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탁상담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상담화는 마르틴 루터의 설교, 대화, 강연 등을 제자들이 기록한 것으로, 루터의 신학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은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고, 로마 가톨릭교회의 우상 숭배와 공로주의를 비판하며 이신칭의를 주장한다. 또한 결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묘사하는 등 당시 사회와 종교에 대한 루터의 견해를 담고 있다. 초기에는 유대인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였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인 발언을 했다는 논란이 있다. 이 책은 교황청에 의해 소각되었으나, 사본이 발견되어 출판되었고, 바이마르 판본으로 정리되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틴 루터의 작품 - 95개조 반박문
    95개조 반박문은 1517년 마르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며 발표한 95개의 논제로, 종교 개혁의 도화선이 되었다.
  • 마르틴 루터의 작품 - 내 주는 강한 성이요
    내 주는 강한 성이요는 마르틴 루터가 작사, 작곡한 찬송가로, 루터교와 개신교 전통에서 널리 알려져 "종교 개혁의 군가"로 불리며 종교 개혁, 예술 작품, 정치적 운동에 영감을 주었고 한국 개신교에서도 널리 불리며 민족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힘이 된 찬송가이다.
탁상담화
개요
보름스 의회에 선 마르틴 루터
보름스 의회에 선 마르틴 루터
유형탁상담화
저자마르틴 루터
최초 출판1566년
언어독일어

2. 주요 내용

이 책에는 다양한 신학자들과 신앙 및 교리 문제에 관해 나눈 이야기들이 주제별로 정리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로마 가톨릭교회 비판: 루터는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원리를 강조하며, 성경을 교회보다 열등하게 만들었던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판했다. 보름스 회의에서 루터와 논쟁을 벌였던 에크는 '오직 성경' 원리가 위클리프나 후스 등 중세말 현대주의 사조를 따르는 이단들의 주장이라며 루터를 이단으로 몰아세웠지만, 루터는 성경의 권위를 더 존중한 그들의 의견을 존중한다고 하였다.
  • 우상 숭배 비판: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 숭배 관행은 이교도에게서 배운 것이며, 하나님의 전능하신 능력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
  • 이신칭의(以信稱義):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공로주의를 비판하면서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는다고 하였다.
  • 결혼과 독신: 루터는 결혼을 종교 다음으로 세상에서 중요하다고 말하며, 결혼은 비성경적인 가르침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 적그리스도: 루터는 로마 교황이 적그리스도라고 주장했다.
  • 유대인에 대한 관점 변화: 초기에는 유대인을 동정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태도를 보였다는 논란이 있다.

2. 1.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

루터는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원리를 강조하였는데, 이는 성경을 교회보다 열등하게 만들었던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반발이었다.

보름스 회의에서 루터와 논쟁을 벌였던 에크는 '오직 성경' 원리가 위클리프나 후스 등 중세말 현대주의 사조를 따르는 이단들의 주장이라며 루터를 이단으로 몰아세웠다. 이에 대해 루터는 위클리프나 후스가 이단이 아니라 그들을 정죄한 공의회가 잘못을 범한 것이라고 하면서, 성경의 권위를 더 존중한 그들의 의견을 존중한다고 하였다. 루터는 성경을 교황과 로마 가톨릭교회의 결정보다 우위에 놓았다. 하지만 성경만을 절대적인 규범으로 보지는 않았다.[1]

2. 2. 우상 숭배 비판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 숭배 관행을 강하게 비판했다. 루터는 교황주의자들이 성인에게 기도하는 관행은 이교도에게서 배운 것이며, 하나님의 전능하신 능력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

2. 3. 이신칭의(以信稱義)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공로주의를 비판하면서 인간의 행위로는 구원받을 수 없으며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는다고 하였다. 루터는 믿음의 궁극적인 원인과 열매는 마음을 성결하게 하고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로 만들고 죄 사함을 얻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1]

2. 4. 결혼과 독신

루터는 결혼을 종교 다음으로 세상에서 중요하다고 말하며, 하나님께서 친히 결혼제도를 허락하셨다고 하면서 결혼은 결코 비성경적인 가르침이 아니라며 사제들의 결혼을 막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또 독신제도로 인해 발생되었던 문제들을 지적하면서 차라리 수녀들을 결혼하도록 허락하는 것이 나았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수녀들의 문란한 행실로 인하여 수녀원에 버려진 영아들이 많았기 때문이다.[10]

2. 5. 적그리스도

마르틴 루터는 로마 교황 치하의 교회들의 부패상과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지적하고 그리스도를 전했으며, 로마 교황이 적그리스도인 이유를 명확히 밝혔다.

루터는 다니엘서 11장, 요한 계시록 13장 7절 등을 근거로 로마 가톨릭 교황이 적그리스도라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교황이 적그리스도일진대, 나는 그가 육신을 입고 온 마귀라고 믿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참 하나님이시요 참 사람이시듯이, 적그리스도는 살아 있는 마귀입니다. 사람들이 교황을 가리켜 '지상의 신'이라고 하는 것 역시 옳은 말입니다. 그는 참 신도 아니고 참 인간도 아니며, 두 본성이 혼합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11]

2. 6. 유대인에 대한 관점 변화

초기에는 유대인을 동정하고 선교 대상으로 보았다. "유대인들은 아브라함과 이삭, 야곱, 모세, 다윗, 다니엘, 사무엘, 바울 같은 뛰어난 인물들을 배출했습니다... 선지자들은 아브라함의 계통을 이어받은 유대인들을 가리켜 아름다운 가지라고 했고, 그 가지에서 그리스도께서 친히 오셨습니다."라며 유대인들을 옹호했다.[13]

그러나 후기에는 《Die Juden und ibre Liigen|유대인들과 그들의 거짓말de》이라는 글을 통해 반유대주의적 태도를 보였다는 논란이 있다. 그는 이 글에서 "유대인의 회당을 불지르고, 그들을 죽이고, 매장하고 회당을 무너뜨리고, 탈무드를 빼앗으라"고 주장하며 유대인 탄압을 선동했다고 알려져 있다.[14]

하지만 《바티칸 암살단》의 저자 에릭 펠프스는 "마르틴 루터는 결코 이와 같은 글을 기록한 적이 없는데, 이 기록들에 그의 문체나 그의 성경적 신념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며 이는 가톨릭 예수회가 루터를 반유대주의자로 몰아가기 위한 음모라고 주장했다.[14] 19세기 초, 반유대주의가 심했던 독일에서 기독교사회노동당 대표인 아돌프 슈퇴커(Adolf Stoecker)는 '루터가 반유대주의를 조장했다'는 주장을 퍼뜨렸고, 나치는 이를 유대인 탄압의 도구로 사용했다.[12]

3. 책의 출판 과정과 역사

로마 가톨릭교회교황 그레고리오 13세의 명으로 《탁상담화》를 모두 수거하여 불태우고, 책을 소지한 사람까지 화형에 처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유럽에서는 인쇄본과 필사본이 거의 사라졌고, 약 4000여 권의 책이 소각되었다.[3]

1626년, 카스파르 반 슈파르라는 독일인이 자신의 집터를 파던 중 구덩이에서 《탁상담화》 인쇄본을 발견했다. 책은 린넨 천과 밀랍으로 봉해져 있었다. 그는 이 책을 영국에 있는 캡틴 헨리 벨에게 보냈고, 헨리 벨은 감옥에서 번역 작업을 했다.

캔터베리 대주교는 번역 원고를 가져갔다가 참수형을 당했고, 원고는 영국 하원으로 넘겨졌다. 하원은 위원회를 구성하여 검토 후 1645년 11월 10일 보고서에서 배포해도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리고, 1646년 영어 번역 및 출판을 지시했다.[3]

4. 바이마르 판본(Weimarer Ausgabe)의 구성

바이마르 판본(Weimarer Ausgabe, WA) 탁상담화(Tischreden, TR)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WA TR 1: 1530년대 전반기 탁상담화[3]
  • 1–656번: 파이트 디트리히의 기록
  • 657–684번: 니콜라우스 메들러의 기록
  • 685–1231번: 파이트 디트리히와 니콜라우스 메들러의 수집
  • WA TR 2: 1530년대 탁상담화
  • 1232–1889번: 요하네스 슐라겐호펜의 기록
  • 1890–1949번: 루드비히 라베의 수집
  • 1950–2802b번: 콘라트 코르다투스의 수집 (전반부)
  • WA TR 3: 1530년대 탁상담화
  • 2803a–3416번: 콘라트 코르다투스의 수집 (결론)
  • 3417–3462번: "Cord. B." 필사본의 탁상담화[4]
  • 3463a–3463h번: Zwick 필사본의 탁상담화[5]
  • 3464a–3464p번: "Wolf. 3231." 필사본의 탁상담화[6]
  • 3465–3659번: 1536년과 1537년 안톤 라우터바흐와 히에로니무스 벨러의 기록
  • 3660–3682번: "Math. L." 필사본 제1절의 탁상담화[7]
  • 3683–4201번: 안톤 라우터바흐의 1538년 일기
  • WA TR 4: 1538–1540년 탁상담화
  • 4202–4318번: B 수집과 Khum 필사본에 1538년으로 기록된 탁상담화
  • 4319–4719번: 안톤 라우터바흐의 1539년 일기
  • 4720–4756번: B 수집에 1539년으로 기록된 탁상담화
  • 4757–4857번: Khummer 수집
  • 4857a–4857p번: "Dresd. 1. 423" 필사본과 Math. L. 필사본의 7절의 탁상담화
  • 4858–5341번: 요하네스 마테시우스의 1540년 기록
  • WA TR 5: 1540–1544년 탁상담화
  • 5342–5378번: 1540년의 탁상담화, 아마 요하네스 마테시우스가 기록하지 않음
  • 5379–5603번: 카스파르 하이덴라이히의 1542년과 1543년 기록
  • 5604–5658번: "Clm. 937" 필사본의 탁상담화[8]
  • 5659–5675번: 히에로니무스 베졸트의 1544년 기록
  • 5676–5749번: "Clm. 943" 필사본의 탁상담화
  • 5750–5790번: "Clm. 939" 필사본의 탁상담화
  • 5791–5824번: "Bav."와 "Oben." 필사본의 탁상담화
  • 5825–5889번: "Luth.-Mel." 필사본의 탁상담화
  • 5890–5941번: "Wolf. 3232" 필사본의 탁상담화[6]
  • 5942–5989번: 게오르크 뢰러의 필사본
  • 5990–6507번: 안톤 라우터바흐의 수집 "B."
  • WA TR 6: 다양한 연도의 탁상담화, 요하네스 아우리파베르의 수집
  • 6508–7075번: 요하네스 아우리파베르의 수집에서 가져온 탁상담화 (약어: FB)

참조

[1] 서적 Martin Luther's Table Talk http://www.ccel.org/[...] 2011-01-14
[2] 서적 Luther's Table Talk: A Critical Study https://upload.wikim[...] Columbia University Press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논문 「탁상담화」(Table Talk)를 중심으로 한 루터의 설교 연구 장로회신학대
[10] 논문 루터와 칼빈의 종교개혁 원리에 대한 비교연구 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1] 서적 탁상담화 크리스천다이제스트
[12] 논문 기독교적 반유대주의 연구와 반성 총신대 신학대학원
[13] 서적 탁상담화 크리스천 다이제스트
[14] 서적 바티칸 암살단 생명의서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