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스는 중국의 사상가이자 문학가로, 1891년 상하이에서 태어나 1962년 타이베이에서 사망했다. 그는 코넬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실용주의 철학을 공부했고, 귀국 후 베이징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백화문 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옹호하며 반공주의적 입장을 보였으며, 중화민국 주미대사와 베이징 대학 교장을 역임했다. 말년에는 타이완에서 중앙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20세기 중국 지성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주재 중화민국 대사 - 웰링턴 쿠
    웰링턴 쿠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파리 강화 회의, 국제 연맹, 유엔 등에서 중화민국의 이익을 대변하고 국제사법재판소 판사로도 활동했다.
  • 미국 주재 중화민국 대사 - 옌후이칭
    옌후이칭은 청나라 말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시기까지 활동한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 중화민국과 국민정부에서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중국 홍십자회 국제 위원회 주석을 지내고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다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 대만의 철학자 - 즈강
    즈강은 중국 태생의 대만 불교 승려이자 학자, 작가, 법고산의 창시자로, 불교 승려가 된 후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법고산을 창립하여 불교 세계화에 기여했다.
  • 대만의 철학자 - 첸무
    첸무는 중국 문화 전통의 가치를 옹호하고 중국사의 큰 줄기를 파악하는 데 힘쓴 역사가이자 사상가로, 신아학원을 설립하여 중국 문화 교육에 헌신했으며 만년에는 대만으로 이주하여 연구 및 강연 활동을 이어갔다.
  • 대만의 외교관 - 쑹쯔안
    쑹쯔안은 중국의 은행가이자 사업가로, 쑹자수 목사의 아들이자 쑹아이링, 쑹칭링, 쑹쯔원, 쑹메이링, 쑹쯔량의 남동생이며, 홍콩 광둥 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 대만의 외교관 - 장궈빙
    장궈빙은 장제스의 조카이자 장징궈, 장웨이궈의 사촌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중화민국 육군 중교 예편 군인이며, 국부천대 사태를 목격했고 대한민국에서는 '장국병'으로도 불린다.
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후스
다른 이름후수 (Hu Suh)
로마자 표기Hu Shih
출생일1891년 12월 17일
출생지청나라 상하이시
사망일1962년 2월 24일
사망지타이완 타이베이시
국적중화민국
직업외교관
문학 학자
철학자
정치 사상가
작가
학력유미이업관
코넬 대학교 (문학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철학 박사)
주요 관심 분야중국어
중국 문학
홍루몽 연구
철학 학파실용주의
경험주의
회의주의
철학적 관심사자유주의
교육 철학
영향토머스 헉슬리
활동 시기1912년부터
주요 작품'문학 개량 초의'(1917)
정치 경력
직책주미 중화민국 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주미 대사 임기 시작1938년 10월 29일
주미 대사 임기 종료1942년 9월 1일
주미 대사 전임자왕정팅
주미 대사 후임자웨이타오밍
베이징 대학 총장 임기 시작1946년
베이징 대학 총장 임기 종료1948년
중앙연구원 원장 임기 시작1957년
중앙연구원 원장 임기 종료1962년
중앙연구원 원장 전임자주자화
중앙연구원 원장 후임자왕스제
외교부장 임기 시작1949년 6월 12일
외교부장 임기 종료1949년 10월 1일
외교부장 내각옌시산 내각
외교부장 원수리쭝런 (대리)
정무위원 임기 시작1949년 6월 12일
정무위원 임기 종료1949년 10월 1일
정무위원 내각옌시산 내각
정무위원 원수리쭝런 (대리)
베이징 대학 총장 임기 시작1945년 9월 4일
베이징 대학 총장 임기 종료1948년 12월 15일
주미 대사 임기 시작1930년 7월 1일
주미 대사 임기 종료1932년 1월 6일
학문적 업적
주요 업적중국 자유주의
언어 개혁
문학 사조신문화 운동
5.4 운동
기타 정보
서명
언어 정보
언어중국어
영어
사용 언어중국어 백화
영어
작품 분야
장르학술 출판
수필
자서전
소설
희곡
주제해방
관련 정보
소속 기관베이징 대학
중앙연구원

2. 생애

후스는 1891년 장쑤성 상하이에서 태어나 1910년 미국으로 유학, 코넬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17년 귀국 후 베이징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신청년을 통해 백화문 운동을 이끌었다. 천두슈, 리다자오 등과 《매주평론》을 창간했고, 1922년 《노력주보》를 창간, '과현논전'을 주도했다. 상하이 쿠데타 이후 상하이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1932년 베이징 대학 문학원장을 지냈다.

1938년부터 1942년까지 중화민국 주미대사를 역임했고, 국공 내전에서 장제스국민당 정부 패배 후 1949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1957년 중화민국 타이완으로 거처를 옮겨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1962년 타이베이시 난강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후스 공원에 안장되었고, 후스 기념관이 설립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 ~ 1917)

1891년 장쑤성 쑹장부 촨샤청에서 태어나 본적지인 안후이성 후이저우부 지시현에서 자랐다. 아명(兒名)은 '''후스먼'''(胡嗣穈, '''호사문'''), 자(字)는 스즈(適之, 적지)이다.[60] 14세 때, 엄복이 번역한 토머스 헨리 헉슬리의 사회진화론 서적 『天演論|천연론중국어』을 읽고 감명을 받아, 책 속의 "적자생존"을 따서 "적(適)"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60]

1904년 1월, 11살이 된 후스는 어머니의 주선으로 강동수(江冬秀)와 결혼했다.[10] 같은 해, 후스와 그의 형은 "근대적인" 교육을 받기 위해 상하이로 이주했다.[11] 1906년부터 3년간 상하이 중국 공학에서 대학 예과를 다녔고, 1909년~1910년에는 유미이업관(1911년 설립된 베이징 칭화학당의 전신)에서 수학했다.[60]

1910년(선통 2년), 19세 때 양무운동의 재원으로 마련된 박서사변 배상금 유학생 제도를 통해 “국비 유학생”으로 미국 유학을 떠났다.[10] 코넬대학교에서 농학을 전공하다가,[12] 1912년 철학과 문학으로 전공을 변경, 피 베타 카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국제 학생 단체인 코스모폴리탄 클럽의 회원이자, 후에는 회장을 역임했다.[12] 코넬 대학교 재학 중 후스는 새롭고 배우기 쉬운 현대 문어 중국어 장려 운동을 이끌었고, 이는 중국에서의 문해력 향상에 기여했다.[13] 또한 코넬 대학교의 광범위한 동아시아 서적 및 자료 컬렉션 설립에 기여하였다.[13]

이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존 듀이에게 실용주의 철학을 배웠다. 1917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고대 중국에서의 논리학적 방법의 발전"(The Development of the Logical Method in Ancient China영어, 후에 책으로 출판됨. 중국 논리학을 다룸)이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1]

2. 2. 중국 귀국 및 학문 활동 (1917 ~ 1937)

1917년 귀국하여 국립 베이징 대학 문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신청년에서 구어체 문학 운동을 전개하고 백화문 운동을 주창하였다.[22] 1918년 12월에는 천두슈, 리다자오 등과 함께 《매주평론》(1919년 8월 폐간)을 창간하여 후반기 편집과 폐간 작업을 주도하였다.

1922년 국립 베이징 대학 문과 학장 대행에 취임한 후, 같은 해 《노력주보》를 창간하였다. 차이위안페이, 천두슈 등 《신청년》 초기 혁명파와 량치차오 등의 입헌파 사이에 벌어진 '과현논전'을 주도하였다.[22]

상하이 쿠데타 이후, 1927년 국립 베이징 대학이 중국 국민당에 의해 국립 베이핑 대학으로 흡수되자, 차이위안페이와 함께 상하이로 이동하였다. 1927년 상하이 광화 대학 교수를 거쳐, 1928년부터 1930년까지 상하이 중국 공학 학장을 역임하였다.[22]

1932년에는 중화민국 베이핑의 국립 베이징 대학 문학원 원장을 지냈다.[22] 같은 해 《독립평론》을 창간하여, 만주사변 이후 일본을 비판하고 "정전 모화"(停戰謀和,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도모)를 주장하였다.[62] 1935년에는 "일본 할복 중국 개착론"으로 알려진 평론을 발표, 미국과 소련 양국과 충돌하는 일본은 결국 자멸할 것이며, 중국은 수년간 고생을 참고 기다리면 일본을 대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 3. 외교 활동 및 망명 (1938 ~ 1957)

1938년부터 1942년까지 중화민국 주미대사를 역임했다.[62] 1935년에는 "일본 할복 중국 개착론"이라는 평론을 발표했는데, 이 글에서 미국소련 양국과 충돌하는 일본은 결국 자멸할 것이며, 중국은 수년간 고생을 참고 기다리면 "할복"하는 일본의 "개척인"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62]

1939년1957년에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추천되기도 했다.[63]

1946년, 베이징대학교 총장에 취임했다. 국공내전에서 장제스국민당 정부가 패배하자 1949년에 미국으로 망명했다.[64]

2. 4. 대만 시기 및 사망 (1957 ~ 1962)

1957년 중화민국 타이완으로 거처를 옮겨 외교부 고문, 중앙연구원 원장(1957-1962년)을 역임했다.[64] 수경주선종사 연구에 매달렸다. 1949년에는 하와이 대학교에서 개최된 제2회 동서 철학자 회의에서 스즈키 다이세쓰와 선 연구 방법에 관해 토론을 벌였다.

코넬대학교의 후시(胡適) 기념관


70세의 나이로 타이베이시 난강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중앙연구원 캠퍼스 옆 후스 공원(Hu Shih Park)에 안장되었다.[24] 같은 해 12월, 그의 업적을 기리는 후시 기념관(Hu Shih Memorial Hall)이 설립되었다.[24] 이 기념관은 중앙연구원 현대사연구소 산하 기관으로 박물관, 그의 생가, 그리고 공원을 포함하고 있다. 후시 기념관에서는 중국어와 영어로 된 오디오 가이드 투어를 제공한다.

후스 묘지

3. 사상

후스는 존 듀이의 영향을 받은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점진적이고 실험적인 사회 개혁을 주장했다.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급진적인 혁명론에 반대하고,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옹호했다. 토머스 헨리 헉슬리불가지론에 영향을 받아 회의주의적 태도를 견지했으며,[34] 과학적 방법론과 회의주의 정신을 전통적인 중국 고전 연구(考證, 카오정)에 도입하여 현대 중국 지성사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후스는 평생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정치적 신념으로 삼았다. 변화하는 정치적 환경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가 민주주의로 나아가고 있다고 굳게 믿었다.[37][38] 그는 민주주의를 모든 사람의 가치가 인정되고, 모든 사람이 개인주의적 삶의 방식을 개발할 자유를 갖는 삶의 방식으로 정의하며, 개인의 성취는 사회 전체의 발전과 모순되지 않고, 오히려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았다.[40]

후스는 중국 공산당의 독재와 전체주의를 비판했다.[48] 그는 개인의 자유와 다양성을 억압하는 획일적인 사회주의에 반대했다. 특히, 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인 개인의 권리를 옹호하며, 획일성이라는 이름으로 정치적 억압 없이 자유롭고 다양하게 발전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48]

3. 1. 실용주의

후스는 실용주의를 철학 연구를 위한 과학적 방법론으로 보았다. 그는 듀이의 철학 내용보다는 방법, 태도, 과학적 정신에 더 관심을 가졌다.[29] 그는 "실용주의"를 로 번역했는데, 이는 그가 방법론()을 중시했음을 보여준다.

후스는 모든 이데올로기와 추상적인 이론을 검증이 필요한 가설로만 보았다. 그는 이데올로기의 내용은 이론가의 배경, 정치적 환경, 심지어 성격에 의해 형성되므로, 그 시대에 국한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데올로기의 태도와 정신만이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이데올로기의 독단적인 적용을 비판했다.[30]

1919년 후스가 주간평론 ()의 편집장을 맡은 후, 리다저우와 이데올로기와 문제에 대한 논쟁 ()을 벌였다. 그는 "문제와 주의에 대한 세 번째 논의" ()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모든 주의와 모든 이론은 연구되어야 하지만, 독단적인 신조가 아니라 가설로만 간주되어야 한다. 종교의 규칙이 아니라 참고 자료로만 간주되어야 한다. 절대적인 진리이자 더 이상의 비판적 사고를 멈추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영감을 주는 도구로만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만 사람들은 창의적인 지능을 기르고,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추상적인 단어에 대한 미신에서 해방될 수 있다.[30]

후스는 자신의 평생 업적을 실용주의의 과학적 정신을 삶의 방식으로 실천하는 일관된 프로젝트로 보았다. 그는 듀이가 생각을 다섯 단계로 나눈 것을 인용했다.[31]

# 느껴지는 어려움

# 그 위치와 정의

# 가능한 해결책 제안

# 제안의 발전

# 추가 관찰 및 실험은 수용 또는 거부로 이어진다.[31]

후스에게 회의주의와 실용주의는 불가분의 관계였다. 그는 헉슬리불가지론이 듀이의 실용주의가 추구하는 실제적이고 능동적인 문제 해결의 부정적 전제 조건이라고 보았다.[32] 헉슬리의 "계통적 방법"은 후스의 글쓰기에서 "역사적 태도"가 되는데, 이는 지적 독립성을 보장하고 개인의 해방과 정치적 자유로 이어지는 태도이다.

3. 2. 회의주의

후스는 토머스 헨리 헉슬리불가지론에 영향을 받아 회의주의적 태도를 견지했다.[34] 그는 과학적 방법론과 회의주의 정신을 전통적인 중국 고전 연구(考證, 카오정)에 도입하여 현대 중국 지성사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고대 문헌의 타당성이 의심스럽고 내용이 모호하다는 이유로, 전국 시대 이전의 모든 학파를 무시하고 노자공자부터 시작하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33] 이는 지적 독립성과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그의 철학을 반영한 결과였다.

3. 3.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후스는 평생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정치적 신념으로 삼았다. 그는 변화하는 정치적 환경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가 민주주의로 나아가고 있다고 굳게 믿었다.[37][38] 후스는 민주주의를 모든 사람의 가치가 인정되고, 모든 사람이 개인주의적 삶의 방식을 개발할 자유를 갖는 삶의 방식으로 정의한다.[39] 후스에게 개인적 성취는 사회 전체의 발전과 모순되지 않으며, 오히려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40] 그는 개인의 육체는 소멸하지만, 영혼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불멸한다고 보았다.[41] 따라서 후스는 사람들이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42]

후스는 개인의 기여를 민주주의 체제에 매우 중요하고 유익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독재 체제는 전문가가 필요하지만, 민주주의는 국민의 지혜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의 삶의 경험이 모이면 엘리트 정치인의 조정이 필요 없으므로, 민주주의는 정치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과 함께 실천하기 쉽다고 보았다. 그는 민주주의를 참여하는 사람들을 육성하는 "유치한 정치"라고 불렀다.[43]

후스는 민주주의를 자유와 동일시하며, 이 자유는 관용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민주주의 체제에서 사람들은 정치적 박해나 여론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1959년 수필 "관용과 자유"에서 후스는 관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용은 자유의 기초이다"라고 주장했다. 민주 사회에서는 반대 세력의 존재가 허용되어야 하며, 소수자의 권리는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사람들은 반대 세력을 파괴하거나 침묵시켜서는 안 된다.[44]

후스는 말년에 중국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의 뿌리를 찾는 데 힘썼다. 그는 여러 저술에서 중국 전통 내에 민주적 정신이 항상 존재해왔다고 주장했다.[45] 그는 중국 전통에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았다.

민주적 요소
아들들 간의 상속 제도 평등과 압제적인 정권에 대한 저항권을 포함한 민주화된 사회 구조
과거제를 통한 광범위한 정치 참여
정부 기관과 유교 전통의 정치 비판에 의해 공식화된 정부 내부의 비판과 감찰 통제



1929년, 후스는 국민당 정부가 헌법주의 이상을 배신한 것을 비판했다. 그는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성문 헌법의 제정을 촉구하고, 정부는 헌법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쑨원의 사람들이 자치할 능력이 없다는 주장을 비판하며, 민주주의 자체를 정치 교육의 한 형태로 간주했다.

3. 4. 반공주의

후스는 중국 공산당의 독재와 전체주의를 비판했다.[48] 그는 개인의 자유와 다양성을 억압하는 획일적인 사회주의에 반대했다. 특히, 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인 개인의 권리를 옹호하며, 획일성이라는 이름으로 정치적 억압 없이 자유롭고 다양하게 발전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48]

후스는 실용주의를 지지하여 사회 변화는 점진적으로만 일어날 수 있다고 믿었다. 혁명이나 사회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한다고 주장하는 어떤 이념도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47] 그는 존 듀이의 말을 인용하며 "진보는 도매가 아닌 소매 작업이며, 부분적으로 계약하고 실행해야 합니다."라고 주장했다.

후스는 마르크스주의적 역사관과는 달리, 역사의 형성은 우연에 불과하다고 믿었다. 그는 개혁주의, 다원주의, 개인주의, 회의주의를 지지했기 때문에, 그의 철학은 공산주의 이념과 양립할 수 없었다.[49]

후스는 말년에 중국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근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 공산당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맞섰다. 그는 유교와 도교 전통에서 세 가지 논거를 제시하며 중국 공산당의 독재를 "비역사적"일 뿐만 아니라 "비중국적"인 것으로 간주했다.[49]

4. 백화문 운동과 문학적 기여

후스는 백화문(白話文) 운동의 주창자로, 문언문에 반대하여 구어체에 기반한 글쓰기를 주장했다. 그는 장사조(張志和)와 같은 문언문 옹호자들과 대립했는데, 이들과는 10살 정도의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대 차이가 크게 느껴졌다.[56]

1919년, 후스는 오루전(吳魯芹)을 방문한 자리에서 "지난 10년간 송교인(宋教仁), 채억(蔡鍔), 오루전과 같이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들만이 명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살아있는 사람들은 시대가 빠르게 변하면서 그 진면목이 금방 드러나게 된다."라고 말했다.[56] 이는 변화를 추구하지 않으면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다는 그의 생각을 보여준다.

량수명(梁漱溟)에 따르면, 장사조는 임술(林紓)과 함께 백화문에 가장 큰 반대자였다.[56] 하지만 후스와 장사조는 나이 차이가 컸는데, 장사조가 상하이에서 활동할 당시 후스는 중학생에 불과했다.

4. 1. 백화문 운동 주창

천두슈의 요청으로 잡지 ''신청년''에 「문학개량추의」를 기고하여, 난해한 문어문을 폐지하고 구어체에 기초한 백화문학을 제창하여 문학혁명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였다.[14] 하지만 그 자신은 몇몇 작품을 남겼으나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실천적인 면은 루쉰 등에 의해 추진되었다.

후스는 신청년에 「문학개량추의」, 「건설적 문학혁명론」 등의 글을 발표하며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난해한 문언문 대신 쉬운 구어체를 사용하여 문학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14]

4. 2. 문학 이론

후스는 문학이 내용을 가져야 하며, 고전을 모방하지 않고 현대적인 스타일로 쓰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법을 존중하고, 우울함을 배척하며, 상투적인 표현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중적인 표현과 글자 형태를 사용할 것을 장려했다.[53]

1917년 1월 《신청년》에 발표된 "문학 개혁에 대한 예비적 논의"에서 후스는 작가들이 마음에 새겨야 할 여덟 가지 지침을 제시했다.[53]

번호지침설명
1내용을 가지고 써라.진정한 감정과 인간의 사상을 담아야 한다.
2고전을 모방하지 마라.현대적인 스타일로 써야 한다.
3문법을 존중하라.
4우울함을 배척하라.
5낡은 상투어를 제거하라.
6암시를 사용하지 마라.
7대구나 병렬을 사용하지 마라.
8대중적인 표현이나 대중적인 글자 형태를 피하지 마라.



1918년 4월, 후스는 《신청년》에 "건설적인 문학 혁명 – 국어 문학"이라는 기사를 발표하여, 위의 여덟 가지 요점을 네 가지로 간소화했다.

번호지침
1할 말이 있을 때만 말하라.
2하고 싶은 말을 하고 싶은 방식으로 말하라.
3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의 것을 말하라.
4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의 언어로 말하라.



이는 고전 중국어를 구어체로 대체하는 것과 관련된 주장이었다.

4. 3. 작품 활동

후는 1920년 시집 『실험』을 출간했는데, 이는 백화시 창작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54] 다음은 백화로 쓴 시 「꿈과 시」의 일부이다.

원문(중국어)한국어 번역
都是平常情感。
都是平常言語。
偶然碰著個詩人。
變幻出多少新奇詩句!
평범한 감정들,
평범한 말들.
우연히 시인을 만나,
얼마나 많은 새로운 시구절들이 만들어지는가!
醉過才知酒濃。
愛過才知情重;
你不能做我的詩。
正如我不能做你的夢
술에 취해봐야 술의 맛을 알고,
사랑을 해봐야 사랑의 무게를 안다;
당신은 내 시를 쓸 수 없다.
마치 내가 당신의 꿈을 꿀 수 없는 것처럼.



후는 희곡 『결혼』을 통해 새로운 문학 형식을 실험하기도 했다.[55] 1919년 3월호 『신청년』에 발표된 이 1막극은 부모가 정해주는 전통적인 결혼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주인공 여성이 결혼을 피해 가족을 떠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산문 중에는 중국 사회를 비판하는 「대충 씨 전」이 있다. 이 작품은 "대충" 또는 "거의 맞다"와 같은 뜻의 중국어 표현 「차부두(差不多)」를 중심으로 한다.

5. 주요 저작

후스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작으로는 다음이 있다.

제목출판 연도출판사비고
중국철학사대강 (상권)1919상무인서관진나라까지만 다룬 미완성 작품.
실험1920북경대학교 출판부신시 시집
호적문존 1집1921북경대학교 출판부
장실제선생년보1922상무인서관
호적문존 2집1924아동도서관
대강선생전1924
대동원의 철학1927아동도서관
백화문학사 (상권)1928신월서점
려산유기1928신월서점
인권론집1930양실추, 와 공저, 신월서점
호적문존 3집1930아동도서관
호적문선1930아동도서관
중국중고사상사장편1930
중국중고사상사제요1932북경대학교 출판부
사십자술1933
The Chinese Renaissance1934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호적론학근저 제1집1935상무인서관
남유잡억1935
장휘실찰기1939아동도서관
호적의 시론1948육예서국
수경주판본 사십종 전람목록1948북대 출판부
기백석년보1949상무인서관
호적문존 4집1953원동출판
정문강의 전기1960난항 중앙연구원
오양철생 편, 《호적문집》(胡適文集)1998북경대학출판사(北京大学出版社)전12권
긍운지 주편, 《호적유고 및 비장서신》(胡適遺稿及秘蔵書信)1994황산서사(黄山書社)전42권
선진 시대 학술사



일본어로 번역된 저서로는 이데 스에카즈(井出季和太) 역, 고세무지로(高瀬武次郎) 서문의 『[https://dl.ndl.go.jp/pid/1171951 후적(胡適)의 중국철학론(支那哲学論)]』 (오사카야고쇼텐, 1927년, 복간: 다이쿠샤 〈아시아학총서〉, 1998년), 양상음(楊祥蔭)・우치다 시게타카(内田繁隆) 공역 『[https://dl.ndl.go.jp/pid/970979 고대 중국 사상의 새로운 연구(古代支那思想の新研究)]』 (간쇼도, 1939년, 복간: 다이쿠샤 〈아시아학총서〉, 1998년), 요시카와 코우지로(吉川幸次郎) 역 『[https://dl.ndl.go.jp/pid/2983571 후적 자전(胡適自伝)]』 (소겐샤(創元社), 1940년, 『요시카와 코우지로 전집 16』에 재록, 치쿠마쇼보(筑摩書房), 1970년), 사토 마사히코 역 『후적문선(胡適文選)』 (전2권, 평범사 동양문고, 2021년 9월・12월) 등이 있다.

6. 평가 및 유산

후스는 신문화 운동과 5·4 운동을 이끈 20세기 중국의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평가받는다. 백화문 운동을 통해 중국 문학의 현대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실용주의 철학과 자유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중국 사회의 개혁을 추구했다. 그의 사상은 중국 공산당에 의해 비판받았으나, 현대 중국 지성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후스는 실용주의를 철학 연구를 위한 과학적 방법론으로 보았으며, 문화의 경계를 초월하여 어디에든 적용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이데올로기와 추상적인 이론을 가설로만 간주하고, 독단적인 적용을 비판했다.[29] 그는 리다자오와 이데올로기와 문제에 대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30]

후스는 과학적 방법론과 회의주의 정신을 중국 고전 연구에 도입하여 현대 중국 지성사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33] 그는 전국 시대 이전의 모든 학파를 무시하고 노자공자부터 시작하는 등, 유교, 묵가, 맹자, 순자를 동등하게 대우하는 파격적인 시도를 했다.[34]

후스는 평생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정치적 신념으로 삼았다. 그는 민주주의를 모든 사람의 가치가 인정되고 개인주의적 삶을 개발할 자유를 갖는 삶의 방식으로 정의했다.[39] 그는 개인의 성취가 사회적 선과 모순되지 않으며, 오히려 전반적인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았다.[40]

중국 공산당은 후스의 사상을 비판하는 운동을 전개했지만, 후스는 이에 대해 중국 공산당의 정치적 정당성을 공격하는 글로 맞섰다.[46] 그는 실용주의자로서 사회 변화는 점진적으로만 일어날 수 있다고 믿었으며, 혁명이나 사회 문제를 일거에 해결한다는 이념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48]

후스는 5·4 운동을 서구 국가들이 주도하는 전 세계적인 철학적 변화의 일부로 보았다. 운동 초기에는 소비에트 연방과 같은 집단적인 조직에 긍정적이었으나, 1930년대 이후 개인주의를 중시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57]

그의 업적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중국 공산당에 의해 오랫동안 비판받았으나, 1986년 지셴린(季羡林)의 글을 통해 재평가되기 시작했다.[25] 코넬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는 후시 교수직, 후시 명예 강연, 후시 기념관 등을 통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13][28]

6. 1. 대한민국과의 관계

후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후원한 인물이다. 이승만, 안창호 등 한국 독립운동 지도자들과 긴밀하게 교류하며 대한민국 독립을 위한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이승만과 오랜 기간 서신을 교환하며 정치적 조언을 제공했다.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의 재정적 지원을 주선하고, 임시정부 요인들의 안전과 활동을 돕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19년 3.1 운동 이후에는 대한민국 독립의 정당성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데 주력했다.

참조

[1] 논문 The Bureau at the Fair https://archive.org/[...] 1940-08-00
[2]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https://archive.org/[...] 1944-06-10
[3]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2019-06-27
[4] 서적 The China Year Book 1921-2 https://archive.org/[...] Tientsin Press, Ltd.
[5] 서적 The Youth Movement In China https://archive.org/[...] 1927-00-00
[6] 논문 Hu Shi and Zhang Shizhao https://doi.org/10.2[...] 2006-03-00
[7]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 Literatur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2-02-03
[8] 서적 China's Great Liberal of the 20th Century - Hu Shih: A Pioneer of Modern Chinese Language 三聯書店(香港)有限公司,聯合電子出版有限公司代理
[9] 서적 Hu Shih and the Chinese Renaissance: Liberalism in the Chinese Revolution, 1917-1937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00-00
[10] 서적 Encyclopedia of Life Writing: Autobiographical and Biographical Forms, Volume I A-K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1] 서적 Chinese Lives: The people who made a civilization Thames & Hudson 2013-00-00
[12] 서적 Power of Freedom: Hu Shih's Political Writing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3] 뉴스 Residence hall names honor McClintock, Hu, Cayuga Nation https://web.archive.[...] Cornell University 2021-03-23
[14] 서적 Over a Cup of Tea: An Introduction to Chinese Life and Cultur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5]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Hu Shih and the Chinese Renaissance Liberalism in the Chinese Revolution, 1917–1937 http://www.humaniti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00-00
[17] 웹사이트 Vale: David Hawkes, Liu Ts'un-yan, Alaistair Morrison http://www.chinaheri[...] China Heritage Quarterly of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8] 서적 Imperfect Understanding: Intimate Portraits of Modern Chinese Celebrities Cambria Press
[19] 서적 Reproductive realities in modern China : birth control and abortion, 1911-202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0-00
[20] 웹사이트 Shih Hu https://www.amacad.o[...] 2023-02-09
[21]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2] 뉴스 PRESIDENT ASSURES CHINA'S NEW ENVOY; Tells Dr. Hu Shih We Will Keep Foreign Policy Based Upon Law and Order DIPLOMAT VOICES THANKS He Declares His People Will Fight On for Peace With Justice and Honor President Gives Assurance Will Fight On Indefinitely https://www.nytimes.[...] 1938-10-29
[23] 뉴스 Ambassador Hu Shih Recalled by China; Wei Tao Ming, Formerly at Vichy, Will Be His Successor https://www.nytimes.[...] 1942-09-02
[24] 웹사이트 http://www.mh.sinica[...] 2019-06-27
[25] 웹사이트 Ji Xianlin: A Gentle Academic Giant http://www.china.org[...] china.org 2005-08-19
[26] 서적 Putonghua Shuiping Ceshi Gangyao
[27] 서적 India and China: Beyond the Binary of Friendship and Enm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0-00
[28] 웹사이트 Hu Shih Hall https://scl.cornell.[...] 2022-10-24
[29] 문서 杜威先生與中國 (Mr. Dewey and China) 1921-07-11
[30] 문서 三論問題與主義 (A Third Discussion of Problems and Isms) 1919-08-24
[31] 논문 Hu Shih and John Dewey: 'scientific method' in the May Fourth era – China 1919 and after https://www.academia[...]
[32] 서적 胡適論學近著 (Hu Shih's Recent Writings on Scholarship) Commercial Press
[33] 서적 Collected Writings of Yu Ying-shih Guangxi Normal University Press
[34] 서적 Collected Writings of Yu Ying-shih Guangxi Normal University Press
[35] 논문 Philosophy in Contemporary China 1934-00-00
[36] 서적 光焰不熄:胡适思想与现代中国 Jiuzhou Press 2012
[37] 서적 光焰不熄:胡适思想与现代中国 Jiuzhou Press 2012
[38] 서적 我们必须选择我们的方向 (We Must Choose Our Own Direction) 1947
[39] 서적 四十年来中国文艺复兴运动留下的抗暴消毒力量—中国共产党清算胡适思想的历史意义 1955
[40] 서적 易卜生主义 (Ibsenisim) 1918
[41] 간행물 Immortality{{snd}}My Religion 1919
[42] 서적 光焰不熄:胡适思想与现代中国 Jiuzhou Press 2012
[43] 웹사이트 从一党到无党的政治 https://zh.wikisourc[...] 2019-04-15
[44] 서적 光焰不熄:胡适思想与现代中国 Jiuzhou Press 2012
[45] 서적 English Writings of Hu Shih Springer 2013
[46] 서적 光焰不熄:胡适思想与现代中国 Jiuzhou Press 2012
[47] 학술지 Two Versions of Modern Chinese History: a Reassessment of Hu Shi and Lu Xun http://dx.doi.org/10[...] Brill 2020-12-17
[48] 학술지 The Conflicts of Ideologies 1941-11
[49] 문서 Communism, Democracy, and Cultural Pattern
[50] 서적 Einstein on peace http://archive.org/d[...] New York, Schocken Books 1968
[51] 웹사이트 [Carta] 1950 oct. 12, Genève, [Suiza] [a] Gabriela Mistral, Santiago, Chile [manuscrito] Gerry Kraus. http://www.bibliotec[...] 2023-10-19
[52] 웹사이트 Selected Bibliography of Hu Shih's Writings in English Language http://www.mh.sinica[...] 2019-06-27
[53] 위키문헌 文學改良芻議
[54]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by Kai-Yu Hsu http://greenteadoodl[...] 2010-03
[55] 웹사이트 Chabuduo Xiansheng 差不多先生傳 https://china.usc.ed[...] 1919
[56] 학술지 Hu Shi and Zhang Shizhao http://dx.doi.org/10[...] 2006
[57] 서적 Hu Shih and Intellectual Choice in Modern China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84
[58] 학술지 Hu Shi and the May Fourth Legacy http://dx.doi.org/10[...] Brill 2020-12-17
[59] 문서 簡体字の書籍でも繁体字表記の「{{lang|zh-hant|胡適}}」を用いる場合がある。
[60] 학술지 厳復と翻訳 : 主体性と「達詣」の限界性について http://www.lib.kobe-[...] 2017
[61] 리다이렉트 #REDIRECT
[62] 서적 朝陽門外 桜美林大学出版会 2021
[63]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nobelprize.or[...]
[64] 백과사전 胡適思想批判
[65] 학술지 中国近代思想研究方法序説(二) https://doi.org/10.1[...]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