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라나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라나님은 2004년 8월 초 괌 서북서쪽에서 발생하여 중국 저장성에 상륙한 태풍이다. 일본 기상청은 열대 폭풍으로, 필리핀 기상청은 'Karen'으로 명명했다. 라나님은 오키나와 남서쪽을 지나 중국 저장성 원링 시 부근에 상륙하여 1956년 태풍 샐리 이후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기록되었으나, 내륙으로 이동하며 약화되었다. 태풍으로 인해 대만에서 1명이 사망했고, 중국에서 168명이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 막대한 피해를 입힌 라나님은 명칭이 제명되었고, 파나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태풍 - 태풍 니다 (2004년)
2004년 8월에 발생한 태풍 니다는 슈퍼 태풍으로 발달하여 필리핀과 일본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대만에서는 총통 취임 준비를 중단시키는 등 영향을 미친 후 온대 저기압으로 소멸하였다. - 2004년 태풍 - 태풍 팅팅
2004년 마리아나 제도와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를 지나간 태풍 팅팅은 북서진하며 최대 강도에 도달했으나 약화되어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고, 괌, 오가사와라 제도, 일본 동부 해안 지역에 피해를 입혔으며, 1999년 한국에 큰 피해를 준 태풍 팅팅으로 인해 이름이 삭제되고 '사자바위'로 대체되었다. - 2004년 중국 - 2004년 AFC 아시안컵
2004년 AFC 아시안컵은 중국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 나카무라 슌스케가 MVP, 알라 후바일과 알리 카리미가 득점왕을 차지했으나, 반일 감정 표출과 심판 판정 논란이 있었던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4년 중국 - 사스 유행
사스 유행은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으로, 중국 광둥성에서 시작되어 29개 국가 및 지역에서 8,096명의 감염자와 77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으며,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종식되었으나 2004년 재발병하기도 했다. - 2004년 대만 - 2004년 FIFA 풋살 세계 선수권 대회
2004년 FIFA 풋살 세계 선수권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에서 개최되어 16개국이 참가했으며, 스페인이 이탈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04년 대만 - 제41회 금마장
2004년에 개최된 제41회 금마장에서는 《가슴 속의 칼》이 최우수 작품상을, 두기봉이 《폭풍》으로 감독상을, 유덕화가 《무간도 3 - 종극무간》으로 남우주연상을, 양귀미가 《달도 뜨오른다》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신참》은 관객상을, 《찬란한 부표》는 올해의 대만 영화상을, 천보원은 올해의 뛰어난 대만 영화 제작자상을, 아피포는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태풍 라나님 | |
---|---|
기본 정보 | |
![]() | |
발생 | 2004년 8월 6일 |
소멸 | 2004년 8월 15일 |
이름 | 태풍 라나님 (RANANIM), 카렌 (KAREN) |
영향 지역 | 타이완, 중국, 일본 |
시즌 | 2004년 태평양 태풍 시즌 |
일본 기상청 (JMA) 정보 | |
최대 풍속 | 80 kt () |
최저 기압 | 950 hPa |
합동 태풍 경보 센터 (JTWC) 정보 | |
분지 | 서태평양 |
최대 풍속 | 90 kt |
최저 기압 | 954 hPa |
피해 | |
연도 | 2004년 |
피해액 | }} USD (2004년 기준) |
사망자 수 | 총 169명 |
2. 발생 및 경로
태풍 라나님은 8월 초 미국 괌 서북서쪽에서 지속된 대류 지역에서 발생하여 서쪽으로 이동하며 약한 상태를 유지했다.[1] 8월 6일 일본 기상청(JMA)은 이 시스템을 열대 저기압으로 승격했고,[2] 필리핀 기상청(PAGASA)은 'Karen'이라는 이름을 붙여 관찰을 시작했다.[3]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8월 6일 늦게 열대저기압 발생 경고를 내렸고, 8월 7일 필리핀 루손섬 동쪽 약 780 km 해상에서 열대저기압 16W로 명명했다.[1] 이후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오키나와섬 방향으로 이동했다. JMA는 8월 8일에 열대 폭풍으로 단계를 상향 조정했다.[1]
열대 폭풍으로 승격된 후 라나님은 점차 발달했고, 8월 9일 북동쪽 고기압대의 영향으로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1] 8월 10일 06시(UTC) 대만 동남동쪽 약 715 km 해상에서 태풍으로 발달했다.[2] 8월 11일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5 km 해상을 통과한 후 PAGASA 태풍 관할구역에서 벗어났다.[1][3] 이때 위성사진에서 태풍의 눈이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JMA는 10분최대풍속 150 km/h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JTWC는 1분최대풍속이 165 km/h로 기록되었다고 보고했다.[1]
8월 12일 13시(UTC), 최성기를 맞이한 태풍 라나님은 중국 저장성 원링 시 부근에 상륙했다. 중국 기상청은 라나님을 1956년 태풍 샐리 이후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발표했다.[1] 하지만 내륙으로 이동하며 빠르게 약해져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고, 서쪽으로 이동했다. 8월 13일 JMA는 라나님을 열대 저기압으로 격하시키고 마지막 경고령을 내렸다. 당시 라나님은 장시성에 위치하고 있었으며,[1] 이틀 후 후난성 북서쪽에서 소멸되었다.[2]
2. 1. 초기 발생
태풍 라나님은 8월 초 미국 괌 서북서쪽에서 지속된 대류 지역에서 발생했다.[1] 이 시스템은 서쪽으로 이동했으며 약한 순환 중심을 유지했다. 8월 6일 일본 기상청(JMA)은 이 시스템이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다고 추정했다.[2] 필리핀 대기 지구 물리 천문 서비스 관리청(PAGASA)은 이 시스템에 카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3]
합동 태풍 경보 센터(JTWC)는 8월 6일 늦게 열대 저기압 형성 경보를 발령했고, 다음 날 필리핀 루손섬 동쪽 약 780 km 해상에서 열대 저기압 16W에 대한 경고를 시작했다. 이후 저기압은 북쪽으로 이동했다. 순환이 넓었지만, JMA가 8월 8일에 이 저기압을 열대 폭풍 라나님으로 격상할 만큼 바람이 강해졌다.[1]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면서 라나님은 초기보다 더 잘 정의된 순환을 가졌지만, 대류는 중심에서 벗어났다. 8월 9일, 폭풍은 북동쪽에 형성된 능선으로 인해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1] 8월 10일 06시, 라나님은 타이완 동남동쪽 약 715 km 해상에서 태풍으로 발달했다.[2]
2. 2. 발달 과정
태풍 라나님은 8월 초 미국 괌 서북서쪽에서 지속된 대류 지역에서 발생하여 서쪽으로 이동하며 약한 상태를 유지했다.[1] 8월 6일 일본 기상청(JMA)은 이 시스템을 열대 저기압으로 승격했고,[2] 필리핀 기상청(PAGASA)은 'Karen'이라는 이름을 붙여 관찰을 시작했다.[3]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8월 6일 늦게 열대저기압 발생 경고를 내렸고, 8월 7일 필리핀 루손섬 동쪽 약 780 km 해상에서 열대저기압 16W로 명명했다.[1] 이후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오키나와섬 방향으로 이동했다. JMA는 8월 8일에 열대 폭풍으로 단계를 상향 조정했다.[1]
열대 폭풍으로 승격된 후 라나님은 점차 발달했고, 8월 9일 북동쪽 고기압대의 영향으로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1] 8월 10일 06시(UTC) 대만 동남동쪽 약 715 km 해상에서 태풍으로 발달했다.[2] 8월 11일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5 km 해상을 통과한 후 PAGASA 태풍 관할구역에서 벗어났다.[1][3] 이때 위성사진에서 태풍의 눈이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JMA는 10분최대풍속 150 km/h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JTWC는 1분최대풍속이 165 km/h로 기록되었다고 보고했다.[1]
8월 12일 13시(UTC), 최성기를 맞이한 태풍 라나님은 중국 저장성 원링 시 부근에 상륙했다. 중국 기상청은 라나님을 1956년 태풍 샐리 이후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발표했다.[1] 하지만 내륙으로 이동하며 빠르게 약해져 열대 폭풍으로 약화되었고, 서쪽으로 이동했다. 8월 13일 JMA는 라나님을 열대 저기압으로 격하시키고 마지막 경고령을 내렸다. 당시 라나님은 장시성에 위치하고 있었으며,[1] 이틀 후 후난성 북서쪽에서 소멸되었다.[2]
2. 3. 이동 경로
태풍 라나님은 8월 초 미국 괌 서북서쪽에서 상승기류가 지속되어 발생하여 서쪽으로 이동했으나, 매우 약한 상태를 유지하였다.[1][2] 8월 6일 일본 기상청(JMA)은 열대 저기압으로 승격했고,[2] 필리핀 기상청(PAGASA)은 '카렌(Karen)'이라는 이름을 붙여 관찰하기 시작했다.[3]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8월 6일 늦게 열대저기압 발생 경고를 내렸고, 8월 7일 필리핀 루손섬 동쪽 약 780 km 해상에서 열대저기압 16W로 명명했다. 이후 북쪽으로 90도 방향을 틀어 오키나와섬으로 향했다. JMA는 8월 8일 열대 폭풍으로 단계를 상향 조정했다.[1]열대폭풍 라나님은 점차 발달하였고, 8월 9일 북동쪽의 고기압 영향으로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1] 8월 10일 06시, 대만 동남동쪽 약 715 km 해상에서 태풍으로 발달했다.[2] 8월 11일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5 km 해상을 통과한 후,[1] PAGASA 태풍 관할 구역을 벗어났다.[3] 태풍의 눈이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JMA는 10분최대풍속 150 km/h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반면, JTWC는 1분최대풍속 165 km/h로 기록되었다고 보고했다.[1]
8월 12일 13시경, 태풍 라나님은 최성기를 맞이하여 중국 저장성 원링 시 부근에 상륙했다. 중국 기상청은 1956년 태풍 샐리 이후 가장 강력한 태풍이라고 발표했다.[1] 그러나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빠르게 약화되어 열대 폭풍으로 격하된 후 서쪽으로 이동했다. 8월 13일 JMA는 라나님을 열대 저기압으로 격하시키고 마지막 경고를 내렸다. 태풍 라나님은 소멸되었지만, 잔해는 장시성을 거쳐 후난성 북서쪽에서 소멸되었다.[1][2]
2. 4. 소멸
태풍 라나님은 대만 북쪽을 지나 8월 12일 13시경 중국 저장성 원링 시 부근에 상륙하였다.[1] 중국 기상청은 라나님이 1956년 태풍 샐리 상륙 이후 가장 강력한 태풍이라고 발표했다.[1] 그러나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빠르게 약화되어 열대 폭풍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서쪽으로 이동하였다.[1] 8월 13일에 일본 기상청(JMA)은 라나님을 열대 저기압으로 격하시키고 마지막 경고령을 내렸다.[1] 이로써 태풍 라나님은 소멸되었다. 소멸 당시 잔여 열대저기압은 장시성에 위치하고 있었으며,[1] 이틀 후 후난성 북서쪽에서 완전히 소멸하였다.[2]3. 피해
대만에서는 한 달 전에 강력한 태풍 민들레가 휩쓸고 지나가면서 침수 취약지역에 대한 대비를 강화했다.[4] 태풍 라나님은 북쪽으로 지나갔지만, 신주시에서 345mm의 강수량이 관측되는 등 많은 비를 뿌렸다.[1] 이로 인해 섬에서 1명이 사망했다.[5]
태풍 라나님이 오키나와섬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오키나와섬에서는 176 km/h의 돌풍과 미야코섬에 229 mm의 비가 내렸다.[1]
3. 1. 대만
대만에서는 한 달 전에 강력한 태풍 민들레가 휩쓸고 지나가면서 침수 취약지역에 대한 대비를 강화했다.[4] 태풍 라나님은 북쪽으로 지나갔지만, 신주시에서 345mm의 강수량이 관측되는 등 많은 비를 뿌렸다.[1] 이로 인해 섬에서 1명이 사망했다.[5]태풍 민들레로 큰 피해를 입은 타이완 주민들은 홍수 피해가 잦은 지역에 모래주머니를 쌓는 등 라나님에 대비했고, 중앙 기상국은 선원들에게 경계를 당부했다.[4] 태풍 라나님이 오키나와섬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오키나와섬에서는 176 km/h의 돌풍과 미야코섬에 229 mm의 비가 내렸다.[1]
3. 2. 일본
태풍 라나님은 오키나와섬에 영향을 주었는데, 오키나와섬에서는 176 km/h의 돌풍과 미야코섬에 229 mm의 비가 내렸다.[1]3. 3. 중국
중국에서는 태풍 라나님이 상륙하기 전, 정부가 467,900명의 사람들을 대피시키고 식당, 여가시설, 유흥시설 등을 폐쇄했다.[6] 중국 동부 해안에 인접한 집 약 30%가 태풍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7] 상하이시 근처의 여객선 운항이 중단되었고 9천 9백 척의 배가 안전지대로 옮겨졌다.[1] 상하이시를 포함한 해안 지역 공항들이 폐쇄되었다.[8]저장성에 상륙한 라나님은 광범위한 지역에 많은 비를 뿌렸는데, 20개의 기상대에서 300 mm 이상의 강수량이 관측되었다.[9] 웨칭 시에서는 24시간 만에 703.5 mm의 강수량을 기록해 신기록을 세웠다. 해안가에서는 211 km/h의 강풍이 불기도 했다. 원링 시 근처에서는 192 km/h의 돌풍이 불었고, 하이먼 시에서는 7.42 m에 달하는 파도가 해안가를 덮쳤다.[1]
태풍 라나님은 해안가에 있던 수백 채의 집을 파괴하고 해안가에 홍수를 일으켰다.[7] 강풍은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수천 그루의 나무를 뿌리 뽑았다.[6][10] 약 64,300채의 집이 부서지고 125,000채가 반파되어 많은 이재민이 발생했다.[15][9][11] 전체적으로 태풍은 총 75개 군 지역에 영향을 주었고, 302개 마을이 홍수로 고립되었다.[16] 강풍과 폭우는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줬으며, 5만 5천 마리의 가축과 4,000 제곱킬로미터의 땅이 잠겼다.[15][14] 230 제곱킬로미터 넓이의 농작물이 피해를 입었다.[9] 태풍은 1,163 km의 도로를 파손시키는 등 사회 기반 시설에도 심각한 피해를 줬다.[15] 내륙에서는 웨칭 시에서 52채의 집을 파괴하고 25명의 사망자를 낸 산사태가 발생했다.[12] 상하이시에서는 작은 피해만 발생했다.[5] 중국 전국에서 201억 위안의 피해액이 집계되었으며, 대부분은 저장성에서 발생했다.[1]
태풍 라나님은 중국 국민 약 1,800만 명에게 영향을 줬고,[1] 총 3,321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중 185명이 중상을 입었다.[13][6] 공식적으로 발표된 사망자는 168명이었다.[1]
4. 사후 대처
라나님이 소멸된 직후, 중국 정부는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위해 6,100만 위안(2004년 기준 740만 달러)을 할당했다.[8]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200명 이상의 중국 인민해방군이 투입되었다.[11] 이들은 강철 막대, 밧줄, 그리고 손을 사용하여 잔해 속에서 폭풍 생존자를 수색했다. 유틸리티 팀들은 피해 지역의 전력과 수도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했다.[11]
태풍이 발생한 지 몇 주 후, 지진과 또 다른 태풍이 라나님이 강타했던 동일한 지역을 강타하여 추가적인 홍수, 피해 및 사망자를 발생시켰다.[16] 일련의 자연 재해로 인해 지역 기관의 자원이 고갈되었지만,[5] 지역 적십자사는 식량, 의류 및 담요를 제공하였고, 추가적인 구호 물품을 요청하는 호소를 시작했다.[16] 피해를 입은 폭풍 피해자들은 총 50톤의 쌀, 500kg의 돼지고기, 그리고 500kg의 소금, 채소 및 물을 받았다.[11]
웨칭 시의 파손된 학교는 9월까지 수업을 재개하기 위해 추가 건물을 건설해야 했다.[11] 파괴된 주택의 약 85%는 1980년대 이전 또는 1980년대에 지어졌으며, 1990년대에 지어진 주택은 10%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정부는 태풍으로 인한 미래의 손실을 완화하기 위해 피해 지역 전역에 더 높은 건축 기준에 따라 주택을 재건했다.[17]
4. 1. 중국
라나님이 소멸된 직후, 중국 정부는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위해 6,100만 위안(2004년 기준 740만 달러)을 할당했다.[8]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200명 이상의 중국 인민해방군이 투입되었다.[11] 이들은 강철 막대, 밧줄, 그리고 손을 사용하여 잔해 속에서 폭풍 생존자를 수색했다. 유틸리티 팀들은 피해 지역의 전력과 수도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했다.[11]태풍이 발생한 지 몇 주 후, 지진과 또 다른 태풍이 라나님이 강타했던 동일한 지역을 강타하여 추가적인 홍수, 피해 및 사망자를 발생시켰다.[16] 일련의 자연 재해로 인해 지역 기관의 자원이 고갈되었지만,[5] 지역 적십자사는 식량, 의류 및 담요를 제공하였고, 추가적인 구호 물품을 요청하는 호소를 시작했다.[16] 피해를 입은 폭풍 피해자들은 총 50톤의 쌀, 500kg의 돼지고기, 그리고 500kg의 소금, 채소 및 물을 받았다.[11]
웨칭 시의 파손된 학교는 9월까지 수업을 재개하기 위해 추가 건물을 건설해야 했다.[11] 파괴된 주택의 약 85%는 1980년대 이전 또는 1980년대에 지어졌으며, 1990년대에 지어진 주택은 10%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정부는 태풍으로 인한 미래의 손실을 완화하기 위해 피해 지역 전역에 더 높은 건축 기준에 따라 주택을 재건했다.[17]
5. 명칭 제명
중국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 라나님(RANANIM)은 영구 제명되었고, 이후 파나피(FANAPI)로 대체되었다.[18] 2005년 11월에 열린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 및 세계 기상 기구 태풍 위원회 제38차 회의에서 결정되었으며, 라나님은 퇴출된 여덟 번째 태평양 태풍이었다.[19][20][21] 그러나 2010년에 사용된 파나피라는 이름도 대만과 중국에 심대한 피해를 입혀 퇴출되었고, 대신 라이(RAI)가 쓰이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Global Tropical Cyclone Summary August 2004
http://www.australia[...]
2011-02-09
[2]
웹사이트
Best Track for Western North Pacific Tropical Cyclones
http://www.jma.go.jp[...]
2011-02-09
[3]
웹사이트
Monthly Global Tropical Cyclone Tracks August 2004
http://www.australia[...]
2011-02-09
[4]
뉴스
Typhoon Rananim heads for Taiwan's north coast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1-02-09
[5]
뉴스
Typhoon Rananim kills 115 on China's coast
http://lubbockonline[...]
Lubbock Online
2011-02-09
[6]
뉴스
China typhoon heads inland after killing 115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09
[7]
뉴스
More than 29 killed, 1,500 injured as Typhoon Rananim slams eastern China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09
[8]
뉴스
At least 115 dead, 1,800 injured as typhoon pounds eastern China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09
[9]
뉴스
China - Typhoon Rananim OCHA Situation Report No. 1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09
[10]
뉴스
Death toll from China typhoon rises to 115
http://www.reliefweb[...]
ReliebWeb
2011-02-09
[11]
뉴스
Typhoon: Torrent of tragedy
http://english.peopl[...]
2011-02-10
[12]
뉴스
Landslide kills 25 in Eastern China in wake of Typhoon Rananim
http://www.reliefweb[...]
2011-02-09
[13]
뉴스
China: Zhejiang Typhoon Rananim Information Bulletin No. 01/2004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09
[14]
뉴스
Death toll from China typhoon rises to 147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09
[15]
뉴스
Death toll from China typhoon climbs to at least 164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09
[16]
뉴스
China: Floods and Landslides Information Bulletin No. 6/2004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11-02-10
[17]
뉴스
Natural disaster affects almost 13 million
http://www2.chinadai[...]
China Daily
2011-02-10
[18]
웹사이트
38th Session of the Typhoon Committee
http://www.disaster.[...]
2007-07-27
[19]
웹사이트
Report of the Typhoon Committee on its Thirty-Fourth Session
http://www.wmo.ch/p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8-03-04
[20]
웹사이트
Typhoon Committee Operational Manual — Meteorological Component
http://www.wmo.ch/p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8-03-04
[21]
웹사이트
Change of Tropical Cyclone Names : "Dolphin" and "Lionrock" to replace "Yanyan" and "Tingting"
http://210.0.235.9/w[...]
Hong Kong Observatory
2008-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