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베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베는 1979년 보이저 1호에 의해 발견된 목성의 위성이다. 목성에서 약 222,000km 떨어진 궤도를 돌며, 궤도 이심률과 경사가 내위성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높다. 테베는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어둡고 붉은 표면을 가진다. 표면에는 여러 개의 큰 충돌구가 있으며, 가장 큰 제투스 분화구가 있다. 테베는 테베 거미줄 고리의 먼지 공급원이며, 갈릴레오 탐사선을 통해 표면의 상세한 관측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발견한 천체 - SGR 1806-20
SGR 1806-20은 궁수자리 방향 5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마그네타로,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며 1979년 감마선 폭발로 처음 발견되었고, 2004년 지구 전리층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폭발을 일으키기도 했다. - 1979년 발견한 천체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목성의 위성 - 가니메데 (위성)
가니메데는 갈릴레이에 의해 발견된 목성의 가장 크고 태양계에서도 가장 큰 위성으로, 암석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바다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독자적인 자기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오 및 유로파와 라플라스 공명 관계를 이루고, 특이한 지형을 가지고 있어 JUICE 탐사선이 탐사 예정이다. - 목성의 위성 - 카르포 (위성)
테베 (위성) | |
---|---|
명칭 | |
영어 | Thebe |
다른 이름 | Jupiter XIV |
이미지 | |
![]() | |
발견 | |
발견자 | 스티븐 P. 시노트/보이저 1호 |
발견일 | 1979년 3월 5일 |
임시 명칭 | S/1979 J 2 |
궤도 특성 | |
모행성 | 목성 |
평균 궤도 반지름 | 221889.0 ± 0.6 km (3.11 RJ) |
근점 | 218,000 km |
원점 | 226,000 km |
공전 주기 | 0.674536 ± 0.000001일 (16시간 11.3분) |
평균 공전 속도 | 23.92 km/s (계산) |
궤도 경사 | 1.076° ± 0.003° (목성 적도 기준) |
궤도 이심률 | 0.0175 ± 0.0004 |
물리적 특성 | |
크기 | 116 × 98 × 84 km |
평균 반지름 | 49.3 ± 2.0 km |
부피 | 약 500,000 km3 |
표면적 | 33,500 km2 |
질량 | 1.5×1018 kg |
평균 밀도 | 1.45 g/cm3 |
표면 중력 | ~0.013 m/s2 (0.004 g) |
탈출 속도 | ~0.063 km/s |
반사율 | 0.047 ± 0.003 |
자전 | 동기 자전 |
자전축 기울기 | 0° |
표면 온도 | ~124 K |
2. 발견과 관측
테베는 1979년 3월 5일 보이저 1호가 목성을 지나가면서(플라이바이) 촬영한 사진에서 스티븐 P. 시노트가 발견했으며, 처음에는 S/1979 J 2라는 임시 명칭이 부여되었다.[10][12] 1983년에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님프 테베의 이름을 따서 공식적으로 명명되었다.[11] 테베는 제우스의 연인이었다.
보이저 1호가 발견한 이후, 1979년에 보이저 2호도 테베를 촬영했다.[6]
2. 1. 갈릴레오 탐사선의 관측
갈릴레오 탐사선은 테베 표면의 거의 전부를 촬영하여 상세한 지도를 만들었고, 테베의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5]3. 궤도
테베는 목성의 내부 위성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목성으로부터 약 222,000km(목성 반지름의 3.11배) 떨어진 궤도를 돌고 있다. 궤도 이심률은 0.018이고, 궤도 경사는 목성의 적도에 대해 약 1.08°이다.[7] 이 값은 내위성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높은데, 이는 가장 안쪽에 있는 갈릴레이 위성인 이오가 과거에 미친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6] 과거에 이오가 목성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이오와의 여러 궤도 공명이 테베의 궤도를 통과했고, 이것이 테베의 궤도를 변화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6]
3. 1. 목성의 고리와의 관계
테베의 궤도는 테베 거미줄 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인접해 있으며, 이 고리는 테베에서 방출된 먼지로 구성되어 있다. 방출된 먼지는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의 작용으로 목성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성 안쪽에 고리를 형성한다.테베는 장축 방향을 목성으로 향해 공전하고 있으며, 테베 표면에서 목성에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가장 먼 지점 부근에서는 위성의 표면과 위성 자체의 로슈 한계가 매우 가까워진다. 그 부근에서는 테베의 중력이 공전의 원심력을 약간 웃돌 뿐이어서, 이 두 지점에서의 위성 탈출 속도는 매우 작다. 따라서 운석 충돌로 발생한 먼지는 쉽게 테베의 중력을 벗어나 탈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방출된 먼지는 포인팅-로버트슨 효과에 의해 목성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생성된 먼지가 테베 고서머 고리를 구성하고 있다.
4. 물리적 특징
테베는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116×98×84 km 크기의 타원체로 근사할 수 있다. 표면적은 31,000~59,000 km2 사이로 추정된다. 밀도와 질량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말테아와 비슷한 밀도(약 0.86 g/cm3)를 가졌다고 가정하면, 질량은 약 4.3 × 1017 kg으로 추정할 수 있다.[1]
목성의 다른 내위성들과 마찬가지로 테베는 조석 고정되어 궤도 운동과 동기 자전을 하며, 항상 한쪽 면이 목성을 향하고 있다. 긴 축은 항상 목성을 가리키도록 정렬되어 있다.[2] 목성에 가장 가깝고 가장 먼 표면 지점에서는 표면이 로슈 한계에 근접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지점에서 테베의 중력은 원심력보다 약간 더 크다.[2] 그 결과, 이 두 지점에서의 탈출 속도는 매우 작아서, 운석 충돌 후 먼지가 쉽게 탈출하여 테베 고사머 고리로 방출될 수 있다.[2]
4. 1. 표면 특징
테베의 표면은 어둡고 붉은색을 띤다.[4] 공전 진행 방향의 선행 반구가 후행 반구보다 1.3배 더 밝은데, 이는 선행 반구에서 충돌구의 속도와 빈도가 더 높아 위성 내부의 밝은 물질(아마도 얼음)이 노출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4]테베의 표면에는 충돌구가 많으며, 그중 일부는 테베 자체와 크기가 비슷할 정도로 크다.[2] 가장 크고 유일하게 이름 붙여진 지형은 제투스이다.
4. 1. 1. 제투스 (Zethus)
제투스는 목성의 위성 테베에서 가장 크고 유일하게 이름이 붙여진 지형이다. 지름은 약 40km이며, 테베의 뒷면(목성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3] 갈릴레오 우주선이 발견했다.[3] 이 분화구의 가장자리에는 몇 개의 밝은 점이 있다.제투스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님프 테베의 남편인 제투스의 이름에서 따왔다.[3]
지명 | 유래 |
---|---|
제투스 (Zethus) | 제토스 |
참조
[1]
서적
A Pract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884
[2]
문서
[3]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Zethus on Thebe
http://planetarynam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6-10-03
[4]
논문
Cassini ISS astrometric observations of the inner jovian satellites, Amalthea and Thebe
2006-03
[5]
논문
The Small Inner Satellites of Jupiter
1998-09
[6]
간행물
Jupiter's Ring-Moon System
http://www.astro.um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7]
논문
Leading/Trailing Albedo Asymmetries of Thebe, Amalthea, and Metis
2000-10
[8]
웹사이트
太陽系内の衛星表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19-03-08
[9]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天文学辞典
朝倉書店
[10]
논문
1979J2: The Discovery of a Previously Unknown Jovian Satellite
1980-11-14
[11]
논문
Satellites of Jupiter and Saturn
http://www.cbat.eps.[...]
2012-03-28
[12]
논문
Satellites of Jupiter
http://www.cbat.eps.[...]
2012-03-28
[13]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Zethus on Thebe
http://planetarynam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6-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