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인노첸시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노첸시오 3세는 1198년부터 1216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이탈리아 가비냐노 출신으로, 추기경 시절 《인간 상태의 비참함에 대하여》 등 여러 저서를 저술했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 교황령의 권위를 재확립하고 강력한 교황권을 행사하며 유럽 정치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제4차 십자군을 주도하고, 알비 십자군을 통해 이단을 탄압했으며,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를 소집하여 가톨릭 교회를 개혁했다. 또한, 프란치스코회를 승인하는 등 종교 정책을 펼쳤다. 1216년 페루자에서 사망했으며, 미국 하원 갤러리에 그의 초상이 묘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비 십자군 관련자 - 루이 8세
    루이 8세는 필리프 2세의 아들로 1223년부터 1226년까지 프랑스 왕으로 재위하며 잉글랜드 침공과 알비 십자군을 지원하고 푸아투를 점령했으며, 몽팡시에 성에서 이질로 사망했다.
  • 알비 십자군 관련자 -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는 13세기 유럽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프랑스 출신 귀족으로, 십자군 참여와 알비 십자군 총사령관으로서 종교 재판을 통해 이단을 탄압했으며 잉글랜드 의회 발전에 기여했지만 폭력적인 면모도 보인 논쟁적인 인물이다.
  • 1160년대 출생 - 알베릭 클레망
    알베릭 클레망은 12세기 후반~13세기 초 프랑스의 귀족이자 군인으로, 1182년 메즈 영주가 되었고 1190년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어 제3차 십자군 전쟁에 참전, 아크레 공방전에서 전사했다.
  • 1160년대 출생 - 후지와라노 이시 (마쓰도노 모토후사의 딸)
    후지와라노 이시는 섭정 마쓰도노 모토후사의 딸로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와 정략결혼 후 비극적인 삶을 살았으며 미나모토노 미치치카의 측실이 되어 도겐을 낳았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인노첸시오 3세 (수비아코 수도원)
년경 클로이스터 사크로 스페코의 프레스코 세부 묘사
로마 교황교황 인노첸시오 3세
직함로마 주교
재임 시작1198년 1월 8일
재임 종료1216년 7월 16일
이전 교황첼레스티노 3세
다음 교황호노리오 3세
서품1198년 2월 21일
축성1198년 2월 22일
축성자오타비아노 디 파올리
추기경 임명1190년 9월
추기경 임명자클레멘스 3세
본명로타리오 데이 콘티 디 세니
출생일1161년 2월 22일
출생지가비냐노, 교황령
국적이탈리아
부모트라시문트 세니 백작과 클라리치아 스코티
사망일1216년 7월 16일
사망지페루자, 교황령
문장C o a Inocentius III.png
성직 경력
이전 직책성 조르지오 인 벨라브로와 성 세르지오와 바코의 부제급 추기경(1190–1191)
성 푸덴치아나의 사제급 추기경(1191–1198)
주교 서임
주교 1라이날드 노체라
주교 서임 날짜 11198년 3월
주교 2아데마르 드 페이라트
주교 서임 날짜 21198년 4월 7일
주교 3존 레이글린
주교 서임 날짜 31198년 9월 18일
주교 4모거 우스터
주교 서임 날짜 41200년 6월 4일
주교 5에크베르트 폰 안데흐스-메라니엔
주교 6알베르트 론기
주교 서임 날짜 61203년 6월 22일
주교 7말라키아스 리스모어
주교 서임 날짜 71203년 11월 5일
주교 8토마소 모르시니
주교 서임 날짜 81205년 3월 27일
주교 9피터 데 로슈
주교 서임 날짜 91205년 9월 25일
주교 10알브레히트 데 케벤부르크
주교 서임 날짜 101206년 12월 24일
주교 11기욤 아마네비
주교 서임 날짜 111207년
주교 12안텔름 드 파트레 베테레스
주교 서임 날짜 121207년 4월 29일
주교 13스티븐 랭턴
주교 서임 날짜 131207년 6월 17일
주교 14제라르 드 크로
주교 서임 날짜 141209년
주교 15안드레아 데 첼라노
주교 서임 날짜 151214년
주교 16필리포 트로이아
주교 서임 날짜 161214년 10월
주교 17크리스티안 프러시아
주교 서임 날짜 171215년
주교 18본필리 시에나
주교 서임 날짜 181216년 4월 10일
주교 19실베스터 에브셤
주교 서임 날짜 191216년 7월 3일

2. 생애 초기

이탈리아 중부 아나니 근교 가비냐노에서 태어났다.[43] 그레고리오 9세를 포함하여 9명의 교황을 배출한 콘티 가문 출신이다. 파리 대학교에서 신학을, 볼로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1190년에 추기경이 되었고, 1198년 1월 8일 37세의 나이로 교황에 선출되었다.[44]

2. 1. 출생과 가문

로타리오 데 콘티는 아나니 인근 가비냐노 출신이다.[78] 그의 아버지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 교황 알렉산데르 4세,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등 9명의 교황을 배출한 콘티 디 세니 가문 출신인 세니 백작 트라시문드이다. 로타리오는 교황 클레멘스 3세의 조카이며, 어머니 클라리치아 스코티 또한 로마 귀족 가문 출신이다.[48]

2. 2. 교육

로타리오 데 콘티는 어린 시절 로마에 있는 베네딕도회 산 안드레아 알 첼리오 수도원에서 공부하였다.[49] 이후 파리로 건너가 푸아티에의 피에르, 피사의 멜리오르, 코르베이의 피에르 등의 신학자들 밑에서 신학을 공부하였고,[50] 1187년에서 1189년 사이에는 볼로냐에서 법학을 공부하였다.[51]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가 교황이 되어 공의회 문헌들과 교령들을 통해 교회법을 정비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78]

2. 3. 추기경 시절

로타리오 데 콘티는 아나니 인근 가비냐노 출신이다.[78] 그의 아버지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 교황 알렉산데르 4세,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등을 포함해 9명의 교황을 배출한 명망 높은 콘디 디 세니 가문의 일족인 세니 백작 트라시문드였다. 로타리오는 교황 클레멘스 3세의 조카였다. 그의 어머니 클라리치아 스코티 역시 로마 귀족 가문 출신이다.[48]

로타리오는 어린 시절에 로마에 있는 베네딕도회의 산 안드레아 알 첼리오 수도원에서 공부하였다.[49] 파리로 건너가 푸아티에의 피에르, 피사의 멜리오르, 코르베이의 피에르 등의 신학자들 밑에서 신학을 공부했고,[50] 1187년에서 1189년 동안 볼로냐에서 법학을 공부하였다.[51]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가 교황이 되어서 공의회 문헌들과 교령들을 통해 교회법을 정비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78]

1181년 8월 30일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선종하자 로타리오는 로마로 돌아와 교황 루치오 3세, 교황 우르바노 3세, 교황 그레고리오 8세, 교황 클레멘스 3세 밑에서 여러 요직을 두루 거치다가 1190년에 부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추기경 시절 로타리오는 《인간 상태의 비참함에 대하여》(De miseria humanae conditionis)라는 책을 저술하였다.[52] 이 책은 수덕 신학에 관한 것으로 수세기 동안 베스트셀러로서 700권 이상 필사본이 만들어졌다.[53] 당초 바르톨로메오 파키오가 쓴 《인간 본성의 존엄성》을 보완하기 위해 쓴 글은 아니었지만, 《De excellentia ac praestantia hominis》라는 책도 집필하였다.[54] 그리고 《제대의 신비》(De Sacro Altaris Mysterio)라는 제목의 전례 해설서도 저술하였다.[55]

3. 교황 선출

1198년 1월 8일 첼레스티노 3세가 선종하였다. 그는 선종하기 전에 추기경단에게 조반니 디 산 파올로를 후임자로 선출하라고 권고했지만, 첼레스티노 3세가 선종한 바로 다음 날 로타리오가 선거에서 불과 두 번의 투표 끝에 만장일치로 선출되었다. 교황으로 선출되었을 당시 그의 나이는 불과 37세였다.[78] 아마도 그는 교황 인노첸시오 2세(1130-1143)의 뜻을 이어받는다는 의미에서 인노첸시오 3세라는 이름을 채택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인노첸시오 2세는 (첼레스티노 3세와는 대조적으로) 교황의 권위가 황제의 권위보다 더 높다고 주장하였다.[56]

4. 교황권 재확립과 행사

인노첸시오 3세의 날인


인노첸시오 3세는 교황으로서 책임감과 권위를 강하게 의식하며 통치를 시작했다. 유능한 인재를 성직자로 등용하여 교황청을 개혁하고, 교황령 내 교황의 권위를 재확립했다. 법령 반포, 서한 발송, 교회법 학자 지원 등 다방면으로 노력했다.[78]

1187년 예루살렘 함락을 기독교 군주들의 타락에 대한 신의 심판으로 여긴 그는, 세속 군주의 주교 임명 간섭이나 교황령 침해를 금지하며 교회의 자유를 수호하고자 했다. 당시 교황령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호엔슈타우펜 왕조 출신 독일 왕들의 위협을 받았는데, 하인리히 6세는 아들 프리드리히 2세에게 독일, 이탈리아, 시칠리아를 모두 물려주려 해 교황령에 큰 위협이 되었다.[78]

하인리히 6세 사후, 아들 프리드리히 2세가 왕위에 올랐다. 하인리히 6세의 부인 콘스탄체는 아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시칠리아를 다스리며 독일의 영향력을 몰아내려 했다. 1198년 콘스탄체는 인노첸시오 3세를 아들의 후견인으로 임명했고, 인노첸시오 3세는 하드리아노 4세가 굴리엘모 1세에게 넘겨준 시칠리아에 대한 교황의 권리를 되찾았다. 1198년 11월, 프리드리히 2세를 시칠리아 왕으로 임명하고, 1209년에는 프리드리히 2세와 헝가리 왕 임레의 미망인 간 결혼을 주선했다.[78]

인노첸시오 3세 시대에 교황권은 절정에 달했다.[58] 그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로, 왕들의 세속 권력을 존중하면서도 교황의 영적 권위가 절대적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속 권력이 교황을 통해 군주들에게 주어져, 군주들은 달이 태양의 빛을 받듯 교황에게 종속된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여러 나라 정치 문제에 간섭하며 교황의 권위를 서유럽 전체에 확립했다.

1198년, 토스카나의 아케르비우스 총독과 귀족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해와 달 이론을 지지했다.[11]

> 교황의 권위: 1198년 10월 30일 토스카나의 귀족 아케르부스에게 보낸 편지 《만물의 창조주처럼》(Sicut Universitatis Conditor)[59]

>

> 만물의 창조주이신 하느님께서 하늘에 두 개의 큰 빛, 즉 낮을 다스리는 더 큰 빛과 밤을 다스리는 더 작은 빛을 두셨듯이, 보편 교회의 하늘에도 두 개의 큰 권위, 즉 낮과 같이 영혼을 다스리는 교황의 권위와 밤과 같이 육신을 다스리는 왕의 권한을 두셨습니다. 달이 태양에게서 빛을 받고 크기, 질, 상태, 효과 면에서 태양보다 작은 것처럼, 왕의 권한은 교황의 권위에서 광채를 받습니다. 왕의 권한이 교황의 빛에 의존할수록 더 큰 빛으로 장식되고, 멀어질수록 광채를 잃게 됩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 사후, 호엔슈타우펜 왕조 지지자들은 1198년 3월 하인리히의 동생 슈바벤 공작 필립을, 반대자들은 벨프 가문의 오토를 왕으로 선출했다. 프랑스 왕 필리프 2세는 필립을,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는 조카 오토를 지지했다.[60]

인노첸시오 3세는 시칠리아와 신성 로마 제국 통합을 막고자[61] 1201년 오토 4세를 공개 지지했다.[62] 오토는 교황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겠다고 약속했다. 제국 혼란을 틈타 인노첸시오 3세는 하인리히 6세가 임명한 안코나, 스폴레토, 페루자 등의 영주들을 몰아냈다.[63] 1201년 7월 3일, 교황 특사 팔레스트리나의 귀도 추기경은 쾰른 대성당에서 오토 4세가 교황에게 로마왕으로 인정받았으며, 거부하는 자는 파문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인노첸시오 3세는 토스카나 도시들에 독일 황제에 맞서는 토스카나 동맹 참여를 권유, 동맹 도시들은 교황의 보호를 받았다.

1202년, 체링겐 공작에게 보낸 교령 《존경스러움》(Venerabilem)에서 황제는 교황이 세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령은 《교회법대전》(Corpus Juris Canonici)에 포함되어 유명해졌다.[64]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독일 제후들은 황제가 될 왕을 선출할 권한이 있다. 이 권한은 황제 지위가 그리스에서 카롤루스를 통해 독일인에게 넘어온 후 사도좌로부터 부여받았다.
  • 선출된 왕의 황제 자격 검토 및 결정은 교황의 권한이다. 교황은 황제 대관식을 집전, 축복, 제관 수여, 이단자/이교도 선언 및 파문을 할 수 있다.
  • 교황이 왕이 황제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면 제후들은 새 왕을 뽑아야 한다. 거부하면 교황은 교회를 지킬 다른 왕에게 황제 지위를 줄 수 있다.
  • 이중 선거 시 교황은 제후들에게 합의를 권고한다. 합의 실패 시 교황에게 중재를 요청해야 한다. 교황은 후보자의 자질만 보고 결정한다.[78]


오토는 필립이 개인적 갈등으로 살해될 때까지 권력을 잡지 못했다. 즉위 후 약속을 어기고 이탈리아 내 황제 권력을 행사하고 시칠리아 왕국에 대한 권리까지 주장했다. 독일과 시칠리아 통합을 막기 위해 인노첸시오 3세는 시칠리아 왕 프리드리히를 지지, 오토에 대항하고 호엔슈타우펜 왕조를 회복하게 했다.

1214년 7월 27일 부빈 전투에서 오토와 프리드리히의 충돌이 결판났다. 오토는 과 동맹을 맺었으나 프랑스군에 패배, 영향력을 잃었다. 1218년 5월 19일 오토 사망 후 프리드리히 2세가 황제로 인정받았다. 존 왕은 왕위를 지키기 위해 교황에게 충성 맹세, 왕국을 바친 후 봉토로 받고, 스티븐 랭튼을 캔터베리 대주교로 수용했다.[65]

인노첸시오 3세는 노르웨이,[66] 프랑스, 스웨덴, 불가리아, 스페인, 잉글랜드 등에도 정치 개입, 교황권 행사, 분쟁 조정을 했다. 존 왕의 요청으로 마그나 카르타를 무효 선언, 잉글랜드 귀족 봉기를 초래했다.[67] 레온의 알폰소 9세를 교회법 위반으로 파문, 베렝게라리아와 이혼시켰다. 1208년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와 우라카 결혼 무효화, 아라곤의 페드로 2세에게 왕국을 봉토로 받고 1204년 왕관을 씌웠다.[13]

1202년 아이유브 왕조 알 아딜 즉위 후 반격 조짐에 제4차 십자군을 제창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 해상 수송을 의존, 운송료 문제로 베네치아 이익 우선, 기독교 도시 자다르 약탈. 교황은 십자군 전체 파문, 십자군은 동로마 제국 제위 다툼 개입,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라틴 제국 건국. 인노첸시오는 동서 교회 통합 위해 라틴 제국 승인. 소년 십자군 비극도 이 시기 발생.

1208년 호엔슈타우펜가 필리프를 비텔스바흐가 오토 8세와 공모해 암살. 신성 로마 제국 제위 분쟁 개입, 벨프가 오토 4세 제위 승인. 오토 4세 이탈리아 남부 침략에 1210년 파문,[45] 프리드리히 2세 제위, 오토 4세 폐위. 잉글랜드 국왕 존과 캔터베리 대주교 선출 문제 대립, 1209년 존 파문. 존, 교황 용서 위해 잉글랜드 헌납. 프랑스 필리프 2세 이혼 문제로 프랑스 성무정지, 서유럽 국가에 교황권 우위 증명.

이베리아 반도 레콩키스타 부진에 기독교 국가 단결 촉구. 1212년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기독교 국가 승리, 이슬람 세력 우위. 1209년 프랑스 남부 알비파에 알비 십자군 파견, 탄압(1229년까지).[46] 1210년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와 회견, 프란체스코회 승인.

4. 1. 교황권 재확립

교황으로서 인노첸시오 3세는 자신의 책임감과 권위를 강하게 의식하며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유능한 인물들을 고위 성직자로 임명하여 교황청 행정부를 재구성했는데, 이는 교황령 내에서 교황의 권위를 재확립하기 위한 준비 단계였다.[78] 그의 단호한 행정 능력 덕분에 교황령은 안정을 찾았다. 인노첸시오 3세는 많은 법령을 반포하고 6천 통의 서한을 보내며 교회법 학자들을 장려했다.

1187년 무슬림이 예루살렘을 다시 정복한 사건을, 인노첸시오 3세는 도덕적으로 타락한 기독교 군주들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으로 보았다.[78] 그는 세속 군주들의 간섭으로부터 교회의 자유를 보호하고자 했으며, 특히 세속 군주들이 주교 선정에 관여하거나 교황령에 간섭하는 것을 금지했다.[78] 교황령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호엔슈타우펜 왕조 출신인 독일 왕들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는 아들 프리드리히 2세에게 독일, 이탈리아, 시칠리아를 모두 물려주려 했는데, 이는 교황령에 큰 위협이었다.[78]

하인리히 6세가 사망하고 어린 아들 프리드리히 2세가 왕위에 올랐다. 하인리히 6세의 미망인 콘스탄체는 아들이 성년이 될 때까지 시칠리아를 통치하며, 인노첸시오 3세처럼 독일의 영향력을 몰아내고자 했다. 1198년 콘스탄체가 사망하기 전, 인노첸시오 3세를 아들의 후견인으로 지명하면서, 인노첸시오 3세는 시칠리아에 대한 교황의 권리를 회복할 수 있었다.[78] 이 권리는 과거 교황 하드리아노 4세가 시칠리아 왕 굴리엘모 1세에게 양도했던 것이었다. 1198년 11월, 인노첸시오 3세는 어린 프리드리히 2세를 시칠리아 왕으로 추대하고, 1209년에는 프리드리히 2세와 헝가리 왕 임레의 미망인 간의 혼담을 주선하기도 했다.[78]

4. 2. 강력한 교황권 행사

인노첸시오 3세의 재임 기간 동안 교황의 권력은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다.[58] 그는 당시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로 여겨졌으며, 왕들의 세속적 권위를 존중하되 교황인 자신의 영적 권위의 절대적 우위를 주장하였다. 그는 모든 세속 권력이 교황을 통하여 군주들에게 위임되므로 군주들은 마치 달이 태양의 빛을 받는 것처럼 교황에게 예속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여러 나라들의 정치 문제에 관여함으로써 교황직을 서유럽을 완전히 장악하는 권위의 상징으로 만들었다.

1198년, 인노첸시오 3세는 토스카나의 아케르비우스 총독과 귀족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해와 달 이론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1]

>

교황의 권위: 1198년 10월 30일 토스카나의 귀족 아케르부스에게 보낸 편지 《만물의 창조주처럼》(Sicut Universitatis Conditor)[59]

> 만물의 창조주이신 하느님께서 하늘의 창공에 빛나는 두 개의 커다란 광채, 곧 낮을 지배하는 더 큰 광채와 밤을 지배하는 더 작은 광채를 두신 것과 같이, 그분께서는 하늘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보편 교회의 창공에 두 개의 커다란 영예직을 두셨으니, 더 큰 것은 낮과 같이 영혼을 지배하고, 더 작은 것은 밤과 같이 육신을 지배합니다. 이것들이 바로 교황의 권위와 왕의 권한입니다. 게다가 달은 그 빛을 태양으로부터 받고 실제로 크기와 질과 상태와 효과에서 태양보다 작은 것과 같이, 왕의 권한은 교황의 권위로부터 자신의 품위의 광채를 받습니다. 왕의 권한이 교황의 빛에 의존하면 할수록 더욱더 큰 빛으로 꾸며지고, 그 빛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더욱더 광채를 잃게 됩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가 사망한 후, 후계자 논쟁이 벌어졌다. 하인리히 6세의 아들 프리드리히 2세는 아직 어린아이였기 때문에 호엔슈타우펜 왕조 지지자들은 1198년 3월 하인리히의 동생 슈바벤 공작 필립을 왕으로 선출하였다. 반면에 호엔슈타우펜 왕조 반대자들은 벨프 가문의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오토를 선출하였다. 프랑스 왕 필리프 2세는 필립을 지지했으며,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는 자신의 조카인 오토를 지지했다.[60]

인노첸시오 3세는 시칠리아와 신성 로마 제국이 한 명의 군주 아래 통합되는 것을 막기로 하였다.[61] 1201년 그는 오토 4세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였는데, 그의 집안은 대대로 호엔슈타우펜 가문과 적대적인 관계였다.[62] 오토는 보답으로 인노첸시오 3세의 어떤 요구도 기꺼이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국이 혼란스러운 통에 인노첸시오 3세는 하인리히 6세가 임명한 안코나스폴레토, 페루자 등의 영주들을 몰아낼 수 있었다.[63] 1201년 7월 3일 교황 특사로 임명된 팔레스트리나의 귀도 추기경은 쾰른 대성당에서 사람들에게 오토 4세는 교황으로부터 로마왕으로 인정받았으며, 이를 수용하지 않고 거부하는 자는 파문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동시에 인노첸시오 3세는 토스카나 주 도시들에게 독일 황제의 이탈리아 지배에 맞서기 위한 토스카나 동맹에 참여하도록 권장하였다. 동맹에 참여한 도시들은 인노첸시오 3세의 보호 아래 들어갔다.

1202년 인노첸시오 3세는 체링겐 공작에게 교령 《존경스러움》(Venerabilem)을 보내 황제는 교황이 세우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교령은 유명해져서 나중에 《교회법대전》(Corpus Juris Canonici)을 통해 구체화되었는데,[64]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독일의 제후들은 나중에 황제가 될 왕을 선출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후들의 권리는 황제의 지위가 그리스에서 카롤루스를 기점으로 독일인들에게 옮겨진 이래 사도좌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다.
  • 고로 선출된 왕이 황제의 지위에 오를 자격이 있는지 검토하고 결정할 권리는 교황의 몫이다. 교황은 자신의 의무에 따라 황제의 대관식을 집전하여 그에게 도유하고, 축복하며, 제관을 씌울 수 있듯이 그를 이단자나 이교도로 선언하고 파문할 수 있다.
  • 만일 교황이 제후들이 선출한 왕이 황제의 지위에 걸맞지 않는 인물이라고 판단할 경우, 제후들은 새 왕을 선출해야 한다. 제후들이 이를 거부할 시 교황은 교회를 수호하는 또 다른 왕에게 황제의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 이중 선거의 경우, 교황은 제후들에게 서로 합의할 것을 권고해야 한다. 만일 제후들이 서로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그들은 교황에게 중재를 요청해야 한다. 교황은 자발적으로 자신의 권위를 행사하여 후보자들 중의 한 명을 지지해야 한다. 교황은 당리당략에 치우치지 않고 오로지 후보자의 자질만 보고 결정해야 한다.[78]


교황이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토는 필립이 나중에 개인적 다툼으로 인해 살해될 때까지 그를 쫓아내지 못했다. 자신의 등극을 이제 모두가 수용하자 오토는 과거 자신이 교황에게 했던 약속을 어기고 이탈리아 내에 황제의 권력을 다시 행사하기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시칠리아 왕국에 대한 권리까지 주장하였다. 독일과 시칠리아를 통합되어 황제의 권력이 더욱 막강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인노첸시오 3세는 새로 시칠리아의 왕 프리드리히를 지지하여 그로 하여금 오토에 대항하고 호엔슈타우펜 왕조를 회복하게 하였다. 프리드리히는 호엔슈타우펜 왕조 지지자들에 의해 정당하게 선출되었다.

오토와 프리드리히 양측의 충돌은 1214년 7월 27일 부빈 전투에서 결정되었다. 오토는 과거 그의 적대자였던 필립과 맞섰던 잉글랜드 왕 과 동맹을 맺었으나 프랑스군에 의해 패배하고 이후 모든 영향력을 상실했다. 그가 1218년 5월 19일 사망하자 프리드리히 2세가 모두에게 황제로 인정받았다. 한편 존 왕은 자신의 왕위를 유지하기 위해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자신의 왕국을 바치고 그것을 다시 봉토로 받아 다스리는 한편 스티븐 랭튼이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는 것을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었다.[65]

인노첸시오 3세는 노르웨이,[66] 프랑스, 스웨덴, 불가리아, 스페인, 잉글랜드에 대해서도 더욱 깊이 정치에 개입해 교황권을 적절히 행사하여 분쟁을 조정하였다. 잉글랜드의 존 왕의 요청에 따라 그는 마그나 카르타를 무효라고 선언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이 조치를 받아들이지 않은 잉글랜드 귀족들의 봉기를 초래하였다.[67] 그는 근친 결혼을 한 레온의 알폰소 9세를 교회법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파문하고, 베렝게라리아와 이혼시켰다. 그는 이와 비슷한 이유로 1208년 왕세자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와 우라카의 결혼을 무효화했다. 아라곤의 페드로 2세로부터 그는 그 왕국을 봉토로 받았고 1204년 로마에서 그에게 왕관을 씌워 왕으로 만들었다.[13]

1202년 아이유브 왕조에서 알 아딜이 즉위하여 반격의 조짐이 보이자, 제4차 십자군을 제창했다. 그러나 해상 수송을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존한 이 십자군은, 지불할 운송료를 마련하지 못해 베네치아 공화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고, 기독교도 도시인 자다르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이에 격분한 교황은 십자군 전체를 파문했지만, 이 십자군은 더 나아가 동로마 제국의 제위 다툼에 개입하여, 1204년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라틴 제국이 건국되는 결과를 초래했다(반세기 후에 동로마 제국은 부활했다). 동로마 제국 역시 기독교 국가이지만, 11세기 중반에 갈라진 동서 교회의 합동을 실현하기 위해, 인노첸시오는 라틴 제국을 승인했다. 소년 십자군의 비극이 일어난 것도 이 교황의 시대였다.

1208년 호엔슈타우펜가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필리프를 비텔스바흐가의 오토 8세와 짜고 암살했다. 당시 서유럽 국가에서는 십자군 원정에 따라 국내에서 계승 분쟁이 발발했고, 인노첸시오는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 계승 분쟁에 개입하여 벨프가의 오토 4세의 제위를 승인했지만, 후에 오토 4세가 이탈리아 남부에 침입하여 세력을 확대하려 하자 1210년파문했고[45], 프리드리히 2세를 제위에 앉히고 오토 4세를 폐위시켰다. 잉글랜드에서는 국왕 존과 캔터베리 대주교의 선출을 둘러싸고 대립했고, 1209년에 존을 파문했다. 후에 존은 교황의 용서를 얻기 위해 잉글랜드를 교황에게 헌상했다. 프랑스에서도 필리프 2세의 이혼 문제로 프랑스를 성무정지시키는 등, 서유럽 국가에 대해 왕권보다 교황권이 우위에 있음을 증명했다.

이베리아 반도에서 레콩키스타의 진행이 순조롭지 않자 기독교 국가에 단결을 촉구했다. 1212년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기독교 국가들이 무와히드 왕조에 대승을 거두었고, 이후 이슬람 세력에 대해 우위를 점했다. 1209년, 교황은 프랑스 남부의 알비파에 알비 십자군을 파견하여 탄압했다(이것은 사후인 1229년까지 지속되었다)[46]。 1210년에는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와 회견하여 프란체스코회를 승인했다.

5. 십자군과 이단 평정

인노첸시오 3세는 이단을 강력하게 반대하며 투쟁을 벌였다. 즉위 초반에 그는 프랑스 남서부에 널리 퍼져 있던 카타리파(알비파)를 주시하였다. 툴루즈 백작 등 지역 영주들의 지지를 받던 카타리파는 가톨릭 교회의 권위와 가르침을 거부하고 교회가 타락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교황은 교황 사절 피에르 드 카스텔뇨를 프랑스 현지에 파견해 영주들을 회유하려고 했으나, 1208년 피에르가 툴루즈 백작 레몽의 친구로 의심되는 이들에게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8] 인노첸시오 3세는 이를 교회에 대한 도전으로 보고 무력을 사용하기로 결정,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에게 카타리파 진압을 요청했다. 그리하여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의 지휘 아래 알비 십자군이 결성되었다.

인노첸시오 3세는 알비 십자군을 통해 카타리파를 평정하였다.


알비 십자군은 카타리파와 가톨릭 신자를 가리지 않고[68] 약 2만 명에 가까운 사람[68]을 학살하고 해당 지역을 프랑스 왕의 지배 아래 두었다. 이는 이단자들뿐만 아니라 툴루즈의 귀족들과 아라곤 연합왕국의 봉신들을 겨냥한 것이기도 했다. 영토 분쟁에 직접 연루되었던 페드로 2세는 1213년 뮈레 전투에서 사망했다. 1229년 파리 조약이 체결되면서 분쟁은 끝이 났다.

인노첸시오 3세는 교황으로서 자신의 재위기간 대부분을 거룩한 땅을 되찾기 위한 십자군 원정을 준비하는데 보냈다. 그의 첫 번째 시도는 1198년에 선포된 제4차 십자군(1202-1204)이다.[69][70] 인노첸시오 3세는 십자군 원정에 관심을 보이는 세속 지도자들이 참여하도록 하던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십자군을 조직하고 싶었다.[68]

십자군을 준비하기 위해 인노첸시오 3세는 모든 가톨릭 국가에 원정을 홍보하는 선교사들을 파견하였다. 그는 카푸아의 피에트로를 프랑스와 잉글랜드 왕에게 보내면서 두 사람을 화해시키라는 특별지시를 내렸다. 그 결과 1199년 프랑스와 잉글랜드는 5년간 휴전하기로 합의했다. 왕들 사이를 휴전시킨 의도는 그들이 십자군을 지휘하도록 하기 위함이 아니라 그들이 원조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인노첸시오 3세는 유럽의 기사들과 귀족들에게 십자군을 이끌 것을 호소하였다. 프랑스에서는 이 요청이 성공하여 많은 영주들이 교황의 부름에 응답하였고, 그 중 샹파뉴의 테오발드와 몽페라 후작 보니파스가 십자군의 지휘관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잉글랜드나 독일에서는 교황의 요청이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제4차 십자군은 대부분 프랑스인으로 구성되었다.[71]

제4차 십자군 원정은 비용이 많이 드는 시도였다. 인노첸시오 3세는 성직자들에게 그들 수입의 40%를 십자군 원정을 위해 모금하게 하였다. 이는 교황이 성직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세금을 부과한 최초의 사례였다. 잉글랜드에서는 공직자들의 부패와 성직자들의 무시로 돈을 징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는 존 왕과 필리프 2세에게 사절들을 보내 십자군 원정을 위해 많은 돈을 모금하려고 애썼으며, 두 왕은 모두 자신들의 수입 40%를 십자군 원정에 기부하겠다고 약속했다. 존은 또한 잉글랜드 전역에서 세금을 징수하겠다고 선언했다. 십자군 원정을 위한 모금 운동은 십자군 내에서도 일어났다. 인노첸시오 3세는 십자군이 되기로 서약했으나 사정상 이를 수행하지 못하게 된 사람들의 경우엔 십자군에 기부하면 해당 서약이 무효화된다고 선언했다. 그는 캔터베리 대주교 허버트 월터에게 이 기부금을 징수하는 역할을 맡겼다.[68][72]

십자군을 조직했을 때, 당초 목적지는 당시 그리스도인들과 무슬림들이 휴전 상태였던 이집트였다.[71] 프랑스인 십자군과 베네치아인들 사이에 협정이 맺어졌는데, 베네치아인들은 십자군에게 선박과 보급품을 공급하고, 십자군은 그 대가로 베네치아에 85,000마르크(약 9.072만kg)를 지불하기로 하였다.[73] 인노첸시오 3세는 교황의 대리인이 십자군과 동행해야 한다는 것과 다른 그리스도인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두 가지 조건을 내걸고 이 조약을 승인했다. 프랑스인들은 베네치아인들에게 보급받은 대가로 충분한 자금을 조달하지 못했다. 그래서 십자군은 빚을 갚기 위해 베네치아인들의 요구에 따라 그리스도교 도시인 자다르(자라)를 공격하기로 하였다. 이 결정은 인노첸시오 3세의 허락 없이 이루어졌으며, 그는 십자군 측에 자라를 공격하는 자들은 파문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그러나 대다수 프랑스인들은 이를 무시하고 자라를 공격해 파문당했다. 그러나 십자군 원정을 계속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곧 용서를 받았다.

십자군이 두 번째로 공략한 도시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였다. 이 결정 역시 사전에 인노첸시오 3세와 아무런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인노첸시오 3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된 후에야 비로소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74] 인노첸시오 3세는 같은 그리스도교 도시를 공격한 십자군을 이번에도 역시 파문했지만 더 이상 그들의 행동을 제지하거나 되돌릴 수 없었다.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라틴 제국을 세우고 이후 60년 동안 통치하였다.[75]

5. 1. 제4차 십자군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교황 재임 기간(1198–1216) 동안 성지를 위한 대규모 십자군을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의 첫 번째 시도는 1198년 교황 칙서 ''불쌍한 이후''에 의해 선포된 제4차 십자군 (1202–1204)이었다.[21][22] 이전의 교황들과 달리, 인노첸시오 3세는 십자군을 일으키고 세속 군주들이 자신의 열망에 따라 원정을 조직하도록 하는 대신, 십자군을 직접 이끄는 데 관심을 보였다.[31]

인노첸시오 3세는 십자군을 설교하기 위해 모든 가톨릭 국가에 선교사를 보내 이 캠페인을 지지하게 했다. 그는 피에트로 디 카푸아를 프랑스와 잉글랜드의 왕들에게 보내 그들에게 이견을 해소하도록 설득하라는 구체적인 지침을 내렸고, 그 결과 1199년부터 시작하여 두 국가 간에 5년의 휴전이 이루어졌다. 이 휴전의 목적은 두 왕이 십자군을 이끌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십자군을 지원할 수 있도록 그들의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군대의 지도자를 위해, 인노첸시오는 유럽의 기사들과 귀족들에게 호소했고,[31] 프랑스에서 성공을 거두어 많은 영주들이 교황의 요청에 응답했으며, 여기에는 군대의 두 최종 지도자인 샹파뉴의 테오발트와 몬페라토의 보니파시오 후작이 포함되었다. 교황의 행동 촉구는 잉글랜드나 독일에서는 그다지 열렬히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원정은 주로 프랑스 문제로 변질되었다.[23]

제4차 십자군은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이었다. 인노첸시오 3세는 모든 성직자에게 수입의 40분의 1을 기부하도록 요구했는데, 이는 교황이 성직자에게 직접적인 세금을 부과한 최초의 사례였다. 그는 부패한 세금 징수원과 잉글랜드에서의 무시 등 이 세금을 징수하는 데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그는 또한 잉글랜드의 존 왕과 프랑스의 필리프 왕에게 사절을 보내 캠페인에 기여하겠다고 약속했고, 존 왕은 또한 그의 왕국에서 성직자 세금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십자군들도 자금을 기부했는데, 인노첸시오는 십자군의 서약을 했지만 더 이상 이행할 수 없는 사람들은 기부를 통해 해방될 수 있다고 선언했다. 교황은 허버트 월터 대주교에게 이 의무를 징수하도록 했다.[31][24]

십자군이 시작될 때, 당시 기독교인과 무슬림 사이에 휴전이 있었기 때문에, 원래 목적지는 이집트였다.[23] 프랑스 십자군과 베네치아인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졌다. 베네치아인들은 십자군에게 선박과 물품을 공급하고, 그 대가로 십자군은 85000마르크를 지불하기로 했다.[25] 인노첸시오는 두 가지 조건하에 이 합의를 승인했다. 즉, 교황의 대표자가 십자군에 동행해야 하며, 다른 기독교인에 대한 공격은 엄격히 금지되어야 했다. 프랑스는 베네치아인에 대한 지불에 충분한 자금을 모으지 못했다. 그 결과, 십자군은 부채를 충당하기 위해 베네치아의 엔리코 단돌로의 뜻에 따라 1202년 기독교 달마티아 도시 자다르로 십자군을 돌렸다. 이 우회는 인노첸시오 3세의 동의 없이 채택되었으며, 그는 공격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파문을 위협했다. 프랑스인 대다수는 이 위협을 무시하고 자다르를 공격했고,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파문되었지만, 십자군을 계속하기 위해 곧 용서받았다. 두 번째 우회는 십자군이 망명한 비잔틴 왕자 알렉시우스 4세의 요청에 따라 비잔틴 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기로 결정했을 때 발생했다. 이 우회는 인노첸시오 3세의 지식이 전혀 없이 이루어졌으며, 그는 도시가 약탈된 후에야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26]

인노첸시오 3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공격에 강하게 반대했고, 십자군에게 도시를 약탈하지 말라고 경고하는 많은 편지를 보냈다. 그는 비잔틴 도시를 공격한 십자군을 파문했지만, 그들의 행동을 물리적으로 막거나 뒤집을 수는 없었다. 교황의 목표 중 하나는 망명한 알렉시우스 4세 왕자의 삼촌인 알렉시우스 3세가 십자군에 참여하도록 설득하는 것이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공격은 라틴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지배하는 시대를 열었고, 이 지배는 다음 60년 동안 지속되었다.[27]

5. 2. 알비 십자군

인노첸시오 3세는 이단에 대한 강력한 투쟁을 벌였다. 즉위 초반, 그는 프랑스 남서부에 널리 퍼져 있었고, 툴루즈 백작 등 지역 영주들의 지지를 받던 카타리파(알비파)를 주시했다. 카타리파는 가톨릭 교회의 권위와 가르침을 거부하며 교회가 타락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교황은 교황 사절 피에르 드 카스텔뇨를 프랑스에 파견하여 영주들을 회유하려 했으나, 1208년 카스텔뇨가 툴루즈 백작 레몽의 친구로 의심되는 이들에게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8] 인노첸시오 3세는 이를 교회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무력 사용을 결정했다. 그는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에게 카타리파 진압을 요청했고,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가 이끄는 십자군이 결성되었다. 알비 십자군은 카타리파와 가톨릭 신자 구분 없이[68] 약 2만 명을 학살하고[68] 해당 지역을 프랑스 왕의 지배하에 두었다. 이는 이단자뿐만 아니라 툴루즈 귀족들과 아라곤 연합왕국 봉신들을 겨냥한 것이기도 했다. 페드로 2세는 1213년 뮈레 전투에서 사망했고, 1229년 파리 조약으로 분쟁은 종결되었다.

인노첸시오 3세는 가톨릭 신앙의 수호자이자 이단 반대자였다. 그의 주요 활동은 알비파에 대항하는 것이었다.[28] 알비파는 프랑스 북부와 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교황은 즉위 첫 해, 시토회 수도사 라이너와 귀도를 프랑스 알비파에 보내 가톨릭 교리를 설교하고 종교 논쟁을 벌이게 했다. 오스마의 디에고, 성 도미니크, 교황 사절 카스텔노의 피터와 라울도 이들을 따랐다.

1208년, 교황 사절 카스텔노가 암살당하자 인노첸시오 3세는 무력을 사용했다. 그는 프랑스 남부 주교들에게 살인 가담자와 은신처 제공 마을을 파문하도록 명령했다. 그는 암살 사주 의혹을 받던 툴루즈 백작 레이먼 6세를 분노했다. 백작은 결백을 주장하며 교황에게 복종했지만, 교황은 그를 믿지 않았다. 교황은 필리프 2세에게 알비파 진압 군대 소집을 요청했고, 레스터 백작 5대 시몽 드 몽포르 휘하의 잔혹한 군사 작전이 벌어졌으며, 이는 곧 정복 전쟁으로 변질되었다.[13] 베지에 포위 공격 중, 십자군 지휘관 아르노 아말릭은 카타르파와 가톨릭교 신자 구별법에 대한 질문에 "Caedite eos. Novit enim Dominus qui sunt eius"(모두 죽여라, 하느님께서 알아서 가려내실 것이다)라고 답했다.[29][30]

알비 십자군은 카타르파와 가톨릭 신자 포함 약 2만 명의 희생자를 냈고, 카타르파 세력을 약화시키고 지역 문화를 쇠퇴시켰다.[31] 이 분쟁은 이단자뿐 아니라 툴루즈 귀족, 아라곤 왕국 봉신들을 대상으로 한 정치적 성격을 띠었으며, 결국 프랑스 왕의 지배를 확고히 했다.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는 분쟁에 관여했다가 1213년 뮈레 전투에서 사망했다. 분쟁은 1229년 파리 조약으로 종결되었고, 옥시타니아 영토는 프랑스 왕실에 통합되었다.

1209년, 교황은 프랑스 남부 알비파에 알비 십자군을 파견하여 탄압했다.[46]

6. 종교 정책

1202년 이슬람교 세력인 아이유브 왕조에서 알 아딜이 즉위하자, 교황은 반격의 조짐을 감지하고 제4차 십자군을 제창했다. 그러나 해상 수송을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존한 이 십자군은 운송료를 마련하지 못해 베네치아 공화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고, 기독교도 도시인 자다르를 습격하여 점령하고 약탈했다. 이에 격분한 교황은 십자군 전체를 파문했지만, 이들은 더 나아가 동로마 제국의 제위 다툼에 개입하여,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라틴 제국을 건국했다. 동로마 제국 역시 기독교 국가였지만, 11세기 중반에 갈라진 동서 교회의 합동을 실현하기 위해 인노첸시오 3세는 라틴 제국을 승인했다.[44] 또한 소년 십자군의 비극이 일어난 것도 이 교황의 시대였다.

1209년에는 서유럽 국가에서 이단으로 간주되던 프랑스 남부의 알비파에 알비 십자군을 파견하여 탄압했다(이것은 사후인 1229년까지 지속되었다).[46] 한편 1210년에는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와 회견하여 프란체스코회를 승인하는 등, 새로운 종파에 대한 이해를 보이기도 했다.[32][33][34]

6. 1.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

인노첸시오 3세는 1213년 4월 19일 칙서를 통해 세계 공의회를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소집한다고 발표했고, 세계 공의회는 1215년 11월 11일에 개막했다.[76] 회의는 개막일인 11일에 이어 20일과 30일, 3차에 걸쳐 열렸다.

성 요한 라테란 대성당에 있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무덤


1215년 11월 15일,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제4차 라테란 공의회를 소집했는데, 이는 중세 시대의 가장 중요한 교회 회의로 여겨졌다.[35]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는 대주교 70명 이상을 포함해 400명이 넘는 주교, 대수도원장과 수도원장 800명, 주교좌 성당 참사회 대표들이 참석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비롯해 동로마 제국 황제, 프랑스, 잉글랜드, 아라곤포르투갈, 헝가리, 시칠리아 왕들도 모두 사절들을 보냈다.[76]

공의회는 70개의 개혁 칙령을 발표하며 마무리되었다. 무엇보다도 학교 설립을 장려하고 성직자에게 평신도보다 더 높은 기준을 적용하도록 했다. 제18조는 성직자가 신판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여, 그 사용을 효과적으로 금지했다.[35]

근본적인 교리를 정의하기 위해 공의회는 성체의 본질을 검토하고, 매년 죄를 고백하도록 규정했으며, 주교 선출에 대한 상세한 절차를 규정했다. 또한 공의회는 성직자에게 엄격한 생활 방식을 요구했다.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승인한 70개 조항의 법령 가운데 가톨릭 신앙에 관한 제1조와 요아킴 수도원장의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오류를 지적하고 있는 2조를 제외하면 나머지 68개 조항은 모두 교회 생활과 규율에 관한 내용들이다. 제도와 조직, 성직자 생활, 교회 재산 처리, 십일조, 교구와 수도회 관계, 평신도 생활 등 중세기 교회 생활과 관습과 관련된 전반적 사항을 망라하고 있다. 공의회에서 발표한 70개 조항의 법령은 그 실제 준수 여부와는 상관없이 16세기 중반 트리엔트 공의회(1545~63년) 이전까지 성문화된 교회법전 역할을 했다.[76]

제68조는 유대인과 무슬림이 기독교인과 구별할 수 있도록 특별한 복장을 착용하여, 어떤 기독교인도 그들이 누구인지 모르고 그들과 결혼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명시했다.[36] 제69조는 "유대인이 공직에서 우선권을 받는 것을 금지한다. 이는 그들이 기독교인에게 분노를 표출할 구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37] 그것은 유대인이 그리스도를 모독한다고 가정하므로, "그리스도를 모독하는 자가 기독교인에 대해 권력을 행사하는 것은 너무 터무니없기 때문에"[38] 유대인은 공직에 임명되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교황은 태양, 황제는 달"이라고 연설한 것은 유명하다.

6. 2. 프란치스코회 인가

1209년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11명의 첫 추종자들을 이끌고 로마로 가서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새로운 수도회 창설을 요청하여 허가를 받았다.[32] 로마에 도착한 이들은 사비나의 추기경 주교인 조반니 디 산 파올로와 동행한 아시시의 구이도 주교를 만났다. 인노첸시오 3세의 고해 사제였던 조반니 디 산 파올로는 프란치스코에게 즉시 호감을 보였고 교황에게 그를 대변하기로 했다. 인노첸시오 3세는 다음날 프란치스코와 형제들을 만나기로 했다. 며칠 후, 교황은 그 단체를 비공식적으로 받아들이면서, 하느님께서 그 단체의 은총과 숫자를 늘리시면 정식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다시 돌아오라고 말했다. 그 단체는 삭발례를 받았다.[33] 이는 교회 권위를 인정하고 수십 년 전 발도파에게 일어났던 것처럼 이단 혐의로부터 그의 추종자들을 보호하는 데 중요했다. 인노첸시오 3세는 처음에는 의심했지만, 프란치스코가 라테란 대성전 (로마의 대성당)을 받쳐드는 꿈을 꾼 후, 프란치스코의 수도회를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이 일은 1210년 4월 16일에 일어났으며, 프란치스코회의 공식적인 창립으로 여겨진다. 당시 "작은 형제회"(''작은 형제회 수도회'', ''프란체스코 수도회''라고도 알려짐)는 거리에서 설교를 했으며 아무런 재산도 소유하지 않았다. 그들은 포르치운콜라를 중심으로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장되기 전에 움브리아에서 처음 설교했다.[34]

7. 죽음과 유산

1216년 7월 16일,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페루자에서 열병으로 갑작스럽게 선종하였다.[78] 그의 유해는 처음에 페루자 대성당에 안장되었다가, 1891년 12월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라테라노 대성전으로 이장되었다.[13]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미국 하원에서 존경받았다.


인노첸시오 3세는 미국 하원 갤러리 문 위 대리석 부조 초상에 묘사된 23명의 역사적 인물 중 한 명으로, 미국의 법 발달에 기여한 공로로 헌정되었다.[40] 1951년에 폴란드계 미국 조각가 조셉 키셀레프스키가 하원에 인노첸시오 3세의 모습을 새겼다.[41]

참조

[1] 웹사이트 Pope Innocent III (Lotario dei conti di Segni) [Catholic-Hierarchy] https://www.catholic[...] 2021-01-06
[2] 서적 Innocent III: Leader of Europe 1199–1216 London
[3] 서적 Innocent III: Leader of Europe 1199–1216 London
[4] 서적 Innocent III: Leader of Europe 1199–1216 London
[5] 서적 On the misery of the human condition, De miseria humane conditions
[6] 논문 Innocent III's 'De Miseria Humanae Conditions: A Speculum Curiae?'
[7] 웹사이트 Lotario Dei Continue Dei Segni [Pope Innocent III], De miseria humanae conditionis [On the Misery of Human Condition] In Latin, manuscript on parchment likely Italy, c. 1250 http://www.textmanus[...] Les Enluminures, Ltd 2011-01-13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2-17
[9] 문서 "Introduction", in ''Innocent III et le Midi'' (''Cahiers de Fanjeaux'', 50), Toulouse, Privat, 2015, pp. 11–35, at pp. 13–14 https://www.academia[...]
[10] 간행물 Civilization in the West
[11]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Innocent III: Letters on Papal Polices http://www.fordham.e[...] Fordham.edu
[12] 서적 ''Empire and Order'' https://books.google[...] Springer
[13] 백과사전 Pope Innocent III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Company 2021-01-06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논문 Innocent, III http://link.galegrou[...] 1998
[18] 서적 Innocent III: Vicar of Christ or Lord of the World?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n Press
[19] 웹사이트 Diplomatarium Norvegicum https://www.dokpro.u[...]
[20] 웹사이트 Magna Carta: people and society http://www.bl.uk/mag[...] 2017-01-23
[21] 서적 Europe and the Church under Innocent III https://archive.org/[...] H. Holt
[22] 서적 On the Misery of the Human Condition. De Miseria Humane Conditionis, trans. Donald Roy Howard Bobbs-Merrill
[23] 서적 Pope Innocent III and His Times Bruce Pub.
[24] 서적 Patrologia Latina. Vol. 214–217 S.I.
[25] 서적 Memoirs or Chronicle of the Fourth Crusade and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 trans. Frank T. Marzials J.M. Dent
[26] 서적 Innocent III Archon
[27] 서적 Papst Innocenz III. Und Die Kreuzzuge Vandenhoeck U. Ruprecht
[2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 Pope Innocent III https://www.newadven[...] 2024-02-02
[29] 웹사이트 Dialogus Miraculorum http://gahom.ehess.f[...]
[30] 서적 "Tuez-les tous, Dieu reconnaîtra les siens" – La croisade contre les Albigeois vue par Césaire de Heisterbach Éditions Loubatières
[31] 서적 Innocent III and England Anton Hiersemann
[32] 문서 St. Francis of Assisi
[33] 문서
[34] 웹사이트 St. Francis of Assisi."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8-12-16
[35] 웹사이트 Pennington, Kenneth. "The Fourth Lateran Council, its Legis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Legal Procedure", CUA http://faculty.cua.e[...] 2018-12-17
[36] 웹사이트 Church Councils – JewishEncyclopedia.com http://www.jewishenc[...] 2020-07-26
[37]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Twelfth Ecumenical Council: Lateran IV 1215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0-02-17
[38] 웹사이트 Lateran 4 – 1215 http://www.ewtn.com/[...] 2014-08-30
[39] 웹사이트 School of Theology http://sthweb.bu.edu[...] Sthweb.bu.edu 2009-02-02
[40] 웹사이트 Innocent III https://www.aoc.gov/[...] Architect of the Capitol 2020-04-14
[41] 웹사이트 Sculpture https://www.kiselews[...] 2023-04-19
[42]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Innocent III: Letters on Papal Polices http://sourcebooks.f[...] Fordham.edu
[4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Innocent III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0-10-01
[44] 문서 『カラー世界史百科 増補版』、p.175
[45] 문서 成瀬 他、p.251
[46] 문서 柴田 他、p.459
[47] 서적 Pope Innocent III (1161-1216): To Root Up and to Plant https://archive.org/[...] Brill
[48] 문서 Jane Sayers, 'Innocent III: Leader of Europe 1199-1216' London 1994, p.16
[49] 문서 Jane Sayers, 'Innocent III: Leader of Europe 1199-1216' London 1994, p.17
[50] 문서 Jane Sayers, 'Innocent III: Leader of Europe 1199-1216' London 1994, p.18
[51] 문서 Jane Sayers, 'Innocent III: Leader of Europe 1199-1216' London 1994, p.21
[52] 웹인용 Open Library http://openlibrary.o[...] Open Library
[53] 웹인용 LOTARIO DEI CONTI DEI SEGNI [POPE INNOCENT III], De miseria humanae conditionis [On the Misery of Human Condition] In Latin, manuscript on parchment likely Italy, c. 1250 http://www.textmanus[...] LES ENLUMINURES, LTD 2011-01-13
[5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enaissance ...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Books.google.com
[55] 웹인용 Innocent III's "De Miseria Humanae Conditions: A Speculum Curiae?" https://www.jstor.or[...] 2017-01-23
[56] 문서 See Julien Théry-Astruc, [https://www.academia.edu/12086889/_Introduction_dans_Innocent_III_et_le_Midi._Cahiers_de_Fanjeaux_50_%C3%A9d._D._Le_Bl%C3%A9vec_D._Carraz_M._Fourni%C3%A9_J._Th%C3%A9ry-Astruc_2015_p._11-35 "Introduction", in ''Innocent III et le Midi'' (''Cahiers de Fanjeaux'', 50), Toulouse, Privat, 2015, p.11-35, at p. 13-14].
[57] 문서 Galli(2002), pp. 74–80
[58] 문서 “Civilization in the West,” Kishlansky, Geary, O’Brien, Volume A to 1500, Seventh Edition, pg. 278
[59]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Innocent III: Letters on Papal Polices http://www.fordham.e[...] 2014-08-14
[60] 문서 Comyn, pg. 275
[61] 문서 Schulman, Jana, ''The rise of the medieval world, 500–1300'', Greenwood, 2002, pg. 329
[62] 문서 Bryce, pg. 206
[63] 문서 Comyn, pg. 277
[64] 웹인용 Home http://www.newadvent[...] New Advent
[65] 문서 Powell, James M. Innocent III: Vicar of Christ or Lord of the World? Washingto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n Press, 2nd ed., 1994.
[66] 웹인용 Diplomatarium Norvegicum http://www.dokpro.ui[...]
[67] 웹인용 Magna Carta: people and society http://www.bl.uk/mag[...] 2017-01-23
[68] 서적 Innocent III and England https://archive.org/[...] Anton Hiersemann
[69] 서적 Europe and the Church under Innocent III https://archive.org/[...] H. Holt
[70] 서적 On the Misery of the Human Condition. De Miseria Humane Conditionis, trans. Donald Roy Howard Bobbs-Merrill
[71] 서적 Pope Innocent III and His Times https://archive.org/[...] Bruce Pub.
[72] 서적 Patrologia Latina. Vol. 214-217 S.I.
[73] 서적 Memoirs or Chronicle of the Fourth Crusade and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 trans. Frank T. Marzials J.M. Dent
[74] 서적 Innocent III Archon
[75] 서적 Papst Innocenz III. Und Die Kreuzzuge Vandenhoeck U. Ruprecht
[76] 뉴스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25)]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12)" http://www.cpbc.co.k[...] 가톨릭평화신문 2003-07-20
[77] 웹인용 School of Theology http://sthweb.bu.edu[...] Sthweb.bu.edu 2009-09-02
[78] 웹인용 Catholic Encyclopedia: Pope Innocent III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