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틸디스 (프랑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틸디스는 474년경 부르군트 왕국의 리옹에서 태어난 프랑크 왕국의 왕비이다. 힐페리히 2세의 딸로, 493년 프랑크 왕 클로비스 1세와 결혼하여 잉고메르, 클로도미르, 힐데베르트 1세, 클로타르 1세 등을 낳았다. 클로틸디스는 남편 클로비스 1세를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남편 사후에는 수녀원에 들어가 손자들을 돌보기도 했다. 545년 사망하여 성인으로 추대되었으며, 6월 3일이 축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45년 사망 - 안원왕
안원왕은 고구려의 23대 왕으로, 남북조 시대 여러 국가와 등거리 외교를 펼치고 백제의 공격을 막았으나, 만년에 왕위 계승 다툼 속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클로틸디스 (프랑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프랑크의 왕비 |
존경 받는 곳 |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루터교 |
기념일 | 6월 3일 (프랑스는 6월 4일) |
상징 | 기도하는 여왕, 수녀, 머리에 왕관을 쓰고 있거나 옆에 왕관이 있음 |
수호 대상 | 신부 입양아 부모 추방자 공증인 미망인 절름발이 |
인물 정보 | |
출생 | 474년경, 리옹, 부르군트 왕국 |
사망 | 545년, 투르, 프랑크 왕국 |
매장지 | 파리, 성 주느비에브 수도원 |
배우자 | 클로비스 1세 |
자녀 | 클로도미르 힐데베르트 1세 클로타르 1세 클로틸다 |
아버지 | 킬페리히 2세 |
어머니 | 카레타나 |
추가 정보 | |
축일 | 6월 3일 |
수호 성인 | 신부 입양된 자녀 부모 추방자 공증인 과부 절름발이 |
2. 생애
클로틸드는 474년경 부르군트 왕국의 리옹(Lyon)에서 태어났다. 부르군트의 왕 힐페리히 2세와 크레테나(Caretena)의 딸이며 알려지지 않은 설에 의하면 파라몬드의 아들 프레데문도의 증손녀라는 설도 있다. 492년 아버지 힐페리히 2세가 그의 동생뻘 되는 군도발트에게 살해당하고 어머니 크레테나는 익살당하자, 언니 크로마(Chroma)와 함께 부르군트에서 피신하여 프랑크의 클로비스 1세에게 의탁하였고, 493년 그와 결혼했다. 그는 남편 클로비스 1세를 설득하여 496년 12월 성탄절에 클로비스를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부르군트 족, 튀링겐과의 전쟁에서 연전연승을 하다 실패한 클로비스 1세는 충격을 받고 실패의 원인을 찾았고, 클로틸드는 '클로틸드의 하느님'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클로비스 1세가 아리우스파 기독교를 신봉하다가 정통파 기독교로 개종했는지, 이교도였다가 아리우스파 기독교를 받아들인 것인가 여부는 불확실하다.
개종 직후 다시 게르만 부족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클로비스 1세는 하느님의 영험함을 믿게 되었고, 클로비스 1세는 아들 잉고메르에게 세례를 베풀고 대대적인 경축행사를 가졌으나 아들이 일찍 죽자 실망하기도 하였다.
클로비스 1세와의 사이에서 잉고메르, 클로도미르, 힐데베르트 1세, 클로타르 1세와 딸 프랑크의 클로틸드 등을 두었다. 테오데리히 1세는 그의 아들이라는 설과 이교도인 에보힐다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남편 클로비스 1세 사후 수녀원에 들어갔으며, 524년 클로도미르의 사후 그녀의 손자이자 클로도미르의 아들들을 돌보기도 했다. 그러나 클로도미르의 두 아들은 영토를 욕심냈던 다른 아들인 클로타르 1세와 힐데베르트 1세에 의해 살해당한다. 클로틸드는 이후 투르(Tours)로 가서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다가 545년에 사망했다. 사후 성인에 추서되었다. 축일은 6월 3일이다.
부르군트 왕 군디오크가 473년에 사망하자, 왕자 군도바트, 고데기셀, 킬페리크 2세 3인은 아버지의 유산을 분할 상속하여 통치했다. 군도바트는 현재의 빈, 고데기셀은 제네바, 킬페리크는 리옹을 지배했던 것으로 보인다.
투르의 그레고리우스에 따르면, 킬페리크는 군도바트에게 암살당했고, 왕비 카레타나는 익사했으며, 두 딸 중 클로나는 수도원으로 보내졌고, 클로틸다는 유배에 처해졌다고 한다. 다만, 이 소문은 후세의 이야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리옹에서 발견된 부르군트 왕비의 묘는 506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는 카레타나의 묘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493년에 클로비스 1세와 결혼했다. 클로비스 1세는 갈리아 북부를 제압한 직후였다. 클로틸다는 가톨릭 신앙으로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496년에 남편이 이교를 버리고 가톨릭 신앙을 받아들일 때까지 마음을 놓을 수 없었다. 클로비스 1세와 함께 파리에 성 사도 교회를 건립했는데, 이는 후에 생트-주느비에브 교회로 알려지게 되었다. 511년에 클로비스 1세가 붕어하자, 투르의 생마르탱 대수도원에 은거했다.
남편과의 사이에는 클로도미르, 킬데베르, 클로타르 세 아들과 딸 클로틸다를 두었다. 남편에게는 결혼 전에 얻은 장자 테우데리크가 있었고, 511년 분할 상속에서 클로틸다가 낳은 아들들도 남편의 유산 일부를 받았지만, 영토의 상당 부분은 이미 성인이었던 장자 테우데리크에게 넘어갔다.
523년에 아들들을 부추겨서 군도바트의 아들(클로틸다에게는 사촌)인 성왕 지기스문트와 대립하게 하여 부르군트 전쟁을 일으켰다. 이듬해 클로틸다는 아들 클로도미르의 유아들의 권리를 지키려 했지만 실패했고, 자신의 아들들의 불화를 막으려는 노력 또한 실패로 돌아갔다. 544년 또는 545년에 사망했으며, 성 사도 교회 (생트-주느비에브 수도원)의 남편 곁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클로틸드는 474년경 부르군트 왕국의 리옹(Lyon)에서 힐페리히 2세와 크레테나(Caretena)의 딸로 태어났다. 일설에는 파라몬드의 아들 프레데문도의 증손녀라는 설도 있다. 아버지 힐페리히 2세는 492년 동생 군도발트에게 살해당했고, 어머니 크레테나는 익사당했다. 언니 크로마(Chroma)와 함께 부르군트에서 피신하여 프랑크의 클로비스 1세에게 의탁하였고, 493년 클로비스 1세와 결혼했다. 투르의 그레고리우스에 따르면, 킬페리크는 군도바트에게 암살당했고, 왕비 카레타나는 익사했으며, 두 딸 중 클로나는 수도원으로 보내졌고, 클로틸다는 유배에 처해졌다고 한다. 다만, 이 소문은 후세의 이야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리옹에서 발견된 부르군트 왕비의 묘는 506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는 카레타나의 묘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클로틸드는 남편 클로비스 1세를 설득하여 496년 12월 성탄절에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클로비스 1세가 아리우스파 기독교를 신봉하다가 정통파 기독교로 개종했는지, 이교도였다가 아리우스파 기독교를 받아들인 것인가 여부는 불확실하다. 클로비스 1세는 아들 잉고메르에게 세례를 베풀고 대대적인 경축행사를 가졌으나 아들이 일찍 죽자 실망하기도 하였다.
2. 2. 클로비스 1세와의 결혼
474년경 부르군트 왕국의 리옹에서 태어났다. 부르군트의 왕 힐페리히 2세와 크레테나(Caretena)의 딸이며, 일설에는 파라몬드의 아들 프레데문도의 증손녀라는 설도 있다. 492년 아버지 힐페리히 2세가 그의 동생 군도발트에게 살해당하고 어머니 크레테나는 익사당하자, 언니 크로마(Chroma)와 함께 부르군트에서 피신하여 프랑크의 클로비스 1세에게 의탁하였고, 493년 그와 결혼했다. 투르의 그레고리우스에 따르면, 킬페리크는 군도바트에게 암살당했고, 왕비 카레타나는 익사했으며, 두 딸 중 클로나는 수도원으로 보내졌고, 클로틸다는 유배에 처해졌다고 한다. 다만, 이 소문은 후세의 이야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리옹에서 발견된 부르군트 왕비의 묘는 506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는 카레타나의 묘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클로틸드는 클로비스 1세에게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가 가톨릭으로 개종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했다.[3][4] 그는 남편 클로비스 1세를 설득하여 496년 12월 성탄절에 클로비스를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클로비스가 결혼과 가톨릭으로의 개종 이전에 아리우스파 동조자였다는 증거는 없지만[3] 클로틸드는 클로비스에게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가 가톨릭으로 개종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했다.[4] 클로비스 1세는 알레만니와의 전투 후, 496년 랭스에서 생 레미에 의해 프랑크족 3,000명과 함께 세례를 받았다.[4] 그의 군대는 패배하고 있었지만, 그는 승리하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겠다고 아내의 신에게 도움을 요청했다.[3][4]
클로비스 1세는 아들 잉고메르에게 세례를 베풀고 대대적인 경축행사를 가졌으나 아들이 일찍 죽자 실망하기도 하였다. 그는 첫째 아들 잉고미르의 세례를 허락했지만, 그는 유아기에 사망했고, 다음 아들 클로도미르의 세례도 허락했지만, 첫째 아이의 죽음에 대해 클로틸드의 믿음을 탓하며 그녀가 그를 개종시키려는 시도를 거부했다.[3] 클로도미르도 병에 걸렸지만 회복되었고, 그들은 모두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3]
클로비스 1세와의 사이에서 잉고메르, 클로도미르, 힐데베르트 1세, 클로타르 1세와 딸 프랑크의 클로틸드 등을 두었다. 테오데리히 1세는 그의 아들이라는 설과 이교도인 에보힐다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2. 3. 클로비스 1세 사후
493년 클로비스 1세와 결혼한 클로틸드는 511년 클로비스 1세가 사망하자 투르의 생마르탱 대수도원에 은거했다. 클로비스 1세와의 사이에서 클로도미르, 킬데베르, 클로타르 세 아들과 딸 클로틸다를 두었다. 클로비스에게는 결혼 전 얻은 장자 테우데리크가 있었는데, 511년 분할 상속에서 클로틸다가 낳은 아들들도 남편의 유산 일부를 받았지만, 영토의 상당 부분은 성인이었던 테우데리크에게 돌아갔다.클로비스와 그녀의 손자들의 죽음 이후, 클로틸드는 파리를 떠나 투르로 이주하여 투르의 성 마르탱의 무덤 근처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투르 교구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클로틸드는 기도를 제외하고 정치와 권력 투쟁에서 완전히 벗어나 경건한 삶을 살았다.[3]
523년 클로틸드는 아들들을 부추겨 부르군트의 지기스문트 왕과 전쟁을 벌이게 했다. 이 전쟁은 클로틸드가 친정 부모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과[4] 클로도미르의 아들들의 권리를 지키려 했다는 설이 있다. 524년 클로도미르가 죽은 후, 클로틸다는 그의 어린 아들들을 돌보았으나 클로타르 1세와 힐데베르트 1세가 영토를 탐내 그들을 살해했다. 클로틸드는 이후 투르(Tours)로 가서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다가 545년에 사망하여 성인이 되었다. 축일은 6월 3일이다.
클로틸드는 544년 또는 545년에 사망했으며, 성 사도 교회 (생트-주느비에브 수도원)의 남편 곁에 묻혔다.
3. 유산
클로틸드는 머리 위에 또는 옆에 왕관을 쓴 채 기도하는 여왕과 수녀로 묘사된다.[3][6] 노르망디 절름발이의 수호 성인이며,[3][6] "급사 및 불의한 남편에 대항하여 기원"되었다.[3]
그녀는 투렌에 있는 성 마리아 수도원과 셸에 있는 수도원을 설립했으며, 루앙, 리옹, 레장들리에 교회를 지었다고 전해진다.[3] 셸에 있는 수도원은 생 조르주를 기리기 위해 수녀들을 위해 지어졌으며, 클로비스 2세의 아내인 셸의 성 발틸드가 100년 후에 이를 복원했다. 이 수도원은 현대까지 부유했으며 오랫동안 클로비스와 클로틸드의 후손인 "영국 공주들을 위한 훌륭한 휴양 및 교육 장소"였다. 511년, 클로틸드는 레장들리에 젊은 귀족 소녀들을 위한 수녀원을 설립했는데, 현재 그곳에 대학 교회가 서 있다. 레장들리 관광 안내소 웹사이트에 따르면 수녀원 건설 중에 기적이 일어났다고 한다. 어느 날, 일꾼들이 더위와 갈증에 대해 불평했고, 이에 클로틸드가 기도하자 근처 샘에서 나온 물이 "일꾼들에게는 와인의 힘과 맛을 지녔다".[6] 샘 앞 공간은 현재보다 더 넓어서 치유를 위해 온 순례자들을 수용할 수 있었고, 이는 그 힘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을 강화했다. 그 샘은 피부병을 치유하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다.[6]
클로틸드는 여러 세기에 걸쳐 클로비스의 세례를 주재하거나 성 마르탱의 성소에서 탄원하는 모습으로 예술 작품에 묘사되어 왔다. 앙들리에 있는 그녀에게 헌정된 교회에는 "그녀의 삶을 묘사한 16세기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있다.[3] 얀 반 에이크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베드포드 미사서에 클로틸드의 그림이 있는데, 이를 "클로비스에게 백합을 수여하는 아름답고 훌륭한 묘사"라고 설명한다. 그녀의 유물은 프랑스 혁명을 거쳐 살아남았으며 1997년 현재 파리 프랑스 생 루이 교회에 보관되어 있다.[3] 1857년, 파리에 그녀를 기리는 "웅장한 새 교회"가 세워졌다. 클로틸드의 축일은 6월 3일이다.[3]
참조
[1]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Sai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Sai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5]
서적
Genovefa (423-502). ''Sainted Women of the Dark Ages''
Duke University Press
1992
[6]
웹사이트
Saint Clotilde's Fountain
http://www.lesandely[...]
2024-06-19
[7]
문서
470년 출생설, 474년 출생설, 475년 출생설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