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르미도르의 반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르미도르의 반동은 프랑스 혁명 시기, 공포 정치로 권력을 잡았던 로베스피에르가 몰락하고 온건파가 집권한 사건을 말한다.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공화정이 수립되고 로베스피에르가 이끄는 공안위원회가 공포정치를 통해 권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로베스피에르의 독재에 대한 반발로 1794년 7월 27일 국민공회에서 그가 체포되었고, 다음 날 처형되었다. 로베스피에르 사후, 자코뱅파에 대한 숙청인 백색 테러가 발생했고, 부르주아 계층이 권력을 잡았다. 이 사건은 혁명의 급진적인 단계 이후 보수적인 정권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다른 혁명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제1공화국 - 상퀼로트
    상퀼로트는 프랑스 혁명 당시 노동자 계급을 지칭하는 용어로, 혁명 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급진적인 사회 변혁을 추구했지만 테르미도르의 쿠데타 이후 몰락하며 평민의 열정과 이상을 상징하게 되었다.
  • 프랑스 제1공화국 - 프랑스 총재정부
    프랑스 총재정부는 프랑스 혁명 후 공화력 3년 헌법에 따라 수립된 5인 총재 체제의 정부로, 재정난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몰락하여 프랑스 영사정부로 이어진 격동의 시기였다.
  • 1794년 분쟁 - 폴른 팀버스 전투
    폴른 팀버스 전투는 1794년 미국이 오하이오 영유권을 주장하며 서부 인디언 연맹과 벌인 전투로, 앤서니 웨인 장군의 미군이 승리하여 그린빌 조약 체결로 이어졌고 현재 전투터는 국립 사적지 및 기념 공원으로 남아있다.
  • 1794년 분쟁 -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은 1789년부터 1799년까지 프랑스에서 앙시앵 레짐의 모순, 재정 위기, 계몽 사상, 민중의 불만 등으로 발생한 사회적, 정치적 격변기로, 자유, 평등, 박애라는 혁명 정신을 유럽에 전파했다.
  • 1794년 프랑스 - 공포 정치
    공포 정치는 프랑스 혁명 시기 프랑스에서 일어난 정치적 격변으로, 혁명 지도자들이 내전과 반혁명에 맞서 공포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했으며, 많은 사람들의 처형과 과도한 폭력으로 비판받다가 로베스피에르의 몰락과 함께 종식되었다.
  • 1794년 프랑스 -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은 1789년부터 1799년까지 프랑스에서 앙시앵 레짐의 모순, 재정 위기, 계몽 사상, 민중의 불만 등으로 발생한 사회적, 정치적 격변기로, 자유, 평등, 박애라는 혁명 정신을 유럽에 전파했다.
테르미도르의 반동
사건 개요
사건명테르미도르의 반동
프랑스어 명칭Réaction thermidorienne
발생 시기1794년
주요 목표로베스피에르의 공포 정치 종식 및 자코뱅 파의 몰락
배경
주요 원인공포 정치에 대한 반발
로베스피에르의 독재에 대한 불만
프랑스 혁명의 급진화에 대한 염증
주요 인물
주도 인물폴 바라스
장 랑베르 탈리앵
조제프 푸셰
희생자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
조르주 쿠통
주요 사건
테르미도르 9일로베스피에르 체포 및 처형
자코뱅 클럽 해산자코뱅 파의 정치적 영향력 상실
공포 정치 종식정치범 석방 및 반혁명 용의자 처벌 완화
결과 및 영향
정치적 변화총재 정부 수립
부르주아 계층의 권력 강화
왕당파의 준동
사회적 변화사치와 향락의 만연
빈부격차 심화
역사적 평가프랑스 혁명의 전환점
급진적 혁명 운동의 종식
나폴레옹 시대의 도래
추가 정보
용어 유래프랑스 혁명력의 테르미도르 (열월)에서 유래
반동 세력혁명 세력에 의해 숙청되었던 온건파 및 보수파

2. 배경

헌병 샤를 앙드레 메르다가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에게 발포하고 있다


1794년 7월 28일 로베스피에르의 처형은 공포 정치의 종말을 알렸다


1789년 5월, 극심한 경제난과 왕실 재정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부회가 소집되었으나, 의결 방식을 둘러싼 갈등으로 파행되었다. 이후 국민의회가 출범하였고, 국왕 루이 16세가 국민의회를 탄압하려 하자 시민들은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며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었다.[15] 국민의회는 인권선언을 발표하는 등 정국의 주도권을 쥐고 개혁을 진행했다. 왕실의 해외 망명 시도가 발각되었음에도 1791년 9월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으나,[16] 혁명 확산을 우려한 주변국과의 전쟁(1792년) 중 루이 16세는 의용군 모집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고[17] 적국과 내통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왕궁을 습격, 군주제가 폐지되고 1792년 9월 공화정이 수립되었다.[18]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1792년 국민공회의 선거를 통해 프랑스 제1공화정이 수립되었다.[19] 초기에는 온건파인 지롱드파가 주도권을 잡았으나, 1793년 1월 루이 16세가 처형되면서 급진파인 자코뱅파가 득세하게 되었다.[19][21] 국왕 처형에 분노한 영국, 오스트리아, 스페인, 러시아, 프로이센 등 유럽 국가들이 대불동맹을 결성하여 프랑스를 공격해왔고,[19] 국내에서는 왕당파와 가톨릭 세력이 결집하여 방데 반란을 일으키는 등(1793년 3월) 혼란이 가중되었다.[20]

이러한 위기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당통과 로베스피에르 등이 중심이 된 공안위원회가 구성되었다.[21] 1793년 6월, 파리 코뮌과 상퀼로트의 지지를 받은 자코뱅파는 지롱드파를 숙청하고 국민공회의 권위를 실추시킨 뒤 공안위원회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였다.[21]

공안위원회를 장악했던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음모는 1794년 7월 27일(테르미도르 9일)에 결합되었다. 국민 공회 의원이자 전 의장이었던 장-랑베르 탈리에는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를 비난한 다음 로베스피에르의 폭정을 규탄했다. 이 공격은 자크 니콜라 빌로-바렌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저 폭군을 타도하라! 그를 체포하라!"라는 외침이 터져 나왔다.[4] 로베스피에르는 우파 의원들에게 호소했지만 실패했다. 로베스피에르와 그의 추종자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로베스피에르에게 충성하는 파리 코뮌의 군대가 그와 다른 죄수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도착했다. 국민 공회는 이에 맞서 폴 바라스 휘하의 자체 군대를 투입하라고 명령했다. 로베스피에르 지지자들은 시청에 바리케이드를 쳤다.[5] 국민 공회는 그들을 무법자로 선포하여 재판 없이 24시간 안에 처형할 수 있게 했다. 시청에 있던 코뮌군은 탈주했다. 바라스 휘하의 국민 공회 군대는 7월 28일 오전 2시경 시청에 접근했다.[5] 로베스피에르는 턱에 자해로 추정되는 총상을 입고 대부분의 지지자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공안위원회의 핵심 인물인 로베스피에르는 혁명 수호를 명분으로 공포정치를 실시하였다.[22] 망명 귀족의 재산을 몰수하고 소 부르주아와 민중에게 분배하였으며,[22] 1793년 7월에는 봉건제를 폐지하고 농민에게 토지를 무상으로 분배하여 지지 기반을 강화했다.[22] 비상시국을 선언한 후 독재적인 혁명정부를 이끌며 통제경제 정책을 실시, 아시냐 지불 거부자는 사형에 처했다.[23] 가택수색과 징발이 빈번했고 밀고가 장려되었으며,[23] 1794년 6월 프레리알 22일 법 제정으로 법률 조력과 증인 심문이 폐지되어 무죄와 사형의 양극단적인 판결만 가능해졌다.[24]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오를레앙 공작, 뒤바리 부인, 지롱드파 지도자 등 수많은 사람들이 반혁명 혐의로 처형되었다.[24]

로베스피에르는 정적이었던 당통과 에베르를 숙청하며 권력을 강화했지만,[25] 국내외 상황이 안정되면서 국민들은 공포정치에 염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조제프 푸셰, 장 랑베르 탈리앵 등 지방 파견 의원들은 로베스피에르의 추궁을 두려워하여 그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고,[26] 공안위원회 내부에서도 로베스피에르파와 온건파의 갈등이 심화되었다.[26]

2. 1. 프랑스 혁명

1789년 5월, 극심한 경제난과 왕실 재정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부회가 소집되었으나, 의결 방식을 둘러싼 갈등으로 파행되었다. 이후 국민의회가 출범하였고, 국왕 루이 16세가 국민의회를 탄압하려 하자 시민들은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며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었다.[15] 국민의회는 인권선언을 발표하는 등 정국의 주도권을 쥐고 개혁을 진행했다. 왕실의 해외 망명 시도가 발각되었음에도 1791년 9월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으나,[16] 혁명 확산을 우려한 주변국과의 전쟁(1792년) 중 루이 16세는 의용군 모집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고[17] 적국과 내통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왕궁을 습격, 군주제가 폐지되고 1792년 9월 공화정이 수립되었다.[18]

2. 2. 공화국 성립과 공포정치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1792년 국민공회의 선거를 통해 프랑스 제1공화정이 수립되었다.[19] 초기에는 온건파인 지롱드파가 주도권을 잡았으나, 1793년 1월 루이 16세가 처형되면서 급진파인 자코뱅파가 득세하게 되었다.[19][21] 국왕 처형에 분노한 영국, 오스트리아, 스페인, 러시아, 프로이센 등 유럽 국가들이 대불동맹을 결성하여 프랑스를 공격해왔고,[19] 국내에서는 왕당파와 가톨릭 세력이 결집하여 방데 반란을 일으키는 등(1793년 3월) 혼란이 가중되었다.[20]

이러한 위기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당통과 로베스피에르 등이 중심이 된 공안위원회가 구성되었다.[21] 1793년 6월, 파리 코뮌과 상퀼로트의 지지를 받은 자코뱅파는 지롱드파를 숙청하고 국민공회의 권위를 실추시킨 뒤 공안위원회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였다.[21]

공안위원회의 핵심 인물인 로베스피에르는 혁명 수호를 명분으로 공포정치를 실시하였다.[22] 망명 귀족의 재산을 몰수하고 소 부르주아와 민중에게 분배하였으며,[22] 1793년 7월에는 봉건제를 폐지하고 농민에게 토지를 무상으로 분배하여 지지 기반을 강화했다.[22] 비상시국을 선언한 후 독재적인 혁명정부를 이끌며 통제경제 정책을 실시, 아시냐 지불 거부자는 사형에 처했다.[23] 가택수색과 징발이 빈번했고 밀고가 장려되었으며,[23] 1794년 6월 프레리알 22일 법 제정으로 법률 조력과 증인 심문이 폐지되어 무죄와 사형의 양극단적인 판결만 가능해졌다.[24]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오를레앙 공작, 뒤바리 부인, 지롱드파 지도자 등 수많은 사람들이 반혁명 혐의로 처형되었다.[24]

로베스피에르는 정적이었던 당통과 에베르를 숙청하며 권력을 강화했지만,[25] 국내외 상황이 안정되면서 국민들은 공포정치에 염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조제프 푸셰, 장 랑베르 탈리앵 등 지방 파견 의원들은 로베스피에르의 추궁을 두려워하여 그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고,[26] 공안위원회 내부에서도 로베스피에르파와 온건파의 갈등이 심화되었다.[26]

1794년 7월 27일(테르미도르 9일), 국민공회에서 탈리앵은 생 쥐스트를 비난하고 로베스피에르의 폭정을 규탄했으며, "저 폭군을 타도하라! 그를 체포하라!"라는 외침이 터져나왔다.[4] 로베스피에르는 체포되었고, 그를 지지하는 파리 코뮌 군대가 저항했으나 진압되었다.[5] 로베스피에르는 1794년 7월 28일, 조르주 쿠통, 생 쥐스트 등 21명의 측근과 함께 처형되었다.[6]

2. 3. 공포정치에 대한 반발

로베스피에르는 혼란한 국내외 시국을 해결하고 혁명 성과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공포정치를 실시하였다.[22] 망명 귀족 재산 몰수, 봉건제 폐지, 토지 무상 분배 등으로 지지 기반을 다졌고,[22][23] 비상시국을 선언한 뒤 독재적인 혁명 정부를 이끌었다.[22] 통제 경제 정책을 실시하고, 아시냐 지불 거부자는 사형에 처했으며, 가택 수색, 징발, 밀고 장려 등 강압적인 정책을 펼쳤다.[23] 1794년 6월에는 《프레리알 22일 법》을 제정하여 법률 조력과 증인 심문을 폐지하고, 무죄와 사형만 선고하도록 하여 공포정치를 강화했다.[24] 마리 앙투아네트, 뒤바리 부인 등 수많은 사람들이 처형되었다.

하지만 로베스피에르의 독단적인 통치는 자코뱅파를 분열시켰다.[25] 당통에베르는 로베스피에르를 비난했고, 로베스피에르는 이들을 숙청하고 권력을 장악했다.[25] 그러나 국내외 사태가 수습되자 국민들은 공포 정치에 염증을 느꼈고, 동료들도 등을 돌렸다. 국민공회 중도파와 조제프 푸셰, 장 랑베르 탈리앵 등 지방 파견 의원들은 로베스피에르 타도를 계획했다.[26] 공안위원회 내부에서도 로베스피에르파와 온건파의 분열이 심화되었다.

3. 사건 전개와 영향

1794년 7월 26일, 로베스피에르가 공회에 나타나 반혁명파를 숙청하겠다고 예고했다.[26][27] 이에 대해 비요 바렌과 장 랑베르 탈리앵 등의 의원들은 "반혁명파가 누구냐? 이름을 밝혀라!"라고 저항했다.

다음날, 즉 7월 27일 반로베스피에르파(대부분이 지롱드파)는 행동을 개시하여 로베스피에르를 체포해 처형하기로 했다. 로베스피에르의 정치적 동료였던 이들조차도 그를 배신했고 이 배신자들마저 반로베스피에르파에 의해 숙청된다.

결국 그날 밤 프랑수아 루이 부르동폴 바라스가 시청에서 농성 중이던 로베스피에르파를 습격해 로베스피에르의 오른팔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는 저항도 못 하고 체포되었으며 그의 친구 필립 르바는 총으로 머리를 쏘아 자살했고 동생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는 창문에서 뛰어내려 도망치려다가 다리가 골절되었으며 로베스피에르의 동료 조르주 쿠통은 떠밀려 계단에서 곤두박질 쳤고 로베스피에르도 턱에 총을 맞았다. 자살 시도였는지 헌병이 쏜 총에 맞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로베스피에르파가 점거한 시청을 공격하는 부르동과 바라스의 군대


습격당하는 로베스피에르파


공포정치로 국가를 안정시키고자 했으나 오히려 국가를 혼란에 빠트린 로베스피에르는 7월 28일 푸키에 탱빌에게 고발당해 자신이 혁명 정신과 국가 안보를 운운하며 많은 사람을 죽였던 도구인 기요틴에 올라가 생쥐스트, 쿠통, 오귀스탱 및 18명의 동료들과 함께 처형당했다.

로베스피에르의 죽음으로 혁명 주도권은 부르주아 계층, 지롱드파의 온건파들이 쥐게 되었고, 총재 정부, 통령 정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등장까지 테르미도르의 반동을 기점으로 새로운 국면이 나타났다.

3. 1. 로베스피에르 체포와 처형

1794년 7월 26일, 로베스피에르는 국민공회에서 반혁명파를 숙청하겠다고 연설했다.[26][27] 장 랑베르 탈리앵과 비요 바렌 등의 의원들은 이에 대해 "반혁명파가 누구냐? 이름을 밝혀라!"라며 반발했다.

다음 날인 7월 27일, 반(反)로베스피에르파는 로베스피에르와 그 측근들을 체포하고 처형하기로 결정했다. 그날 밤, 프랑수아 루이 부르동폴 바라스는 시청을 점거하고 있던 로베스피에르파를 공격했다.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는 저항하지 못하고 체포되었고, 필립 르바는 자살했으며,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는 도주 중 다리가 부러졌다. 조르주 쿠통은 계단에서 굴러 떨어졌고, 로베스피에르는 턱에 총상을 입었다.

7월 28일, 로베스피에르는 푸키에 탱빌에게 고발당해 기요틴에서 생쥐스트, 쿠통, 오귀스탱을 포함한 18명의 동료들과 함께 처형되었다.

3. 2. 공포정치의 종식과 온건파의 집권

7월 26일, 로베스피에르가 공회에 나타나 반혁명파 숙청을 예고하자, 비요 바렌과 장 랑베르 탈리앵 등의 의원들은 "반혁명파가 누구냐? 이름을 밝혀라!"라고 저항했다.[26][27] 다음날인 7월 27일 반로베스피에르파는 로베스피에르를 체포해 처형하기로 결정했다. 프랑수아 루이 부르동폴 바라스가 시청을 습격하여 로베스피에르파를 체포했다.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는 저항도 못하고 체포되었고, 필립 르바는 자살했으며, 오귀스탱 로베스피에르는 도망치려다 다리가 골절되었고, 조르주 쿠통은 계단에서 곤두박질 쳤으며, 로베스피에르는 턱에 총을 맞았다.[26][27]

7월 28일 로베스피에르는 기요틴에서 생 쥐스트, 쿠통, 오귀스탱 및 18명의 동료들과 함께 처형당했다.[26][27]

로베스피에르의 죽음 이후, 혁명의 주도권은 부르주아 계층, 지롱드파의 온건파들이 쥐게 되었다. 테르미도르 정권은 로베스피에르와 그의 동맹, 그리고 파리 코뮌의 70명의 멤버들을 처형한 후 많은 반란에 직면하면서 인기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7] 이는 프랑스에 매우 불안정한 상황을 조성했다.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적대감은 그의 처형으로 끝나지 않고, 자코뱅 클럽 회원, 지지자 등 로베스피에르와 관련된 사람들에 대한 학살인 백색 테러로 이어졌다.[7]

테르미도르 정권은 몽테뉴파를 권력에서 배제했다. 1795년의 백색 테러는 수많은 투옥과 처형을 초래했으며, 이는 이전 공포 정치와 관련된 숫자보다 훨씬 적었다.[7] 7월 29일, 테르미도르파는 파리 코뮌의 70명의 회원에게 사형을 선고했고, 이후 코뮌은 국민 공회에 종속되었다.[7]

프랑스 정치의 재조직의 일환으로, 탈리앵, 바라스, 푸셰, 프레롱 등은 지도부에 재합류했다. 예배의 자유가 확대되었고, 1794년 12월 24일, 최고 가격 (가격 및 임금 통제)이 폐지되었다.

1795년 4월과 5월, 급진파를 지지하는 시위와 폭동이 발생했고, 5월 22일 국민 공회는 피슈그뤼 휘하의 군대를 동원해 반란군의 항복을 강요했다. 1795년 5월과 6월에 백색 테러가 발생하여 공포 정치의 투옥된 관리들이 희생되었다. 파리에서는 왕당파의 감정이 공개적으로 용인되었다.

한편, 프랑스군은 네덜란드 공화국을 점령하고 바타비아 공화국을 세웠으며, 라인강의 좌안을 점령했다. 스페인, 프로이센, 여러 독일 국가가 평화를 구하도록 강요하여 국민 공회의 위상을 높였다. 공화력 3년 헌법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헌법은 1795년 8월 22일에 작성되었으며, 1793년 헌법의 민주적 요소를 완화했다. 10월 5일 (13 방데미에르) 왕당파가 이끄는 반란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군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10월 25일 국민 공회는 해산을 선언하고 1795년 11월 2일 총재 정부로 대체되었다.

3. 3. 백색 테러

테르미도르 반동 이후, 로베스피에르를 비롯한 자코뱅파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벌어졌다.[7] 이 과정에서 로베스피에르와 그의 동맹, 그리고 파리 코뮌의 70명의 멤버들이 처형되었다. 이는 파리에서 일어난 가장 큰 규모의 대량 처형이었다.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적대감은 그의 처형으로 끝나지 않았다. 사람들은 로베스피에르와 어떤 식으로든 관련된 사람, 즉 자코뱅 클럽의 많은 회원들, 그 지지자들, 그리고 과거 혁명가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7] 이들에 대한 학살은 백색 테러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새로운 정부가 조직한 무스카댕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행되었다.[7] 테르미도르 정권은 로베스피에르와 생쥐스트에 대항하는 음모에 가담했던 사람들조차 권력에서 나머지 몽테뉴파를 배제했다.

1795년의 백색 테러는 수많은 투옥과 수백 건의 처형을 초래했으며, 거의 예외 없이 정치적 좌파에 속한 사람들이었다. 이 숫자는 4만 명 이상을 살해한 이전 공포 정치와 관련된 숫자보다 훨씬 적었지만, 많은 처형이 재판 없이 이루어졌다.

7월 29일, 9 테르미도르의 승리자들은 파리 코뮌의 70명의 회원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그 후 코뮌은 국민 공회에 종속되었다. 프랑스 정치의 재조직의 일환으로, 공포 정치 실무자들은 그들의 기록을 변호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탈리앵, 바라스, 푸셰, 프레롱 등은 지도부에 재합류했다. 빌로-바렌, 콜로 데르부아, 바레르, 바디에 등은 남아메리카로의 추방을 선고받았지만, 후자 두 사람은 체포를 피했다.

1795년 4월과 5월, 급진파를 지지하는 시위와 폭동이 발생하여 5월 20일 반란군 폭도에 의한 국민 공회 침공으로 절정에 달했다. 5월 22일 국민 공회는 반격하여 피슈그뤼 휘하의 군대가 포부르 생-앙투안을 포위하고 무장 반란군의 항복을 강요했다. 1795년 5월과 6월에 자코뱅이 희생자가 되고 판사가 부르주아 "온건파"인 "백색 테러"가 발생했다. 프랑스 전역에서 9월 학살의 사건이 반복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희생자가 공포 정치의 투옥된 관리였다. 파리에서는 왕당파의 감정이 공개적으로 용인되었다.

3. 4. 총재정부의 수립

테르미도르 반동 이후 로베스피에르와 그의 동맹 세력은 처형되었고, 프랑스는 매우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7]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적대감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자코뱅 클럽 회원, 지지자 등 과거 혁명가로 의심되는 사람들에 대한 탄압, 즉 백색 테러로 이어졌다.[7] 이 과정은 새로운 정부가 조직한 무스카댕에 의해 주도되었다.[7]

테르미도르 정권은 몽테뉴파를 권력에서 배제했고, 1795년의 백색 테러는 정치적 좌파에 대한 대대적인 투옥과 처형으로 이어졌다. 7월 29일, 테르미도르파는 파리 코뮌의 70명의 회원에게 사형을 선고했고, 이후 코뮌은 국민공회에 종속되었다.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공포 정치 관련자들은 소환되었고, 탈리앵, 바라스, 푸셰 등이 지도부에 재합류했다. 빌로-바렌, 콜로 데르부아 등은 남아메리카로 추방되었다. 많은 자코뱅 클럽이 폐쇄되었고, 예배의 자유가 확대되었으며, 1794년 12월 24일에는 최고 가격이 폐지되었다.

1795년 4월과 5월, 급진파를 지지하는 시위와 폭동이 발생했고, 5월 20일에는 반란군 폭도들이 국민공회를 침공했다. 5월 22일, 국민공회는 피슈그뤼 휘하의 군대를 동원하여 반란군을 진압했다. 1795년 5월과 6월에는 "백색 테러"가 발생하여 자코뱅이 희생되고, 부르주아 "온건파"가 판사로 임명되었다. 파리에서는 왕당파의 감정이 공개적으로 용인되었다.

프랑스군은 네덜란드 공화국을 점령하고 바타비아 공화국을 세웠으며, 라인강 좌안을 점령했다. 스페인프로이센 등과의 평화 협정으로 국민공회의 위상이 높아졌다. 1795년 8월 22일, 공화력 3년 헌법이 제정되어 선거인단 제도, 양원제 입법부 등이 도입되었다. 10월 5일 (방데미에르 13일) 왕당파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군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10월 25일, 국민공회는 해산되고 1795년 11월 2일, 총재정부가 수립되었다.

4. 테르미도르 반동의 역사적 의의

5. "테르미도르" 용어의 다른 용례

혁명 운동사에서 '테르미도르'라는 용어는 일부 혁명에서 권력이 최초 혁명 지도부의 손에서 벗어나 급진적인 정권이 더 보수적인 정권으로 대체되는 단계를 의미하며, 때로는 정치적 추의가 혁명 이전 상태와 유사한 방향으로 다시 움직이는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8]

레온 트로츠키는 저서 《배반당한 혁명》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의 권력 장악을 "소련의 테르미도르"라고 묘사했다. 그는 이것이 자본주의를 "회복"하지는 않았지만, 테르미도르 자체가 군주제를 복원하지 않은 것처럼, 소련 정권 내에서의 "반혁명적 퇴보"였다고 주장했다.[9]

자칭 마르크스-레닌주의자인 우탈도 부타파바는 스탈린 통치 말기 니키타 흐루쇼프가 권력을 잡고 당시의 경제 정책을 펼친 것이 소련 내에서 일종의 테르미도르였다고 언급했다.[10]

중앙정보국(CIA) 문건은 흐루쇼프의 "개인 숭배와 그 결과에 대하여" 연설이 '러시아 혁명의 "테르미도르"를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11]

5. 1. 소련의 테르미도르

레온 트로츠키는 저서 《배반당한 혁명》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의 권력 장악을 "소련의 테르미도르"라고 묘사했다. 그는 이것이 자본주의를 "회복"하지는 않았지만, 테르미도르 자체가 군주제를 복원하지 않은 것처럼, 소련 정권 내에서의 "반혁명적 퇴보"였다고 주장했다.[9]

자칭 마르크스-레닌주의자인 우탈도 부타파바는 스탈린 통치 말기 니키타 흐루쇼프가 권력을 잡고 당시의 경제 정책을 펼친 것이 소련 내에서 일종의 테르미도르였다고 언급했다.[10]

중앙정보국(CIA) 문건은 흐루쇼프의 "개인 숭배와 그 결과에 대하여" 연설이 '러시아 혁명의 "테르미도르"를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11]

6. 한국 민주주의와의 비교

참조

[1] 논문 After Robespierre, The Thermidorian Reaction https://thecharnelho[...]
[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of 1789 As Viewed in the Light of Republican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3] 서적 A Companion to the French Revolution Wiley-Blackwell 2012
[4] 서적 Histoire de la Convention Nationale https://books.google[...] Baudouin Freres
[5] 서적 A history of modern Europ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W.W. Norton & Company 2004
[6] 서적 Louis XVII, sa vie, son agonie, sa mort: captivité de la famille royale au Temple https://archive.org/[...] H. Plon
[7] 서적 A Companion to the French Revolution Wiley-Blackwell 2012
[8] 웹사이트 Definition of THERMIDOR https://www.merriam-[...] 2021-05-01
[9] 서적 The Revolution Betrayed Doubleday, Doran & Co. 2004
[10] 서적 Khrushchev's Thermidor – A contribution to the critical analysis concerning the USSR's return to capitalism https://www.marxists[...]
[11] 웹사이트 Latest developments of the 'anti-Stalin' trend in international Communism, interpretation and possible exploitation https://www.cia.gov/[...] CIA
[12]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3] 간행물 테르미도르 반동 - 공포정치의 종료와 집정정부의 시작 2007-07-05
[14] 서적 조제프 푸셰. 어느 정치적 인간의 초상 이화북스 2019
[15]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16]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7]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8]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9]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20]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21]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22]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23]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24]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25]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26]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27] 간행물 테르미도르 반동 - 공포정치의 종료와 집정정부의 시작 2007-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