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히도르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레히도르 전투는 1942년 5월 일본군이 필리핀 코레히도르 섬을 공격하여 벌어진 전투이다. 코레히도르 섬은 마닐라 만 입구를 방어하는 요새로, 강력한 해안포와 마린타 터널 등 방어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일본군은 5월 5일 공격을 시작하여 격렬한 전투 끝에 5월 6일 섬을 점령했고, 미군은 항복했다. 이 전투에서 항복한 미군은 바탄 전투의 포로들과 달리 죽음의 행진에 동원되지 않았지만, 일부는 일본군 전사자 화장과 미군 및 필리핀 전사자 매장을 위해 바탄으로 보내졌다. 코레히도르 전투는 이후 기념되었으며, 미국과 필리핀에서 다양한 기념 시설과 행사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비테주의 역사 - 1872년 카비테 반란
1872년 카비테 반란은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카비테 병기창 노동자들이 일으킨 사건으로, 스페인 측의 강경 진압과 세 명의 사제 처형으로 이어져 필리핀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942년 필리핀 - 죽음의 바탄 행진
죽음의 바탄 행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탄 반도 전투에서 패한 연합군 포로 약 7만 명이 일본군에 의해 강제 행진을 당하며 기아, 탈수, 질병, 학대로 7,000명에서 10,000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혼마 마사하루 중장이 전범으로 처형되었고 미국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어 현재까지 추모되고 있다. - 1942년 필리핀 - 필리핀 전역 (1941년~1942년)
필리핀 전역 (1941년~1942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필리핀을 침공하여 점령한 일련의 전투로, 미국 극동 육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이 승리하여 필리핀을 점령하고 만행을 저지른 사건이다.
코레히도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태평양 전쟁의 일부 |
날짜 | 1942년 5월 5일 ~ 6일 |
장소 | 필리핀 루손 마닐라만 코레히도르섬 |
결과 | 일본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
지휘관 | |
지휘관 1 | 조너선 M. 웨인라이트 조지 F. 무어 새뮤얼 L. 하워드 |
지휘관 2 | 혼마 마사하루 다니구치 구레오 사토 겐파치 미카미 기손 모리타 하루지 고이케 대령 이노우에 대령 |
병력 규모 | |
병력 1 | 미국 및 필리핀 연합군 13,000명, 포함 2척, 기뢰제거함 1척 |
병력 2 | 일본군 75,000명 |
피해 규모 | |
피해 1 | 전사 800명, 부상 1,000명, 포로 11,000명, 포함 1척 침몰, 포함 1척 자침, 기뢰제거함 1척 자침 |
피해 2 | 전사 900명, 부상 1,200명 |
2. 배경
코레히도르 섬은 마닐라만 입구를 보호하는 4개의 요새 섬 중 가장 큰 곳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강력한 해안포로 무장되어 있었다. 올챙이 모양의 이 섬은 바타안섬에서 3.2km 떨어져 있었으며, 미군은 이곳을 '동양의 지브롤터'라고 불렀다.[20]
섬에서 가장 넓은 구조물은 마린타 힐 아래 뚫린 동굴이었다. 이 동굴은 직경 7.3m의 동서로 뻗은 252m 길이의 주요 통로와 각 통로에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뻗어 있는 25개의 측면 동굴(120m)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요 통로 북쪽에는 1,000개의 침상을 갖춘 지하 병원이 별개의 동굴에 자리 잡고 있었고, 마린타 힐 남쪽에는 해군 동굴이 있었다. 마린타 동굴은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본부로 사용되었으며, 콘크리트벽과 환풍구, 전철 선로 등이 갖춰져 있었다.[20]
코레히도르 섬의 방어 병기는 45개의 해안포, 23문의 12 인치 해안방어구포, 72개의 대공 무기, 35 묶음의 통제된 지뢰가 매설된 지뢰밭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20] 27000m 사거리를 가진 2개의 12인치(300mm) 전방위 회전포(스미스와 허언)는 섬에서 가장 장거리포였다.[20]
코레히도르 섬 남쪽의 '''휴즈 요새'''(카바요 섬)는 두 번째로 큰 섬이었다. 다룸 요새는 항구 방어를 하는 가장 특이한 요새로, 군 엔지니어들이 엘 프레일 섬의 꼭대기를 깎아 110m 길이와 44m 너비의 강화된 콘크리트 전함을 만들었다. 외벽은 7.6m ~ 11m 두께의 콘크리트와 강철로 만들어졌고, 꼭대기 갑판은 저지대 물에서 12m 위에 있었으며, 6.1m 두께의 벽을 가지고 있었다. 바다 쪽으로 향한 무장된 포탑에 360mm 네문의 포, 4개의 포탑에 150mm 포, 방공포가 장착되어 있었고, 200명이 주둔할 수 있는 요새로 습격에서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다.
2. 1. 동양의 지브롤터
코레히도르 섬의 밀스 요새는 마닐라만 입구를 기습으로부터 보호하는 4개의 가장 거대한 요새 섬이었고,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 강력한 해안포로 무장한 곳이었다. 길이는 약 6.44km이고 머리 부분의 너비는 약 2.41km인 올챙이 모양의 이 섬은 바타안섬에서 약 5.63km 떨어져 있었다. 미군은 유럽과 아프리카 사이 지중해의 주요 입구를 방어하는 반도 요새에 빗대어 그곳을 ‘더 락’ 또는 ‘동양의 지브롤터’라고 불렀다.[3]
마린타 힐 아래로 뚫은 동굴은 코레히도르 섬에서 가장 넓은 구조물이었다. 이 동굴은 직경 7.3m의 동서로 뻗은 252m 길이의 주요 통로와 25개의 측면 동굴이 있으며, 각각 120m 길이로, 주요 통로의 각 방면으로부터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뻗어 있다. 이 주요 동굴 북쪽으로 별개의 동굴에 지하 병원이 자리잡고 있다. 이 병원에는 12개의 측면 동굴과 1,000개의 침상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 시설들은 주요 동굴이나 또는 마란타 힐 북쪽의 별개의 외부 입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마린타 힐 남쪽 편 아래에 병원 맞은 편에 있는 해군 동굴은 본 동굴과 부분적으로만 완성된 낮은 통로를 통해 본부 측면 창고를 지나 연결되어 있었다.[1][3]
이것 동쪽에는 마린타 동굴이 있는데, 이곳은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이 본부로 사용하던 곳이었다. 콘크리트벽과 마루 그리고 상단 아치로 보강되어 있고, 공기를 제공하는 환풍구와 이차선 전철 선로가 동서 통로를 따라서 갖추어져 있었다. 마린타 동굴은 병원, 본부, 가게나 미로 같은 지하 저장고 시설을 위해 폭격을 막아낼 수 있는 방호를 갖추었다.[1][3]
2. 2. 방어 시설
코레히도르 섬의 밀스 요새는 마닐라만 입구를 기습으로부터 보호하는 4개의 요새 섬 중 가장 큰 곳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강력한 해안포로 무장한 곳으로, 길이 5.6km, 남북으로 2.4km인 올챙이 모양의 섬은 바타안섬에서 3.2km 거리에 있다. 탑사이드로 알려져 있는 가장 넓지만, 고도가 있는 곳에는 56문의 해안포 대부분이 설치되어 있었다.미들사이드는 더 많은 포대와 막사가 위치한 작은 고원이다. 바텀사이드는 선창이 있는 저지대이며, 산 호세 타운의 민간인들이 위치한 곳이었다. 미군은 유럽과 아프리카 사이 지중해의 주요 입구를 방어하는 반도 요새에 빗대어 그곳을 ‘더 락’ 또는 ‘동양의 지브롤터’라고 불렀다.[20]
마린타 힐 아래로 뚫은 동굴은 코레히도르 섬에서 가장 넓은 구조물이었다. 이 동굴은 직경 7.3m의 동서로 뻗은 252m 길이의 주요 통로와 25개의 측면 동굴이 있으며, 각각 120m 길이로, 주요 통로의 각 방면으로부터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뻗어 있다. 이 주요 동굴 북쪽으로 별개의 동굴에 지하 병원이 자리잡고 있다. 이 병원에는 12개의 측면 동굴과 1,000개의 침상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 시설들은 주요 동굴이나 또는 마란타 힐 북쪽의 별개의 외부 입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마린타 힐 남쪽 편 아래에 병원 맞은 편에 있는 해군 동굴은 본 동굴과 부분적으로만 완성된 낮은 통로를 통해 본부 측면 창고를 지나 연결되어 있다.
이것 동쪽에는 마린타 동굴이 있는데, 이곳은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이 본부로 사용하던 곳이었다. 콘크리트벽과 마루 그리고 상단 아치로 보강되어 있고, 공기를 제공하는 환풍구와 이차선 전철 선로가 동서 통로를 따라서 갖추어져 있다. 마린타 동굴은 병원, 본부, 가게나 미로 같은 지하 저장고 시설을 위해 폭격을 막아낼 수 있는 방호를 갖추었다.[20]
코레히도르 섬의 방어 병기는 45개의 해안포와 23개의 12 인치 해안방어구포, 13개의 포가 할당된 72개의 대공 무기 그리고 35 묶음의 통제된 지뢰가 매설된 지뢰밭으로 구성된 위력적인 것이었다.[20] 27000m 사거리에 이르는 2개의 12인치(300mm) 전방위 회전포(스미스와 허언)은 섬의 대포들 중에 가장 장거리포였다.[20]
코레히도르 섬 정남쪽의 '''휴즈 요새'''가 있는 카바요 섬은 두번 째로 규모가 큰 섬이었다. 약 65ha의 면적에, 그 섬은 마닐라 만에서 120m 높이로 서쪽으로 솟아올라 있다. 해안포는 방공포까지 갖춘 잡다한 13문이었다.
휴즈 요새에서 6.4km 남쪽에 위치한 '''다룸 요새'''는 항구 방어를 하는 가장 특이한 요새였다. 군 엔지니어들이 엘 프레일 섬의 꼭대기를 완전히 수로로 깍아 내어 110m 길이와 44m 너비의 강화된 콘크리트 전함을 만드는 토대로 그 섬을 이용했다. 외벽은 7.6m ~ 11m 두께로 콘크리트와 강철로 만들었다. 이 콘크리트 전함의 꼭대기 갑판은 저지대 물에서 12m 위에 있었고, 6.1m 두께의 벽을 가지고 있었고, 바다 쪽으로 향한 무장된 포탑에 360mm 네문의 포, 4개의 포탑에 150mm 포, 방공포가 장착되어 있었고, 200명이 주둔할 수 있는 요새로 습격에서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다.
3. 일본군의 공격
1941년 12월 29일부터 1942년 1월 6일까지 일본군은 코레히도르 섬을 폭격하여 섬의 기반 시설을 파괴하고, 식량 배급을 절반으로 줄였다. 당시 섬에는 15,000명이 있었고, 식량은 6~8주 분량밖에 없었다.[3][5] 2월 3일, USS 트라우트는 3,500발의 3인치 대공포탄을 코레히도르에 전달하고, 필리핀 은행에서 이송된 금과 은 20톤을 싣고 출발했다.[6]
일본군은 2월 5일부터 포격을 시작하여 3월 15일에는 240mm 곡사포까지 동원했다.[3] 3월 12일, 더글러스 맥아더는 PT 보트를 이용하여 코레히도르를 탈출, 민다나오를 거쳐 호주로 향했다. 그는 조너선 웨인라이트에게 필리핀 지휘권을 맡겼다.
코레히도르 수비군은 식수 부족과 포격으로 인한 잦은 배급 중단, 그리고 제대로 된 식단 부족으로 병사들은 쇠약해지고 야간 시력이 떨어지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세부에서 출발한 7척의 사설 선박 중 USAFFE의 조시모 크루즈(Zosimo Cruz) 중위가 지휘하는 MV ''프린세사''만이 코레히도르에 도착했다. 4월 15일경, 코레히도르의 총 병력은 약 14,728명이었다.
4월 9일 바탄 함락 이후, 일본군의 코레히도르 포격은 더욱 격렬해졌다. 웨인라이트는 바탄에 부상당한 포로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로 3일 동안 대포병 사격을 금지하기도 했다.[7] 일본군은 614번의 임무를 수행하여 1,701발, 총 365톤의 폭탄을 투하했으며, 9문의 240mm 곡사포, 34문의 149mm 곡사포, 32문의 기타 포병 무기를 동원하여 코레히도르를 공격했다.[8]
4월 14일, 코레히도르 북쪽 해안의 모든 포대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4월 29일, 해군 PBY 2대가 간호사 50명과 본부 직원을 태우고 코레히도르를 떠났다.[1]
4월 21일, 텍사스 A&M 대학교 졸업생인 무어는 다른 졸업생들과 함께 군대 점호를 열었다. 이들은 텍사스 독립을 기념하는 노래를 부르며 모임을 가졌고, 이 이야기는 널리 알려졌다. 25명 중 12명만이 전투와 포로 수용소에서 살아남았다.[18][9][10]
4월 24일, 배터리 크로켓의 포가 파괴되었다. 5월 1일, 일본군의 포격이 더욱 증가하여 상륙 지점에 집중되었다. 5월 2일, 배터리 기어리의 탄약고가 폭발하여 8문 모두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다. 포격은 3일 동안 계속되었다.[3]
5월 4일 밤, 잠수함 ''USS 스피어피시''는 25명을 대피시켰다. 여기에는 필리핀에서 마지막으로 나간 우편물과 USAFFE 및 USFIP 기록 등이 포함되었다.[11][5] 5월 5일까지 코레히도르에는 155mm 포 3문만 작동했다.[3]
일본 선전은 코레히도르가 곧 함락될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선언했지만, 몇 주 동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자 침묵했다. 일본 제국 대본영은 저항이 심각한 문제라고 선언했다.[12]
혼마의 침공 계획은 키타노 겐조의 제4사단에 의존했다. 다니구치 구레오가 지휘하는 겐파치 사토의 제61보병대 제1 및 제2대대는 7전차 연대의 전차 지원을 받아 2,000명의 병력으로 코레히도르의 꼬리에 먼저 상륙할 예정이었다. 다음날 밤 제37보병과 제8보병대대 1개, 제7전차 연대의 전차로 구성된 4,000명의 병력이 다니구치의 지휘 아래 탑사이드 아래에 2차 상륙할 예정이었다.[13][5][14]
3. 1. 상륙 작전
타니구치 쿠레오일본어 소장 지휘하의 일본군은 1942년 5월 5일, 상륙정과 바지선을 이용하여 코레히도르에 대한 최후 공격을 개시했다. 자정 직전, 일본군의 격렬한 포격이 노스 포인트(North Point)와 캐벌리 포인트(Cavalry Point) 사이 해변을 강타했다.[15] 790명의 일본군으로 구성된 초기 상륙 부대는 미군과 필리핀 방어군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다. 특히 37mm 포는 일본 상륙 함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 카바켄(Cabcaben)의 관찰자들은 이 광경을 "상상을 초월하는 장엄한 공포"라고 묘사했다.[15]
일본군 제1대대는 오후 11시에 코레히도르에 상륙했고, 제2대대는 거의 한 시간 후에 상륙했다. 그러나 해류의 영향으로 제21공병연대 바지선은 일본군을 말린타 언덕에서 더 떨어진 노스 포인트 동쪽에 상륙시켰다.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었지만, 해안에 상륙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오전 1시 30분까지 덴버 포대와 워터 탱크 언덕(Water Tank Hill)의 전면 경사면이 일본군에게 점령되었다.[5]
오전 2시, 하워드는 샤퍼의 연대 예비대를 투입했다. 로버트 챔버스의 O 중대와 윌리엄 F. 호가붐의 P 중대가 선두에 섰으나, O 중대는 일본군 포병대에 의해 궤멸되었다. 남은 병력은 지원 화기 없이 공격을 이어갈 수 없었다. 일본군은 동틀 무렵 증원 부대를 기다리며 전선을 강화했다. 오전 4시 30분, 폴 C. 무어의 Q 중대가 전투에 합류했고, R, S, T 중대가 뒤따랐다. 그러나 오전 4시 40분, 추가로 21척의 일본 상륙정이 코레히도르 해안으로 향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미군의 반격은 오전 6시 15분에 시작되었지만, 수류탄만으로 지원을 받아 오전 9시까지 실패했다. 몽키 포인트(Monkey Point)에 방어선을 형성한 몇몇 장교들은 킨들리 비행장(Kindley Field) 반대편에 있는 일본군에게 저항했다.[5]

오전 10시, 일본 전차가 코레히도르에 상륙했고, 웨인라이트는 "...전차가 가진 공포가 결정적인 요인이었다."라고 언급했다. 오전 10시 30분, 웨인라이트는 비비에게 혼마에게 항복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명령했다.[5]
4. 전투의 결과
바탄에서 일본군에 항복한 필리핀인과 미국인들과는 달리, 코레히도르의 전쟁 포로(POW)는 죽음의 행진에 동원되지 않았다. 이들은 일본군 전사자 화장과 미군 및 필리핀군 전사자 매장을 위해 바탄으로 보내졌다.[16]
5월 23일, 코레히도르의 일본군 포로들은 사우스 광산 부두로 행진하여 산호세 만에 정박해 있던 세 척의 배에 탑승했다. 마닐라에 도착한 후, 필리핀인들은 부두에 하역되었고, 미국인들은 듀이 대로를 따라 구 빌리비드 교도소를 거쳐 카바나투안 3번 수용소로 행진했다. 7월 말, 바탄의 천사 간호사들은 산토 토마스 수용소로 보내졌다.[5]
5. 기념 및 평가
코레히도르 전투 직전, 제4 해병 연대 소속의 한 해병은 해병대 찬가의 곡조에 맞춰 다음과 같은 가사를 썼다.
구멍과 터널에 먼저 뛰어들어가고
우리 속옷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우리는 이 칭호를 자랑스럽게 주장한다
코레히도르의 해병대.
(중략)
육군과 해군이
코레히도르의 터널 퀸을 바라봤을 때,
그들은 해변을 지키는 것을 보았다
한 명 이상의 해병대!
태평양 전쟁 기념관은 전사한 미국 및 필리핀 군인을 기리기 위해 코레히도르에 세워졌다. 시카고의 스테이트 스트리트가 시카고 강을 건너는 다리는 '바탄-코레히도르 기념 다리'로 명명되었다. 코네티컷주 185번 국도의 심스버리에 있는 파밍턴 강 위의 다리는 "바탄 코레히도르 기념 다리"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2013년 12월 7일에 헌정식이 열렸다.[17]
5. 1. 텍사스 A&M 대학교와 코레히도르
E. E. 맥퀼렌은 텍사스 A&M 동문회인 전직 학생 협회의 사무총장이었는데, 코레히도르 머스터에 대한 응답으로 학교의 4월 21일 행사를 애기 머스터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때부터 학생과 동문들이 사망한 동료 애기들을 기리는 오늘날의 모습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18] 1906년 A&M 졸업생인 존 애슈턴 박사도 맥퀼렌의 요청에 따라 1943년에 "영웅들의 롤콜"이라는 시를 썼는데, "부재자들을 위한 롤콜"이라고도 불리며, 1942년 머스터를 기념하고 1942년 이후의 연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9]참조
[1]
웹사이트
The Fall Of Corregidor
https://www.american[...]
American Heritage
2023-07-16
[2]
간행물
The USAMP ''General George Harrison'' in the Harbor Defenses of Manila and Subic Bay
http://sill-www.army[...]
United States Coast Artillery Association
2018-02-11
[3]
서적
American Defenses of Corregidor and Manila Bay 1898-1945
Osprey Publishing
2003
[4]
서적
Corregidor: The American Alamo of World War II
Cooper Square Press
1981
[5]
서적
Corregidor
Playboy Press Paperbacks
1967
[6]
웹사이트
Trout I (SS-202)
http://www.history.n[...]
Naval Historical Center
[7]
문서
Morton, p. 536
[8]
문서
Morton, p. 549
[9]
뉴스
Enemy shells at Corregidor couldn't stop Aggie Muster
http://www.chron.com[...]
2007-08-16
[10]
웹사이트
The Aggies of Corregidor
https://www.aggienet[...]
The Association of Former Students
2024-08-17
[11]
문서
Morton, p. 548
[12]
서적
Japan's War
[13]
서적
Bataan: Our Last Ditch
Hippocrene Books
1990
[14]
서적
The Fall of the Philippines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53
[15]
문서
Corregidor: Isle of Delusion
Press Bureau, Imperial Japanese Army, GHQ, China
1942-09
[16]
웹사이트
May 6, 1942: The surrender of Corregidor Island
https://usa.inquirer[...]
2024-05-06
[17]
웹사이트
Bataan Corregidor Bridge Dedication, Route 185
https://patch.com/co[...]
2018-06-11
[18]
웹사이트
Aggie Muster
http://clubs.aggiene[...]
Emerald Coast A&M Club
2006-12-17
[19]
웹사이트
Roll Call for the Absent (The Heroes' Roll Call)
https://www.aggienet[...]
The Association of Former Students
2024-09-02
[20]
저널
The USAMP ''General George Harrison'' in the Harbor Defenses of Manila and Subic Bay
http://patriot.net/~[...]
United States Coast Artillery Association
2013-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