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페아의 대관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페아의 대관식》은 1642년 베네치아에서 초연된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오페라이다. 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가 대본을 썼으며, 타키투스, 수에토니우스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로마 황제 네로와 그의 정부 포페아 사비나의 이야기를 그린다. 몬테베르디는 아리아, 아리오소, 레치타티보 등 다양한 성악 표현 수단을 활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높였다. 이 작품은 몬테베르디의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20세기 이후 다양한 판본으로 재해석되어 공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로를 소재로 한 작품 - 쿠오 바디스 (1951년 영화)
    《쿠오 바디스》는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소설을 원작으로 머빈 르로이 감독, 로버트 테일러, 데보라 카, 피터 유스티노프 주연으로 네로 황제 시대 로마를 배경으로 마르쿠스 비니시우스와 기독교인 리지아의 사랑, 네로의 폭정과 기독교 박해를 그린 미국의 서사 영화이다.
  • 네로를 소재로 한 작품 - 쿼바디스 도미네
    네로 황제 시대 기독교 박해를 배경으로 로마 귀족 비니키우스와 기독교인 소녀 리기아의 사랑, 갈등, 그리고 기독교인 박해 속에서 네로의 몰락과 함께 비니키우스와 리기아가 박해를 피해 평화로운 삶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 오르페오 (몬테베르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오르페오》는 1607년 초연된 작품으로, 다양한 음악적 요소의 혁신적 결합, 풍부한 악기 편성, 극적인 줄거리 등으로 초기 오페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1609년에는 다른 결말이 추가되었다.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 아리안나 (오페라)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가 작곡하고 오타비오 리누치니가 대본을 쓴 오페라 아리안나는 아리아드네 신화를 바탕으로 테세우스에게 버려진 아리아드네의 비극적인 사랑과 바쿠스와의 결혼을 그린 작품으로, 현재는 "아리아나의 탄식"만이 남아 몬테베르디의 걸작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포페아의 대관식
기본 정보
원어 제목이탈리아어: L'incoronazione di Poppea
작품 종류오페라
작곡가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대본가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
원작타키투스의 연대기
공연 시기1643년 베네치아
초연 장소테아트로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L'incoronazione di Poppea 1656년 리브레토 제목 페이지
1656년 리브레토 제목 페이지 (L'incoronatione 표기)
등장인물
포페아소프라노
네로 황제의 애인
네로소프라노 (카스트라토)
로마 황제
오토네카운터테너
포페아의 남편
세네카베이스
네로의 스승이자 철학자
드루실라소프라노
오토네의 연인
오타비아메조소프라노
네로 황제의 아내
아모레소프라노
사랑의 신
포르투나소프라노
운명의 신
비르투메조소프라노
덕의 신
리베르토테너
루칠리오테너
발레토소프라노
네로의 시종테너
세네카의 시종베이스
담모젤라소프라노
군인 1, 2테너
베이스
집정관테너
가족베이스
하인테너
에르콜레베이스
음악
장르오페라 세리아

2. 역사적 배경

오페라는 17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탄생하여 급격히 발전했다. 몬테베르디는 초기 오페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작곡가이다. '포페아의 대관식'은 몬테베르디의 후기 작품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상업 오페라가 발전하던 시기에 작곡되었다.

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는 아카데미아 델리 인코그니티의 일원이었는데, 이 자유 사상가 그룹은 17세기 중반 베네치아의 문화 및 정치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음악 극장의 장려에 적극적이었다.[6][7] 부세넬로는 몬테베르디의 젊은 동시대인인 프란체스코 카발리와 함께 ''디도네''(1641)의 대본을 제공했다.[8] 극작가 마크 링거에 따르면 부세넬로는 "오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본 작가 중 한 명"이었다.[6] 부세넬로가 언제, 어떻게 몬테베르디를 만났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둘 다 곤차가 궁정에서 봉사한 적이 있다. 링거는 그들이 곤차가 스타일의 통치, 즉 "예술적 수양과 잔혹함의 혼합"에 대한 경험에서 공동의 영감을 얻었고, 따라서 공유된 예술적 비전을 발전시켰다고 추측한다.[6]

2. 1. 몬테베르디와 초기 오페라

몬테베르디가 만토바에서 활동하며 초기 오페라를 작곡했을 당시 몬테베르디의 고용주였던 빈첸초 곤차가 공작


오페라는 17세기 초에 시작된 극적인 장르이지만, '오페라'라는 용어 자체는 1650년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다. 음악극의 선구자로는 노래와 합창이 있는 목가극과 16세기 말의 마드리갈 코미디가 있었다.[1] 몬테베르디는 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 곤차가의 궁정에서 일하며 최초의 장편 오페라를 작곡하기 전(1606년~1608년)에 이미 마드리갈 작곡가로서 명성을 얻었다.[2] 이 작품들은 각각 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아리아드네를 다룬 ''오르페오''와 ''라리아나''이다. 1612년 빈첸초의 후계자인 프란체스코 곤차가 공작과의 불화 이후, 몬테베르디는 베네치아로 이주하여 산 마르코 대성당의 음악 감독직을 맡았고, 1643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3]

몬테베르디는 베네치아에서 공식적인 의무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극 음악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여, 1624-25년 카니발을 위해 상당한 분량의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전투''(Il combattimento di Tancredi e Clorinda)를 포함한 여러 무대 작품을 제작했다.[4]

2. 2. 베네치아 오페라의 발전

1637년 베네치아에 세계 최초의 상업 오페라 극장인 산 카시아노 극장이 문을 열면서 오페라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몬테베르디는 다시 장편 오페라를 쓰기 시작했는데, 노련한 작곡가에게 ''고향으로 돌아온 율리시스''(Il ritorno d'Ulisse in patria)의 대본을 보낸 지적이고 귀족적인 시인 자코모 바도아로의 권유가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5] 몬테베르디는 테아트로 산 카시아노에서 ''일 리토르노''를 공연했고,[4] 다음 시즌에는 베네치아의 세 번째 오페라 극장인 테아트로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에서 공연된 ''레 노체 데네아 인 라비니아''(Le nozze d'Enea in Lavinia)를 작곡했다(현재 유실됨).[2] ''포페아의 대관식''은 몬테베르디의 마지막 오페라로, 그의 음악적, 극적 역량이 집대성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3. 대본

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는 베네치아의 귀족이자 지식인으로, '아카데미아 델리 인코그니티'라는 자유사상가 그룹의 일원이었다. 부세넬로는 몬테베르디 외에도 프란체스코 카발리 등 당대 주요 작곡가들의 오페라 대본을 썼다.

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 《포페아의 대관식》의 대본 작가


《포페아의 대관식》 대본은 고대 로마 제국황제 네로가 주변의 반대자를 제거하고, 총애하는 포페아를 황후로 삼는 이야기를 다루며, 1642년베네치아에서 초연되었다.

3. 1. 역사적 배경과 허구

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의 대본은 타키투스의 《연대기》(Annals (Tacitus)), 수에토니우스의 《로마 황제 열전》(The Twelve Caesars) 6권, 카시우스 디오의 《로마사》(Roman History) 61~62권, 그리고 익명의 희곡 《옥타비아》를 주요 출처로 한다.[9][10] 오페라에 등장하는 허구의 간호사 캐릭터는 《옥타비아》에서 유래했으며,[9][10] 드루실라의 캐릭터는 지롤라모 바르갈리의 16세기 희극 《순례자 여성》(The Pilgrim Woman)에서 가져온 것이다.[12]

이야기의 주요 내용은 실제 인물과 사건을 바탕으로 하지만,[11] 부세넬로는 7년(서기 58년~서기 65년) 동안의 역사적 사건을 하루 동안의 사건으로 압축하고, 자신만의 순서를 부여했다. 그는 대본 서문에서 "여기서는 이러한 행동들을 다르게 표현한다"라고 밝히며, 자신의 목적에 맞게 역사를 각색하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았다.[13]

이에 따라 등장인물들은 역사적 인물과는 다른 특성을 갖게 되었다. 네로의 잔혹함은 축소되었고, 억울한 아내 옥타비아는 살인을 계획하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세네카는 실제보다 더 고귀하고 덕망 있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이는 네로와 포페아의 관계와 아무 관련이 없었던 그의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다.[14] 포페아는 권력욕보다는 진정한 사랑에 기반을 둔 인물로 묘사되었다.[25]

이 대본은 두 가지 인쇄본, 일곱 개의 필사본 또는 파편, 그리고 초연과 관련된 익명의 시나리오(요약본)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다.[16] 1656년 부세넬로가 자신의 대본 모음집의 일부로 출판한 최종 버전이 인쇄본으로 존재한다.[16] 1997년 우디네에서 발견된 필사본은 파올로 파브리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엘렌 로산드에 따르면 공연의 즉시성이 느껴지며, 몬테베르디의 이름을 언급하는 유일한 대본 필사본이다.[18]

''포페아의 대관식''은 미덕은 벌을 받고 탐욕이 보상받는 이야기로 묘사되며, 문학적 도덕의 일반적인 관례에 반한다.[25] 팀 카터는 오페라의 등장인물과 메시지가 "기껏해야 모호하고 최악의 경우 타락했다"고 평가했다.[22] 로산드는 "정욕과 야망의 특별한 찬양"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베네치아의 청중은 고대로마 역사에 대한 지식을 통해, 네로와 포페아가 축하하는 사랑의 승리가 허망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실제로 네로는 포페아를 발로 차 죽였고, 자신도 몇 년 후 자살했으며, 옥타비아, 루카노, 오토네 역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13]

로산드는 이 오페라돈 조반니, 돈 카를로스를 포괄하는 오페라 작품의 오랜 전통에서 첫 번째 위치를 차지한다고 결론 내린다.

3. 2. 대본의 판본

조반니 프란체스코 부세넬로가 쓴 《포페아의 대관식》 대본은 여러 판본이 남아있다. 이 중 1656년 부세넬로가 자신의 대본 모음집에 포함하여 출판한 판본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16]

1997년 이탈리아 북부 우디네에서는 몬테베르디 연구가 파올로 파브리가 발견한 중요한 필사본이 있는데, 음악사학자 엘렌 로산드는 이 필사본을 "공연의 즉시성이 느껴진다"고 평가하며 몬테베르디의 이름을 언급하는 유일한 대본 필사본이라고 언급했다.[18] 로산드는 이 필사본과 다른 필사본에는 없는 묘사적 세부 사항들을 근거로 이 필사본이 공연 과정에서 복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 또한 포페아 역을 맡은 가수(슈나이더에 따르면 안나 디 발레리오)[17]에 대한 찬가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도 이러한 추측을 뒷받침한다. 이 필사본의 정확한 작성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원래 시나리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우디네 버전이 초연 당시의 대본과 가장 가까울 가능성이 있다.[18]

4. 음악

《포페아의 대관식》은 레치타티보, 아리아, 아리오소, 앙상블 등 다양한 형식의 성악곡을 사용하여 극적인 전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몬테베르디는 인물들의 감정과 심리 상태를 섬세하게 묘사하는 음악을 통해 극의 몰입도를 높였다. 기악은 성악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며, 특정 장면에서는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극적인 효과를 더하는 데 사용되었다.

몬테베르디는 당대 작곡가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성악 표현 수단을 사용했지만, 이 작품에서 형식들 간의 경계는 평소보다 더 모호하게 나타난다.[59] 이러한 요소들은 음악이 항상 극을 위해 봉사하는 연속적인 구조로 엮여 있으며, 동시에 전체적으로 음조적이고 형식적인 통일성을 유지한다.[19] 등장인물들은 강렬한 감정, 두려움,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음악에 반영된다. 포페아와 네로네의 장면은 서정적인 아리아와 아리오소로, 오타비아는 극적인 레치타티보로 표현된다. 세네카의 음악은 대담하고 매력적이며, 오토네의 음악은 망설이고 범위가 제한적이다.[61]

몬테베르디는 3박자, 아르페지오, 불협화음 등 다양한 음악적 장치를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높였다. 3박자는 네로네와 오토네의 사랑을, 아르페지오는 갈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분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콘치타토 장르" 기법(16분 음표)이 사용된다.[66]

4. 1. 작곡의 문제

현존하는 《포페아의 대관식》 악보는 두 가지 판본이 있다. 하나는 1888년 베네치아에서 발견된 베네치아 판본이고, 다른 하나는 1930년 나폴리에서 발견된 나폴리 판본이다.[19] 두 악보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각 악보에서 성악 선율은 통주 저음 반주와 함께 표시되지만, 기악 부분은 베네치아 악보에서는 3성부로, 나폴리 버전에서는 4성부로 작성되었고 악기는 명시되지 않았다.[66]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는 당시 지역마다 다른 공연 조건을 허용하기 위해 악보의 많은 부분을 열어두는 관행이 있었다고 언급한다.[66]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이 때문에, 음악의 어느 정도가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작곡인지에 대한 문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20] 당시 문서에는 몬테베르디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으며, 프란체스코 사크라티의 오페라 《라 핀타 파차》 악보에서 발견된 구절을 포함하여 다른 작곡가의 음악이 악보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20] 또한, 《포페아의 대관식》 악보의 일부 구절에서 사용된 특정 양식의 미터법 표기법은 젊은 작곡가의 작품임을 시사한다.[20] 특히 프롤로그의 일부, 오토네의 음악, 발레토와 다미젤라 사이의 유혹 장면, 마지막 "푸르 티 미로" 이중창을 포함한 대관식 장면이 논쟁의 대상이다.[20]

현대 학계는 《포페아의 대관식》이 몬테베르디와 다른 사람들의 협업 결과였으며, 늙은 작곡가가 지침 역할을 했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사크라티, 베네데토 페라리, 프란체스코 카발리 등이 도움을 준 작곡가로 거론된다.[21] 앨런 커티스는 몬테베르디와 사크라티의 공동 저작으로 1989년 《포페아의 대관식》 개정판을 출판하기도 했다.[20]

4. 2. 음악적 특징

''포페아의 대관식''은 오페라 초창기에 작곡된 작품으로, 음악을 통해 무대 연출을 돕고, 인간 목소리의 자연스러운 억양을 음악적으로 재현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다.[58] 몬테베르디아리아, 아리오소, 레치타티보 등 당대 작곡가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성악 표현 수단을 활용했다.[59]

각 등장인물은 고유한 음악적 특징을 갖는다. 포페아와 네로네의 장면은 서정적인 아리아와 아리오소로 표현되는 반면, 오타비아는 주로 극적인 레치타티보를 부른다. 세네카의 음악은 강렬하고 설득력 있는 반면, 오토네의 음악은 우유부단하고 소극적인 성격을 반영한다.[61]

몬테베르디는 3박자, 아르페지오, 불협화음 등 다양한 음악적 장치를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높였다. 3박자는 네로네와 오토네의 사랑을, 아르페지오는 갈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분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콘치타토 장르" 기법(한 음으로 빠르게 부르는 16분 음표)이 사용된다.[66]

음악적 절정은 마지막 이중창, 오타비아의 1막 애가, 세네카의 작별 인사와 그에 따른 마드리갈, 네로네와 루카노의 노래 경연 등이 있다.[15]

5. 등장인물

배역음역설명
네로네소프라노 (카스트라토), 현재는 여성 소프라노 또는 메조소프라노 또는 테너로마 황제
포페아소프라노오토네 장군의 아내. 네로네와 결혼하여 황후가 된다.
오토네메조소프라노 (카스트라토), 현대에는 카운터테너포페아의 남편. 후에 황제가 되는 오토.
오타비아메조소프라노네로네의 황후.
세네카베이스철학자이자 네로네의 보좌관
드루실라소프라노궁정 시녀. 오토네를 사랑한다.
아르날타콘트랄토 또는 테너포페아의 유모
루카노테너네로네의 친구이자 시인
포르투나소프라노행운의 의인화
비르투소프라노미덕의 의인화
아모레보이 소프라노사랑의 신 큐피드
제1, 2 병사테너
유모콘트랄토오타비아의 유모
팔라데소프라노지혜의 신
메르쿠리오베이스전령신
리베르토테너해방된 노예
발레토소프라노오타비아의 시동
다미젤라소프라노오타비아의 시녀
릿토레베이스경사
베네레소프라노비너스

[26][27][28][29][30]

6. 줄거리

서기 60년경, 로마 제국 시대에 포페아의 별장과 황궁 내 여러 장소를 배경으로 사건이 벌어진다.

오토네는 포페아의 별장에 도착하지만, 네로 황제의 병사들이 집을 지키고 있어 자신이 버림받았음을 깨닫는다. 네로와 포페아는 사랑을 속삭이고, 포페아는 유모 아르날타에게서 황후 오타비아의 분노를 조심하라는 경고를 받지만 자신감을 보인다.[86]

궁전으로 장면이 바뀌고, 오타비아는 자신의 운명을 한탄한다. 세네카는 황후에게 아첨하지만, 오타비아의 시동 발레토는 세네카를 조롱한다. 홀로 남은 세네카는 팔라스 여신에게서 자신의 생명이 위험하다는 경고를 받는다. 네로는 세네카에게 오타비아를 폐위하고 포페아와 결혼할 것이라고 말하고, 세네카는 반대하지만 네로는 그를 내쫓는다. 포페아는 네로에게 세네카를 모함하고, 분노한 네로는 경호원들에게 세네카에게 자살 명령을 내리게 한다.[86]

메르쿠리오로부터 곧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는 소식을 들은 세네카는 네로의 명령에 따라 친구들에게 자살을 위한 목욕을 준비하도록 지시한다. 추종자들은 그에게 살아있어 달라고 설득하지만, 세네카는 이를 거절한다.[86] 궁전에서 네로와 시인 루카노는 세네카의 죽음을 술에 취해 춤추며 노래 경연으로 축하하며, 포페아를 기리는 연가를 짓는다. 한편, 오토네는 오타비아에게 소환되어 포페아를 죽이라는 명령을 받고, 여장을 하고 범행을 저지를 것을 제안받는다. 오토네는 드루실라에게서 옷을 빌린다.

포페아의 별장 정원에서 아르날타는 여주인을 잠들게 하는 노래를 부르고, 사랑의 신이 이를 지켜본다. 드루실라로 변장한 오토네는 포페아를 죽이려 하지만, 사랑의 신이 그의 손에서 칼을 쳐내고 오토네는 도망친다. 아르날타와 포페아는 도망치는 그를 드루실라로 오해한다.[86]

드루실라는 행복한 삶을 상상하지만, 아르날타가 집행관과 함께 나타나 드루실라가 포페아를 공격했다고 비난하며 그녀를 체포한다. 네로가 들어서자 드루실라는 결백을 주장하지만, 오토네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죄를 자백한다. 오토네가 달려와 자신이 황후 오타비아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으며 드루실라는 공모하지 않았다는 진실을 밝힌다.[86] 네로는 오토네를 추방하고, 드루실라는 그와 함께 망명을 선택한다. 네로는 오타비아를 추방하고 포페아와 결혼할 길을 연다.

오타비아는 로마에 작별을 고하고, 궁정의 옥좌실에서는 포페아의 대관식이 준비된다. 집정관과 호민관들이 들어와 포페아의 머리에 왕관을 씌운다. 사랑의 신과 그의 어머니인 베누스, 그리고 신성한 합창단이 지켜보는 가운데, 네로와 포페아는 황홀한 사랑의 듀엣("그대를 바라보고, 그대를 소유하리")을 부르며 오페라는 막을 내린다.

6. 1. 서막

운명의 여신 포르투나와 미덕의 여신 비르투가 인간사에서 누가 더 큰 힘을 가졌는지 다툰다. 사랑의 신 아모레가 나타나 자신이 둘보다 더 큰 힘을 가졌다고 주장하며, "나는 미덕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가르치고, 운명을 지배한다"라고 말한다.''Io le virtuti insegno, io le fortune domo''|나는 미덕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가르치고, 운명을 지배한다it[1] 그들은 아모레의 말을 듣고 그의 우월한 힘을 인정한다.[1]

6. 2. 1막

오토네는 사랑하는 포페아의 별장에 도착하지만, 네로 황제의 병사들이 집을 지키고 있는 것을 보고 자신이 버림받았음을 깨닫는다. 그의 사랑 노래는 탄식으로 바뀌며 "아, 아, 배신자 포페아!"라고 외친다.[86] 그는 떠나고, 기다리던 병사들은 주인의 연애 행각과 국정 무시, 황후 오타비아에 대한 처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네로와 포페아가 등장하여 사랑을 속삭이고, 네로는 떠난다. 포페아는 유모 아르날타에게서 황후의 분노를 조심하고 네로의 사랑을 불신하라는 경고를 받지만, "나는 어떤 실패도 두렵지 않다"라며 자신감을 보인다.[86]

장면은 궁전으로 바뀌고, 오타비아는 "경멸받는 여왕, 로마 황제의 불행한 배우자!"라며 자신의 운명을 한탄한다.[86] 유모는 오타비아에게 다른 연인을 사귈 것을 제안하지만, 오타비아는 격노하며 거부한다. 네로의 전 가정교사였던 세네카는 황후에게 아첨하지만, 오타비아의 시동 발레토는 세네카를 조롱하며 그의 수염에 불을 지르겠다고 위협한다. 홀로 남은 세네카는 팔라데 여신에게서 자신의 생명이 위험하다는 경고를 받는다. 네로가 들어와 세네카에게 오타비아를 폐위하고 포페아와 결혼할 것이라고 말한다. 세네카는 반대하며, 그러한 행동은 분열을 일으키고 인기가 없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네로는 "나는 원로원과 백성은 신경 쓰지 않는다"라고 대답하며,[86] 세네카를 내쫓는다. 포페아는 네로에게 세네카가 황제의 권력을 등에 업고 있다고 모함한다. 분노한 네로는 경호원들에게 세네카에게 자살 명령을 내리게 한다.

네로가 떠난 후, 오토네는 포페아에게 다시 사랑해 달라고 애원하지만 실패하고, 그녀를 죽이기로 결심한다. 그는 귀부인 드루실라에게 위로를 받는다. 오토네는 포페아를 결코 되찾을 수 없음을 깨닫고 드루실라에게 결혼을 제안하고, 드루실라는 기뻐하며 받아들인다. 그러나 오토네는 "드루실라는 내 입술에, 포페아는 내 마음에 있다"라고 독백한다.[86]

6. 3. 2막

메르쿠리오로부터 곧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는 소식을 들은 세네카는 네로의 명령에 따라 친구들에게 자살을 위한 목욕을 준비하도록 지시한다. 추종자들은 그에게 살아있어 달라고 설득하지만, 세네카는 이를 거절하며 "내 죄 없는 피의 따뜻한 흐름이 죽음으로 가는 내 길을 왕족의 자주색으로 물들일 것이다."라고 말한다.[86] 궁전에서 오타비아의 시동은 시녀와 희롱하고, 네로와 시인 루카노는 세네카의 죽음을 술에 취해 춤추며 노래 경연으로 축하하며, 포페아를 기리는 연가를 짓는다. 한편, 궁전에서 오토네는 자신이 덧없이 사랑하는 포페아를 어떻게 죽일 생각을 했을까 고뇌하는 긴 독백을 한다. 그는 오타비아에게 소환되고, 오타비아는 그에게 포페아를 죽이라고 명령하며, 따르지 않으면 네로에게 고발하겠다고 위협한다. 또한 여장을 하고 범행을 저지를 것을 제안한다. 오토네는 그녀의 명령대로 하기로 동의하고, 신들에게 자신의 목숨을 거두어 달라고 간청한다. 그는 드루실라를 설득하여 그녀의 옷을 빌린다.

포페아의 별장 정원에서 아르날타는 여주인을 잠들게 하는 노래를 부르고, 사랑의 신이 이를 지켜본다. 드루실라로 변장한 오토네는 정원에 들어가 포페아를 죽이려고 칼을 들지만, 사랑의 신이 그의 손에서 칼을 쳐내고, 오토네는 도망친다. 도망치는 그의 모습은 아르날타와 깨어난 포페아에게 목격되고, 그들은 그가 드루실라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하인들에게 추격하라고 외치고, 사랑의 신은 "내가 그녀를 보호했다!"라며 승리한 듯 노래한다.[86]

6. 4. 3막

드루실라는 행복한 삶을 상상하며 사색에 잠기고, 아르날타가 집행관과 함께 나타난다. 아르날타는 드루실라가 포페아를 공격했다고 비난하고, 그녀는 체포된다. 네로네가 들어서자, 아르날타는 드루실라를 비난하고, 드루실라는 결백을 주장한다. 공범자의 이름을 대지 않으면 고문을 받게 될 위협에 직면한 드루실라는 오토네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죄를 자백하기로 결심한다. 네로네는 그녀에게 고통스러운 죽음을 명령하고, 그 순간 오토네가 달려와 자신이 황후 오타비아의 명령에 따라 혼자 행동했으며, 드루실라는 공모하지 않았다는 진실을 밝힌다.[86] 네로네는 드루실라의 강인함에 감탄하고, 관대하게 오토네의 생명을 구명하며 그를 추방하라고 명령한다. 드루실라는 그와 함께 망명을 선택한다. 이제 네로네는 오타비아에게 대항할 자격이 있다고 느끼고 그녀 역시 추방된다. 이는 그가 포페아와 결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며, 포페아는 기뻐한다. "이제 우리 사이에 어떤 지연도, 어떤 방해도 끼어들 수 없어요."

오타비아는 로마에 조용히 작별을 고하고, 궁정의 옥좌실에서는 포페아의 대관식이 준비된다. 집정관과 호민관들이 들어오고, 짧은 찬사를 한 후 포페아의 머리에 왕관을 씌운다. 진행 과정을 지켜보는 것은 사랑의 신과 그의 어머니인 베누스, 그리고 신성한 합창단이다. 네로네와 포페아는 황홀한 사랑의 듀엣("그대를 바라보고, 그대를 소유하리")을 부르며 오페라는 막을 내린다.

7. 유명한 아리아


  • 세네카(2막 1장): "Solitudine amata" (사랑하는 고독)[67]
  • 오타비아(1막 5장): "Disprezzata regina" (멸시받는 여왕)[67]
  • 아르날타(2막 12장): "Oblivion soave"
  • 드루실라(2막 10장): "Felice cor mio" (오 행복한 마음)[67]

8. 평가 및 영향

《포페아의 대관식》은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중 가장 널리 알려지고 자주 공연되는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작품은 인간의 욕망, 권력, 사랑, 배신 등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며 시대를 초월하는 감동을 선사한다. 또한 몬테베르디의 혁신적인 음악 기법은 후대 오페라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8. 1. 도덕적 문제

《포페아의 대관식》은 미덕이 벌을 받고 악이 승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결말 때문에 도덕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81]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은 이 작품이 겉으로 드러나는 도덕적 메시지와는 달리, 권력의 허망함과 인간의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17세기 베네치아 관객들은 로마 역사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네로와 포페아의 사랑이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81]

9. 현대의 공연

1993년 몬테베르디 서거 350주년을 맞아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후 전 세계 오페라 하우스와 음악 축제에서 "포페아의 대관식" 공연이 열리고 있다. 1994년 4월, 뉴욕의 줄리아드 학교는 바로크와 현대적 요소를 혼합한 오케스트라와 함께 커티스 판본을 바탕으로 공연을 선보였다.[48] 2000년에는 몬트리올 오페라가 이 작품을 바로크 오페라에 처음으로 도전하는 작품으로 선정했다.[49]

영국 국립 오페라 (ENO)는 2007년 10월 혁신적인 프로덕션을 선보였으나, 비평가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50] 2008년 5월, 엠마누엘 아임 지휘 아래 계몽 시대 오케스트라의 시대 악기를 사용하여 "포페아의 대관식"이 글린드본으로 돌아왔다.[52] 2008년 8월 19일, 글린드본 가수들과 오케스트라는 아임의 지휘 아래 BBC 프롬스에서 오페라의 세미 스테이지 버전을 선보였다.[53] 레 자르 플로리상은 지휘자 윌리엄 크리스티와 함께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마드리드 왕립 극장에서 몬테베르디 3부작 오페라("오르페오", "율리시스의 귀환" 및 "포페아의 대관식")를 공연했다.[54]

2012년에는 엘레나 카츠-체르닌이 원본 악보를 새롭게 편곡하고 해석하여 바리 코스키의 몬테베르디 3부작을 위해 베를린 코미셰 오퍼에서 공연되었다.[55]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백과사전 Monteverdi, Claudio: Venice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백과사전 L'incoronazione di Poppea
[10] 서적
[11] 백과사전 Claudio Monteverdi Macmillan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The Twelve Caesars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Monteverdi's Last Operas
[19] 서적
[20] 서적 Monteverdi's last operas
[21] 웹사이트 Questions of Authorship in Josquin, Monteverdi, and Mozart: Documentary versus Stylistic Evidence http://soundideas.pu[...] Sound Ideas 2012
[22] 서적
[23] 학술지 Love and Infamy: The Paradox of Monteverdi's L'incoronazione di Poppea 1970-09-01
[24] 서적
[25] 비디오 L'incoronazione di Poppea: an introduction Virgin Classics 1990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Monteverdi's Last Operas
[30] 문서 Today the role of Nerone is often sung by a tenor.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Ringer
[37] 서적 Carter 2002
[38] Almanacco L´incoronazione di Poppea
[39] 서적 Carter 2002
[40] 서적 Carter 2002
[41] 서적 Carter 2002
[42] 서적 Carter 2002
[43] 논문 Busenello's Libretto to Monteverde's ''L'Incoronazione di Poppea'' 1927-10-01
[44] 서적 Carter 2002
[45] 뉴스 Morley College Concerts The Times 1948-05-22
[46] 서적 Carter 2002
[47] 뉴스 The Opera: A Poppea at Santa Fe https://www.nytimes.[...] 2009-10-28
[48] 뉴스 Solving a Monteverdi Opera Before Presenting It https://www.nytimes.[...] 2009-10-30
[49] 간행물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s://www.thefreel[...] 2023-10-23
[50] 뉴스 Down to her Freudian slip http://www.thisislon[...] 2009-10-30
[51] 뉴스 2007 Review of the Year, Opera https://www.telegrap[...] 2009-10-30
[52] 간행물 Glyndebourne Festival Opera: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www.theorganm[...] 2009-10-30
[53] 웹사이트 Prom 18: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www.operatoda[...] 2009-10-30
[54] 웹사이트 L'Orfeo, de Claudio Monteverdi, en el Teatro Real http://www.mecd.gob.[...]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and Sport (Spain) 2017-10-23
[55] 뉴스 Monteverdi Trilogy, Komische Oper Berlin https://www.ft.com/c[...] 2023-04-12
[56] 웹사이트 Lustmorden im Alten Rom https://bachtrack.co[...] 2023-04-12
[57] 웹사이트 Claudio Monteverdi (Elena Kats-Chernin) – ''Die Krönung der Poppea'' https://www.boosey.c[...] Boosey & Hawkes 2023-04-12
[58] 서적 Robinson
[59] 서적 Ringer
[60] 웹사이트 Claudio Monteverdi: Three decades in Venice http://www.britannic[...] Britannica Online 2009-10-31
[61] 서적 Carter 2002
[62] 서적 Ringer
[63] 서적 Ringer
[64] 서적 Ringer
[65] 서적 Carter 2002
[66] 음반 The Coronation of Poppea: An Introduction Teldec 1974
[67] 서적 Carter 2002
[68] 서적 Carter
[69] 간행물 Trade News http://www.gramophon[...] Haymarket 2009-11-08
[70] 간행물 Gundula Janowitz features in a far from authentic Poppea http://www.gramophon[...] Haymarket 2009-11-08
[71] 저널 The Coronation of Poppea 1971-11-27
[72] 잡지 Monteverdi: ''L'incoronazione di Poppea'' complete http://www.gramophon[...] Haymarket 1975-03-01
[73] 잡지 Monteverdi: ''L'incoronazione di Poppea'' ed. Curtis http://www.gramophon[...] Haymarket 1982-04-01
[74] 잡지 Monteverdi: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www.gramophon[...] Haymarket 1990-05-01
[75] 잡지 Monteverdi: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www.gramophon[...] Haymarket 1991-04-01
[76] 잡지 Monteverdi: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www.gramophon[...] Haymarket 1996-07-01
[77] 웹사이트 Monteverdi: Complete Operas / Sergio Vartolo http://www.arkivmusi[...] ArkivMusic
[78] 잡지 Monteverdi: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www.gramophon[...] Haymarket 2004-09-01
[79] 뉴스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s://www.thestage[...] 2008-05-19
[80] 웹사이트 Monteverdi: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s://www.operanew[...] 2021-09-29
[81] 서적 2002
[82] 웹사이트 Score details https://www.baerenre[...] Bärenreiter 2017
[83] 저널 Unmoral in neuer Fassung. Monteverdis ''L'Incoronazione di Poppea'' in Aachen 2017-10-10
[84] 웹사이트 Love and Infamy: The Paradox of Monteverdi’s L’Incoronazione di Poppea https://muse.jhu.edu[...] Project Muse
[85] 웹사이트 ポッペアの戴冠 あらすじと相関図 https://www.japanart[...]
[86] 웹사이트 「ポッペア」に最新の校訂版が登場しました。 https://web.archive.[...] アカデミア・ミュージッ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