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은 언덕 또는 작은 언덕을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시대에 걸쳐 사람들이 거주하며 형성된 인공적인 언덕 유적을 지칭한다. 텔은 유기물, 건축 자재, 퇴적물 등 다양한 잔해의 축적으로 형성되며, 층위 발굴을 통해 해당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텔은 서아시아,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동의 고대사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근동의 고대사 - 고대 근동
고대 근동은 19세기 대영제국이 사용한 용어로,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등 다양한 문명이 발달하고 셈족, 인도유럽어족 등 여러 민족이 존재했던 구리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를 포괄하는 지역을 지칭한다. - 텔 - 야브네
야브네는 이스라엘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에는 얌니아로 불렸으며, 제2성전 파괴 이후 유대교 회복의 중심지였고, 십자군 시대에는 이벨린으로 불리며 예루살렘 왕국의 요새가 건설되었고, 1948년 이후 계획 도시로 지정되어 텔아비브의 위성 도시로 발전했다. - 텔 - 아슈도드
아슈도드는 기원전 17세기에 건설된 고대 블레셋 도시 아스돗에서 기원한 이스라엘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여섯 번째로 큰 도시이며, 1956년 재건 이후 대규모 이민자 유입과 함께 성장하여 현재 이스라엘의 주요 산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 텔 | |
|---|---|
| 개요 | |
| 명칭 | 텔 (언덕) |
| 다른 이름 | 유적 언덕 정착지 언덕 인공 언덕 |
| 로마자 표기 | Tel |
| 아랍어 표기 | تَلّ |
| 아랍어 음역 | Tall |
| 정의 | 고대 정착지가 여러 세대에 걸쳐 점진적으로 쌓여 형성된 인공 언덕 |
| 형태 및 특징 | |
| 높이 | 최대 약 32m |
| 면적 | 최대 약 37 헥타르 |
| 형성 과정 | 진흙 벽돌, 짚, 유기 물질 등의 건축 자재 붕괴 및 풍화 작용 거주지의 폐기물 축적 새로운 거주지를 위한 평탄화 작업 |
| 구성 요소 | 주거지 유적 방어 시설 유적 공공 건축물 유적 기타 인공 구조물 유적 |
| 분포 | |
| 주요 분포 지역 | 서아시아 중동 근동 동지중해 |
| 관련 용어 | 튀르키예의 "höyük" 이란의 "tepe" 키프로스의 "toumba" 그리스와 발칸 반도의 "magoula" 또는 "toumba" |
| 고고학적 중요성 | |
| 가치 | 과거 문화 및 생활 방식에 대한 중요한 정보 제공 고고학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 제공 특정 지역의 역사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 연구에 기여 |
| 연구 방법 | 퇴적층 연구 토양 미세 형태학 식물 유체 연구 동물 유체 연구 |
2. 어원
'텔'은 1840년 런던 왕립지리학회 저널의 보고서에서 영어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언덕" 또는 "작은 언덕"을 뜻하는 아랍어 تَلّ|탈ar에서 유래했다. ''tall'', ''tel'', ''til'', ''tal'' 등으로 쓰이기도 한다.
아랍어 '탈'은 아카드어 tīlu(m)|틸루akk, 우가리트어 tl|틀uga, 히브리어 תל|텔he 등 다른 셈어족 언어에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다. 아카드어 '틸루'는 수메르어 DUL|둘sux과 유사하며, 곡물 더미 등을 지칭할 수도 있지만, 이 유사성이 차용 관계를 나타내는지는 불분명하다. 아카드어 '틸루'가 "여성의 유방"을 뜻하는 til'u|틸우akk와 관련 있다면, 게에즈어에도 "유방"을 뜻하는 유사한 단어 təla|털라gez가 존재한다. 히브리어 '텔'은 신명기 13장 16절(기원전 700~500년경)에 처음 등장하며, 흙더미나 작은 언덕을 묘사하며, 여호수아기와 예레미야기에도 같은 의미로 나타난다.
2. 1. 다른 명칭
서남아시아의 다른 언어에도 읍성에 해당하는 어휘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이집트 아랍어의 kom|콤arz[1], 터키어/تپه|테페fa(페르시아어)의 tepe|테페tr 또는 tappeh|타페tr, hüyük|휘위크tr 또는 höyük|회위크tr (터키어), 그리고 터키어 çokmak|촉마크tr과 그 파생어인 çoka|초카tr 등에서 유래한 ''chogha'' (چغا|초가fa ,페르시아어) 등이 있다.고대 도시 유적을 나타내는 단어는 지명에서 자주 나타나며, "텔"이라는 단어 자체는 팔레스타인 지명의 가장 흔한 접두사 중 하나이다. 아랍어 단어 ''khirbet'', 또는 ''khirbat'' (خربة|키르베트ar)는 "폐허"를 의미하며, Khirbet et-Tell(대략 "폐허의 더미"를 의미)과 같은 많은 고고학적 텔의 이름에도 나타난다.
3. 텔의 형성
텔은 침식과 인위적 절단에 의해 제거되는 것보다 자연적 및 인공적 물질이 더 빠르게 축적될 때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텔이 발생하는 지리적 영역이 제한적인 이유를 설명한다.
텔은 유기적 및 문화적 폐기물, 무너진 흙벽돌 및 기타 건축 자재, 수성 퇴적물, 생물 기원 및 지구 화학적 과정의 잔류물과 풍성 퇴적물을 포함한 다양한 잔해로 형성된다. 전형적인 텔은 경사진 측면이 있는 낮고 잘린 원뿔 모양과 평평한 메사와 같은 꼭대기 모양을 하고 있다. 그 높이는 43m 이상일 수 있다.
유적이 형성되는 것은 사람들이 거주하기에 적합한 장소가 어느 정도 제한되기 때문이며, 특히 건조 지역에서는 수리 시설에 의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형성되기 쉽다.
유적은 세계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서아시아 각지에서 보이는 탈 (تلّ|탈ar 또는 tell), 텔 (תֵּל|텔he), 테페 (페르시아어: Tepe), 호유크 (höyüktr)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안데스 지방에서는 피라미드나 거석 등을 포함하여 이러한 유적을 와카 (Huaca)라고 부른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의 유적명은 테페 모, 모 테페, 와카 모라는 유적명이 많으며, 실제로 유적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유적은 여러 개의 문화층이 겹쳐진 결과 "언덕"처럼 되어 있어 그 장소의 역사 타임캡슐이 된다. 전형적인 층위 발굴 조사가 기대된다. 문화층의 유물을 공반 유물로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유적의 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그 유적이 집락 또는 도시로서 기능하고 있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하여 그 지역의 역사를 알 수 있다.
4. 텔의 분포
유적은 세계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건조 지역에서는 수리 시설의 제약으로 인해 텔이 형성되기 쉽다. 서아시아에서는 탈(تلّ|tall 또는 tellar), 텔(תֵּל|telhe), 테페(Tepefa), 호유크(höyüktr) 등으로 불리는 텔을 볼 수 있다. 안데스 지방에서는 피라미드나 거석 등을 포함한 유적을 와카(Huaca)라고 부르며, 이 지역의 유적명에는 '테페 모', '모 테페', '와카 모'와 같이 텔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텔은 여러 문화층이 겹쳐져 언덕처럼 보이는 역사 타임캡슐과 같으며, 층위 발굴 조사를 통해 그 지역의 역사를 파악할 수 있다.
4. 1. 서남아시아

텔의 가장 초창기 예시는 요르단 계곡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되며, 서안 지구의 예리코에 있는 높이 10미터의 언덕에서 원시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 고대 이스라엘과 요르단 지역에서 5,000개 이상의 텔이 발견되었다. 폴 랩은 1960년대에 이 중 98%가 아직 고고학자들의 손길이 닿지 않았다고 추정했다.
시리아에서는 텔이 상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풍부하며,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흩어져 있다. 텔 알-'아브르, 텔 바지, 텔 카비르, 텔 메레쉬, 텔 사기르, 텔 바나트 등이 대표적이다. 이 중 텔 바나트는 기원전 3천년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전쟁 기념관(''''백색 기념물''''로 알려짐)의 부지로 여겨진다.
4. 2. 유럽
텔은 스페인, 헝가리, 루마니아,[1] 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 그리스 등 유럽 국가에서 발견될 수 있다.[1]불가리아 북동부에는 기원전 5천년기부터 시작되는 금석병용기 (기원전 4900–3800년) 텔의 풍부한 고고학적 유산이 있다.
신석기 시대 그리스에서는 강수량이 충분하여 건조 농업에 기반한 인구 밀도가 높은 정착지를 허용했던 북부 테살리아 평원과, 펠로폰네소스와 같이 샘, 호수, 늪지 근처의 더 작은 경작지 주변에 초기 마을이 생겨난 남부 그리스의 더 분산된 유적지 사이에 대조가 나타난다. 남부 유럽 지역의 텔 구조는 폴 할스테드와 존 채프먼이 개발한 두 가지 모델로 설명된다. 채프먼은 텔을 핵을 이룬 공동체 사회의 증거로 간주한 반면, 할스테드는 텔이 개별 가구 구조로 발생했다는 생각을 강조했다. 테살리아 텔은 종종 약 40–80명의 소규모 마을을 반영한다.
마케도니아의 Toumba와 테살리아의 Magoulas는 그리스 이 지역에서 텔 유적을 나타내는 지역 이름이다.
5. 고고학적 중요성
텔은 여러 문화층이 겹쳐져 형성된 언덕 모양의 유적으로, 그 장소의 역사를 담은 타임캡슐과 같다. 특히 건조 지역에서는 물을 구하기 쉬운 곳에 사람들이 계속 거주하면서 유적이 형성되기 쉽다. 유적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서아시아의 탈(تلّ|탈ar 또는 tell), 텔(תֵּל|텔he), 테페(Tepe|테페fa), 호유크(höyük|회위크tr)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안데스 지방에서는 이러한 유적을 와카(Huaca)라고 부른다.
텔 유적에 대한 전형적인 층위 발굴 조사를 통해 문화층의 유물을 공반 유물로 간주할 수 있다. 다른 유적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유적이 촌락 또는 도시로서 기능했는지 여부 등 그 지역의 역사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