쾨니그 데네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쾨니그 데네시는 헝가리의 수학자로, 그래프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1884년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나 1907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부다페스트 공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그래프 이론을 가르쳤다. 그는 1936년 그래프 이론에 관한 최초의 저서인 『Theorie der endlichen und unendlichen Graphen』을 출판했다. 1944년 나치의 헝가리 점령 이후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박해를 피해 자살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산업 및 응용 수학회는 이산 수학 분야의 젊은 연구자에게 데네시 쾨니그 상을 수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자살 - 에르빈 롬멜
에르빈 롬멜은 제1, 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독일 군인으로,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사막의 여우'라는 별칭을 얻으며 뛰어난 전술적 능력과 용맹함을 떨쳤으나, 전쟁 후반기 나치즘에 환멸을 느끼고 히틀러와 결별 후 암살 미수 사건 연루 의혹으로 자살을 강요받았으며, 군사적 재능과 나치 정권과의 관계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1944년 자살 - 헤닝 폰 트레슈코프
헤닝 폰 트레슈코프는 1901년 독일에서 태어난 프로이센 귀족 출신 군인으로, 히틀러 암살을 여러 차례 시도하다가 1944년 자결했다. - 그래프 이론가 - 아서 케일리
아서 케일리는 대수학, 대수기하학, 조합론 등 여러 분야에 공헌한 영국의 수학자이자 변호사로, 삼차 곡면의 27개 선을 발견하고 규칙 곡면의 대수기하학적 이론을 창시했으며, 법조인 활동과 수학 연구를 병행하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로 순수 수학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수학 용어들이 존재한다. - 그래프 이론가 - 에르되시 팔
에르되시 팔은 헝가리 태생의 수학자로 조합론, 그래프 이론, 수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1,5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며 20세기 수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공동 연구를 즐기며 "괴짜 수학자"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그와 공동 연구를 통해 연결된 정도를 나타내는 "에르되시 수"라는 개념이 만들어졌다. - 헝가리의 수학자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헝가리의 수학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쾨니그 데네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데네시 쾨니그 |
원어 이름 | (쾨니그 데네시) |
출생 | 1884년 9월 21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부다페스트 |
사망 | 1944년 10월 19일 |
사망지 | 헝가리 부다페스트 |
국적 | 헝가리 |
학문 분야 | |
분야 | 수학 |
직장 | 부다페스트 공과대학교 |
모교 | 부다페스트 공과대학교 |
지도 교수 | 퀴르샤크 요제프 헤르만 민코프스키 |
제자 | 티보르 갈라이 |
알려진 업적 | 최초의 그래프 이론 교과서 출판 쾨니그의 정리 쾨니그 보조정리 |
아버지 | 줄러 쾨니그 |
2. 생애
쾨니그 데네시는 1884년 9월 21일 부다페스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쾨니그 줄러는 수학자였다. 1907년 부다페스트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1911년에는 부다페스트 공과대학교 연구원(Privatdocentde)이 되었다. 1935년 정교수로 승진하였다.
1915년부터 1942년까지 수학 경시대회 심사 위원회에 참여하여 대회 문제를 수집하고 구성했다.[1] 1933년에는 협회 서기로 선출되었고,[1] 1942년에는 위원회 의장이 되었다.[1] 그는 위원회에 있는 동안 협회 저널을 편집하기도 했다.
2. 1. 그래프 이론 연구
갈라이 티보르, 에르되시 팔 등 많은 사람들의 그래프 이론 연구 성장에 쾨니그의 활동과 강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936년 쾨니그는 그래프 이론에 관한 첫 번째 책인 ''Theorie der endlichen und unendlichen Graphen''을 썼다.[1] 이것은 그래프 이론이 수학의 자체 분과로 시작되었음을 나타낸다. 1958년 클로드 베르주는 쾨니그에 이어 그래프 이론에 관한 두 번째 책인 ''Théorie des Graphes et ses applications''를 썼다.[1]2. 2. 나치 박해와 죽음
1944년 10월 15일에 헝가리 나치 당이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고, 헝가리는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이 되었다.[3] 나치 독일의 헝가리 점령 이후, 쾨니그는 박해받는 수학자들을 돕기 위해 노력했다.[1] 유대인이었던 쾨니그는 국가 사회주의 화살 십자당이 정권을 잡자, 나치당의 반유대주의 정책을 피하기 위하여 1944년 10월 19일 자살하였다.[3][1]3. 주요 업적
쾨니그 데네시는 1899년 고등학교 재학 중 ''Matematikai és Fizikai Lapok'' 논문을 저술하였다.[1] 1902년 "외트뵈시 로란드"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1] 1907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1910년 "조교",[1] 1911년 "사강사"로 승진하여[1] 노모그래피, 위치 해석(후에 위상수학으로 알려짐), 집합론, 실수 및 함수, 그래프 이론을 강의하였다.[1] 1935년 테크니셰 호흐슐레 정교수직을 획득,[1] 1936년 그래프 이론에 관한 첫 번째 책인 ''Theorie der endlichen und unendlichen Graphen''을 저술하였다.[1]
4. 데네시 쾨니그 상
'''데네시 쾨니그 상'''은 산업 및 응용 수학회 이산 수학 활동 그룹이 이산 수학 분야의 뛰어난 연구 업적을 낸 젊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2008년에 첫 시상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격년으로 수여되었다.[2]
4. 1. 역대 수상자
연도 | 수상자 |
---|---|
2008 | 아담 웨이드 마커스 |
2010 | 제이콥 폭스 |
2012 | 제브 드비르 |
2014 | 보이치에흐 사모티 |
2016 | 루츠 바른케 |
2018 | 자오위페이 |
2020 | 매튜 콴 |
2022 | 사라 펠루스 |
2024 | 박진영 및 후이 투안 팜 |
5. 저서
참조
[1]
서적
Theory of finite and infinite graphs
https://archive.org/[...]
Birkhäuser
[2]
웹사이트
SIAM: Dénes König Prize
https://www.siam.org[...]
2018-05-13
[3]
서적
Theorie der endlichen und unendlichen Graphen. Kombinatorische Topologie der Streckenkomplexe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