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도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도크는 수단 서부 나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쉴루크 왕국의 수도였다. 1865년 이집트 군사 기지가 세워졌고, 1898년 영국과 프랑스 간의 파쇼다 사건이 발생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건 이후 코도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선교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수단 내전 중 학살이 발생하기도 했다. 오늘날 코도크 주민들은 자급자족 농업에 종사하며, 수수 재배와 아라비아 검 판매를 통해 생계를 유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나일 지방 - 상나일주
상나일 주는 남수단 최북단에 위치하며 백나일 강이 흐르고, 13개의 군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코도크는 실룩족의 전통적인 수도이며, 파쇼다 사건, 말라칼 전투 등이 일어난 곳이다. - 상나일 지방 - 유니티주
유니티주는 남수단과 수단 국경에 위치한 주로, 분쟁의 영향을 받았으며 벤티우를 주도로 하고 농업, 축산업, 석유 산업이 발달했고 누에르족과 딩카족이 거주하며 누에르어와 딩카어를 사용한다. - 남수단의 도시 - 람시엘
남수단 레이크스 주에 위치한 람시엘은 남수단 독립 후 새로운 수도 후보지로 거론되었고, 계획 도시 부지 지정, 자유무역지대 및 국제공항 건설 계획 발표, 유전 개발 타당성 조사 등 개발 논의가 진행 중인 지역이다. - 남수단의 도시 - 벤티우
남수단 유니티 주에 위치한 벤티우는 수단과의 국경 근처에 있는 석유 산업 중심지로, 국내 실향민 캠프가 운영되었으며, 헤글리 위기 당시 폭격을 겪고 기반 시설이 재건되고 있는 도시이다.
| 코도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지리 정보 | |
| 위치 | 남수단 |
| 행정 구역 | |
| 국가 | 남수단 |
| 지역 | 대(大) 상나일 |
| 주 | 상나일 주 |
| 군 | 파쇼다 군 |
| 정부 | |
| 설립 정보 | |
| 면적 정보 | |
| 면적 단위 | Imperial |
| 인구 정보 | |
| 인구 조사 기준 시점 | 2012년 |
| 총 인구 | 7709명 |
| 시간대 정보 | |
| 시간대 | CAT |
| UTC 오프셋 | +2 |
| 기타 정보 | |
| 이미지 | |
![]() | |
2. 역사
코도크는 쉴루크 왕국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건들을 겪었다.
1865년 이집트가 파쇼다에 군사 기지를 세우면서 노예 무역을 포함한 무역 기지로 성장했다. 1883년에서 1884년 사이에는 마흐디 전쟁으로 마흐디스트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4] 1898년에는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 간의 파쇼다 사건이 발생하여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두 나라는 전쟁 직전까지 갔지만, 영국의 승리로 마무리되면서 아프리카 분할이 종식되는 계기가 되었다.[5] 1904년, 영불 협정 체결 이후 영국은 파쇼다 사건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도시 이름을 코도크로 변경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코도크에는 교회 선교 협회를 비롯한 여러 기독교 선교 단체들이 활동했다. 이들은 지역 주민들에게 선교 활동을 펼쳤고, 1930년대부터는 장로교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제1차 수단 내전 중이던 1964년에는 코도크에서 하르툼 군대에 의한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1990년대에는 심각한 기근을 겪기도 했지만, 수단 생명선 작전을 통해 구호 활동이 이루어졌다. 제2차 수단 내전 이후에는 많은 난민들이 돌아왔지만, 여전히 치안 문제는 남아있다.
오늘날 코도크 주민들은 주로 수수를 재배하고 소를 기르는 자급 자족 농업에 종사한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아카시아 세이알''에서 얻어지는 아라비아 검을 아랍 상인들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또한 코도크와 나일강의 말라칼 남부 사이에는 토지 권리와 물 분배를 둘러싼 지역 분쟁이 진행 중이다.
2. 1. 쉴루크 왕국 시대

코도크는 과거 쉴루크 왕국의 수도였으며, 쉴루크족은 이 지역에 거주해 온 농경 민족이었다.[9]
2. 2. 이집트 군사 기지 시대와 마흐디 전쟁 (19세기)
1865년 이집트가 파쇼다에 군사 기지를 세웠다. 당시 이곳은 노예 무역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 중요한 무역 기지였다. 1883년에서 1884년 사이에는 마흐디 전쟁 당시 마흐디스트의 손에 넘어갔다.[4]2. 3. 파쇼다 사건 (1898년)


역사적으로 파쇼다는 1898년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 사이의 파쇼다 사건이 발생한 장소로 주로 알려져 있다.[4] 영국은 이미 영국의 통제를 받고 있던 이집트를 거쳐 동아프리카를 통해 남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의 확고한 블록을 만들려고 시도했고, 프랑스는 사헬을 통한 모든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서아프리카에서 사하라 사막의 남쪽 경계를 따라 확장을 시도했다.[5] 이러한 의도된 통제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코도크였고, 무장 탐험대의 대치로 두 나라는 전쟁 직전까지 갔다. 영국의 승리적인 결과는 식민지 주장의 안정화와 "아프리카 분할"의 종말에 기여했다.[5] 이 사건은 프랑스 외교 정책에서 "파쇼다 증후군"으로 알려진 현상을 낳았다. 1904년, 영불 상호 협정의 발전으로 영국은 이 사건의 기억을 지우기 위해 도시 이름을 코도크(코토크)로 변경했다.[5]
2. 4. 코도크로 개명 (20세기 초)
1904년, 영불 협정 체결 이후, 영국은 파쇼다 사건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도시 이름을 코도크로 바꾸었다.[5]2. 5. 선교 활동 (20세기 초-중반)
1898년, 영국 식민지 행정부는 교회 선교 협회(CMS)에 코도크를 배정했다. 예수 성심의 콤보니 선교사인 베로나 신부회도 나일강 서쪽 지역을 받았고, 장로교회(USA)는 에티오피아 국경까지 동쪽 지역을 받았다.[5] 1900년부터 선교사 수는 적었고 영토 분쟁에 직면했지만, 1920년대에 CMS는 가톨릭교도의 영토 확장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 1933년 1월, 코도크에 가톨릭 선교소가 설립되었고, 1974년부터는 말라칼 교구에 소속되었다. 1930년대부터 코도크는 장로교의 중심지이기도 했다.[5]2. 6. 수단 내전과 학살 (20세기 중-후반)
제1차 수단 내전 중이던 1964년, 무하마드 아흐마드 마흐줍 통치 하의 코도크는 하르툼 군대에 의한 학살 현장이었다. 1955년 당시 코도크의 인구는 약 9,100명이었다. 1964년과 1965년에는 수단 남부의 다른 도시들에서도 유사한 학살이 발생했다.[6]1990년대 코도크는 심각한 기근을 겪었으며, 수단 생명선 작전을 통해 많은 자선 단체가 이 지역에 들어왔다.
2. 7. 제2차 수단 내전 이후 (21세기 초)
제2차 수단 내전이 끝나가던 2004년과 2005년, 많은 난민이 코도크로 귀환했지만, 2004년 당시 치안 상황은 여전히 매우 심각했다.[6]3. 지리
코도크는 남수단 서부 나일 주에 속하며, 백나일강 근처에 있다.[8] 과거에는 실루크족이 건설한 실루크 왕국|실루크 왕국영어의 수도가 있던 곳이다. 실루크족은 이 부근에 거주해온 농경 민족이었다.[9]
4. 산업
코도크 주민들은 주로 자급자족 농업에 종사하며, 수수를 주식으로 재배하고 소를 기른다.[10] 1990년대 중반부터 아카시아 세이알에서 얻은 아라비아 고무를 아랍 상인들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10]
5. 인물
찰스 가브리엘 셀리그먼은 파쇼다(코도크)의 사진을 촬영한 인물이다.
무하마드 아흐마드 마흐줍은 제1차 수단 내전 당시 코도크 학살을 자행한 하르툼 군대의 지도자이다. 그의 통치 기간인 1964년에 코도크에서 학살이 발생했으며,[6] 1964년과 1965년에는 수단 남부의 다른 도시에서도 유사한 학살이 발생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Western Nile Governor Appoints State Cabinet
http://www.gurtong.n[...]
Gurtong
2016-02-13
[2]
웹사이트
A sign of peace from the past: British and French ambassadors visit historical town where a peace deal was reached in 1898
https://peacekeeping[...]
2024-12-14
[3]
웹사이트
Kodok
https://editions.cov[...]
2019-06-05
[4]
문서
Fashoda
[5]
서적
The Fashoda incident of 1898: encounter on the Ni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6]
웹사이트
South Sudan: A History of Political Domination – A Case of Self-Determination, (Riek Machar)
http://www.africa.up[...]
2009-11-18
[7]
문서
南スーダンの公用語は英語だが、[[ジュバアラビア語]]も主要な言語として用いられている。
[8]
웹사이트
Western Nile Governor Appoints State Cabinet
http://www.gurtong.n[...]
Gurtong
2016-02-13
[9]
서적
Data Book of The WORLD (2012年版)
二宮書店
2012-01-10
[10]
서적
Data Book of The WORLD (2012年版)
二宮書店
2012-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