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는 중세 시대에 존재했던 가톨릭 교회의 명예직으로, 1204년 제4차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한 후 라틴 제국이 세워지면서 설립되었다. 1261년 비잔틴 제국에 의해 라틴 제국이 멸망한 후 명목상의 직함으로 유지되다가, 1314년 네그로폰테 주교좌와 통합되었다. 이후 1964년 교황 바오로 6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에큐메니칼 총대주교 아테나고라스 1세의 만남 이후 동방 교회와의 화해를 위해 폐지되었다. 현재는 이스탄불 교황 대리구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탄불의 문화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제49회 대회로, 준결승전 도입, 36개국 참가, 우크라이나의 루슬라나 우승, 새로운 로고 사용, "같은 하늘 아래" 슬로건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이스탄불의 문화 - 이스탄불의 소리
이스탄불의 소리는 할룩 빌기너, 메흐멧 쿠르툴루쉬, 데프네 할만 등의 배우들이 출연하고, Cahit Berkay, Erkan Oğur, Mercan Dede 등의 아티스트 음악이 사운드트랙으로 사용된 영화의 배우와 사운드트랙 정보를 제공하는 위키 페이지입니다. - 동서 교회의 분열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동서 교회의 분열 - 피렌체 공의회
피렌체 공의회는 동서 교회의 재결합을 목표로 1438년 페라라에서 시작하여 1439년 피렌체로 이전되었으나, 신학적 쟁점과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실질적인 연합은 이루지 못했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한 비잔티움 학자들의 유입과 교황의 권위 및 교회 개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문화적 영향을 남겼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 | |
---|---|
개요 | |
이름 |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 |
관할 구역 | 콘스탄티노폴리스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의례 | 라틴 전례 |
설립 | 1204년 |
해체 | 1964년 |
역사 | |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 1204년 |
총대주교좌 설립 | 제4차 십자군 원정 이후 |
총대주교 임명 | 베네치아 공화국 출신 |
콘스탄티노폴리스 재함락 | 1261년 |
총대주교좌 이전 | 로마로 이전 (명목상 유지) |
총대주교좌 폐지 | 1964년 폐지 |
역대 총대주교 | |
초대 총대주교 | 토마소 모로시니 |
마지막 총대주교 | 안젤로 주세페 로니칼리 (나중에 교황 요한 23세) |
추가 정보 | |
관련 사건 | 동서 교회 분열 |
관련 인물 | 교황 인노첸시오 3세 |
2. 역사적 배경
중세 초기 기독교 세계에는 로마의 로마 주교 ( "총대주교" 칭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 등 다섯 명의 총대주교가 있었다.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구는 종종 대립했으며, 그리스 교회와 라틴 교회 전체는 정치적, 교회 문제에서 갈등을 겪었다. 이러한 갈등은 복잡한 문화적 흐름에서 비롯되었으며, 1054년 동서 분열로 이어져 그리스 동방 교회와 라틴 서방 교회 사이의 심각한 단절을 초래했다.[1] 이후 1204년 제4차 십자군 원정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라틴 총대주교가 세워지는 등 여러 사건들이 발생했다.
2. 1. 초기 기독교와 동서 분열
중세 초기에 기독교에는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의 다섯 총대주교가 있었다.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구는 종종 대립했으며, 이는 1054년 동서 분열로 이어져 그리스 동방 교회와 라틴 서방 교회 사이의 심각한 단절을 초래했다.[1]1204년 제4차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약탈하여 라틴 제국을 세웠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처음에는 십자군에 반대했지만,[2] 십자군과 함께 온 가톨릭 성직자들이 세운 라틴 총대주교좌를 받아들였다. 교황은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라틴 교구를 인정했고, 정교회 주교들에게 교황에게 충성할 것을 요구했다.[3]
12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라틴 제국은 비잔틴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4] 이후 라틴 총대주교는 서방에 거주했지만, 라틴 그리스 지역의 라틴 가톨릭 교구를 감독했다. 리옹 회의 (1274) 이후 요한 베코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그리스 가톨릭 총대주교로 임명되었지만, 이는 라틴 총대주교의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282년 그리스 가톨릭 총대주교는 동방 정교회에 의해 폐위되어 단명한 연합이 끝났다.
1314년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총대주교좌를 네그로폰테 (칼키스)의 주교좌와 통합하여 총대주교가 그리스 땅에 영토 교구를 갖고 라틴 성직자의 수장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했다.
2. 2. 제4차 십자군과 라틴 제국
제4차 십자군은 1204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약탈하여 라틴 제국을 세웠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처음에 십자군에 반대했지만, 십자군과 함께 온 가톨릭 성직자들이 세운 라틴 총대주교좌를 받아들였다. 이는 이전에 성지의 십자군 국가에 세워진 라틴 총대주교좌와 유사했다. 교황은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라틴 교구를 인정했으며, 그 자리에 남겨진 정교회 주교들은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했다.[3]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라틴 제국은 1261년에 비잔틴 제국에 의해 패배하고 몰락했다. 그 이후 라틴 총대주교 판탈레오네 주스티니아니 (1286년 사망)는 서방에 거주했지만, 라틴 그리스의 여러 지역에 남아 있는 라틴 가톨릭 교구를 계속 감독했다.[4] 앙주 백작 샤를 1세의 야심으로 옹호된 라틴 제국을 복원하려는 가톨릭 십자군의 지속적인 위협은 비잔틴 측에서 교회의 연합을 시도하게 했다. 리옹 회의 (1274) 이후, 요한 베코스는 1275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그리스 가톨릭 총대주교로 임명되었지만, 이는 판탈레오네 주스티니아니의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3. 라틴 총대주교구의 설립과 몰락
중세 초기 기독교 세계에는 다섯 명의 총대주교가 있었는데, 로마의 로마 주교(그는 "총대주교"라는 칭호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 순이었다.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구는 종종 대립했으며, 그리스 교회와 라틴 교회 전체는 정치적, 교회 문제에서 갈등을 겪었다. 이러한 갈등은 복잡한 문화적 흐름에서 비롯되었으며, 1054년 동서 분열로 이어져 그리스 동방 교회와 라틴 서방 교회 사이의 심각한 단절을 초래했다.[1]
1204년 제4차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약탈하여 라틴 제국을 세웠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처음에 십자군에 반대했지만,[2] 십자군과 함께 온 가톨릭 성직자들이 세운 라틴 총대주교좌를 받아들였다. 이는 성지의 십자군 국가에 세워진 라틴 총대주교좌와 유사했다. 교황은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라틴 교구를 인정하고, 정교회 주교들에게 교황에 대한 충성을 요구했다.[3]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라틴 제국은 1261년 비잔틴에 의해 패배하고 몰락했다. 이후 라틴 총대주교 판탈레오네 주스티니아니는 서방에 거주했지만, 라틴 그리스 지역의 라틴 가톨릭 교구를 계속 감독했다.[4] 앙주 백작 샤를 1세의 야심으로 라틴 제국을 복원하려는 가톨릭 십자군의 위협은 비잔틴 측에서 교회의 연합을 시도하게 했다. 리옹 회의 (1274) 이후 요한 베코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그리스 가톨릭 총대주교로 임명되었지만, 판탈레오네 주스티니아니의 지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282년 요한 베코스는 동방 정교회에 의해 폐위되었고, 단명한 연합은 끝났다. 1286년 피에트로 코레르가 판탈레오네 주스티니아니의 뒤를 이어 라틴 총대주교가 되었다.
1314년 2월 8일,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총대주교좌를 네그로폰테 (칼키스)의 주교좌와 통합하여, 총대주교는 다시 그리스 땅에 영토 교구를 두고 라틴 그리스에 남은 라틴 성직자의 수장으로서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경쟁 교황의 지지자 또는 후원자들이 경쟁자로 나타나면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라는 칭호는 1378년부터 1423년까지 혼란을 겪었다. 그 후 이 직책은 명예 칭호로 유지되었고, 1964년 1월 알렉산드리아 라틴 총대주교와 안티오크의 칭호와 함께 폐지되었다.[5] 이는 교황 바오로 6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에큐메니칼 총대주교 아테나고라스 1세와 만난 후 (교황 바오로 6세와 에큐메니즘 참조) 라틴 교회가 동방 교회와의 화해에 더 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6]
3.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 목록
이름 | 재임 기간 |
---|---|
토마소 모로시니 | 1204년–1211년 |
공석 | 1211년–1215년 |
제르바시오 | 1215년–1219년 |
공석 | 1219년–1221년 |
마테오 | 1221년–1226년 |
장 알그랭 | 1226년 (사임) |
시몽 드 모고스텔 | 1227년–1233년 |
공석 | 1233년–1234년 |
니콜로 비스콘티 다 카스트로 아르콰토 | 1234년–1251년 |
공석 | 1251년–1253년 |
판탈레오네 주스티니아니 | 1253년–1286년 (1261년 이후 서방에 거주) |
피에트로 코레르 | 1286년–1302년 |
레오나르도 팔리에로 | 1302년–1305년경 |
테베의 니콜라스 | 1308년경–1335년경 (1332년–1335년 추기경) |
고치오 바타글리아|고치오 바타글리아la | 1335년–1339년 |
롤란도 다스티 | 1339년 (즉사) |
엔리코 다스티 | 1339년–1345년 (네그로폰테 주교) |
스테파노 | 1346년 |
윌리엄 | 1346년–1364년 |
피에르 토마 | 1364년–1366년 |
바오로 | 1366년–1370년 |
우골리노 말라브란카 데 오르비에토 | 1371년–1375년경 (리미니 주교) |
자코모 다 이트리|자코모 다 이트리it | 1376년–1378년 (오트란토 대주교) |
파울루스 팔레올로고스 타가리스 | 1379년/80년–1384년 |
공석 | 1384년–1390년 |
안젤로 코레르 | 1390년–1405년 (이후 교황 그레고리오 12세) |
루이 | 1406년–1408년 |
안토니오 코레르 | 1408년 |
알폰소 | 1408년 |
프란체스코 란도 | 1409년 (그라도의 총대주교) |
조반니 콘타리니 | 1409년–1412년경 |
장 드 라 로슈타예 | 1412년–1423년 |
조반니 콘타리니 | 1424년–1430년? (복직) |
프랑수아 드 콘지에 | 1430년–1432년 |
공석 | 1432년–1438년 |
프란체스코 콘둘메르 | 1438년–1453년 |
그레고리오 마마스 | 1453년–1458년 (이전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그레고리오 3세) |
키예프의 이시도르 | 1458년–1462년 |
바사리온 | 1463년–1472년 |
피에트로 리아리오 | 1472년–1474년 |
지로라모 란도 | 1474년–1496년경 (크레타 대주교) |
조반니 미키엘 | 1497년–1503년 (베로나 주교, 이후 추기경) |
후안 데 보르하 란솔 데 로마니, 엘 마요르 | 1503년 |
프란시스코 갈세란 데 요리스 이 데 보르하 | 1503년–1506년 |
마르코 코르나로 | 1506년–1507년 |
타마스 바코치 | 1507년–1521년 |
마르코 코르나로 | 1521년–1524년 (복직) |
비테르보의 질|비테르보의 질la | 1524년–1530년 (추기경 주교 비테르보) |
프란체스코 페사로 | 1530년–1545년 (자다르 대주교) |
마리노 그리마니 | 1545년–1546년 |
라누치오 파르네세 | 1546년–1550년 |
파비오 콜론나|파비오 콜론나la | 1550년–1554년 (아베르사 주교) |
라누치오 파르네세 | 1554년–1565년 (복직) |
스피오네 레비바 | 1565년–1573년 (추기경 주교 알바노) |
프로스페로 레비바 | 1573년–1593년 (트로이아 주교) |
실비오 사벨리 | 1594년–1596년 |
에르콜레 타소니 | 1596년–1597년 |
보니파치오 베빌라쿠아 알도브란디니 | 1598년–1627년? |
보나벤투라 세쿠시오|보나벤투라 세쿠시오la | 1599년–1618년 |
아스카니오 제수알도 | 1618년–1638년 |
프란체스코 마리아 마키아벨리 | 1640년–1641년 |
조반니 자코모 판치롤리 | 1641년–1643년 |
조반니 바티스타 스파다 | 1643년–1675년? |
볼룸니오 반델리니 | 1658년–1660년 (이후 추기경) |
스테파노 우골리니 | 1667년–1681년 |
오도아르도 치보 (키보) | 1689년–1706년? (셀레우키아의 명목 대주교) |
루이지 피코 델라 미란돌라 | 1706년–1712년 |
안드레아 리지오 | 1716년–1717년 |
카밀로 치보 (키보) | 1718년–1729년 |
몬딜로 오르시니 | 1729년–1751년 |
페르디난도 마리아 데 로시 | 1751년–1759년 |
필리포 카우치 | 1760년–1771년 |
후안 포르투갈 데 라 푸에블라 | 1771년–1781년 (이후 추기경) |
프란체스코 안토니오 마르쿠치 | 1781년–1798년 |
베네데토 페나야 | 1805년–1823년 |
주세페 델라 포르타 로디아니 | 1823년–1835년 |
추기경 조반니 소글리아 체로니 | 1835년–1839년 |
안토니오 마리아 트라베르시 | 1839년–1842년 |
조반니 자코모 시니발디 | 1843년 |
추기경 파비오 마리아 아스퀴니 | 1844년–1845년 |
조반니 주세페 카날리 | 1845년–1851년 |
도메니코 루치아르디 | 1851년–1860년 |
주세페 멜키아데 페를리시 | 1860년–1865년 |
루제로 루이지 에미디오 안티치 마테이 | 1866년–1878년 |
자코모 갈로 | 1878년–1881년 |
공석 | 1881년–1887년 |
줄리오 렌티 | 1887년–1895년 |
추기경 조반니 바티스타 카살리 델 드라고 | 1895년–1899년 |
추기경 알레산드로 산미니아텔리 자바렐라 | 1899년–1901년 |
추기경 카를로 노첼라 | 1901년–1903년 (1908년 사망, 전 안티오키아의 라틴 총대주교) |
주세페 체페텔리 | 1903년–1917년 |
공석 | 1917년–1923년 |
미켈레 제차 디 자포네타 | 1923년–1927년 |
안토니오 아나스타시오 로시 | 1927년–1948년 |
공석 | 1948년–1964년 (라틴 명목 총대주교 폐지) |
4. 라틴 총대주교구의 폐지와 현재
1204년 제4차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약탈한 후 라틴 제국이 세워졌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처음에는 십자군에 반대했지만, 십자군과 함께 온 가톨릭 성직자들이 세운 라틴 총대주교좌를 받아들였다.[1][2]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라틴 교구가 인정되었고, 정교회 주교들은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했다.[3]
그러나 12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라틴 제국은 비잔틴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이후 라틴 총대주교는 서방에 거주했지만, 라틴 그리스 지역의 라틴 가톨릭 교구를 계속 감독했다.[4] 리옹 회의 (1274) 이후, 요한 베코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그리스 가톨릭 총대주교로 임명되었지만, 이는 라틴 총대주교의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286년, 피에트로 코레르가 라틴 총대주교로 취임하면서, 이 직위는 명목상의 교구의 새로운 형태를 띠게 되었다.
1314년 2월 8일,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총대주교좌를 네그로폰테 (칼키스)의 주교좌와 통합하여, 총대주교가 다시 그리스 땅에 영토 교구를 갖게 되었다. 한동안 경쟁 교황의 지지자들이 경쟁자로 나타나기도 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라는 칭호는 1423년까지 경쟁자가 있었고, 그 후 명예 칭호로 유지되었다.
1948년 이후 이 직책은 공석이 되었고, 1964년 1월 알렉산드리아 라틴 총대주교와 안티오크의 칭호와 함께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5] 이는 교황 바오로 6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에큐메니칼 총대주교 아테나고라스 1세와 만난 후 이루어진 조치로, 라틴 교회가 동방 교회와의 화해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보여준다.[6]
이스탄불 교황 대리구 (1990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는 1742년부터 현재까지 존재해 왔다.
5. 평가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직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남아있지 않다.
참조
[1]
서적
Holy Warriors: A Modern History of the Crusades
Vintage Books
2009
[2]
서적
Memoirs or Chronicle of The Fourth Crusade and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
J.M. Dent
1908
[3]
서적
The Christian East and the Rise of the Papac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4
[4]
간행물
Giustinian, Pantaleonе
http://www.treccani.[...]
DBI
[5]
뉴스
Three Latin quriarchafes dropped, yearbook reveals
https://washingtondi[...]
2023-04-07
[6]
뉴스
The Term "privilege": A Textual Study of Its Meaning and Use in the 1983 Code of Canon Law
https://books.google[...]
Gregorian Biblical BookShop
2020-06-05
[7]
웹사이트
Constantinople (Titular See)
http://www.catholic-[...]
2016-03-24
[8]
웹사이트
Titular Patriarchal See of Constantinople
http://www.gcatholic[...]
2016-03-24
[9]
서적
History of the Venetian republic: her rise, her greatness, and her civilisation, Vol. IV.
https://archive.org/[...]
Smith, Elder and Co., 65, Cornhill
[10]
웹사이트
Patriarch Bonaventura Secusio, O.F.M. Obs.
http://www.catholic-[...]
2016-09-30
[11]
웹사이트
Patriarch Ascanio Gesualdo
http://www.catholic-[...]
2016-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