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빈 맥도널드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빈 맥도널드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화 감독으로, 다큐멘터리와 극영화 분야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작품을 연출했다. 그는 에머릭 프레스버거의 전기 영화인 《영국인의 탄생》으로 데뷔하여, 1972년 뮌헨 올림픽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9월의 어느 날》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이후 《터칭 더 보이드》, 《라스트 킹》,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에이미》, 《휘트니》와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도 제작했다. 2021년에는 관타나모 만 수용소의 실화를 다룬 《모리타니안》을 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계 스코틀랜드인 - 마크 노플러
마크 노플러는 1949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겸 기타리스트이며,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리더로서 세계적인 히트곡들을 통해 명성을 얻고 솔로 활동과 영화 음악 작업으로도 인정받았으며, 독특한 기타 연주로 많은 영향을 주어 공룡 종과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기도 했다. - 스코틀랜드의 영화 프로듀서 - 지아니 카팔디
지아니 카팔디는 스코틀랜드 출신 배우이자 연예인으로, 여러 영화와 TV 시리즈에 출연했으며, 지미 로건, 루이스 카팔디, 피터 카팔디와 친척 관계이고, 2022년 논란으로 공공 이미지에 영향을 받았으며, 조르지오 세라피니 감독과 협업했다. - 스코틀랜드의 영화 프로듀서 - 프랭크 로이드
스코틀랜드 태생의 미국 영화 감독 프랭크 로이드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하며 《디바인 레이디》, 《캐벌케이드》, 《바운티 호의 반란》 등으로 아카데미 감독상과 작품상을 수상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고,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창립자 중 한 명이자 대표를 역임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앤스 칼리지 동문 - 캐런 암스트롱
캐런 암스트롱은 아일랜드계 영국인 종교학 작가로, 수녀 생활과 영문학 공부 후 종교 관련 저서를 집필하며 종교 간 이해를 강조하고 종교적 근본주의를 비판하며 TED 상을 수상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앤스 칼리지 동문 - 헬렌 필딩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헬렌 필딩은 신문 칼럼을 바탕으로 한 소설 《[[브리짓 존스의 일기]]》 시리즈로 유명하며, BBC에서 텔레비전 업계 경력을 시작했고 저널리스트와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며 여러 자선 단체의 홍보대사로도 활동한다.
케빈 맥도널드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케빈 글린 뷰캐넌 맥도날드 |
출생일 | 1967년 10월 28일 |
출생지 |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
배우자 | 타티아나 룬드(1999년 결혼) |
자녀 | 3명 |
가족 | 앤드루 맥도날드(형) 에메릭 프레스버거(외조부) |
직업 | 영화 감독, 프로듀서, 각본가 |
활동 기간 | 1994년–현재 |
수상 | |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1999년 '[블랙・셉템버]뮌헨 테러사건의 진실'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 영국 작품상 2003년 '운명을 가른 암벽' 2006년 '라스트 킹'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
맥도널드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태어났다. 그의 외조부모는 헝가리 출신의 영국 유대인 영화 제작자 에메릭 프레스버거와 잉글랜드의 각본가이자 배우인 웬디 오름이었다. 그는 던바턴셔 가토찬에서 자랐고, 교육의 처음 5년 동안 지역 초등학교에 다녔다.[2] 그는 글렌알몬드 칼리지와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앤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의 형제 앤드루 맥도널드는 영화 프로듀서이다.1999년, 그는 타티아나 룬드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그는 노스 런던에 거주하고 있다.
2. 2. 결혼
1999년 타티아나 룬드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그는 노스 런던에 거주하고 있다.3. 경력
케빈 맥도널드는 영화 작가인 할아버지 에머릭 프레스버거의 전기 ''시나리오 작가의 삶과 죽음''(1994)을 바탕으로 다큐멘터리 ''영국인의 탄생''(1995)을 제작하며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하워드 혹스, 도널드 캐머런 등 인물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주로 제작했다.
1999년, 뮌헨 올림픽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9월의 어느 날''로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은 사건 관련 생존 테러리스트와의 인터뷰를 담아 주목받았다. 2003년에는 안데스 조난 실화를 다룬 다큐드라마 ''터칭 더 보이드''로 BAFTA 최우수 영국 영화상을 수상했다.
이후 극영화로 영역을 넓혀, 우간다의 독재자 이디 아민을 그린 ''라스트 킹 오브 스코틀랜드''(2006)를 연출했다. 이 영화는 주연 배우 포레스트 휘태커에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안겨주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어 BBC 드라마를 원작으로 한 스릴러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2009), 로마 시대를 배경으로 한 ''디 이글''(2011) 등을 연출했다.
맥도널드는 다큐멘터리 작업도 꾸준히 이어갔다. 리들리 스콧과 협력하여 전 세계 사람들의 일상을 담은 ''어느 날''(2011)을 제작했으며,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삶을 그린 ''에이미''(2015), 휘트니 휴스턴의 공식 다큐멘터리 ''휘트니''(2018) 등을 통해 음악 다큐멘터리 분야에서도 역량을 보여주었다.[5]
2021년에는 관타나모 만 수용소 장기 수감자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법정 드라마 ''모리타니안''을 개봉하여 골든 글로브상 및 BAFTA 후보에 오르는 등 주목받았다. 최근에는 2023년 프로젝트 ''조지 블레이크''를 진행하여 2024년 시리즈 마니아에서 개발상을 수상했다.[6][7] 그는 또한 RSA Films 소속으로 다수의 TV 광고를 연출하기도 했다.
3. 1. 초기 경력
맥도널드는 할아버지의 전기인 ''시나리오 작가의 삶과 죽음(The Life and Death of a Screenwriter)''(1994)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큐멘터리 ''영국인의 탄생(The Making of an Englishman)''(1995)을 제작했다.이후 여러 편의 전기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맥도널드는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발생한 이스라엘 선수 살해 사건을 다룬 ''9월의 어느 날(One Day in September)''(1999)을 연출했다. 이 영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뮌헨 테러의 마지막 생존자로 알려진 자말 알-가셰이와의 긴 인터뷰였다. (최근 애런 클라인의 저서 ''Striking Back''에서는 또 다른 관련자인 모하메드 사파디 역시 생존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맥도널드는 중개인을 통해 알-가셰이를 찾아냈고, 그의 증언이 있어야만 영화가 진정성을 가질 수 있다고 설득했다. 알-가셰이는 이스라엘 당국의 추적을 우려하여 (뮌헨 학살 이후 비행기 납치 사건의 몸값으로 풀려난 뒤 숨어 지내왔다) 변장하고 얼굴을 그림자나 흐릿하게 처리하며, 인터뷰 장소(요르단 암만)와 진행 방식을 자신이 정하는 조건으로 인터뷰에 동의했다. 다만 맥도널드의 인터뷰 참여는 허용되었다. 인터뷰는 전적으로 아랍어로 진행되었으며 (알-가셰이는 1972년 당시 영어 인터뷰가 가능할 정도로 영어를 구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알-가셰이가 불안감으로 인해 자주 자리를 떠나는 등 어려움이 있어 맥도널드는 런던으로 돌아와 번역 작업을 하기 전까지는 쓸만한 장면을 확보했는지 알 수 없었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장편 영화상을 수상했다.

그의 다음 작품은 다큐드라마인 ''터칭 더 보이드(Touching the Void)''였다. 이 영화는 1985년 페루 안데스 산맥의 시울라 그란데 서벽을 최초로 등반한 두 산악인의 실화를 다루며, 특히 등반 중 한 명이 다리가 부러진 상태에서 하산하는 극적인 과정을 그렸다. 이 영화는 2003–04년 BAFTA에서 최우수 영국 영화 알렉산더 코르다상을 수상했는데, 공교롭게도 알렉산더 코르다는 1935년 맥도널드의 할아버지가 영국에 도착했을 때 처음으로 일자리를 준 인물이었다.
다음 작품은 ''라스트 킹 오브 스코틀랜드(The Last King of Scotland)''로, 주연을 맡은 포레스트 휘태커는 이 영화에서의 연기로 큰 호평을 받으며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비롯한 다수의 연기상을 수상했다.
맥도널드는 또한 RSA Films 소속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다수의 TV 광고를 연출하기도 했다.
3. 2. 다큐멘터리 제작
맥도널드는 할아버지 에머릭 프레스버거의 전기인 ''시나리오 작가의 삶과 죽음''(1994)을 바탕으로 다큐멘터리 ''영국인의 탄생''(1995)을 만들며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하워드 혹스나 도널드 캐머런 등 인물에 대한 전기 다큐멘터리를 연이어 제작했다.1999년에는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발생한 뮌헨 학살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9월의 어느 날''을 연출했다. 이 영화의 핵심은 테러리스트 생존자 중 마지막으로 알려졌던 자말 알-가셰이와의 긴 인터뷰였다. 맥도널드는 중개인을 통해 알-가셰이를 찾아냈고, 그의 증언이 영화의 진실성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설득했다. 뮌헨 학살 이후 숨어 지내던 알-가셰이는 이스라엘 당국의 추적을 우려하여 변장, 얼굴 비공개, 요르단 암만에서의 인터뷰 등 여러 조건을 내걸고 인터뷰에 응했다. 인터뷰는 전적으로 아랍어로 진행되었으며, 알-가셰이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인터뷰 도중 자주 자리를 떠났다. 맥도널드는 런던으로 돌아와 번역 작업을 거친 후에야 인터뷰 내용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장편 영화상을 수상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03년에는 다큐드라마 형식의 ''터칭 더 보이드''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1985년 페루 안데스 산맥의 시울라 그란데 서벽을 최초로 등반한 두 산악인의 실화를 다루며, 하산 중 발생한 극적인 사건들을 재현과 증언을 통해 보여준다. 이 작품은 BAFTA에서 최우수 영국 영화 알렉산더 코르다상을 수상했는데, 알렉산더 코르다는 맥도널드의 할아버지가 1935년 영국에 도착했을 때 처음 일자리를 제공한 인연이 있다.
맥도널드는 프로듀서 리들리 스콧과 협력하여 ''어느 날''(2011)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전 세계 사람들이 특정 하루 동안의 삶을 촬영하여 유튜브에 올린 영상들을 편집하여 만든 독특한 형식의 다큐멘터리로, 2011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공개되었다.
또한, 밥 말리의 삶을 다룬 ''밥 말리/루츠 오브 레전드''(2012), 중국 현대미술가 차이궈창을 조명한 ''하늘의 사다리: 차이궈창의 예술''(2016) 등 다양한 인물과 소재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꾸준히 제작했다.
2018년에는 ''에이미'' 제작팀인 알티튜드 필름과 다시 협력하여 휘트니 휴스턴의 삶과 죽음을 다룬 다큐멘터리 ''휘트니''를 연출했다. 이 영화는 휘트니 휴스턴 재단의 공식 승인을 받은 최초의 다큐멘터리로, 미공개 영상, 데모 녹음, 희귀 공연 영상 및 클라이브 데이비스 등 주변 인물들의 인터뷰를 담았다. 맥도널드는 휘트니 휴스턴에 대해 "지난 50년간 최고의 목소리 중 하나였으며, 팝 음악의 창법을 바꾸고 블루스와 가스펠의 뿌리로 되돌려 놓았다"고 평가하며 그녀의 예술성을 강조했다.[5]
=== 주요 다큐멘터리 작품 ===
- ''영국인의 탄생'' (The Making of an Englishman, 1995)
- ''9월의 어느 날'' (One Day in September, 1999)
- ''터칭 더 보이드'' (Touching the Void, 2003)
- ''어느 날'' (Life in a Day, 2011)
- ''밥 말리/루츠 오브 레전드'' (Marley, 2012)
- ''하늘의 사다리: 차이궈창의 예술'' (Sky Ladder: The Art of Cai Guo-Qiang, 2016)
- ''휘트니'' (Whitney, 2018)
3. 3. 극영화 연출
다큐멘터리 영화 ''9월의 어느 날''(1999)과 다큐드라마 ''터칭 더 보이드''(2003)의 성공 이후, 맥도널드는 극영화 연출로 영역을 넓혔다. ''터칭 더 보이드''는 1985년 페루 안데스 산맥의 시울라 그란데 서벽 등반 실화를 다룬 작품으로, BAFTA에서 최우수 영국 영화상을 수상했다. 공교롭게도 이 상의 이름인 알렉산더 코르다는 맥도널드의 할아버지에게 영국에서 첫 일자리를 준 인물이다.그의 첫 장편 극영화는 우간다의 독재자 이디 아민 시대를 배경으로 한 ''라스트 킹 오브 스코틀랜드''(2006)이다. 이 영화에서 이디 아민을 연기한 포레스트 휘태커는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비롯한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이후 맥도널드는 영국의 인기 BBC 드라마 ''상태의 변화''를 러셀 크로우 주연의 영화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2009)로 만들었다.[3] 다음 작품으로는 로즈메리 서트클리프의 소설 ''아홉 번째 군단의 독수리''를 각색하여 서기 2세기 스코틀랜드의 로마 군단 이야기를 다룬 ''디 이글''(2011)을 연출했다. 또한 보비 피셔와 소련 체스계의 대결을 그린 ''바비 피셔 대 전쟁''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4]
2021년에는 미국 관타나모 만 수용소에 장기간 수감되었던 모하메두 울드 슬라히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법정 드라마 ''모리타니안''(The Mauritanian)을 개봉했다.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나, 맥도널드의 연출과 배우들의 연기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제78회 골든 글로브상과 제7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등 여러 시상식 후보에 올랐다.
그의 2023년 프로젝트인 ''조지 블레이크''는 펨케 볼팅이 제작했으며, 2024년 시리즈 마니아 SERIESMAKERS 부문에서 개발상을 수상했다.[6][7]
맥도널드는 또한 RSA Films 소속으로 여러 편의 TV 광고를 연출하기도 했다.
=== 주요 연출 작품 (극영화) ===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2006 | 라스트 킹 오브 스코틀랜드 | The Last King of Scotland | 포레스트 휘태커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 |
2009 |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 State of Play | BBC 드라마 원작 |
2011 | 디 이글 | The Eagle | 소설 아홉 번째 군단의 독수리 원작 |
2013 | 하우 아이 리브 나우 | How I Live Now | |
2014 | 블랙 씨 | Black Sea | |
2021 | 모리타니안 | The Mauritanian | 실화 바탕 |
4. 작품 목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서술 생략)
4. 1. 다큐멘터리
wikitext연도 | 제목 | 비고 |
---|---|---|
1995 | 《영국인의 탄생》 | 영화 제작자 에머릭 프레스버거에 관한 작품 |
1996 | 《채플린의 골리앗》 | 배우 에릭 캠벨에 관한 작품 |
1997 | 《조지 리키의 움직이는 세계》 | |
1997 | 《하워드 혹스: 아메리카 아티스트》 | 하워드 혹스에 관한 작품 |
1998 | 《도널드 캐멀: 궁극의 연기》 | 영화 감독 도널드 캐멀에 관한 작품 (크리스 로들리와 공동 연출) |
1998 | 《킨더트랜스포트》 | |
1999 | 《9월의 어느 날》 |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 수상 (원제: One Day in September) |
2000 | 《험프리 제닝스》 | |
2000 | 《에롤 모리스의 짧은 역사》 | 에롤 모리스 인터뷰 |
2000 | 《험프리 제닝스: 영국에 귀 기울인 남자》 | |
2001 | 《미크 되기》 | 믹 재거 다큐멘터리 |
2003 | 《터칭 더 보이드》 | (원제: Touching the Void) |
2004 | 《터칭 더 보이드: 시울라 그란데로의 귀환》 | |
2007 | 《나의 적의 적》 | |
2009 | 《얕은 무덤: 당신의 무덤을 파다》 | |
2011 | 《어느 날》 | (원제: Life in a Day) |
2012 | 《말리》 | 밥 말리 다큐멘터리 (원제: Marley) |
2013 | 《크리스마스 인 어 데이》 | |
2016 | 《스카이 래더: 차이궈창의 예술》 | 차이궈창 다큐멘터리 (원제: Sky Ladder: The Art of Cai Guo-Qiang) |
2018 | 《휘트니》 | 휘트니 휴스턴 다큐멘터리 (원제: Whitney) |
2018 | 《포도르로의 귀환》 | |
2021 | 《어느 날 2020》 | (원제: Life in a Day 2020) |
2021 | 《홍수가 필요하다...》 | |
2023 | 《하이 & 로 - 존 갈리아노》 | 존 갈리아노 다큐멘터리 (원제: High & Low – John Galliano) |
2023 | 《카불의 마지막 노래》 | |
2023 | 《조지 블레이크》 | TV 시리즈 |
2024 | 《클리치코: 파이트 그 이상》 | 클리치코 형제 다큐멘터리 |
2024 | 《일 대 일: 존 & 요코》 | 존 레논과 오노 요코 다큐멘터리 |
4. 2. 영화
- 《영국인의 탄생》(The Making of an Englishman) (1995), 영화 제작자 에머릭 프레스버거에 관한 작품
- 《채플린의 골리앗》(Chaplin's Goliath) (1996), 배우 에릭 캠벨에 관한 작품
- 《조지 리키의 움직이는 세계》(The Moving World of George Rickey) (1997)
- 《하워드 혹스: 아메리카 아티스트》(Howard Hawks: American Artist) (1997)
- 《도널드 캐멀: 궁극의 연기》(Donald Cammell: The Ultimate Performance) (1998, 프로듀서 겸임), 영화 감독 도널드 캐멀에 관한 작품 (크리스 로들리와 공동 연출)
- 《킨더트랜스포트》(Kindertransport) (1998)
- 《9월의 어느 날》(One Day in September) (1999) (아카데미상 수상)
- 《험프리 제닝스》(Humphrey Jennings) (2000)
- 《에롤 모리스의 짧은 역사》(A Brief History of Errol Morris) (2000), 에롤 모리스 인터뷰
- 《험프리 제닝스: 영국에 귀 기울인 남자》(Humphrey Jennings: The Man Who Listened to Britain) (2000)
- 《미크 되기》(Being Mick) (2001), 믹 재거를 따라가는 다큐멘터리
- 《터칭 더 보이드》(Touching the Void) (2003)
- 《터칭 더 보이드: 시울라 그란데로의 귀환》(Return to Siula Grande) (2004)
- 《라스트 킹》(The Last King of Scotland) (2006)
- 《나의 적의 적》(My Enemy's Enemy) (2007)
-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State of Play) (2009)
- 《얕은 무덤: 당신의 무덤을 파다》(Digging Your Own Grave) (2009)
- 《더 이글》(The Eagle) (2011)
- 《어느 날》(Life in a Day) (2011)
- 《말리》(Marley) (2012)
- 《하우 아이 리브 나우》(How I Live Now) (2013)
- 《크리스마스 인 어 데이》(Christmas in a Day) (2013)
- 《블랙 씨》(Black Sea) (2014)
- 《11.22.63》(2016) (에피소드 1, "토끼 구멍")
- 《스카이 래더: 차이궈창의 예술》(Sky Ladder: The Art of Cai Guo-Qiang) (2016)
- 《오아시스》(Oasis) (2017) (원래 TV 시리즈 파일럿으로 기획)
- 《휘트니》(Whitney) (2018)
- 《포도르로의 귀환》(Return to Podor) (2018)
- 《어느 날 2020》(Life in a Day 2020) (2021)
- 《모리타니안》(The Mauritanian) (2021)
- 《홍수가 필요하다...》(It Takes a Flood...) (2021)
- 《하이 & 로 - 존 갈리아노》(High & Low – John Galliano) (2023)
- 《카불의 마지막 노래》(The Last Song from Kabul) (2023)
- 《조지 블레이크》 TV 시리즈 (George Blake) (2023)
- 《클리치코: 파이트 그 이상》(Klitschko: More Than a Fight) (2024)
- 《일 대 일: 존 & 요코》(One to One: John & Yoko) (2024)
5. 저서
- 케빈 맥도널드 저, ''에메릭 프레스버거: 각본가의 삶과 죽음'' 런던: 파버 앤 파버, 1994. ISBN 0-571-17829-4.
- 케빈 맥도널드 & 마크 사촌 공저, ''상상을 현실로: 파버 다큐멘터리 책'' 런던: 파버 앤 파버, 1996. ISBN 0-571-17723-9.
- 케빈 맥도널드 & 마크 사촌 공저, ''상상을 현실로: 파버 다큐멘터리 책: 제2판'' 런던: 파버 앤 파버, 1996. ISBN 0-571-22514-4.
참조
[1]
웹사이트
Kevin Glyn Buchanan Macdonald personal appointments - Find and update company information - GOV.UK
https://find-and-upd[...]
2024-04-05
[2]
웹사이트
Remembering 'One day in September'
http://www.jewishjou[...]
2012-09-11
[3]
웹사이트
Norton exits 'State of Play'
https://www.variety.[...]
2007-12-18
[4]
웹사이트
Kevin Macdonald directs Bobby Fischer
http://www.filmstalk[...]
Filmstalker
2008-01-31
[5]
뉴스
Whitney Houston's life to be documented on film
https://www.bbc.co.u[...]
2016-04-28
[6]
웹사이트
SERIESMAKERS awards Kevin Macdonald, Erik Matti and Barbara Albert
https://cineuropa.or[...]
Cineuropa
2024-03-28
[7]
웹사이트
Scotland's Kevin Macdonald, The Philippines' Erik Matti and Austria's Barbara Albert Take Top Seriesmakers Honors
https://variety.com/[...]
Variety
2024-03-28
[8]
웹사이트
It Takes A Flood…
https://www.itv.com/[...]
2021-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