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빈 폴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빈 폴슨은 1965년생으로, 1980년대 "다크 단테"라는 가명으로 활동한 미국의 해커이다. 그는 라디오 방송국 KIIS-FM의 전화 회선을 장악하여 포르쉐 944 S2를 상품으로 획득하는 등의 해킹 행위로 FBI의 추적을 받았고, 1991년 체포되어 1994년 유죄 판결을 받았다. 수감 생활 이후 보안 전문가와 저널리스트로 전향하여 활동했으며, SecureDrop 플랫폼 개발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마이스페이스 성범죄자 정보를 수집하여 체포에 기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패서디나 (캘리포니아주) 출신 - 재키 로빈슨
    재키 로빈슨은 1947년 브루클린 다저스에 입단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초의 흑인 선수로 데뷔, 뛰어난 야구 실력과 용기로 인종 차별의 벽을 허물었으며 은퇴 후에도 인권 운동가와 사업가로 활동하며 사회적 정의를 위해 헌신한 인물이다.
  • 패서디나 (캘리포니아주) 출신 - 빌 리처드슨
    빌 리처드슨은 1947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뉴멕시코 주지사, 주 유엔 미국 대사,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하고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힘쓰다 2023년에 사망한 미국 정치인이다.
  • 1965년 출생 - 체링 톱게
    체링 톱게는 2013년부터 2018년, 그리고 2024년부터 현재까지 부탄의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는 정치인으로, 인민민주당 창당을 주도하며 정계에 입문하여 경제 발전, 투명성 강화, 그리고 탄소 중립 유지를 위한 환경 운동에 힘쓰고 있다.
  • 1965년 출생 - 교토쿠 고지
    교토쿠 고지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2008년 부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남아시아 축구 연맹컵 준결승 진출, 2003년 시미즈 에스펄스 감독으로 J리그컵 준결승과 천황배 준결승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케빈 폴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케빈 리 폴슨
출생일1965년 11월 30일
출생지캘리포니아주패서디나
직업"The Daily Beast" 기고 편집자
별칭암흑의 단테 (Dark Dante)
배우자정보 없음
자녀2명
웹사이트케빈 폴슨 공식 웹사이트
범죄 정보
유죄 판결7건의 음모, 사기, 전신 통신 가로채기
형벌연방 교도소 51개월, 보호 관찰관 허가 없이 컴퓨터 사용 금지
현재 상태석방됨

2. 초기 생애 및 해킹 활동

케빈 폴슨은 1965년 11월 30일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서 태어났다.[1] 그는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에 대한 남다른 흥미와 기술적 소양을 보였으며, 이는 그가 해킹컴퓨터 보안 분야에 발을 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폴슨은 해킹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다른 해커들과 지식 및 기술을 공유하고 자신의 능력을 키워나갔다. 다양한 온라인 포럼, IRC 채팅방, 해킹 그룹 등에서 활동하며 해킹 기법, 시스템 보안 취약점 등을 탐구했다. 이러한 커뮤니티 활동은 그가 해킹 기술과 보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대담한 해킹 활동은 결국 FBI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추적 끝에 체포되어 법적 처벌을 받았다.[6][7][8]

2. 1. "다크 단테"로서의 활동

케빈 폴슨은 1980년대에 '''다크 단테'''(Dark Danteeng)라는 가명으로 해킹 활동을 시작했다.[1] 그는 낮에는 SRI 인터내셔널에서 근무하고 밤에는 해킹을 하는 이중생활을 했다. 이 시기 폴슨은 자신의 룩피킹 기술을 선보이며 가르치기도 했고, 점차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사이버 범죄자 중 한 명이 되었다.

폴슨은 미국의 주요 통신사인 AT&T와 퍼시픽 벨의 전화 시스템에 침입하여 수백만 건의 전화 통화 기록을 도용하거나 무료 통화 시간을 무한정으로 사용하는 등의 불법 행위를 저질렀다.[1] 특히 퍼시픽 벨 해킹은 그의 주요 범죄 중 하나로, 이로 인해 통신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그는 연방 수사국(FBI)의 수배 대상이 되었다.

1988년에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신문사 사건에 연루되었다. 그는 기사에 나온 전화번호를 이용해 신문사의 전화 시설을 마비시키고, 경쟁 신문사의 기사를 먼저 획득하여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도록 만들었다.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해킹 사건은 1990년 6월 1일에 발생했다. 폴슨은 로스앤젤레스라디오 방송국 KIIS-FM의 모든 전화선을 장악하여, 자신이 정확히 102번째 전화 연결자가 되도록 조작했다. 이를 통해 경품으로 나온 포르쉐 944 S2를 획득했다.[2][3][4][31][32]

이러한 대담한 해킹 행위로 FBI가 본격적으로 폴슨을 추적하기 시작하자, 그는 도망자 신세가 되어 숨어 지냈다. 그가 NBC의 범죄 재연 프로그램인 ''미제 사건''(Unsolved Mysterieseng)에 용의자로 다뤄졌을 때, 해당 프로그램의 1-800 제보 전화선이 알 수 없는 이유로 불통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2][5][31][33] FBI는 임대료 미납으로 정리된 폴슨 명의의 보관 창고에서 컴퓨터 장비를 발견하여 증거로 확보했으며, 존 맥클러그 등이 이끈 수사 끝에 폴슨은 1991년 4월 체포되었다.[6][7][8]

2. 2. FBI 추적 및 체포

케빈 폴슨의 해킹 활동과 불법 행위는 FBI의 수사 대상이 되었다. 특히 1990년 6월 1일, 폴슨은 로스앤젤레스라디오 방송국 KIIS-FM의 모든 전화선을 장악하여 자신이 102번째 전화 연결자가 되어 포르쉐 944 S2를 상품으로 받는 사건을 일으켰다.[2][3][4][31][32] 이 외에도 미국 최대 전화 회사인 AT&T 시스템에 침입하여 전화 통화 기록을 도용하거나[1] 퍼시픽 벨 전화 시스템을 해킹하는 등의 행위[1]로 인해 FBI가 폴슨을 추적하기 시작하자 그는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2][31]

도주 중이던 폴슨이 NB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미제 사건''(Unsolved Mysteries)에 다뤄졌을 때, 해당 프로그램의 1-800 전화선이 미스터리하게 다운되는 일이 발생했다.[2][5][33] 또한 임대료 미납으로 정리된 그의 보관 창고에서 컴퓨터 장비가 발견되어 FBI에 증거로 제출되기도 했다.[2]

결국 폴슨은 존 맥클러그(John McClurg) 등이 이끈 수사 끝에 1991년 4월 FBI에 체포되었다.[6][7][8] 1994년 6월, 그는 음모, 우편/전화/컴퓨터 사기, 도청, 자금 세탁, 사법 방해 등 7가지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6][31] 법원은 폴슨에게 51개월(약 5년)의 연방 교도소 수감과 5.6만달러의 배상금을 선고했다.[31] 이는 당시 불법 해킹으로 인한 수감 기간으로는 가장 긴 기록이었다.[31] 또한 출소 후 3년 동안 컴퓨터나 인터넷 사용을 금지하는 판결을 받았는데, 이는 형기를 마친 후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 금지 판결을 받은 최초의 미국인 사례였다. 비록 크리스 램프레히트(Chris Lamprecht)가 먼저 인터넷 사용 금지 판결을 받았지만(1995년 5월 5일), 폴슨이 먼저 출소하여 금지 기간을 시작했다.[9] 그의 가석방 담당관은 2004년에 특정 감시 조건 하에 인터넷 사용을 허용했다.[9]

3. 수감 생활 및 변화

FBI에 의해 1991년 4월 체포된[6][7][8] 폴슨은 1994년 6월, 음모, 사기, 도청 등 7가지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6] 그는 51개월의 연방 교도소 수감과 5.6만달러의 배상금 지불을 선고받았다. 이는 당시 크래킹으로 인한 수감 기간으로는 최장 기록이었다.

그는 감옥 생활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반성했으며, 사이버 범죄와 그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깨닫게 되었다. 이 경험은 그가 자신의 해킹 능력을 윤리적이고 유익한 방향으로 활용하기로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다. 감옥에서의 경험은 폴슨이 보안 전문가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출소 후에는 3년 동안 컴퓨터인터넷 사용이 금지되는 판결을 받았다. 이는 형기를 마친 후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을 금지하는 법원 판결을 받은 최초의 미국인 사례였다.[9] 비록 크리스 램프레히트가 1995년 5월 5일 인터넷 사용 금지 판결을 먼저 받았지만, 폴슨이 먼저 출소하여 금지 기간을 먼저 시작했다.[9] (폴슨의 가석방 관리관은 이후 2004년 특정 감시 조건 하에 인터넷 사용을 허용했다).[9]

그의 자서전 GHOST IN THE WIRES: My Adventures as the World's Most Wanted Hackereng (2011)에는 이러한 수감 생활 중의 반성과 개인적인 깨달음, 그리고 보안 전문가로서 새로운 길을 찾아가는 변화와 성장 과정이 담겨 있다.

4. 저널리스트 및 보안 전문가 활동

감옥에서 출소한 폴슨은 과거의 해킹 경력과 거리를 두고 저널리스트와 컴퓨터 보안 전문가로서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했다. 감옥에서의 경험은 그에게 사이버 범죄가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깨닫게 했고, 자신의 기술을 사회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사용하려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해킹 경험에서 얻은 깊은 기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기업과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보안 컨설팅을 제공하고 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는 등 보안 전문가로서 활동했다. 이와 함께 저널리스트로서 시큐리티포커스나 ''와이어드 뉴스''와 같은 매체에서 활동하며, 컴퓨터 보안, 해킹, 사이버 범죄 등과 관련된 탐사 보도와 기사 작성에 힘썼다.[10][11][34] 이러한 활동을 통해 폴슨은 보안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4. 1. 저널리스트 활동

폴슨은 감옥에서 출소한 후 저널리스트로 변신하여 자신의 범죄 과거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노력했다. 그는 2000년대 초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보안 연구 회사 시큐리티포커스(SecurityFocus)에서 보안 및 해킹 관련 뉴스를 쓰기 시작하며 저널리스트 경력을 시작했다. 폴슨이 재직하는 동안 ''시큐리티포커스 뉴스''는 기술 뉴스 업계에서 잘 알려지게 되었고, 이후 시만텍(Symantec)에 인수되었다. 그의 독창적인 탐사 보도는 주류 언론에도 자주 보도되었다.

폴슨은 2005년 시큐리티포커스를 떠나 잠시 프리랜서로 활동하다가, 같은 해 6월 ''와이어드 뉴스''(Wired News)의 수석 편집자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 '27BStroke6'[10]를 운영했으며, 이는 나중에 'Threat Level'[11]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저널리스트로서 폴슨은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보도를 했다. 2006년 10월, 그는 마이스페이스(MySpace)를 이용해 아동 성매매를 시도한 등록 성범죄자를 찾아내는 정보를 공개했다. 이 작업을 통해 마이스페이스 프로필을 가진 등록 성범죄자 744명을 식별했으며, 앤드류 루브라노라는 인물의 체포로 이어졌다.[12]

2010년 6월에는 미국 군인 첼시 매닝의 체포에 관한 첫 기사를 보도했고, 위키리크스 관련자인 애드리안 라모와 매닝 간의 채팅 로그를 공개했다.[13][14]

2019년 6월 1일자 ''The Daily Beast'' 기사에서는, 낸시 펠로시가 말을 더듬는 것처럼 조작된 가짜 비디오를 제작하고 유포한 혐의를 받는 브롱크스 거주 34세 트럼프 지지자 숀 브룩스의 신원을 밝혀 도싱 혐의를 받기도 했다.[15][16][17]

4. 2. 보안 전문가 활동

폴슨은 감옥 생활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변화를 시작했다. 이 경험은 그에게 사이버 범죄와 그 부정적 영향에 대한 깨달음을 주었고, 자신의 해킹 능력을 윤리적이고 유익한 방향으로 사용하기로 결심하는 계기가 되었다.

출소 후 폴슨은 자신의 해킹 기술과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보안 전문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는 기업과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보안 컨설팅을 제공하고 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는 일을 수행하며 사회에 기여하고자 했다. 그의 주요 활동 분야는 다음과 같다.

활동 분야주요 내용
보안 컨설팅 및 교육기업이나 기관에 보안 컨설팅과 교육을 제공했다. 시스템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제시하며, 보안 정책 및 절차 개선을 도왔다. 또한 보안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제공하여 기업 내 보안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취약점 평가 및 펜트레이션 테스팅시스템과 네트워크에 대한 취약점 평가와 펜트레이션 테스팅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악용 가능성을 시험하여 보안 강화에 기여했으며, 취약점 보고서 작성과 보안 대책 수립을 지원했다.
사이버 위협 대응 및 사고 조사사이버 공격과 사고 발생 시 대응 및 조사를 수행했다. 공격자의 행동을 추적하고 침해 사례를 분석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보안 강화에 기여했으며, 사이버 범죄 수사에도 협조했다.



폴슨은 단순히 전문성을 증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안 인식 제고와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교육 활동에도 힘썼다. 강연과 컨설팅을 통해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 변화에 기여했다.

4. 3. 마이스페이스 조사 및 사회적 기여

2006년 10월, 폴슨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마이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아동과의 성적인 만남을 시도하려던 등록된 성범죄자를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마이스페이스 프로필을 가진 등록 성범죄자 744명을 식별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공개했으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앤드류 루브라노(Andrew Lubrano)라는 성범죄자가 체포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35] 이 사건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범죄의 심각성을 알리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아동 보호 및 안전 문제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4. 4. SecureDrop 개발

케빈 폴슨은 애런 스워츠, 제임스 돌란과 함께 언론인과 취재원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SecureDrop을 설계하고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원래 ''DeadDrop''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다.[18][19] 스워츠가 사망한 후, 폴슨은 2013년 5월 15일 ''뉴요커''에 이 플랫폼의 첫 번째 인스턴스를 출시했다.[20] 이후 폴슨은 SecureDrop의 개발을 언론 자유 재단에 넘기고, 해당 재단의 기술 자문 위원회에 합류했다.[21][22]

5. 첼시 매닝 사건 연루 논란

2010년 6월, 케빈 폴슨은 미국 군인 첼시 매닝(당시 이름 브래들리 매닝)의 체포 소식을 처음 보도했다.[13][14] 그는 위키리크스와 관련된 해커 애드리안 라모로부터 입수한 매닝과 라모의 채팅 로그를 공개했는데,[13][14] 여기에는 매닝에게 불리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36] 이로 인해 폴슨은 라모와 함께 매닝의 체포와 해당 로그 공개에 관여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36] 특히 일부 진보 진영에서는 폴슨이 매닝을 의도적으로 함정에 빠뜨려 체포되도록 유도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논란이 되었다.

6. 낸시 펠로시 가짜 비디오 유포자 폭로 논란

2019년 6월, 폴슨은 낸시 펠로시 당시 하원의장의 연설 영상 일부를 조작하여 마치 그가 말을 더듬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 가짜 비디오를 제작하고 유포한 인물의 신원을 공개하여 논란의 중심에 섰다.[15][16][17] 폴슨은 2019년 6월 1일자 ''The Daily Beast'' 기사를 통해 해당 인물이 뉴욕 브롱크스에 거주하는 34세의 트럼프 지지자인 숀 브룩스(Shawn Brooks)라고 밝혔다.[15][16][17] 이 신원 공개 행위로 인해 폴슨은 개인 정보를 무단으로 공개하는 도싱을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5][16][17] 이 사건은 당시 심화되던 정치적 양극화 속에서 개인 정보 공개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7. 저서

케빈 폴슨은 2011년 자신의 경험을 담은 자서전 《킹핀: 한 해커가 어떻게 10억 달러 규모의 사이버 범죄 세계를 장악했는가》 (''Kingpin: How One Hacker Took Over a Billion-Dollar Cybercrime Underground'')를 출간했다. 이 책은 폴슨이 어린 시절부터 해킹 기술을 익혀 '다크 단테'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던 시기부터, 로스앤젤레스 라디오 방송국 KIIS-FM 전화망 해킹 사건[31][32] 등으로 FBI의 수배를 받게 된 과정, 도피 생활, 체포 후 수감 생활, 그리고 보안 전문가로 전향하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삶을 상세하게 다룬다.

책 속에서 폴슨은 자신이 사용했던 기술적인 해킹 기법, 전화망 침입 방식, 보안 취약점 공략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당시 해킹 커뮤니티의 모습과 사이버 범죄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또한, 감옥에서의 반성과 개인적인 깨달음, 그리고 자신의 과거를 딛고 새로운 삶을 개척해나가는 성장 과정을 진솔하게 이야기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이 책은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간되었으며, 주요 판본은 다음과 같다.

언어제목출판사출간 연도ISBN
한국어킹핀: 한 해커가 어떻게 10억 달러 규모의 사이버 범죄 세계를 장악했는가크라운2011978-0-307-58868-5 (원서 기준)
영어 (미국)킹핀: 한 해커가 어떻게 10억 달러 규모의 사이버 범죄 지하 세계를 장악했는가 (Kingpin: How One Hacker Took Over a Billion-Dollar Cybercrime Underground)Crown2011978-0-307-58868-5
영어 (호주)킹핀: 맥스 버틀러, 10억 달러 규모의 사이버 범죄 네트워크를 운영한 마스터 해커의 실화 (Kingpin: The True Story of Max Butler, the Master Hacker Who Ran a Billion Dollar Cyber Crime Network)Hachette Australia2011978-0-7336-2771-2
일본어아이스맨 : 사상 최대의 사이버 범죄는 어떻게 행해졌는가 (アイスマン : 史上最大のサイバー犯罪はいかに行なわれたのか)쇼덴샤2012978-43-966-5048-3
폴란드어해커: 사이버 마피아 보스의 진짜 이야기 (Haker: Prawdziwa historia szefa cybermafii)Znak2011978-83-240-1659-4


8. 수상 경력

wiki

케빈 폴슨의 주요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수여 기관부문/비고
2011웹비상국제 디지털 예술 과학 아카데미법률 부문, 위협 수준(Threat Level) 부문[24][37]
2011웹비상 (피플스 보이스 상)국제 디지털 예술 과학 아카데미법률 부문, 위협 수준(Threat Level) 부문[24][37]
2010SANS 최고의 사이버 보안 저널리스트SANS 연구소[25][38]
2010MIN 최고의 웹잡지 산업 뉴스레터최고의 블로그, 위협 수준(Threat Level) 부문[26][39][40]
2009MIN 디지털 명예의 전당 헌액잡지 산업 뉴스레터[27][39][41]
2008나이트-배튼 언론 혁신상 대상J-Lab[28][42][43]
2007나이트-배튼 언론 혁신상 대상J-Lab[29]


9. 사생활

케빈 폴슨은 아내, 두 자녀와 함께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한다.[23]

참조

[1] 서적 Digital Underworld Lulu.com
[2] 웹사이트 Kevin Poulsen http://www.livingint[...] 2008-08-23
[3] 뉴스 A Crime By Any Other Name... http://www.theta.com[...] 2008-08-24
[4] 웹사이트 The Last Hacker : He Called Himself Dark Dante. His Compulsion Led Him to Secret Files and, Eventually, the Bar of Justice https://www.latimes.[...] 1993-09-12
[5] 웹사이트 Top 10 Most Famous Hackers of All Time http://www.itsecurit[...] 2008-08-24
[6] 뉴스 Man Gets Longest Term for Hacker : Computers: Kevin Lee Poulsen, 29, of North Hollywood is ordered jailed for 51 months for rigging telephone lines during radio call-in contests. https://www.latimes.[...] 2019-06-03
[7] 웹사이트 Former FBI agent creates system to predict insider threats at Dell | IT Business https://www.itbusine[...] 2019-10-09
[8] 웹사이트 Turns out Wargames' nuclear scenario is real https://ia.acs.org.a[...] 2019-10-09
[9] 간행물 exile.com https://www.wired.co[...] 2014-02-26
[10] 간행물 Wired.com http://blog.wired.co[...] 2012-01-27
[11] 간행물 Threat Level - Privacy, Crime and Security Online https://www.wired.co[...] 2012-01-27
[12] 뉴스 MySpace Predator Caught by Code https://www.wired.co[...] 2008-08-24
[13] 간행물 U.S. Intelligence Analyst Arrested in Wikileaks Video Probe https://www.wired.co[...] 2011-06-28
[14] 간행물 Suspected Wikileaks Source Described Crisis of Conscience Leading to Leaks https://www.wired.co[...] 2011-06-28
[15] 웹사이트 Daily Beast accused of 'doxxing' alleged creator of 'Drunk Pelosi' video https://www.foxnews.[...] Fox News 2019-06-03
[16] 웹사이트 Should The Daily Beast have exposed the man behind 'drunk Pelosi' video? https://www.cjr.org/[...] 2019-06-05
[17] 웹사이트 Man accused of creating fake Pelosi video plans to sue Daily Beast https://thehill.com/[...] 2019-06-05
[18] 웹사이트 Aaron Swartz legacy lives on with New Yorker's Strongbox: How it works http://www.techrepub[...] 2013-05-20
[19] 간행물 Strongbox and Aaron Swartz http://www.newyorker[...] 2013-06-17
[20] 간행물 Introducing Strongbox http://www.newyorker[...] 2013-05-20
[21] 웹사이트 Freedom of the Press Foundation Launches SecureDrop, an Open-Source Submission Platform for Whistleblowers https://pressfreedom[...] 2014-03-22
[22] 웹사이트 Renowned Technologists, Journalists Join Freedom of the Press Foundation Technical Advisory Board https://pressfreedom[...] 2014-03-22
[23] 웹사이트 KINGPIN: How One Hacker Took Over the Billion-Dollar Cybercrime Underground https://www.kingpin.[...]
[24] 웹사이트 Webby Nominees http://www.webbyawar[...] 2012-01-27
[25] 웹사이트 2010 Top Cyber Security Journalist Award Winners http://www.sans.org/[...] SANS 2012-01-27
[26] 웹사이트 min's 2010 Best of the Web Awards http://www.minonline[...] MinOnline 2012-01-27
[27] 웹사이트 Digital Hall of Fame: Kevin Poulsen, Senior Editor, Wired.com http://www.minonline[...] MinOnline 2012-01-27
[28] 웹사이트 Knight-Batten 2008 Winners » Projects » J-Lab http://www.j-lab.org[...] 2012-01-27
[29] 웹사이트 Knight-Batten 2007 Winners » Projects » J-Lab http://www.j-lab.org[...] 2012-01-27
[30] 서적 Digital Underworld Lulu.com
[31] 웹사이트 Kevin Poulsen http://www.livingint[...] livinginternet 2008-08-23
[32] 웹사이트 A Crime By Any Other Name... http://www.theta.com[...] FREEDOM Magazine 2008-08-24
[33] 웹사이트 Top 10 Most Famous Hackers of All Time http://www.itsecurit[...] itsecurity 2008-08-24
[34] 웹사이트 Threat Level - Privacy, Crime and Security Online http://www.wired.com[...] Wired.com 2012-01-27
[35] 뉴스 MySpace Predator Caught by Code http://www.wired.com[...] Wired News 2008-08-24
[36] 뉴스 The strange and consequential case of Bradley Manning, Adrian Lamo and WikiLeaks http://www.salon.com[...] Salon.com 2010-06-18
[37] 웹사이트 Webby Nominees http://www.webbyawar[...] Webbyawards.com 2011-10-28
[38] 웹사이트 2010 Top Cyber Security Journalist Award Winners http://www.sans.org/[...] SANS 2009-07-24
[39] 웹사이트 minonline.com http://www.minonline[...] minonline.com null
[40] 웹사이트 min's 2010 Best of the Web Awards http://www.minonline[...] MinOnline null
[41] 웹사이트 Digital Hall of Fame: Kevin Poulsen, Senior Editor, Wired.com http://www.minonline[...] MinOnline 2011-12-08
[42] 웹사이트 j-lab.org http://www.j-lab.org[...] j-lab.org 2011-07-20
[43] 웹사이트 Knight-Batten 2008 Winners » Projects » J-Lab http://www.j-lab.org[...] J-lab.org 2011-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