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 근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근동은 19세기 대영제국이 근동과 극동으로 지역을 구분하면서 사용된 용어이다. 고고학자와 역사가들은 이 용어를 성경에 나오는 땅을 지칭하며 학술 용어로 사용했다. 고대 근동의 시대는 구리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구분되며, 각 시대는 세부적인 하위 시대로 나뉜다. 이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아나톨리아, 레반트, 이란 고원 등 다양한 문명이 발달했으며, 셈족, 인도유럽어족, 후르족 등 여러 민족이 존재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청동기 시대의 붕괴, 유대-바빌론 전쟁,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아시아의 역사 - 필리핀의 역사
    필리핀의 역사는 최소 70만 년 전 인류 거주 흔적부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이주, 인도 문화 영향으로 형성된 왕국,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지배, 그리고 1946년 독립 후 민주주의 국가로서 발전과 여러 도전에 직면한 현대까지를 포괄한다.
  • 근동의 고대사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근동의 고대사 - 5.9천년 사건
    5.9천년 사건은 기원전 약 3900년경 북대서양의 한랭화 현상인 본드 사건 4와 관련된 급격한 기후 변화로, 전 지구적인 사막화, 사회 변화, 인구 이동, 문화 변화 등을 야기했다.
고대 근동
개요
고대 근동 지형도
고대 근동 지형도
일반 정보
위치서남아시아
다른 지역북아프리카, 캅카스, 동지중해
관련 국가이라크
터키
이란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키프로스
아르메니아
역사
문명의 발상지비옥한 초승달 지대
주요 문명수메르
아카드 제국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히타이트
고대 이집트
엘람
미탄니
페니키아
이스라엘 왕국
유다 왕국
우라르투
메디아
페르시아 제국
시대 구분
청동기 시대기원전 3300년 ~ 기원전 1200년
철기 시대기원전 1200년 ~
언어
주요 언어수메르어
아카드어
히브리어
아람어
고대 이집트어
히타이트어
엘람어
페르시아어

2. 근동의 개념

"고대 근동(古代近東, Ancient Near East)"이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대영제국이 자국의 관심 지역을 근동(近東, Near East)과 극동(極東, Far East)으로 구분하면서 만들어졌다. 이러한 구분은 크림 전쟁(1853~1856) 시기에 처음 나타났다. 이 두 용어가 외교적으로 사용된 대표적인 예는 오스만 제국아르메니아인아시리아인을 학살한 1894~1896년의 하미드 대학살(Hamidian Massacres)과 1894~1895년의 청일 전쟁이다. 당시 대영제국의 정치인들과 고문들은 이 두 사건이 발생한 지역을 각각 "근동(Near East)"과 "극동(Far East)"이라고 불렀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중동(Middle East)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20세기에는 "중동"이 "근동"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근동"은 원래 오스만 제국(1299~1922)이 최대 영토를 가졌을 때의 영역을 대체로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 때문에 오스만 제국이 멸망한 후에는 외교에서 "근동"이라는 용어의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중동"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정치·외교적으로 "근동" 대신 "중동"이 더 많이 사용되는 동안, "고대 근동(Ancient Near East)"이라는 용어는 오히려 더 뚜렷한 위치를 잡았다. 이 용어는 처음에는 주로 성경에 나오는 땅들을 가리키는 용도로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이 사용했다. 오스만 제국이 지배했던 근동은 북쪽으로는 까지, 남쪽으로는 아라비아 반도의 남쪽 끝까지, 서쪽으로는 이집트까지, 동쪽으로는 이라크의 국경선까지였다. 19세기의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는 이란을 추가하여 "고대 근동"이라고 정의했다.

3. 시대 구분

고대 근동의 시대 구분은 근동 지역의 역사를 특정 특징을 가진 시기별로 나누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시대세부 구분기간 (기원전)주요 사건 및 특징
구리 시대찰코리스 시대5000년 ~ 3300년
청동기 시대초기 청동기 시대3300년 ~ 2100년
중기 청동기 시대2100년 ~ 1550년
후기 청동기 시대1550년 ~ 1200년
철기 시대철기 시대 I1200년 ~ 1000년
철기 시대 II1000년 ~ 539년
고대539년 ~ 634년


3. 1. 선사 시대

기원전 10,000년경부터 시작된 신석기 혁명은 농경의 시작과 초기 정착촌 형성을 가져왔다. 이 시기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채도 신석기 A, 채도 신석기 B, 채도 신석기 C 문화가 발달하였다. 그 이전에 후기 구석기 시대중석기 시대에는 케바라 문화와 나투프 문화가 존재했다.

3. 1. 1. 금석병용 시대

죄송합니다. 이전 답변에서 원본 소스가 없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는 시스템 오류였습니다. 여전히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지침에 따라 문서를 수정하거나 생성할 수 없습니다. `source`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최선을 다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2.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는 인류가 청동을 사용하여 도구와 무기를 제작하면서 시작된 시기로,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기원전 3300년경부터 기원전 1200년경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에는 문명이 발전하고 다양한 문화가 번성했다.

  • '''이집트''', '''아나톨리아''', '''코카서스''', '''엘람''',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시스탄''', '''가나안''' 등 여러 지역에서 청동기 문화가 나타났다.


청동기 시대는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로 막을 내렸으며, 이후 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비소 청동이 사용되었고, 문자와 문학이 발전했으며, 검과 전차가 전쟁의 주요 도구로 사용되었다.

3. 2. 1. 중기 청동기 시대

아시리아는 짧은 기간 동안 미탄니의 지배를 받은 후, 기원전 1365년 아슈르-우발리트 1세의 즉위부터 기원전 1076년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의 사망까지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아시리아는 이 기간 동안 이집트와 경쟁했으며, 근동 대부분을 지배했다.[1]

바빌로니아는 아모리트 부족에 의해 국가로 건국되었으며, 435년 동안 카시트의 통치를 받았다. 카시트 시대 동안 국가는 정체되었고, 바빌로니아는 종종 아시리아나 엘람의 지배를 받았다.[1]

가나안: 우가리트, 카데시, 메기드[1]

히타이트 제국은 기원전 2000년 이후에 건국되었으며, 기원전 1200년까지 소아시아와 레반트를 지배하는 주요 세력으로 존재했다. 이후 프리게아인에게 점령당하고 아시리아에 의해 흡수되었다.[1]

3. 2. 2. 후기 청동기 시대

후르족은 기원전 2500년경부터 북부 메소포타미아와 그 주변 지역에 거주했으며, 코카서스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의 주요 거점은 하부르강 계곡의 수바르투였으며, 이후 북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 전역에 소왕국들을 세웠다. 가장 강력한 후르족 국가는 미탄니 왕국이었다. 후르족은 히타이트의 역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7]

이슈와는 아나톨리아의 고대 왕국으로, 기원전 2천년기에 처음 등장했다. 이 지역은 고대 아르메니아의 일부였으며, 신석기 시대부터 농업이 발달했다. 기원전 3500년경 유프라테스강 상류 계곡에 도시 중심지가 등장했고, 기원전 3천년기에 최초의 국가들이 나타났다. 이슈와는 서쪽의 히타이트와 적대적인 관계였으며, 히타이트 왕 하투실리 1세는 이슈와의 도시들을 파괴했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12세기 초 히타이트 제국 멸망 후 이슈와에는 말라티아를 중심으로 한 신 히타이트 왕국이 등장했다.

키주와트나는 기원전 2천년기에 터키 남동부 고지대에 위치한 왕국으로, 타우루스 산맥과 세이한강을 둘러싸고 있었다. 중심 도시는 쿰만니였으며, 후대에 킬리키아로 알려졌다.

루위아어인도유럽어족아나톨리아어파에 속하는 사멸된 언어이다. 루위아어 화자는 아나톨리아 전역으로 퍼져 나가 히타이트 제국 멸망에 기여했다. 루위아어는 멜리드, 카르케미쉬 등의 신 히타이트 국가와 중앙 아나톨리아 왕국 타발 (국가)에서도 사용되었다.

마리는 고대 수메르와 아모리트 도시로, 기원전 5천년기부터 거주했으며, 기원전 2900년부터 기원전 1759년까지 번성했다. 함무라비에 의해 약탈당했다.

미탄니는 북부 메소포타미아에 있던 후르족 왕국으로, 기원전 14세기에는 터키 남동부, 시리아 북부, 이라크 북부를 포괄했다. 수도는 와슈카니였으며, 미탄니어는 인도 아리아어의 영향을 보여주었다.[7]

얌하드는 고대 아모리트 왕국으로, 기원전 1800~1600년경에 강력했다. 남쪽의 카트나와 경쟁 관계였으며, 기원전 16세기에 히타이트에 의해 파괴되었다.

아람인은 셈족의 반유목 및 유목 민족으로, 메소포타미아 북부와 시리아에 거주했다. 통일된 제국은 없었지만, 독립적인 왕국들로 분열되었다. 아람인들은 언어와 문화를 근동 전역에 퍼뜨리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9]

해양 민족은 기원전 2천년기에 지중해 동부 해안으로 항해하여 정치적 불안을 야기하고 이집트 영토를 침입하거나 통제하려 했던 해양 약탈자들의 연합이다. 이집트 파라오 메르넵타는 카르나크 대 비문에서 이들을 "바다의 외래 국가(또는 '민족')"라고 언급했다.[11][12][13] 일부 학자들은 이들이 키프로스, 하티, 레반트를 침략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15]

3. 3. 철기 시대

기원전 911년부터 아시리아 제국이 등장하여 바빌로니아 및 기타 약소국들과 이 지역의 지배권을 다투었다.[18][19] 아다드-니라리 2세의 원정을 시작으로 광대한 제국이 되어 이집트 제25왕조를 전복하고 이집트, 중동, 소아시아, 고대 이란, 코카서스, 동지중해의 광대한 지역을 정복했다. 리처드 넬슨 프라이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아시리아 제국을 인류 역사상 최초의 진정한 제국으로 간주한다.[20]

신히타이트 왕국은 히타이트 제국이 기원전 1180년경 붕괴된 후 생겨나 기원전 700년경까지 지속된 루위아어, 아람어 및 페니키아어를 사용하는 철기 시대의 북 시리아와 남 아나톨리아의 정치적 실체였다.

우라르투는 기원전 860년경부터 기원전 585년까지 존재했던 아르메니아와 북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왕국이었다.[23] 우라르투 왕국은 소아시아, 이란 고원, 메소포타미아, 코카서스 산맥 사이에 위치한 고원 지대에 위치해 있었으며, 나중에는 아르메니아 고원으로 알려졌으며, 반 호 (오늘날 터키 동부)를 중심으로 했다. 그 이름은 성경의 ''아라라트''에 해당한다.

철기 시대레반트 남부에서는 이스라엘유다라고 알려진 두 개의 관련 이스라엘 왕국이 등장했다.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은 사마리아를 주요 수도로 삼았으며, 남쪽의 유다 왕국예루살렘을 수도로 삼았다. 기원전 7세기에 유다 왕국의 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며, 아시리아의 속국으로 번성했다. 기원전 605년 아시리아 제국이 멸망한 후 이집트 제26왕조신바빌로니아 제국 간의 레반트 지배권을 둘러싼 경쟁으로 이 왕국은 급격히 쇠퇴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623년 나보폴라사르의 반란부터 기원전 539년 키루스 2세의 침략까지 11대 ("칼데아") 왕조가 통치한 바빌로니아를 지칭한다. 이후 메디아는 에크바타나 (오늘날 하마단, 이란)를 기지로 하여 고대 근동의 대부분을 지배했다.

메디아의 몰락 이후 아케메네스 제국은 근동의 대부분과 그 너머를 통치한 최초의 페르시아 제국이었다. 아케메네스 제국은 고대 세계에서 영토 면적이 가장 넓은 제국이자 최초의 세계 제국이었다.

3. 3. 1. 초기 철기 시대

기원전 911년부터 아시리아 제국이 등장하여 바빌로니아 및 기타 약소국들과 이 지역의 지배권을 다투었으나, 기원전 8세기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개혁 이후에야 강력하고 광대한 제국이 되었다.[18][19] 아다드-니라리 2세의 원정을 시작으로 광대한 제국이 되어 이집트 제25왕조를 전복하고 이집트, 중동, 소아시아, 고대 이란, 코카서스, 동지중해의 광대한 지역을 정복했다. 리처드 넬슨 프라이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아시리아 제국을 인류 역사상 최초의 진정한 제국으로 간주한다.[20] 이 기간 동안 아람어아카드어와 함께 제국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20]

신히타이트 왕국은 히타이트 제국이 기원전 1180년경 붕괴된 후 생겨나 기원전 700년경까지 지속된 루위아어, 아람어 및 페니키아어를 사용하는 철기 시대의 북 시리아와 남 아나톨리아의 정치적 실체였다. "신히타이트"라는 용어는 때때로 멜리드 (말라티아) 및 카르카미쉬 (카르케미쉬)와 같은 루위아어를 사용하는 공국에만 사용되지만, 더 넓은 의미에서 "시로-히타이트"라는 더 광범위한 문화적 용어가 히타이트 붕괴 이후 남중앙 아나톨리아에서 발생한 모든 실체, 예를 들어 타발과 쿠웨뿐만 아니라 북부 및 해안 시리아의 실체에도 적용된다.[21][22]

우라르투는 기원전 860년경부터 기원전 585년까지 존재했던 아르메니아와 북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왕국이었다.[23] 우라르투 왕국은 소아시아, 이란 고원, 메소포타미아, 코카서스 산맥 사이에 위치한 고원 지대에 위치해 있었으며, 나중에는 아르메니아 고원으로 알려졌으며, 반 호 (오늘날 터키 동부)를 중심으로 했다. 그 이름은 성경의 ''아라라트''에 해당한다.

3. 3. 2. 철기 시대 II

기원전 8세기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개혁 이후 아시리아 제국은 강력하고 광대한 제국이 되었다.[18][19] 아람어아카드어와 함께 제국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20]

철기 시대레반트 남부에서는 이스라엘유다라고 알려진 두 개의 관련 이스라엘 왕국이 등장했다.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은 사마리아를 주요 수도로 삼았으며, 두 왕국 중 더 번성했고 곧 지역 강국으로 발전했다. 옴리 왕조 시대에 사마리아, 갈릴리, 상부 요르단 계곡, 샤론 평원 및 요르단강 동쪽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다. 기원전 720년경 아시리아 제국에 정복당하면서 멸망했다. 남쪽의 유다 왕국예루살렘을 수도로 삼았으며 더 오래 존속했다. 기원전 7세기에 이 왕국의 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며, 아시리아의 속국으로 번성했다. 기원전 605년 아시리아 제국이 멸망한 후 이집트 제26왕조신바빌로니아 제국 간의 레반트 지배권을 둘러싼 경쟁으로 이 왕국은 급격히 쇠퇴했다. 기원전 6세기 초, 유다는 일련의 바빌론 침략으로 약화되었고, 기원전 587–586년에 예루살렘이 포위되어 파괴되었으며, 네부카드네자르 2세유대인들을 바빌론으로 추방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623년 나보폴라사르의 반란부터 기원전 539년 키루스 2세의 침략까지 11대 ("칼데아") 왕조가 통치한 바빌로니아를 지칭한다. 수세기 동안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으면서 바빌로니아는 반란을 일으켰지만, 아시리아인들은 바빌로니아의 충성을 회복했다. 기원전 627년 아슈르바니팔이 사망하면서, 바빌로니아는 칼데아인 나보폴라사르 아래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메디아와 스키타이와 동맹을 맺어 기원전 612년 니네베와 기원전 608년 하란이 약탈당했고 제국의 수도는 다시 바빌로니아로 이전되었다. 이후 메디아는 에크바타나 (오늘날 하마단, 이란)를 기지로 하여 고대 근동의 대부분을 지배했다.

메디아의 몰락 이후 아케메네스 제국은 근동의 대부분과 그 너머를 통치한 최초의 페르시아 제국이었다. 최대 영토는 약 75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했으며, 아케메네스 제국은 고대 세계에서 영토 면적이 가장 넓은 제국이자 최초의 세계 제국이었다. 현대 이란의 핵심 지역 외에도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세 대륙에 걸쳐 오늘날의 이라크, 코카서스 (아르메니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다게스탄, 압하지야), 소아시아 (터키), 트라키아 (동부 불가리아 일부), 마케도니아 (대략 현재 그리스 북부의 마케도니아), 흑해 연안 지역, 북부 사우디 아라비아, 요르단,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중앙 아시아, 파키스탄 일부, 리비아까지 서쪽으로 뻗어 있는 고대 이집트의 모든 주요 인구 중심지를 포함했다.

4. 주요 국가 및 문명

"고대 근동(古代近東, Ancient Near East)"이라는 낱말은 19세기에 대영제국이 관심을 가졌던 지역들을 지칭하기 위해 근동(近東, Near East)과 극동(極東, Far East)을 구분하였던 용법을 활용하여 성립된 용어이다. 근동극동의 구분이 최초로 나타난 때는 크림 전쟁(1853~1856) 동안이다. 국가간의 외교에서 이 두 용어가 사용된 뚜렷한 예로 가장 큰 마지막 사건은 오스만 제국아르메니아인아시리아인을 학살한 1894~1896년의 하미드 대학살과 1894~1895년의 청일 전쟁이다. 당시 대영제국의 정치가들과 정치 고문들은 이 두 사건이 전개된 지역을 각각 "근동(Near East)"과 "극동(Far East)"이라 불렀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중동(Middle East)이라는 낱말이 사용되었는데, 20세기에서는 "중동"이 "근동"보다 더 널리 쓰였으며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오스만 제국(1299~1922)이 멸망한 후에는 국가간의 외교에서 "근동"이라는 낱말의 사용 빈도가 확연히 감소하였으며 대신에 "중동"이라는 낱말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정치 외교적으로 "근동"보다는 "중동"이라는 낱말이 더 많이 사용되어가는 동안, "고대 근동"이라는 낱말은 오히려 더 뚜렷한 자리를 잡아갔다. 이 낱말은 처음에는 주로 성경에 나오는 땅들을 가리키는 용도로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19세기의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간 적이 전혀 없었던 지역인 이란을 추가하여 "고대 근동"이라 하였다.

5. 주요 민족

고대 근동은 19세기에 대영제국이 관심을 가졌던 지역들을 지칭하면서 근동극동을 구분했던 용어에서 유래했다. 근동극동의 구분은 크림 전쟁(1853~1856) 중에 처음 나타났다. 오스만 제국아르메니아인아시리아인을 학살한 1894~1896년의 하미드 대학살과 1894~1895년의 청일 전쟁은 국가 간 외교에서 이 두 용어가 사용된 대표적인 예시이다. 당시 대영제국의 정치가들과 정치 고문들은 이 두 사건이 발생한 지역을 각각 "근동(Near East)"과 "극동(Far East)"이라고 불렀다.

이후 중동이라는 용어가 20세기에 "근동"보다 더 널리 사용되었다. "근동"은 원래 오스만 제국의 최대 영토를 가리키는 말이었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 멸망 후에는 외교에서 "근동"이라는 낱말의 사용 빈도가 줄고 "중동"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고대 근동"이라는 용어는 성경에 나오는 땅들을 가리키는 용도로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에 의해 사용되면서 뚜렷한 자리를 잡았다. 19세기의 고고학자들과 역사가들은 오스만 제국이 지배했던 근동 지역(북쪽으로는 , 남쪽으로는 아라비아 반도 남쪽 끝, 서쪽으로는 이집트, 동쪽으로는 이라크 국경선)에 이란을 추가하여 "고대 근동"이라고 불렀다. 이란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는 지역이었다.

6. 주요 사건

청동기 시대의 붕괴는 고대 근동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이다.

6. 1. 청동기 시대의 붕괴

해양 민족의 침입, 기후 변화, 사회 내부 문제 등 청동기 시대 문명의 붕괴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참조

[1]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15-02-28
[2] 간행물 Armenian Highland https://www.britanni[...] 2017-08-28
[3] 서적 History Begins at Sumer http://archive.org/d[...] Anchor Books
[4] 학술지 Les Habitations à salles hypostyles d'époque Obeid 0 de Tell El'Oueili. https://www.persee.f[...] 1990
[5] 학술지 New Insights on the Role of Environmental Dynamics Shaping Southern Mesopotamia: From the Pre-Ubaid to the Early Islamic Period 2019
[6] 간행물 Amorite (people) https://www.britanni[...] 2014
[7] 문서 Levantine Polities under Mittanian Hegemony https://www.academia[...] 2014
[8] 문서 Kuro-Araxes Culture Fitzroy Dearborn 1997
[9] 학술지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in the Neo-Assyrian Empire and Assyrian Identity in Post-Empire Times http://www.jaas.org/[...]
[10] 문서 A convenient table of sea peoples in hieroglyphics, transliteration and English is given in the dissertation of Woodhuizen, 2006, who developed it from works of Kitchen cited there.
[11] 문서 As noted by Gardiner V.1 p. 196, other texts have ḫȝty.w "foreign-peoples"; both terms can refer to the concept of "foreigners" as well. Zangger in the external link below expresses a commonly held view that "sea peoples" does not translate this and other expressions but is an academic innovation. The Woudhuizen dissertation and the Morris paper identify [[Gaston Maspero]] as the first to use the term "peuples de la mer" in 1881.
[12] 서적 Ancient Egyptian Onomastica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Great Karnak Inscription of Merneptah: Grand Strategy in the Thirteenth Century BC Yale Egyptological Seminar, Department of Near Easter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Yale University
[14] 문서 Line 52. The inscription is shown in Manassa p. 55 plate 12.
[15] 문서 Several articles in Oren.
[16] 서적 The End of the Bronze Age: Changes in Warfare and the Catastrophe Ca 1200 B.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문서 See A. Stoia and the other essays in [[M.L. Stig Sørensen]] and R. Thomas, eds., ''The Bronze Age{{snd}}Iron Age Transition in Europe'' (Oxford) 1989, and [[Theodore Wertime|T.A. Wertime]] and J.D. Muhly, ''The Coming of the Age of Iron'' (New Haven) 1980.
[18] 웹사이트 Assyrian Eponym List https://www.livius.o[...] 2020-03-26
[19] 문서 The Inscriptions of Tiglath-Pileser III, King of Assyria. 1994
[20] Youtube Assyria and Syria: Synonyms https://www.youtube.[...]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21] 문서 Neo-Hittite States in Syria and Anatolia Cambridge Ancient History 1982
[22] 문서 The Political Geography of North Syria and South-East Anatolia in the Neo-Assyrian Period Università di Roma "La Sapienza" 1995
[23] 문서 Urartu article http://encyclopedia2[...] Columbia Electronic Encyclopedia 2007
[24]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25]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26]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27]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28]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29] 문서 Per [[Sumerian King List]]
[30]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31]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books.google.[...] Facts on Fi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