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나일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나일강은 빅토리아 호에서 시작하여 수단을 거쳐 하르툼에서 청나일강과 합류하여 나일강을 이루는 강이다. 빅토리아 호로 흘러드는 카게라 강이 가장 긴 지류이며, 루비론자 강과 냐바롱고 강도 수원으로 여겨진다. 우간다에서는 빅토리아 나일, 알버트 나일로 불리며, 남수단에서는 바흐르 알 자발이라고 불린다. 19세기 유럽 탐험가들이 수원을 찾기 위해 탐험을 진행했으며, 20세기 초 루비론자 강이 나일강의 수원으로 확인되었다. 백나일강은 수운으로 이용되며, 환경적으로 중요한 습지 및 삼각주를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의 강 - 나일강
나일강은 빅토리아호와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지중해로 흘러드는 아프리카의 주요 강으로, 고대 이집트 문명의 젖줄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수자원 분쟁과 환경 변화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남수단의 강 - 나일강
나일강은 빅토리아호와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지중해로 흘러드는 아프리카의 주요 강으로, 고대 이집트 문명의 젖줄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수자원 분쟁과 환경 변화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남수단의 강 - 바르알가잘강
바르알가잘강은 나일강의 하위 유역으로 520,000제곱킬로미터의 유역 면적을 가지며, 주르 강과 바르알아랍 강의 합류 또는 수드 습지에서 발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계절에 따라 유량 변화가 큰 강이다. - 수단의 강 - 나일강
나일강은 빅토리아호와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지중해로 흘러드는 아프리카의 주요 강으로, 고대 이집트 문명의 젖줄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수자원 분쟁과 환경 변화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수단의 강 - 청나일강
청나일강은 에티오피아 타나 호에서 발원하여 수단을 거쳐 백나일강과 합류하여 나일강을 이루는 강으로, 에티오피아와 수단의 중요한 수자원이며 나일강 전체 수량의 80% 이상을 공급한다.
백나일강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다른 이름 | 빅토리아 나일, 앨버트 나일, 마운틴 나일 |
어원 | 흰색 진흙 퇴적물로 인해 물의 색깔이 희게 보임 |
위치 | 수단, 남수단, 르완다, 탄자니아, 우간다, 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부룬디 |
도시 | 진자, 주바, 하르툼 |
길이 | 약 3,700km |
유역 면적 | 약 1,800,000km² |
평균 방류량 | 878m³/s |
발원지 | 백나일강 (추정) |
발원지 위치 | 부룬디 또는 르완다 |
발원지 좌표 | 2°16′56″S 29°19′52″E |
합류 지점 | 나일강 |
왼쪽 지류 | 앨버트 나일강, 바르 엘 가잘강 |
오른쪽 지류 | 아스와강, 소바트강 |
명칭 | |
아랍어 (로마자 표기) | an-Nīl al-'Abyaḍ |
2. 유역
백나일강의 유역은 동아프리카의 광대한 지역에 걸쳐 있으며, 여러 국가를 통과한다. 주요 수원지는 빅토리아호를 중심으로 하는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빅토리아호로 흘러드는 가장 긴 지류인 카게라강[7][22]을 비롯하여 부룬디의 Ruvyironza River|루비론자강eng[8][23]이나 르완다의 Nyabarongo River|냐바롱고강eng[9][24] 등 여러 강이 나일강의 가장 먼 수원지로 거론된다.
빅토리아호에서 발원한 강은 우간다 영토를 흐르며 '''빅토리아 나일'''로 불리다가 키오가호를 거쳐 알버트호로 흘러든다.[27] 알버트호에서 나온 강은 '''알버트 나일'''[29]이라는 이름으로 북쪽으로 흐르며 남수단 국경에 이른다.
남수단으로 들어서면 '''바흐르 알자발 강'''(بحر الجبل|바흐르 알자발ara, "산의 강")[30]으로 불리며, 남수단 수도 주바를 지나 광활한 수드 습지대로 들어선다. 이 거대한 습지대는 강의 흐름을 방해하고 많은 양의 물을 증발시켜 유량을 크게 감소시킨다.[34] 수드 습지 내에서 바흐르 엘 가잘 강과 합류한 후[35] 비로소 좁은 의미의 '''백나일강'''이 되어 북쪽으로 흐름을 이어간다. 이후 소바트 강과 합류하고 수단 영토로 들어선다.
수단 내에서는 매우 완만한 경사를 따라 넓은 강폭을 유지하며 북상하여[35] 백나일주를 지나 수도 하르툼에 도달한다. 하르툼에서 청나일강과 합류하여 마침내 나일강 본류를 형성한다.[21] 백나일강 유역에는 우간다의 나쿠와 호 습지[36], 머치슨 폭포 국립공원과 알버트호 일대[37], 남수단의 수드 습지[38], 수단의 아부 하빌강 내륙 삼각주[39] 등 람사르 조약에 등록된 중요한 습지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2. 1. 빅토리아 호수와 카게라 강

백나일강의 수원지는 빅토리아호를 중심으로 하는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여러 곳이 수원으로 여겨진다. 탄자니아의 부코바 근처에서 빅토리아호로 흘러 들어가는 카게라강은 빅토리아호로 유입되는 가장 긴 지류이다. 이 때문에 카게라강은 자료에 따라 나일강의 가장 먼 수원지로 간주되기도 한다.[7][22]
하지만 나일강의 가장 먼 수원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부룬디 부루리주에서 발원하는 Ruvyironza River|루비론자강영어[8][23] 또는 르완다의 뉴웅웨 숲에서 발원하는 Nyabarongo River|냐바롱고강영어[9][24]이 가장 먼 수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 두 강은 르완다와 탄자니아 국경의 루수모 폭포 근처에서 합류한다. 루수모 폭포는 1994년 4월 28일과 29일, 약 25만 명의 르완다인들이 르완다 내전을 피해 24시간 만에 다리를 건너 탄자니아 응가라로 넘어간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유엔 난민 기구(UNHCR)는 이를 "현대 역사상 가장 크고 빠른 난민 탈출"이라고 기록했다. 카게라강은 이후 르완다-탄자니아 및 탄자니아-우간다 국경의 일부를 이루며 빅토리아호로 흘러 들어간다.
한편, 19세기 영국의 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는 빅토리아호의 유일한 유출구에 있는 급류를 발견하고 리폰 폭포라고 이름 붙였다. 한때 리폰 폭포는 나일강의 기점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25] 하류에 오웬 폭포 댐 건설로 수몰되었다. 현재 폭포가 있던 자리에는 발견자인 스피크를 기념하는 사적비와 폭포가 물에 잠겼음을 알리는 석비가 세워져 있다.[26]
2. 2. 우간다 구간


우간다에서 백나일강은 흐르는 구간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빅토리아호에서 키오가호를 거쳐 알버트호까지는 빅토리아 나일(Victoria Nile|빅토리아 나일영어)이라고 하며, 알버트호에서 남수단 국경까지는 알버트 나일(Albert Nile|알버트 나일영어)이라고 칭한다.
=== 빅토리아 나일 ===
빅토리아 나일은 우간다 북쪽 호숫가에 있는 도시 진자 인근, 빅토리아호의 출구에서 시작된다.[10] 이 구간의 길이는 약 420km이다.[27] 호수 출구에는 날루발레 수력 발전소와 키이라 수력 발전소가 있으며, 이 발전소들을 지나면 강은 진자에서 약 15km 떨어진 부자갈리 폭포 위로 흐른다. 이곳에는 부자갈리 수력 발전소가 위치해 있다. 이후 강은 우간다 북서쪽으로 흘러 나라 중앙의 키오가호로 들어갔다가, 다시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알버트호로 향한다. 키오가호에서 알버트호까지의 구간은 때때로 "키오가 나일"이라고도 불린다.[13]
카루마 폭포에서는 강물이 머치슨 폭포 국립공원 남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카루마 다리 아래로 흐른다. 1963년에 면화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건설된 이 다리는 신의 저항군 반란 기간 동안 굴루로 가는 중요한 길목 역할을 했다. 당시 차량들은 이곳에 모여 군 호송대의 보호를 받으며 북쪽으로 이동했다. 2009년, 우간다 정부는 카루마 다리에서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750메가와트 규모의 수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2016년 완공을 목표로 했다.[11] 세계 은행은 200메가와트 규모의 더 작은 발전소 건설에 자금 지원을 승인했으나, 우간다 정부는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필요하다면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12]
강이 알버트호로 들어가기 직전에는 머치슨 폭포를 만난다. 이곳에서 강폭은 단 7m로 좁아지며 43m 높이에서 떨어져 내린다.[25] 이 지점은 강이 동아프리카 열곡의 서쪽 부분인 알버트 지구로 들어서는 곳임을 나타낸다. 머치슨 폭포 하류의 탁한 물에는 악어와 하마 등이 서식하고 있다.[25] 이후 강물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블루 마운틴 맞은편에 있는 알버트호로 흘러 들어간다. 빅토리아호 출구의 리폰 폭포와 통합된 오웬 폭포, 그리고 머치슨 폭포에는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있다.[27]
=== 알버트 나일 ===

알버트호에서 북쪽으로 흘러나오는 강 구간을 알버트 나일이라고 부르며, 길이는 약 210km이다.[29] 이 강은 우간다의 서나일 지방과 나머지 지역을 지리적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자이르(현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모부투 세세 세코의 이름을 따서 '모부투 나일'이라고 불리기도 했다.[29]
알버트 나일에는 네비 구 입구 근처에 유일한 다리가 놓여 있으며, 다른 구간에는 다리가 건설되지 않았다. 아주마니와 모요 사이에는 차량과 사람을 실어 나르는 페리가 운행되고 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주로 소형 보트나 카누를 이용해 강을 건넌다.
2. 3. 남수단 구간
강이 우간다에서 남수단으로 들어가는 지점부터는 "산악 나일강" 또는 '''바흐르 알자발 강'''(بحر الجبل|바흐르 알자발ar, "산의 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14][30] 남수단의 주 중앙 에콰토리아 주는 2006년까지 '바흐르 알 자발'로 알려지기도 했다.[15]바흐르 알자발 강은 님룰레 근처에서 남수단 영토로 들어서며, 남쪽 구간에서는 수단 평원과 수드(Sudd)라는 광대한 늪지대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 급류를 만난다.[16] 강은 좁은 협곡과 풀라(Fula) 급류를 포함한 일련의 급류를 통과한 후,[17][18] 평원 지대로 들어서면 심하게 굽이치며 흐른다.
강은 남수단의 수도 주바를 지나간다. 오랫동안 남수단 내에서 바흐르 알자발 강을 건널 수 있는 유일한 다리는 주바 시내의 주바 교(Juba Bridge)였다.[31] 그러나 이 다리는 건설된 지 오래되어 노후화가 심각했고, 통과 가능한 차량의 무게(하중 용량)도 작아 새로운 다리 건설이 시급했다.[32] 이에 일본의 국제협력기구(JICA)가 무상 자금을 지원하여 남수단 최초의 아치형 강교인 프리덤 브리지(Freedom Bridge)가 건설되었다. 전체 길이 560m의 이 다리는 2013년 착공했으나, 내전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 여러 어려움을 거쳐 2022년 5월 19일 개통식이 열렸다.[33]
주바를 지난 강은 거대한 수드 습지대로 흘러 들어간다. 수드 습지대는 건기에는 약 30000km2, 우기에는 130000km2까지 면적이 확장된다. 이 광활한 습지는 선박의 왕래를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넓은 지역에 강물이 퍼지면서 증발량이 많아져 이곳을 통과하는 동안 백나일 강의 수량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34] 분기하천인 바흐르 엘 제라프(Bahr el Zeraf)는 바흐르 알 자발에서 갈라져 나와 수드를 통과한 뒤 다시 백나일강 본류에 합류한다. 수드 습지 내에서 바흐르 알자발 강은 바흐르 엘 가잘(Bahr el Ghazal, "가젤의 강")과 노 호수(Lake No)에서 합류한다.[16][17][35] 이 합류 지점부터 강은 비로소 좁은 의미의 "백나일강"으로 불리며 북쪽으로 계속 흘러간다.
바흐르 알자발 강 유역에는 파쇼다 사건의 무대가 되었던 코도크(Kodok, 과거 파쇼다)와 같은 주요 거점들이 건설되었다. 이후 백나일 강은 말라칼 시 남쪽에서 소바트 강과 합류한다.
2. 4. 수단 구간
남수단의 두 번째 도시인 말라칼을 지난 백나일강은 천천히 흐르며 늪 지대를 벗어나 수단으로 들어간다. 이 구간에서 강물은 소바트강에서 유입된 많은 양의 퇴적물로 인해 특유의 옅은 색을 띤다.[20] 말라칼 하류에는 1898년 파쇼다 사건이 발생했던 코도크가 위치해 있는데, 이 사건은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수단으로 들어온 강은 백나일주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하르툼을 향해 북쪽으로 계속 흘러간다. 남수단 내 소바트강 합류 지점에서 하르툼까지의 거리는 약 800km에 달하지만, 고저차는 약 8m에 불과하다. 이처럼 매우 완만한 경사 때문에 강폭은 500m에서 수 킬로미터에 이를 정도로 넓으며, 유속의 큰 변화 없이 북쪽으로 흐른다.[35]
남수단 국경 근처 코스티의 서쪽에는 백나일강으로 흘러드는 아부 하빌강이 형성한 내륙 삼각주가 있다. 이 삼각주는 수단 내 3곳의 선상지 중 거의 유일하게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바오밥나무, 아카시아 등이 자생하며, 매년 7월부터 10월까지의 우기에는 사구 사이에 수백 개의 호수가 생겨난다. 또한, 루펠독수리(Rüppell's vulture), 사교성물떼새(Sociable lapwing)를 포함한 7종의 멸종 위기종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은 백나일강 유역의 다른 중요한 습지들, 예를 들어 우간다의 나쿠와 호[36], 머치슨 폭포 국립공원과 앨버트호 일대[37], 남수단 중부의 광대한 수드 습지[38] 등과 함께 람사르 조약에 등록된 보호 지역이다.[39]
백나일강은 수단의 수도 하르툼에서 더 큰 청나일강과 합류하여 비로소 나일강 본류를 형성한다.
3. 역사
백나일강은 청나일강보다 희고 탁한 물이 흘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21] 백나일강의 수원을 찾기 위한 노력은 오랜 기간 이어졌으며, 19세기 초 이집트의 탐험 시도가 있었으나 한계에 부딪혔다.[40] 이후 19세기 후반 유럽 탐험가들의 경쟁적인 탐사를 통해 빅토리아 호 등이 발견되었고,[21][41][42] 이러한 탐험 활동은 당시 유럽에 의해 크게 선전되었으며,[43] 이후 아프리카 식민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21]
3. 1. 19세기 이전
1820년부터 1822년까지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는 나일강 상류 지역에 수원 탐험대를 보냈으나, 이들은 백나일강 수원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1000km 떨어진 주바 부근의 곤도로(Gondokoro) 이상 나아가지 못했다.[40]백나일강의 수원을 찾는 것은 청나일강보다 늦게 이루어졌으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리처드 버튼, 존 스피크, 제임스 오거스터스 그랜트 등 유럽 탐험가들이 경쟁적으로 수원을 찾아 나섰다.[21] 영국 외무성과 왕립 지리학회의 지원을 받은 스피크와 버튼은 나일강 수원을 찾기 위해 1857년 탄자니아의 바가모요에서 출발하여 내륙으로 향했다. 스피크와 버튼은 악천후와 인력 부족, 말라리아 발병 등 여러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1858년 2월, 유럽인 최초로 탕가니카 호에 도착했다.[41] 스피크는 탕가니카 호가 나일강의 수원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버튼과 헤어져 단독으로 탐험을 계속했다. 그는 현지인들이 니안자 호 또는 우케레웨 호라고 부르던 큰 호수를 발견하고, 당시 영국 여왕 빅토리아의 이름을 따 '빅토리아 호'라고 명명하며 이 호수가 나일강의 수원이라고 확신했다.[42] 반면 버튼은 킬리만자로 호를 나일강의 수원으로 생각했고, 귀국 후 두 사람의 주장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이에 스피크는 1860년 다시 탐험을 떠나 1862년 7월 빅토리아 호 북쪽에 도착했고, 호수에서 물이 흘러나가는 폭포를 발견하여 당시 왕립 지리학회 회장의 이름을 따 '리폰 폭포'라고 이름 붙였다.
한편, 백나일강 상류의 바르 알 자발(Bahr al Jabal) 지역은 1876년까지 영국인의 지휘 아래 이집트 군대에 의해 점령되어 이집트령 수단에 편입되었다.
19세기 유럽인들의 나일강 수원 탐험은 당시 '가장 어두운 아프리카'의 '미지의 정글'을 정복했다는 식으로 크게 선전되었다.[43] 이러한 탐험 활동과 선전은 이후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식민지화를 정당화하고 촉진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21]
3. 2. 19세기 유럽의 탐험
백나일강의 수원을 찾는 것은 청나일강의 수원 발견보다 늦어졌으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유럽의 탐험가들이 경쟁적으로 수원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리처드 버튼, 존 스피크, 제임스 오거스터스 그랜트 등이 있다.[21]영국 외무성과 왕립 지리학회의 지시를 받은 스피크와 버튼은 나일강 수원을 찾기 위해 1857년 탄자니아의 바가모요에서 출발하여 내륙으로 향했다. 이들은 탐험 중 악천후와 인력 부족 문제에 부딪혔고, 말라리아에 걸리는 등 어려움을 겪었지만, 1858년 2월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탕가니카 호에 도착했다.[41]
스피크는 탕가니카 호가 나일강의 수원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버튼과 헤어져 단독으로 탐험을 계속했다. 그는 현지인들이 니안자 호 또는 우케레웨 호라고 부르던 큰 호수를 발견했고, 당시 영국 여왕 빅토리아의 이름을 따서 이 호수를 빅토리아 호라고 명명했다. 스피크는 이곳이 나일강의 진짜 수원이라고 확신했다.[42] 영국으로 돌아간 후 스피크와 버튼의 수원에 대한 설(說)을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다.
이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 스피크는 1860년 다시 탐험에 나섰다. 1862년 7월, 그는 빅토리아 호 북쪽 끝에 도착하여 호수에서 물이 흘러나가는 지점에 있는 폭포를 발견했다. 스피크는 당시 왕립 지리학회 회장의 이름을 따 이 폭포를 리폰 폭포라고 이름 붙였다.
19세기에 유럽인들에 의해 진행된 나일강의 수원 탐험은, 당시 "가장 어두운 아프리카"의 "미지의 정글에 유럽인의 도달"로서 활발하게 선전되었다.[43] 이러한 탐험 활동과 그 결과는 이후 유럽 열강들의 아프리카 식민지화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1] 리폰 폭포가 발견된 이후에도 빅토리아 호로 흘러 들어가는 여러 강에 대한 탐사가 계속되었고, 20세기 초에 이르러 루비론자 강이 나일강의 가장 먼 수원임이 확인되었다.[44]
3. 3. 20세기 이후
19세기 말까지 이어진 수원 탐사 결과, 20세기 초에 부룬디에서 발원하는 루비론자강이 나일강의 가장 먼 수원으로 확인되었다.[44]
한편, 카게라강의 두 지류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루수모 폭포는 20세기의 비극적인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1994년 르완다 집단학살 당시, 4월 28일부터 29일까지 불과 24시간 동안 약 25만 명의 르완다인들이 탄자니아로 탈출하기 위해 이 폭포의 다리를 건넜다. 유엔 난민 기구는 이 사건을 "현대 역사상 가장 크고 빠른 난민 탈출"로 기록하며 당시의 참혹했던 상황을 증언한다.
20세기 이후 백나일강 유역, 특히 우간다 구간에서는 수자원을 활용한 개발이 이루어졌다. 빅토리아 호에서 흘러나오는 빅토리아 나일강은 우간다 진자에서 시작된다.[10] 호수 출구에는 날루발레 수력 발전소와 키이라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이 발전소들 하류 약 15km 지점의 부자갈리 폭포에도 부자갈리 수력 발전소가 들어섰다.
더 하류인 카루마 폭포 지역에서도 수력 발전 계획이 추진되었다. 카루마 다리는 과거 신의 저항군 반란 시기 굴루로 향하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2009년, 우간다 정부는 이 다리 북쪽에 750메가와트 규모의 대형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하고 2016년 완공을 목표로 삼았다.[11] 당초 세계 은행은 200메가와트 규모의 발전소 건설 자금 지원을 승인했으나, 우간다 정부는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자체적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12]
4. 수운 및 교통
백나일강은 알버트호에서 하르툼까지 제벨 아울리아 댐을 거쳐 항해가 가능한 수로이다. 다만, 주바와 우간다 사이 구간은 강을 개선하거나 수로를 정비해야 항해가 가능하다.
일 년 중 일부 기간에는 강을 통해 에티오피아의 감벨라와 남수단의 와우까지 항해가 가능하다.
5. 환경
수단 국경에 가까운 코스티 서쪽에는 백나일강으로 흘러드는 아부 하빌강의 내륙 삼각주가 펼쳐져 있다. 이곳은 수단 내 3곳의 선상지 중 거의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장소이다. 이 일대에는 바오밥나무, 아카시아 등의 식물이 자라며, 매년 7월부터 10월까지 이어지는 우기에는 사구 사이에 수백 개의 호수가 나타난다. 또한, Rüppell's vulture|뤼펠독수리영어, Sociable lapwing|사교성댕기물떼새영어 등 7종의 멸종 위기종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은 같은 백나일강 유역의 우간다에 있는 나쿠와호[36], 머치슨 폭포 국립공원과 알버트호 일대[37], 남수단 중부의 광대한 수드 습지[38] 등과 함께 람사르 조약에 등록된 중요한 습지이다[39].
참조
[1]
웹사이트
Nile Africa | Africa Nile | Nile Valley | Mystery Nile | Nile White | Egypt Nile | Ancient Capital Nile
https://web.archive.[...]
2007-01-10
[2]
뉴스
Team reaches Nile's 'true source'
http://news.bbc.co.u[...]
2020-04-22
[3]
간행물
Teleconnection, Modeling, Climate Anomalies Impact and Forecasting of Rainfall and Streamflow of the Upper Blue Nile River Basin
University of Alberta
[4]
서적
The New American Cyclopaedia: A Popular Dictionary of General Knowledge, Volume 12
https://books.google[...]
2023-03-30
[5]
서적
The Nile: Origin, Environments, Limnology and Human Us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3-03-30
[6]
서적
Rivers of the World: A Social,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Source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2023-03-30
[7]
뉴스
The truth about the source of R. Nile
https://web.archive.[...]
2011-04-04
[8]
웹사이트
Nile River
https://web.archive.[...]
2011-02-05
[9]
뉴스
Team reaches Nile's 'true source'
http://news.bbc.co.u[...]
2011-04-04
[10]
서적
Source Book for the Inland Fishery Resources of Africa, Issue 18, Volume 1
https://books.googl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United Nations
2016-01-04
[11]
웹사이트
Uganda To Increase Capacity of Electricity Project
https://www.reuters.[...]
2014-04-18
[12]
웹사이트
Uganda Oil Money to Finance Karuma Power Project
http://www.ugandarad[...]
Uganda Radio Network Online
2014-04-18
[13]
서적
The Indi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Official Organ of the Indi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M.K. Nawaz
2017-10-05
[14]
웹사이트
[15]
웹사이트
Southern Sudan Bahr al-Jabal State changes name
http://www.sudantrib[...]
2017-10-04
[16]
서적
Christus Liberator: An Outline Study of Africa
https://archive.org/[...]
Macmillan Company
2017-10-05
[17]
간행물
The Source of the Nile: Rwenzori Mountains National Park
http://www.unesco.or[...]
2020-08-20
[18]
웹사이트
Nile River (Mountain) {!} Waterbodies.org
http://www.waterbodi[...]
2020-08-20
[19]
서적
Hydrology of the Nile Basin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7-10-05
[20]
웹사이트
Sobat River
http://www.library.e[...]
2008-01-21
[21]
문서
加藤「白ナイル川」『世界地名大事典』3、515頁
[22]
뉴스
The truth about the source of R. Nile
http://www.newvision[...]
2011-04-04
[23]
웹사이트
Nile River
http://www.egyptattr[...]
2011-02-05
[24]
뉴스
Team reaches Nile's 'true source'
http://news.bbc.co.u[...]
2011-04-04
[25]
문서
野町『ナイル河紀行』、36頁
[26]
문서
野町『ナイル河紀行』、35頁
[27]
문서
梅屋潔「ヴィクトリアナイル川」『世界地名大事典』3収録(朝倉書店, 2012年11月)、142頁
[28]
뉴스
World Bank okays Ugandan Karuma electricity project
http://english.peopl[...]
Xinhua
2006-04-03
[29]
문서
梅屋潔「アルバートナイル川」『世界地名大事典』3収録(朝倉書店, 2012年11月)、85頁
[30]
문서
野町『ナイル河紀行』、38頁
[31]
웹사이트
南スーダンへの協力を本格再開――象徴となるナイル架橋が着工
https://www.jica.go.[...]
JICAホームページ
2016-12-28
[32]
웹사이트
(特派員メモ)日本支援 新たな橋の名は @南スーダン・ジュバ: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5-20
[33]
웹사이트
南スーダンの悲願だった平和と自由の象徴「フリーダム・ブリッジ」が完成
https://www.jica.go.[...]
2022-05-20
[34]
문서
野町『ナイル河紀行』、39-41頁
[35]
문서
野町『ナイル河紀行』、42頁
[36]
웹사이트
Lake Nakuwa Wetland System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6-09-15
[37]
웹사이트
Murchison Falls-Albert Delta Wetland System
https://rsis.ramsar.[...]
2019-10-21
[38]
웹사이트
Sudd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6-06-05
[39]
웹사이트
Khor Abu Habil Inner Delt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2-07-19
[40]
서적
ユゴン『アフリカ大陸探検史』、50-51頁
[41]
서적
ユゴン『アフリカ大陸探検史』、52-53頁
[42]
서적
ユゴン『アフリカ大陸探検史』、56-57頁
[43]
서적
Henry Morton Stanley, In Darkest Africa
1890
[44]
서적
ユゴン『アフリカ大陸探検史』、60,69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