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우키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레우키아는 기원전 305년경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건설한 도시로,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였다. 티그리스 강변에 위치하여 '티그리스 강변의 셀레우키아'라고도 불렸으며, 헬레니즘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파르티아 시대에는 서부의 중심 도시였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지만, 사산 왕조 시대에 베흐-아르다시르라는 새로운 도시가 건설되면서 쇠퇴했다. 셀레우키아는 그리스인과 바빌로니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헬레니즘과 메소포타미아 건축 양식이 혼재된 흔적이 발견되었다.
셀레우키아(Σελεύκεια|셀레우케이아grc)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티그리스강의 이름을 따서 Seleucia ad Tigridemla라고도 불렸다.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기원전 305년경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로 삼으면서 셀레우키아를 건설했다.[2][3][4] 셀레우키아라는 이름은 셀레우코스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같은 이름의 도시들 중에서 가장 크고 중요했다. 티그리스강의 이름을 따서 '티그리스 강변의 셀레우키아'라고 불리기도 했다.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 셀레우키아에는 그리스인, 마케도니아인, 바빌로니아인 등이 거주했다. 폴리비우스는 셀레우키아의 의회를 위해 마케도니아어 ''peliganes''를 사용하는데, 이는 마케도니아 식민지를 의미한다. 파우사니아스는 셀레우코스가 그곳에 바빌론인들을 정착시켰다고 기록했다. 고고학적 발견은 그리스 문화가 아닌 대규모 인구의 존재를 뒷받침한다.
셀레우키아 유적지는 1920년대에 오피스를 찾던 고고학자들에 의해 재발견되었다.[6]
2. 명칭
동방 교회의 시노드 텍스트에서는 이 도시를 ܣܠܝܩ|살리크syr[1] 또는 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수도를 지칭할 때 때때로 ܡܚܘܙ̈ܐ|마호제syr)라고 언급했다.
사산 왕조는 동쪽 도시를 베흐아르다시르()라고 불렀고, 아랍인들은 바후라시르라고 불렀다.
3. 역사
동방 교회 시노드 텍스트에서는 이 도시를 ܣܠܝܩsyr[1] 또는 ܡܚܘܙ̈ܐsyr라고 불렀다. 사산 왕조는 동쪽 도시를 베흐아르다시르(ویهاردشیرfa)라고 불렀고, 아랍인들은 바후라시르라고 불렀다.
셀레우코스는 바빌론 주민 대부분을 셀레우키아로 강제 이주시켰다.[2]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에서 뻗어 나온 주요 운하의 합류점에 위치하여 두 강을 통해 유입되는 교통을 수용할 수 있었다. 기원전 3세기와 2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와 함께 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도시 인구는 초기에는 10만 명이 넘었고, 이후 더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변 지역은 50만 명의 인구를 부양했을 수 있다.
기원전 141년, 파르티아의 미트라다테스 1세가 셀레우키아를 정복하면서 파르티아 제국의 서부 수도가 되었다.[5] 타키투스는 셀레우키아가 파르티아 지배 하에서도 헬레니즘 도시로 남아 있었다고 기록했다.
117년, 로마 제국 황제 트라야누스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하면서 셀레우키아를 불태웠으나,[5] 이듬해 하드리아누스는 셀레우키아를 파르티아인들에게 반환했고, 도시는 파르티아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65년 로마 장군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에 의해 셀레우키아는 완전히 파괴되었다.[5]
이후 셀레우키아는 티그리스 강의 유로 변화로 인해 버려진 것으로 추정된다.[4]
3. 1.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
셀레우코스 1세는 바빌론 주민 대부분을 셀레우키아로 강제 이주시켰다.[2] 기원전 3세기와 2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와 함께 헬레니즘 문화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도시의 인구는 초기에는 10만 명이 넘었고, 이후 더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 지역은 50만 명의 인구를 부양했을 수 있다.
폴리비오스(5,52ff)는 셀레우키아 의회가 마케도니아어 ''peliganes''를 사용했는데, 이는 마케도니아 식민지를 의미한다고 기록했다. 파우사니아스([https://www.perseus.tufts.edu/cgi-bin/ptext?lookup=Paus.+1.16.3 1,16])는 셀레우코스가 그곳에 바빌론인들을 정착시켰다고 기록한다. 고고학적 발견은 그리스 문화가 아닌 대규모 인구의 존재를 뒷받침한다.
3. 2. 파르티아 시대
기원전 141년, 파르티아의 미트라다테스 1세가 셀레우키아를 정복하면서 파르티아 제국의 서부 수도가 되었다.[5] 타키투스는 셀레우키아가 파르티아 지배 하에서도 헬레니즘 도시로 남아 있었다고 기록했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셀레우키아는 6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대도시였으며, 300명으로 구성된 원로원이 통치했다. 당시 셀레우키아는 로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다음으로 큰 도시였다.
기원전 55년, 셀레우키아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는 아르사케스 왕조 왕위 계승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루스 가비니우스의 로마 군대 지원을 받은 미트라다테스 3세와 이전에 폐위된 오로데스 2세 사이의 전투에서 미트라다테스 3세가 패배하면서 오로데스 2세가 다시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41년, 셀레우키아에서는 약 5,000명의 바빌론 유대인 난민이 학살되었다.[5]
3. 3. 로마 제국 시대
117년, 로마 제국 황제 트라야누스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하면서 셀레우키아를 불태웠다.[5] 그러나 이듬해 트라야누스의 후임자인 하드리아누스는 셀레우키아를 파르티아인들에게 반환했고, 도시는 파르티아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65년 로마 장군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에 의해 셀레우키아는 완전히 파괴되었다.[5]
3. 4. 사산 왕조 시대
60여 년 후, 페르시아의 황제 아르다시르 1세가 강 건너편에 새로운 도시 ''베흐-아르다시르''를 건설했다. 이 새로운 도시는 오랫동안 셀레우키아에 위치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탈리아의 발굴 조사를 통해 셀레우키아와 크테시폰과는 별개의 새로운 건축물임이 밝혀졌다. 1세기부터 메소포타미아에는 활발한 기독교 교회가 있었으며, 3세기 또는 4세기에 셀레우키아는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페르시아 사산 왕 야즈데게르드 1세의 관용칙령 이후, 70년 동안 지속되었던 기독교인 박해가 일시적으로 종식되었고, 남은 기독교인들은 교회를 재조직하고 강화하기 시작했다.[1]
셀레우키아-크테시폰 공의회(마르 아이작 시노드)는 410년에 마르 아이작,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주교의 주재 하에 열렸다.[2] 이 시노드의 가장 중요한 결정은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주교를 동방 교회의 수장으로 선포하고, '가톨리코스'라는 칭호를 부여한 것이었다.[2] 시노드는 마르 아이작을 모든 오리엔트의 가톨리코스이자 대주교로 확정하고, 니케아 공의회의 결정에 따르기로 선언하고 니케아 신경에 서명했다.[2] 시노드의 법규는 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위대한 대주교, 가톨리코스의 권위에 대해 의심의 여지를 남기지 않았으며, 그의 승인 없이는 어떤 주교 선출도 유효하지 않았다.[2]
야즈데게르드 1세 통치 말엽인 420년에 기독교인들은 다시 박해를 받았다.[3] 421년에 가톨리코스로 선출된 다드예슈는 박해를 받던 중 고통을 겪고 투옥되었다.[3] 석방된 그는 사임하고 셀레우키아를 떠났지만, 교회는 사임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424년 마르 다드예슈의 주재 하에 아랍의 마르카바타에서 다드예슈 시노드가 열렸다.[3] 이 시노드는 모든 페르시아 시노드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410년 아이작의 첫 번째 시노드가 셀레우키아 크테시폰의 가톨리코스가 동방의 주교들 중에서 최고가 되어야 한다고 결정한 것을 재확인했다.[3] 다드예슈 시노드는 가톨리코스가 동방 교회의 유일한 수장이 되어야 하며 그 위에 어떤 교회 권위도 인정받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했다.[3] 이 시노드는 처음으로 가톨리코스를 총대주교라고 칭했으며, 그들의 가톨리코스는 오직 하느님에게만 답변해야 했다.[3] 이것은 페르시아 기독교인들이 로마의 적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산 왕조에 안심시키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3]
이 도시는 결국 잊혀지고 사막 모래에 묻혀 갔으며, 아마도 티그리스 강이 흐름을 바꾸면서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4]
4. 주민과 사회
민회에 의해 통치되는 그리스인 공동체와는 별도로 폴리테우마(자치체)라고 불리는 바빌로니아인만의 독자적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양측은 기본적으로 별개의 권력 기구로서 존속했다.
파르티아 시대에도 그리스인과 바빌로니아인 간의 권력 투쟁이 지속되었으며, 이는 셀레우키아 대반란으로 그리스인의 지위가 약화될 때까지 이어졌다. 그리스인은 바빌로니아인과의 대립에서 대체로 우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의 의향을 무시하고 행동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5. 고고학적 발굴
1927년부터 미시간 대학교의 르로이 워터맨(1927-1932)과 클라크 홉킨스(1936-1937) 교수가 켈시 고고학 박물관을 위해 발굴을 감독했으며, 이는 바그다드 미국 동양 연구 학교를 대리하여 톨레도 미술관과 클리블랜드 미술관에서 기금을 지원받아 이루어졌다.[7][8][9]
1964년부터 1968년까지, 그리고 1985년에서 1989년까지 토리노 대학교의 안토니오 인베르니치와 조르지오 굴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 조사단이 유적을 발굴했다.
발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건축물에는 그리스식과 메소포타미아 건축 양식이 모두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발굴물로부터 다수의 비(非)그리스인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Seleucia-Ctesiphon — ܣܠܝܩ ܘܩܛܝܣܦܘܢ
http://syriaca.org/p[...]
The Syriac Gazetteer
2016-05-25
[2]
서적
Histoire des Se'leucides II
Paris
1914
[3]
서적
Griechische Geschichte IV i
Berlin
1923
[4]
논문
The Foundation Date of Seleucia-on-the-Tigris
1978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edu
http://www.umich.edu[...]
2005-12-10
[7]
서적
Preliminary Report upon the Excavations at Tel Umar Iraq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31
[8]
서적
Second Preliminary Report upon the Excavations at Tel Umar Iraq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33
[9]
간행물
Material from Seleucia
1933
[10]
간행물
Professor Waterman’s Work at Seleucia
1929
[11]
간행물
First Report of the Results of the First Excavation Campaign at Seleucia and Ctesiphon: 1st oct. – 17th dec. 1964
1964
[12]
간행물
First Preliminary Report of Excavations at Seleucia and Ctesiphon. Season 1964
1966
[13]
간행물
Second Preliminary Report of Excavations at Seleucia and Ctesiphon. Season 1965
1967
[14]
간행물
Third Preliminary Report of Excavations at Seleucia and Ctesiphon. Season 1966
1968–69
[15]
간행물
Fifth Preliminary Report of Excavations at Seleucia and Ctesiphon. Season 1969
1960–71
[16]
간행물
Sixth Preliminary Report of Excavations at Seleucia and Ctesiphon. Seasons 1972/74
1973–74
[17]
간행물
Seventh Preliminary Report of Excavations at Seleucia and Ctesiphon. Seasons 1975/76
1977
[18]
간행물
The Excavations at the Archives Building
1972
[19]
간행물
The Excavations at the Archives Building
1973–74
[20]
웹사이트
고대 그리스어에서 현대 그리스어에의 발음의 변천
https://ir.lib.hiros[...]
2015-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