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궈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이궈창은 1957년 중국 푸젠성 취안저우시에서 태어난 중국 출신의 예술가이다. 그는 화약과 불꽃놀이를 활용한 독창적인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드로잉, 퍼포먼스, 어스 워크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베네치아 비엔날레 금사자상, 구겐하임 미술관 휴고 보스 상 등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풍수, 중의학, 마오주의 등 다양한 문화적, 정치적 요소를 담고 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폐막식의 시각 특수 효과 감독을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미술가 - 아이웨이웨이
아이웨이웨이는 중국의 예술가이자 건축가이며 사회 운동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다가 탈세 혐의로 체포되어 해외로 출국했다. - 중국의 미술가 - 장샤오강
장샤오강은 중국 현대 미술의 대표 화가 중 한 명으로, 문화 대혁명 시기 개인의 기억과 역사를 담아낸 '혈연: 대가족' 시리즈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중국 사회의 변화와 개인의 정체성, 역사적 트라우마를 탐구하는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취안저우시 출신 - 리파빈
리파빈은 61kg급 역도 선수로서 세계 선수권, 아시아 선수권,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고 올림픽 기록을 경신한 바 있다. - 취안저우시 출신 - 홍승주 (청나라)
홍승주는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군인이자 관료로, 명나라에서는 농민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청나라에 항복하여 청나라의 관료로 활동하며 강남 평정 등에 기여했고 사후 시호를 받았다. - 상하이 희극학원 동문 - 쉬카이청
쉬카이청은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출신의 배우로, 2012년 데뷔하여 드라마와 웹 드라마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쌓았고, 《결애: 천사의 사랑》에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상하이 희극학원 동문 - 샤오쥔 (가수)
샤오쥔은 중국 출신 가수로, SM 루키즈를 통해 공개되어 NCT와 WayV 멤버로 활동하며, WayV 데뷔 후 음악 활동, NCT U 및 유닛 활동, 드라마 출연, 피처링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더 쇼 MC와 웨이보 뮤직 어워드 수상으로 중화권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차이궈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7년 12월 8일 (세) |
출생지 | 푸젠성 취안저우시 |
국적 | 중국 |
직업 | 설치 미술가 |
훈련 | 상하이 연극대학교 |
사조 | 현대 미술 |
웹사이트 | www.caiguoqiang.com |
수상 | |
주요 수상 | 황금사자상, 제48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1999년) 알퍼트 예술상 (2001년)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2009년) |
2. 생애
차이궈창은 어린 시절 문화 대혁명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며 성장했다. 그는 폭발이 흔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화약이 파괴와 재건 양쪽 모두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했다. 이러한 경험은 그의 예술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풍수, 한약, 기, 용, 화약, 불꽃놀이 등 해당 지역의 전통과 문화, 다양한 상징 및 이야기를 작품에 도입한다. 또한 마오쩌둥주의 및 사회주의 슬로건을 인용하기도 한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차이궈창은 1957년 중국 푸젠성 취안저우시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차이루이친은 서점에서 일하며 서예가이자 전통 화가로 활동했다.[47] 이러한 배경 덕분에 차이궈창은 어린 시절부터 서양 문학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 예술에도 친숙했다.[2]차이궈창은 10대 시절 문화 대혁명을 직접 경험하며 시위와 행진에 참여했다. 그는 대포 소리나 축제 불꽃놀이와 같은 폭발이 일상적인 환경에서 성장했다.[2] 그는 "화약이 파괴와 재건 모두에 사용되는 것을 보았다"고 회상했다.[2]
10대 후반과 20대 초반, 차이궈창은 ''소도시의 봄과 가을''과 ''진짜 소림 쿵푸''라는 두 편의 무술 영화에 출연했다.[3] 이후 서양 미술, 특히 유화의 현대성에 관심을 갖게 된 그는 1981년부터 1985년까지 상하이 희극학원에서 무대 디자인을 전공했다.[40] 이 경험은 그에게 무대 실습, 연극, 공간 배치, 상호 작용 및 팀워크에 대한 이해를 넓혀 주었다.[3]

2. 2. 일본에서의 활동 (1986-1995)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차이궈창은 부인과 함께 일본으로 이주했다. 처음에는 일본어 학교에 다니면서 작품 발표를 거듭했고, 톈안먼 사건 이후 주변의 도움으로 쓰쿠바 대학 예술학군에 연구생으로 재적했다. 1988년부터 1995년까지 후쿠시마현 이와키시를 중심으로 (그 중 5개월은 요츠쿠라에 거주) 예술 활동을 했다.일본에 살면서 화약과 현대 미술을 연구하면서 화약만을 사용한 드로잉이나, 야외에서 화약을 폭발시키는 대규모 퍼포먼스 및 어스 워크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일본과 유럽에서 발표하기 시작했다.[48]
1990년대 중반에는 일본 각지와 서유럽의 미술관에서 현대 미술전에 초대되었으며, 중국 서부의 만리장성, 교토시의 헤이안 천도 1200년 사업, 히로시마시의 1994년 아시안 게임 등의 행사에도 기용되었다.
2. 3. 뉴욕 이주와 국제적 활동 (1995-현재)
1995년 아시안 문화 협의회 장학금으로 뉴욕으로 이주한 차이궈창은 1996년 구겐하임 미술관 휴고 보스상, 1999년 제48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금사자상 등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는 다양한 전시회 오프닝과 대규모 행사에서 화약과 불꽃놀이를 사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008년에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및 폐막식에서 비주얼 디렉터로 기용되어 불꽃놀이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같은 해 초,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린 회고전은 올림픽 개최에 맞춰 베이징의 중국 미술관을 순회했다.[47]1999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그는 '베네치아 수조원'이라는 제목으로, 신중국 건국 이후 만들어진 사회주의 리얼리즘 프로파간다 조각(지주의 집 소작료 징수소, 수조원에서 작물을 거두는 소작농 조각상)을 원작자와 중국 미술 학생들과 함께 베네치아에서 재제작하여 금사자상을 수상했다.[48] 2005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는 처음 등장한 중국관 큐레이터를 맡았다.
한편, 차이궈창의 작품은 중국 내에서 '베네치아 수조원'이 원작자 정신적 재산을 빼앗는 것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그의 작품이 정치와 사상을 참조하면서도 제작 국가에 맞춰 입장을 바꾸는 기회주의적이라는 비평도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참여했을 때, 베이징 국가체육장을 디자인한 아이 웨이웨이 등 중국 미술가들과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3. 주요 작품 및 프로젝트
차이궈창은 1990년대 중반부터 일본 각지와 서유럽의 미술관에서 현대 미술전에 초대되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만리장성, 1994년 아시안 게임 등 주요 행사에도 참여했으며, 1995년 아시안 문화 협의회의 장학금으로 뉴욕으로 이주했다. 이후 1996년 구겐하임 미술관 휴고 보스상, 1999년 제48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금사자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99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는 '베네치아 수조원'이라는 작품으로 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소작농에 대한 과거의 수탈을 재현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조각을 재제작하는 프로젝트였다. 2005년에는 베네치아 비엔날레 중국관의 큐레이터로 전시를 기획하기도 했다.
차이궈창의 작품은 정치와 사상을 참조하면서도, 제작하는 국가에 맞춰 입장을 바꾸는 기회주의적인 부분이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참여했을 때는 아이 웨이웨이 등 다른 중국 미술가들과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주요 작품 및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차이궈창 우주유 - <원초 화구>에서 시작』전 (국립 신미술관) 2023년
- 『봉래산』, 에치고츠마리 삿토야마 현대 미술관 키나레, 2015년
- Cai Guo-Qiang: Da Vincis Do Povo 2013년 2월 5일 – 3월 31일
- Faurschou Foundation(코펜하겐, 덴마크)「A Clan of Boats 」2012년
- 『차이궈창: 스카이 래더』전 (로스앤젤레스 현대 미술관) 2012년
- 『차이궈창: 봄』전 (중국 저장 미술관) 2012년
- 『차이궈창: 신기루』전 (카타르 도하 아랍 현대 미술관) 중동 최초의 개인전 2011년
- 『[http://www.caiguoqiang.tw/ 차이궈창 포 미술관] Cai Guo-Qiang: Hanging out in the Museum』 타이페이 시립 미술관, 2009년
- 『[https://www.hiroshima-moca.jp/exhibition/caiguo-qiang/ 제7회 히로시마상 수상 기념 차이궈창전]』, 히로시마 시립 현대 미술관, 2008-2009년
- 『Cai Guo-Qiang: I Want to Believe』, 회고전,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2008년 (베이징 중국 미술관과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을 순회)
- 『Inopportune: Stage One and Illusion』, 시애틀 미술관, 2007년
- 『Cai Guo-Qiang on the Roof: Transparent Monument』,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006년
- 제51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중국관 큐레이션, 2005년
- 『Tornado: Explosion Project for the Festival of China』, 워싱턴 D.C. 존 F. 케네디 센터, 2005년
- 『Cai Guo-Qiang: Inopportune』, 매사추세츠 현대 미술관, 2005년
- 『Cai Guo-Qiang: Traveler』, 워싱턴 D.C. 스미소니언 박물관 (프리 어 미술관, 아서 M. 새클러 갤러리, 허쉬혼 미술관과 조각 공원), 2004년
- 『BMoCA / 벙커 현대 미술관 "진먼 토치카 조보 예술관 - 18개의 개인전"』의 기획, 진먼 현, 타이완, 2004년
- 『하늘의 후광 - 센트럴 파크를 위한 폭발 프로젝트』, 뉴욕 센트럴 파크, 2003년
- 『DMoCA / 드래곤 현대 미술관』의 기획, 에치고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니가타현 쓰난마치, 2003년
- 『엽공호룡 - 테이트 모던을 위한 폭발 프로젝트』, 런던 테이트 모던, 2003년
- 『움직이는 무지개』(Transient Rainbow), 뉴욕 현대 미술관, 2002년
- 『차이궈창전』상하이 미술관, 2002년
- 『APEC 불꽃놀이 프로젝트』, 상하이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 2001년
- 『임의의 역사』, 리옹 현대 미술관, 2001년
- 『불파불립 - 인폭 타이완성립미술관』, 타이중 타이완성립미술관, 1998년
- 『문화 대혼욕 - Projects for the 20th Century』, 뉴욕 퀸즈 미술관, 1997년
- 『비룡재천』, 덴마크 루이지애나 현대 미술관, 1997년
- 『버섯 구름이 있는 세기 - Projects for the 20th Century』, 네바다주 핵실험장, 솔트레이크, 및 뉴욕, 1996년
- 『마르코 폴로의 잊을 것』, "트랜스컬처"전, 베네치아 비엔날레, 1995년
- 『개관 기념전 일본의 현대 미술 1985-1995』, 도쿄도 현대 미술관, 1995년
- 『Project for Extraterrestrials No.16: 지구에도 블랙홀이 있다』, 히로시마 아시아 대회를 위한 프로젝트, 히로시마 시립 현대 미술관, 히로시마시 중앙 공원, 1994년
- 『혼돈』(개인전), 세타가야 미술관, 1994년
- 『환태평양으로부터』(개인전), 이와키 시립 미술관, 1994년
- 『Project for Extraterrestrials No.10: 만리장성을 만m 연장한다』, 중국 자위관, 1993년
- 『원시 화구 - The Project for Projects』, 도쿄 P3 art and environment, 1991년
- 『작품전 1988 - 89』, 오사카부립 현대 미술 센터, 1990년
- 『Project for Extraterrestrials No.1: 인류의 집』, 후쿠시 시 89 타마가와 훗사 야외 미술전, 1989년
- 『상하이 푸젠 청년 예술가 연전』 푸젠성 푸저우 시, 1985년
3. 1. 초기 작품 (1980년대-1990년대 초)
차이궈창은 풍수, 중의학, 산수화, 과학, 동식물, 초상화, 불꽃놀이 등 다양한 상징, 이야기, 전통, 재료를 이용해 작업한다.[1][4] 그의 작업 상당수는 마오주의/사회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며, 특히 화약 드로잉은 마오쩌둥의 "파괴는 없고, 창조는 없다"는 신념을 강하게 반영한다. 차이궈창은 "어떤 의미에서 마오쩌둥은 우리 세대 모든 예술가들에게 그의 유토피아적 로맨스와 감성으로 영향을 미쳤다."라고 말했다.[5]푸젠성취안저우시에서 태어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 소년 시절을 보냈다. 1981년부터 1985년까지 상하이 연극 대학에서 무대 미술을 배웠고, 1986년부터 1995년까지는 일본에서 생활했다. 처음에는 유채를 칠한 캔버스나 벽화 탁본 표면에 화약을 폭발시켜 자신의 충동을 자극하고, 중국의 억압적이고 통제적인 미술 전통과 사회 분위기에 대항했다. 이후 일본에서 화약과 현대 미술을 연구하면서 화약만을 사용한 드로잉이나, 야외에서 화약을 폭발시키는 대규모 퍼포먼스 및 어스 워크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일본과 유럽에서 발표하기 시작했다.
차이궈창은 풍수, 한약, 기, 용, 화약, 불꽃놀이, 롤러코스터, 자동차의 엔진, 컴퓨터, 자동 판매기, 야생 생물, 초상화 및 초상 조각, 한족 이외의 중국의 소수 민족 및 그 문화 등 해당 지역의 전통과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상징, 이야기들을 작품에 도입하고 있다. 또한 과거의 마오쩌둥주의 및 사회주의 슬로건도 인용한다.
3. 2. 외계인을 위한 프로젝트 (Projects for Extraterrestrials) (1990-)
1990년, 차이궈창은 대규모 불꽃놀이와 건물 표면, 풍경을 가로지르는 방대한 화약 흔적을 사용하는 ''외계인을 위한 프로젝트(Projects for Extraterrestrials)''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장소 특정적으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실행되었다.[3][40]1993년에 진행된 ''만리장성 1만 미터 연장 프로젝트: 외계인을 위한 프로젝트 No. 10''은 약 9.6km 길이의 화약 퓨즈를 사용하여 고비 사막 가장자리에 있는 만리장성의 서쪽 끝 너머까지 연장했다. 이는 이 프로젝트의 본질을 대표하는 사례이다. 퓨즈는 불이 붙은 후 약 15분 동안 타면서 모래 언덕에 용과 같은 패턴을 만들어 중국의 제국적이고 신화적인 유산을 나타냈다.[3][40]
이 시리즈의 제목은 차이궈창이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된 영감을 보여준다. 즉, 순수한 에너지의 축제가 지구상의 갈등을 대체하고, 그러한 갈등의 "물질적 연료"인 화약이 아름다움과 기쁨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되는 새롭고 더 높은 관점에 대한 필요성을 믿는 것이다.[3][40]
3. 3. 화약 드로잉 (Gunpowder works) (1995-)
차이궈창은 1995년부터 화약의 속성을 탐구하는 그림 작업을 시작했다. 이러한 탐구는 결국 대규모 폭발물을 실험하고 그의 대표적인 "폭발 이벤트"를 개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8]그의 작업은 마오주의/사회주의 개념에 기반하며, 특히 그의 화약 드로잉은 마오쩌둥의 "파괴는 없고, 창조는 없다"는 신념을 강하게 반영한다.[5] 그는 일본에서 화약과 현대 미술을 연구하면서 화약만을 사용한 드로잉이나, 야외에서 화약을 폭발시키는 대규모 퍼포먼스 및 어스 워크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일본과 유럽에서 발표하기 시작했다.

1998년, 차이궈창은 패션 디자이너 미야케 이세이와 협력하여 미야케의 게스트 아티스트 시리즈를 위한 단독 컬렉션을 제작했다. 차이궈창은 생명을 상징하는 용의 형태로 흰색 의류에 화약을 배치하고, 그 위에 불을 질러 옷에 이미지를 새겨 넣었다. 미야케는 이후 이 이미지를 그의 플리츠 플리즈 라인에 대한 직물 프린트로 재현했다.[9]
3. 4. 부적절한 (Inopportune) (2004)
2004년, 차이궈창은 매사추세츠 현대 미술관(MASS MoCA)에 ''Inopportune: Stage One''과 ''Inopportune: Stage Two''를 설치했다. 이 작품은 2008년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도 재현되었다. MASS MoCA는 이 설치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Inopportune: Stage One''(2004)은 시애틀 미술관의 주 출입구에도 전시되어 있다.[43]
3. 5. 기타 주요 프로젝트
차이궈창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와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작품을 제작했다.[10] 그는 개막식과 폐막식의 불꽃놀이 공연을 제작했으며,[10][12] 여기에는 "역사의 발자취" 프로젝트도 포함되었다.[11][13]2018년 11월 18일, 차이궈창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중심지인 피렌체에서 불꽃놀이를 통해 꽃을 묘사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14] 미켈란젤로 광장에서 약 10분 동안 진행된 이 행사는 보티첼리의 "봄"에서 영감을 받아 5만 개의 불꽃놀이가 꽃을 닮은 연기를 뿜어냈다.[15]
2024년 9월 15일,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PST ART: Art & Science Collide 축제를 시작하기 위해 낮 시간 불꽃놀이 행사 "WE ARE: Explosion Event for PST ART"를 제작하고 연출했다.[16][17][18][19] 이 축제는 게티 재단으로부터 2000만달러 이상을 지원받아 진행되는 행사이다.[16][17][18][19] 차이궈창은 자체 AI 모델인 cAI™과 협력하여 "WE ARE"을 설계했다.[16] "WE ARE" 행사에서 불꽃놀이를 장착한 1,000대 이상의 드론을 선보였으나, 잔해와 폐기물로 인해 여러 사람이 부상을 입었다.[16][18][20][21][22] 약 4,000[19]에서 4,500[18]명의 관객이 콜리세움 경기장 안팎과 인접한 USC 캠퍼스에서 폭발을 지켜봤다.[22]
1999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베네치아의 임대료 징수 마당''을 통해 자국을 대표했다. 이 작품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선전 조각품인 ''임대료 징수 마당''을 재현한 것이다. 차이궈창은 2005년 베네치아로 돌아와 중국관을 큐레이팅했다. 그의 작품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베네치아의 임대료 징수 마당''은 원작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24] 일부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이 정치와 철학을 언급하지만, 그는 마음대로 입장을 바꾸는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했다.[25]
2010년 5월 2일부터 9월 25일까지 차이궈창은 중국 농민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개인전 ''차이궈창: 농민 다빈치''에 참여했다. 여기에는 수제 비행기, 헬리콥터, 잠수함, 로봇 등이 포함되었다. 2010년 가을, 휴스턴 미술관을 위해 영구적인 화약 드로잉 작품인 ''오디세이''를 제작했다. 42개의 패널에 걸쳐 묘사된 이 작품은 그의 가장 큰 화약 드로잉 중 하나이다. 또 다른 개인전인 '''차이궈창 – 1040M 지하'''는 2011년 가을까지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에 있는 새로운 재단 IZOLYATSIA. 문화 이니셔티브 플랫폼에서 전시되었다.
2011년 12월, ''차이궈창: 사라브''가 마타프(Mathaf): 카타르 국립 미술관(Arab Museum of Modern Art)에서 열렸다. 2008년 구겐하임 미술관에서의 회고전 이후 그의 가장 큰 전시였으며, 중동 국가에서 열린 그의 첫 번째 개인전이었다. 12월 5일에 그의 가장 큰 규모의 낮 폭발 행사였던 ''블랙 세레모니''와 함께 개막했다. 2016년에는 도하의 알 리와크에서 ''예술은 무엇인가? 중국 현대 미술''을 큐레이팅했다.[27]
2012년, 차이궈창의 "미스터리 서클: 폭발 이벤트"는 로스앤젤레스 현대 미술관(MOCA)에서 약 2분 동안 폭발하는 4만 개의 미니 로켓을 특징으로 했다.[17] 2016년, 차이궈창은 베르그루엔 철학상(Berggruen Philosophy Prize)의 트로피를 디자인하는 임무를 맡았다. 차이궈창의 작품은 2016년 넷플릭스(Netflix) 다큐멘터리 ''스카이 래더: 차이궈창의 예술''에 등장했으며, 특히 그의 1,650피트 길이의 화약 사다리를 강조했다.[28]
차이궈창은 2018년 BBC 시리즈 ''문명''의 에피소드 9, "생명의 불꽃"에 등장하여, 사이먼 샤마(Simon Schama)와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 시대에 영감을 주는 예술가로 소개되었다. 차이궈창은 2019년 5월 24일부터 2020년 1월 12일까지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린 ''예술적 허가: 구겐하임 컬렉션에 대한 여섯 가지 시각''을 위해 작품을 선정한 6명의 예술가-큐레이터 중 한 명이다.[29][40]
]

- 『차이궈창 우주유 - <원초 화구>에서 시작』전 (국립 신미술관) 2023년
- 『봉래산』, 에치고츠마리 삿토야마 현대 미술관 키나레, 2015년
- Cai Guo-Qiang: Da Vincis Do Povo February 5–March 31, 2013년
- Faurschou Foundation(코펜하겐, 덴마크)「A Clan of Boats 」2012년
- 『차이궈창: 스카이 래더』전 (로스앤젤레스 현대 미술관) 2012년
- 『차이궈창: 봄』전 (중국 저장 미술관) 2012
- 『차이궈창: 신기루』전 (카타르 도하 아랍 현대 미술관) 중동 최초의 개인전 2011년
- 『[http://www.caiguoqiang.tw/ 차이궈창 포 미술관] Cai Guo-Qiang: Hanging out in the Museum』 타이페이 시립 미술관, 2009년
- 『[https://www.hiroshima-moca.jp/exhibition/caiguo-qiang/ 제7회 히로시마상 수상 기념 차이궈창전]』, 히로시마 시립 현대 미술관, 2008-2009년
- 『Cai Guo-Qiang: I Want to Believe』, 회고전,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2008년 (베이징 중국 미술관과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을 순회)
- 『Inopportune: Stage One and Illusion』, 시애틀 미술관, 2007년
- 『Cai Guo-Qiang on the Roof: Transparent Monument』,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006년
- 제51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중국관 큐레이션, 2005년
- 『Tornado: Explosion Project for the Festival of China』, 워싱턴 D.C. 존 F. 케네디 센터, 2005년
- 『Cai Guo-Qiang: Inopportune』, 매사추세츠 현대 미술관, 2005년
- 『Cai Guo-Qiang: Traveler』, 워싱턴 D.C. 스미소니언 박물관 (프리 어 미술관, 아서 M. 새클러 갤러리, 허쉬혼 미술관과 조각 공원), 2004년
- 『BMoCA / 벙커 현대 미술관 "진먼 토치카 조보 예술관 - 18개의 개인전"』의 기획, 진먼 현, 타이완, 2004년
- 『하늘의 후광 - 센트럴 파크를 위한 폭발 프로젝트』, 뉴욕 센트럴 파크, 2003년
- 『DMoCA / 드래곤 현대 미술관』의 기획, 에치고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니가타현 쓰난마치, 2003년
- 『엽공호룡 - 테이트 모던을 위한 폭발 프로젝트』, 런던 테이트 모던, 2003년
- 『움직이는 무지개』(Transient Rainbow), 뉴욕 현대 미술관, 2002년
- 『차이궈창전』상하이 미술관, 2002년
- 『APEC 불꽃놀이 프로젝트』, 상하이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 2001년
- 『임의의 역사』, 리옹 현대 미술관, 2001년
- 『불파불립 - 인폭 타이완성립미술관』, 타이중 타이완성립미술관, 1998년
- 『문화 대혼욕 - Projects for the 20th Century』, 뉴욕 퀸즈 미술관, 1997년
- 『비룡재천』, 덴마크 루이지애나 현대 미술관, 1997년
- 『버섯 구름이 있는 세기 - Projects for the 20th Century』, 네바다주 핵실험장, 솔트레이크, 및 뉴욕, 1996년
- 『마르코 폴로의 잊을 것』, "트랜스컬처"전, 베네치아 비엔날레, 1995년
- 『개관 기념전 일본의 현대 미술 1985-1995』, 도쿄도 현대 미술관, 1995년
- 『Project for Extraterrestrials No.16: 지구에도 블랙홀이 있다』, 히로시마 아시아 대회를 위한 프로젝트, 히로시마 시립 현대 미술관, 히로시마시 중앙 공원, 1994년
- 『혼돈』(개인전), 세타가야 미술관, 1994년
- 『환태평양으로부터』(개인전), 이와키 시립 미술관, 1994년
- 『Project for Extraterrestrials No.10: 만리장성을 만m 연장한다』, 중국 자위관, 1993년
- 『원시 화구 - The Project for Projects』, 도쿄 P3 art and environment, 1991년
- 『작품전 1988 - 89』, 오사카부립 현대 미술 센터, 1990년
- 『Project for Extraterrestrials No.1: 인류의 집』, 후쿠시 시 89 타마가와 훗사 야외 미술전, 1989년
- 『상하이 푸젠 청년 예술가 연전』 푸젠성 푸저우 시, 1985년
4. 작품의 특징 및 철학
차이궈창은 문화 대혁명 시기에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폭발이 일상적인 환경에서 성장했다. 그는 파괴와 재건 모두에 사용되는 화약의 양면성을 목격했고, 이는 그의 예술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47] 10대 시절 직접 시위와 행진에 참여하며 사회적 영향을 직접 목격하기도 했다.
상하이 희극학원에서 무대 디자인을 전공한 경험은 연극, 공간 배치, 상호작용, 팀워크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었으며, 이는 그의 작품에 개념적 기반이 되었다.[48] 그의 작품은 동양 철학과 현대 사회 이슈를 바탕으로 하며, 관객과 주변 환경 간의 교류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이궈창의 작품은 풍수, 중의학, 산수화, 과학, 동식물, 초상화, 불꽃놀이 등 다양한 상징, 이야기, 전통, 재료를 활용한다.[1][4] 그의 작품 중 상당수는 마오주의/사회주의 개념에 기반하며, 특히 화약 드로잉은 마오쩌둥의 "파괴 없이는 창조도 없다"는 신념을 반영한다.[5] 차이궈창은 "어떤 의미에서 마오쩌둥은 우리 세대 모든 예술가들에게 그의 유토피아적 로맨스와 감성으로 영향을 미쳤다."라고 말했다.
그는 초기에 유채를 칠한 캔버스나 벽화의 탁본 표면에서 화약을 폭발시키는 방식으로 작업하며, 중국의 억압적인 미술 전통과 사회 분위기에 저항했다. 이후 일본에서의 활동을 통해 화약만을 사용한 드로잉이나 야외에서 화약을 폭발시키는 대규모 퍼포먼스 아트 및 어스 워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차이궈창의 작품에는 기, 용, 화약, 불꽃놀이, 롤러코스터, 자동차의 엔진, 컴퓨터, 자동 판매기, 야생 생물, 초상화 및 초상 조각, 한족 이외의 중국의 소수 민족 및 그 문화 등 해당 지역의 전통과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상징과 이야기가 도입된다. 또한 과거의 마오쩌둥주의 및 사회주의 슬로건을 인용하기도 한다.
1999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선보인 '베네치아 수조원'은 신중국 건국 이후 만들어진 사회주의 리얼리즘 프로파간다 조각을 재현한 작품으로, 금사자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원작자의 정신적 재산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그의 작품은 정치와 사상을 참조하면서도 제작 국가에 따라 입장을 바꾸는 기회주의적인 면모가 있다는 비평도 존재한다.
5. 비판과 논란
차이궈창의 작품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조각인 ''베네치아의 임대료 징수 마당''의 원작자들은 차이궈창이 그들의 "정신적 재산"을 파괴했다고 비난했다.[24] 일부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이 정치와 철학을 언급하지만, 그는 마음대로 입장을 바꾸는 것처럼 보이며, 이러한 언급은 비교적 기회주의적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25]
1999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차이궈창은 '베네치아 수조원'이라는 제목으로, 신중국 건국 이후 만들어진 사회주의 리얼리즘 프로파간다 조각 (지주의 집의 소작료 징수소, 수조원에서 작물을 거두는 소작농들의 조각상)을 원본을 만든 노작가와 중국의 미술 학생들과 함께 베네치아에서 재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금사자상을 수상했다. 2005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는 처음 등장한 중국관의 큐레이터로 전시회를 기획했다.
그러나 중국 국내에서는 '베네치아 수조원'이 원본을 만든 조각가의 정신적 재산을 빼앗는 것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또한 그의 작품이 정치와 사상을 참조하지만, 제작하는 국가에 맞춰 입장을 바꾸는 기회주의적인 부분이 있다는 비평도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차이궈창이 관여하게 되었을 때, 베이징 국가체육장·새 둥지를 디자인한 아이 웨이웨이 등 중국의 다른 미술가들과 논쟁이 벌어졌다.
6.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93년 | 파리 카티에 현대 미술 재단상 |
1995년 | 제46회 트랜스컬처와 함께한 베네치아 비엔날레 상, 일본 문화 디자인상, 베네세상 |
1996년 | 휴고 보스 상 최종 후보 |
1997년 | 오리베상 |
1999년 | 제48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황금사자상 |
2001년 | 미국 발렌시아 예술상 |
2007년 | 제7회 히로시마 아트상 |
2008년 | 히로시마상 |
2009년 | 제20회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
2012년 | 워싱턴 D.C. 예술훈장, 프레미움 임페리얼 평생공로상, 고(故) 다카마쓰노미야 전하 기념 세계 문화상 |
2015년 | Barnett and Annale Newman 재단 수상 |
2016년 | 국제교류기금상, 일본 도쿄 재단상 |
2022년 | 아시아 문화 협의회 존 D. 록펠러 3세 상 (\미도리와 공동 수상) |
2024년 | 예술선장 문부과학대신상[45] |
7. 주요 소장처
소장처 | 국가 | 도시 |
---|---|---|
아그네스 건드 컬렉션 (Agnes Gund Collection) | 미국 | 뉴욕 |
아카츠 컬렉션 (The Akatsu Collection) | 일본 | 도쿄 |
애니 웡 아트 파운데이션 (Annie Wong Art Foundation) | 캐나다 | 밴쿠버 |
애슈몰린 박물관 (Ashmolean Museum) | 영국 | 옥스퍼드 |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 미국 | 샌프란시스코 |
아스트룹 펀리 현대미술관 (Astrup Fernley Museum of Modern Art) | 노르웨이 | 오슬로 |
바오롱 미술관 (Bao Long Art Museum) | 중국 | 상하이 |
보네판텐 미술관 (Bonnefantenmuseum) | 네덜란드 | 마스트리흐트 |
조르주 퐁피두 국립 예술 문화 센터 (Centre national d’art et de culture Georges Pompidou) | 프랑스 | 파리 |
참조
[1]
웹사이트
Cai Guo-Qiang
https://art21.org/ar[...]
2024-10-10
[2]
서적
Cai Guo-Qiang
https://franklin.lib[...]
Phaidon Press
2012-02-22
[3]
논문
China Envy
2008-10
[4]
웹사이트
The artist who 'paints' with explosives
https://www.cnn.com/[...]
2018-12-17
[5]
웹사이트
Steve Dow, Journalist
http://www.stevedow.[...]
[6]
간행물
Cai Guo-Qiang: I Want to Believe, Exhibition Catalogue, pp.20-41
http://www.alexandra[...]
Guggenheim Museum Publications
2008
[7]
웹사이트
Gunpowder dress
https://risdmuseum.o[...]
RISD Museum
2022-04-15
[8]
웹사이트
Artist's work explosive
http://www.china-gal[...]
[9]
웹사이트
Dress by Issey Miyake and Cai Guo-Qiang, 1999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2-04-15
[10]
웹사이트
Beijing Olympics {{!}} Cai Guo-Qiang
https://caiguoqiang.[...]
2024-10-11
[11]
웹사이트
Replay to Olympics Controversy
http://www.artnet.co[...]
Artnet
[12]
웹사이트
Fireworks for the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of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2011
https://www.artsy.ne[...]
Artsy.net
[13]
웹사이트
Cai Guo-Qiang Responds to Olympics Fireworks “Controversy.”
https://magazine.art[...]
Art 21 Magazine
2008-08-22
[14]
웹사이트
Chinese artist creates explosive art inspired by Renaissance masters - USA - Chinadaily.com.cn
http://usa.chinadail[...]
2018-11-21
[15]
뉴스
cai guo qiang lights florence's sky with 50,000 fireworks that resemble flowers
https://www.designbo[...]
2018-11-21
[16]
웹사이트
PST ART: Art & Science Collide to Kick-Off with Fireworks by Artist Cai Guo-Qiang
https://www.getty.ed[...]
Getty Museum
[17]
뉴스
Why ‘Art & Science Collide’ is a risky theme for the Getty’s new PST festival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24-08-29
[18]
뉴스
Guests struck by debris from Cai Guo-Qiang’s fireworks at PST Art launch event. A Getty spokesperson confirms multiple people were injured
https://www.theartne[...]
The Art Newspaper
2024-09-19
[19]
뉴스
Getty Apologizes After Exhibition Kick-off Event Injures Spectators The fireworks display launching the museum’s PST Art: Art & Science Collide initiative struck guests with falling debris
https://hyperallergi[...]
Hyperallergic
2024-09-19
[20]
뉴스
Getty Museum Acknowledges Injuries at Cai Guo-Qiang’s PST ART Fireworks Display. Others who live near the site of the show were terrified and confused by the display
https://news.artnet.[...]
Artnet
2024-09-20
[21]
뉴스
Getty Apologizes for Fireworks Display Gone Awry. A planned “explosion event” in Los Angeles by the artist Cai Guo-Qiang left several injured and others shake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4-09-20
[22]
뉴스
Getty Museum apologizes after explosive kickoff to new exhibit at Coliseum frightens community
https://www.cbsnews.[...]
KCAL News
2024-09-18
[23]
논문
In Conversation: Cai Guo-Qiang with Ellen Pearlman
http://brooklynrail.[...]
2008-04
[24]
문서
Who Owns the People's Art?
http://findarticles.[...]
[25]
웹사이트
Cai Guo-Killer - artnet Magazine
http://www.artnet.co[...]
[26]
논문
In Conversation: Cai Gui-Qiang with Ellen Pearlman
http://brooklynrail.[...]
2008-04
[27]
뉴스
Chinese contemporary art: Fountainheads: Two exhibitions focus on Chinese creativity
https://www.economis[...]
2016-04-15
[28]
뉴스
Review: Fireworks in 'Sky Ladder: The Art of Cai Guo-Qiang'
https://www.nytimes.[...]
2016-10-30
[29]
웹사이트
Artistic License: Six Takes on the Guggenheim Collection
https://www.guggenhe[...]
[30]
웹사이트
Asian Cultural Council Divides the Prize for Rockefeller Awards
https://artsbeat.blo[...]
2014-04-14
[31]
웹사이트
Playing with Fireworks
http://www.tzengs.co[...]
[32]
뉴스
An Architect and an Artist Walk Into a Barn
https://www.nytimes.[...]
2017-08-18
[33]
뉴스
City of Flowers in the Sky: Cai Guo-Qiang uses Florence as his canvas
http://www.thefloren[...]
2018-11-21
[34]
서적
Cai Guo-Qiang : fallen blossoms
https://www.worldcat[...]
Fabric Workshop and Museum
2010
[35]
웹사이트
"Cai Guo-Qiang: I Want to Believe"
http://pastexhibitio[...]
Guggenheim Museum Bilbao
2009-06-29
[36]
웹사이트
Arte all'Arte 2005
http://www.arteallar[...]
[37]
웹사이트
"Tornado: Explosion: Fireworks by Grucci and Chinese Artist Cai Guo-Qiang create opening finale for the Kennedy Center of the Arts Festival of China"
http://www.grucci.co[...]
2007-04-07
[38]
웹사이트
"Lilian Tone, ''One Year in Fifteen Seconds, Case Study: Transient Rainbow'',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2002"
http://artarchives.n[...]
2007-04-07
[39]
서적
Cai Guo-Qiang
https://www.worldcat[...]
Thames & Hudson
2000
[40]
웹사이트
Cai Guo-Qiang
https://www.guggenhe[...]
2024-10-10
[41]
기타
蔡國強
http://www.praemiumi[...]
高松宮殿下記念世界文化賞
[42]
간행물
Who Owns the People's Art?
http://findarticles.[...]
Art in America
[43]
간행물
Cai Guo-Killer
http://www.artnet.co[...]
Artnet Magazine
[44]
간행물
Gunpowder Plots
http://www.newyorker[...]
The New Yorker
[45]
문서
令和5年度(第74回)芸術選奨文部科学大臣賞及び同新人賞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bunka.go[...]
[46]
기타
蔡國強 (Cai Guo-Qiang) on the Roof: transparent Monument
http://www.new-york-[...]
[47]
기타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
[48]
웹사이트
차이궈창 공식 홈페이지-아티스트 소개
https://caiguoqia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