 (2000) ''칸트의 비판적 종교''
- 존 롤스(John Rawls) (2000) ''도덕 철학사 강의''
참조
[1]
서적
Grounding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https://archive.org/[...]
Hackett
[2]
서적
Grounding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https://archive.org/[...]
Hackett
[3]
서적
Grounding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https://archive.org/[...]
Hackett
[4]
서적
John Rawls and Immanuel Kant - A Comparison (seminar paper, 2006)
https://www.grin.com[...]
2007-05-04
[5]
학술지
An Interpretation of Rawls' "Kantian Interpretation"
https://www.con-text[...]
2015-06-00
[6]
서적
이즘, 인간이 남긴 모든 생각 - 철학 정치편
청년사
[7]
서적
다문화 시대 도덕교육의 프리즘과 스펙트럼
아담북스
[8]
서적
칸트, 판단력 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9]
문서
근대 서양 철학에서 "유기체"는 생물을 가리키는 말로 흔히 쓰였다.
[10]
서적
칸트 정치절학 강의
푸른숲
[11]
서적
이상국가론
연세대학교출판부
[12]
서적
인격
서울대학교출판부
[13]
서적
해체론
살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