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메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메르어는 교착어이며, 언어 유형학적으로 SOV형 언어이며, 기원전 3000년대 말부터 쐐기 문자로 표기되었다. 수메르어는 동음이의어가 많고, 명사는 한두 음절의 어근으로 구성되며, 형용사나 수식어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 수메르어는 에메-응기르와 에메-쌀의 두 방언이 있었으며, 고대 수메르어, 사르곤 시대, 우르 제3왕조 시대, 고-바벨 시기 등의 시기적 변화를 겪었다. 쐐기 문자의 해독에는 베히스툰 비문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수메르어 문법은 유한 동사의 다양한 문법적 양태를 구별하고, 시제와 상을 구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쐐기 문자 - 하티어
    하티어는 고대 아나톨리아에서 사용된 사멸된 고립어이며, 여러 어족과의 연관성에 대한 학설이 존재하고 히타이트 사제들이 작성한 종교적 점토판에서 일부 단어와 어근이 발견된다.
  • 쐐기 문자 - 점토판
    점토판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쐐기 문자를 새겨 넣어 영수증, 학술서, 외교 문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기록 매체이다.
  • 아시아의 사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아시아의 사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 SOV형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SOV형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수메르어
언어 정보
이름수메르어
고유어 이름|'native language'|links=no}}
로마자 표기Eme-ĝir₁₅ (에메-기르₁₅)
사용 국가수메르아카드
사용 지역메소포타미아 (현재의 이라크)
사용 시기기원전 2900년경부터 증명됨. 기원전 1700년경 구어 사용 중단. 기원후 100년경까지 고전어로 사용됨.
어족고립어
문자수메르-아카드 쐐기 문자
언어 코드 (ISO 639-2)sux
언어 코드 (ISO 639-3)sux
글롯로그sume1241
글롯로그 참조수메르어
방언
방언 1Emesal (에메살)
방언 2남부 수메르어
방언 3북부 수메르어
역사
멸종 시기기원전 2천년기 초
사멸 후고전 언어로서 2000년 이상 존속
시각 자료
기원전 26세기 아다브의 수메르어 문서
기원전 26세기 아다브의 수메르어 문서

2. 특징

수메르어는 교착어로, 형태소접사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558] 언어 유형학적으로 SOV형 언어이며, 관사는 존재하지 않는다.[126] 분열 능격을 갖는 언어이자, 1인칭이나 2인칭 대명사를 사용할 경우 주어와 술어의 상을 일치시키는 주격-대격 언어이다. 그러나 직설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능격-절대격 언어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558][381]

수메르어는 생물과 관련한 낱말에 대해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표기하였으나, 발음할 때는 구분하지 않았다. 수메르어에는 과거 시제와 현재-미래 시제의 두 가지 시제가 있으며, 완료형과 미완료형을 표시하기 위해 상을 구별한다.[558] 또한 주격, 장소격, 비교격, 동격 등에 따른 격변화가 있다.

수메르어는 수많은 동음이자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du는 글자에 따라 du = "가다", du3 = dù = "(집을) 짓다"를 뜻할 수 있어, 발음으로 표기할 때 번호를 부여하여 구분한다.[559]

수메르어 명사는 대개 1음절 또는 2음절의 어근으로 구성되지만(igisux-latn "눈", e2sux-latn "집, 가족", ninsux-latn "여성"), 일부 3음절 어근도 존재한다(šakankasux-latn "시장" 등).[550] 문법적 성은 인간과 그 외의 것을 구별하는 유생성을 가지며, 전자는 신이나 조각상도 포함하지만 동물이나 식물은 포함하지 않는다. 후자는 집합명사도 포함한다.[550]

형용사나 그 외의 수식어는 명사 또는 피수식어에 후치된다. 예를 들어 "위대한 왕"은 (왕·위대한)과 같이 표현한다.[550]

굴절은 거의 보이지 않으며, 명사나 동사에 접사를 연결하는 교착어적인 성질이 강하다. 전형적인 접사 및 수식어의 순서는 '''명사 - 형용사 - 수사 - 속격구 - 관계절 - 소유 접사 - 복수 접사 - 기타 격 접사'''이다.[550] 예를 들어, 는 신-위대한(첩어)-나의-복수-여격이며, "나의 위대한 신들 모두를 위해"라는 의미를 갖는다.[550] 소유 접사, 복수 접사, 기타 격 접사는 과거에는 접미사로 취급되었지만, 최근에는 전접어[551] 또는 후치사[552]로 간주된다.

복수 접사는 인간성에서는 이며, 비인간성에는 복수 접사가 붙지 않는다. 그러나 형용사 "다수의"나 복수를 나타내는 코퓰라/-meš/ , 명사 또는 형용사의 겹침 ( "모든 이국의 땅", "모든 훌륭한 물") 등 표현도 가능하다.[550] 기타 격 접사에는 (절대격), (능격), (위격-종지격), (속격), (양격), (여격), (향격), (공격), (처격), (탈격)가 있다.[550]

인칭 대명사는 (1인칭 단수), (2인칭 단수), 또는 (3인칭 인간 단수), (3인칭 인간 복수) 등이며, 소유 접사는 (1인칭 단수), (2인칭 단수), (3인칭 인간 단수) 등이다.[550]

수메르어의 정동사는 법을 구분하며, 주어와 목적어에 수와 성이 일치한다. 일치 때문에 주어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552]

수메르어 동사는 과거와 비과거(현재와 미래)의 두 가지 시제, 완료와 불완료의 두 가지 상을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각각 다른 활용형과, 더 많은 동사의 경우 다른 어간을 가진다. 동사의 어근은 대부분 단음절 어근이며, 다양한 접사와 결합하여 "동사의 사슬"을 형성한다. 정동사는 접두사와 접미사 모두를 가지는 반면, 준동사는 접두사는 붙지 않고 접미사만 가진다.

3. 변화

3. 1. 시기적 변화

수메르어 문자 체계의 변화는 대략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560]

  • 고대 수메르어 — 기원전 2500 - 2350년
  • 사르곤 시기 – 기원전 2350 – 2150년
  • 우르 제3왕조 시기 — 기원전 2100 – 2000년
  • 고-바벨 시기 - 기원전 1900 – 1600년


이 원시 문자기록판(기원전 3100년 – 기원전 2900년경)에는 토지 양도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월터스 미술관(Walters Art Museum), 볼티모어)


|thumb|최초의 수메르-아카드어 이중 언어 기록판은 리무쉬 통치 시대에 만들어졌다. 루브르 박물관(Louvre Museum) AO 5477. 윗부분은 수메르어, 아랫부분은 아카드어 번역이다.[6]]]

수메르어 문자의 역사는 여러 시기로 나눌 수 있다.[7][8][9][10]

원시 문자기록 시대(기원전 3100년경 ~ 기원전 3000년경)에 사용된 그림 문자는, 음성 지시자나 철자가 매우 드물게 나타나지만, 수메르어임을 보여준다는 주장도 있다.[12]

''고대 수메르어''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2500년)는 문법적 요소를 나타내는 비문이 등장하는 첫 단계로, 우르에서 나온 행정 문서와 부호 목록(기원전 2800년경)이 포함된다. 기원전 2600년에서 2500년까지의 슈루파크와 아부 살라비크의 텍스트는 행정 텍스트와 부호 목록뿐만 아니라 주문, 법률 및 문학 텍스트도 포함한다.[7][123]

''고전 수메르어 시대'' (기원전 2500-2350년)는 대부분 초기 왕조 시대의 마지막 부분(ED IIIb), 특히 라가시 제1왕조와 일치하며, 역사적 내용을 담은 중요한 왕실 비문과 광범위한 행정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7]

고대 수메르어 시대에는 ''고대 아카드'' 시대(기원전 2350년 – 기원전 2200년경)도 포함되기도 하는데,[14] 이 시기에는 아카드 제국의 지배하에 통일되었다. 이 당시에는 아카드어가 주요 공식 언어로 기능했지만, 수메르어 텍스트(주로 행정 문서)도 계속 생산되었다.[7]

''신 수메르어 시대''는 메소포타미아의 구티 왕조 시기에 해당하며, 가장 중요한 자료는 자치적인 라가시 제2왕조, 특히 구데아의 통치에서 나온 것으로, 방대한 왕실 비문을 남겼다. 우르 제3왕조 하의 메소포타미아 통일에 해당하며, 수메르어를 유일한 공식 문자 언어로 사용했다. 극도로 상세하고 세심한 행정 기록 외에도, 수많은 왕실 비문, 법률 문서, 편지 및 주문이 있다.[14]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600년경)에 이르러서는 아카드어가 원래 영토의 거의 모든 곳에서 수메르어를 구어로서 대체했으며, 수메르어는 종교적, 예술적, 학문적 목적으로 전례 언어와 고전 언어로서 그 존재를 유지했다. [15][16]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 특히 그 초기에는,[7] 수메르어 문학 텍스트, 즉 신화, 서사시, 찬송가, 기도, 지혜 문학 및 편지가 매우 많이 생산되었다. 실제로, 보존된 수메르 종교 및 지혜 문학 거의 전부[38]와 수메르 문학 텍스트의 압도적인 다수의 현존하는 원고[20][21][22]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23]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 이후[9] 수메르어의 활발한 사용이 감소했다. 서기관들은 수메르어로 텍스트를 계속 생산했지만, 일반적으로 아카드어 번역이 추가되었다.[29] 중기 바빌로니아 시대 (약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000년) 동안, 카시트 왕조는 많은 비문에 수메르어를 계속 사용했지만,[30][31] 아카드어는 서기관 훈련에 사용된 텍스트의 주요 언어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32]

|thumb|대사제 루'엔나가 라가시 왕(아마도 우루카기나)에게 보낸 편지, 그의 아들의 전사 소식을 알림, , 텔로 (고대 기르수)에서 발견됨]]

|thumb|라가시 왕 엔테메나의 항아리, 헌정문 포함. 루브르 박물관 AO2674, ]]

그림 문자 원시 표기는 기원전 3300년경부터 사용되었다. 기원전 2800년경에는, 몇몇 점토판에서 수메르어와 관련된 음절 요소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2600년경,[60][61] 설형 문자 기호는 쐐기 모양의 필기구로 젖은 점토에 눌러 새기는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설형 문자는 3천년기 중반부터 아카드어 표기에 적용되었다. 수메르어와 아카드어가 함께 사용되던 오랜 기간 동안 두 언어는 서로 영향을 미쳤다.[62]

3. 2. 방언

수메르어에는 에메-응기르(eme-ĝir)와 에메-쌀(eme-sal)이라 불린 방언이 있었다. 에메-응기르는 표준어를 뜻하고 에메-쌀은 '여자어'라는 뜻이다.[561] 표준 방언은 에메기르/Emegirsux(: )였다. 주목할 만한 방언 또는 사회 방언으로는 에메살/Emesalsux (: )이 있는데, 이는 "고운 혀" 또는 "높은 목소리"로 해석될 수 있다.

''에메살(Emesal)''은 일부 문학 작품에서 여성 캐릭터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며,[521][522][523] 갈라 사제가 부르는 찬송가와 같은 특정 장르의 종교적 노래에서 두드러진다. 에메살은 음운론 및 어휘적인 면에서 에메기르와 차이를 보인다.[527] 예를들어 에메기르의 음운 ''g̃'' ()은 에메살에서 ''m''으로, ''d''는 ''z''로, ''g''는 ''b''로, ''i''는 ''u''로 바뀌는 경우가 있다.[527]

에메기르 음운에메살 음운에메기르 예시에메살 예시의미
()m𒂷 ''e26𒈨 'm'e"나"
dz𒇻 d'u𒂊𒍢 -z'e2"양"
gb𒅆 g'i𒄿𒉈 -b'i2"눈"
iu𒉺𒇻 i'padಕಂಚ𒁀 u'8-ba"목자"



어휘에 있어서도 에메기르는 𒎏 ''nin''이 "여인"을 뜻하는 반면 에메살은 𒂵𒊭𒀭 ''ga-ša-an'', 나중 표기 '' ಖರೀ gašan''를 사용한다.[527]

에메기르에메살
𒎏 nin𒂵𒊭𒀭 ga-ša-an, 나중 표기 ಖರೀ gašan"여인"



최근에는 북부와 남부 수메르 방언 지역으로의 지역적 분화가 제기되었다.[3] Bram Jagersma[530]와 Gábor Zólyomi[531]는 수메르어의 두 가지 지역 방언을 구분했다. 라가시, 우마, 우르, 우루크의 남부 수메르어 방언은 신수메르 시대(우르 제3왕조)의 일반적인 표준이 되었고, 니푸르, 아다브, 이신, 슈루파크의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북부 수메르어 방언이 존재했다. 남부 수메르어에서는, 고수메르 시대 동안 모음 조화에 따라 𒉌 /i/- 접두사가 𒂊 /e/-로 교체되었지만, 북부 수메르어는 /i/-만 사용했다. 또한 남부 수메르어에서는 수동태를 나타내는 활용 접두사가 𒁀 ''ba-''였지만, 북부 수메르어에서는 𒀀 ''a-''였다.

4. 문자

수메르인들은 기원전 3000년대 말 경에 점토에 문자를 새기기 시작하였다.[562] 초기에는 상형문자에 가까웠으나, 이후 수 세기 동안 문자 체계를 수정하고 형성하여 쐐기문자(설형(楔形)문자) 체계로 발전하였다.[562] 기원전 2000년대가 끝나기 전에 수메르인들은 점토판, 기둥, 원주 등에 당시까지 구전되어 내려오던 문학적 창작물들을 새겼다.[562]

기원전 약 3000년 무렵까지 초기 수메르어 문자는 사물을 간략히 그려 넣은 그림 기호에서 출발하였다. 이후 이 그림 문자들이 보다 간략히 정리되면서 점토에 쐐기 모양의 철필을 이용하여 새긴 설형문자로 발전하였다. 초기 설형문자는 여전히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의미를 뜻하는 상형문자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절의 음가만을 표기하는 음절문자로 발전하게 되었다.[563]

우르 제3왕조 시기에는 아카드어-수메르어 사전이 만들어졌다. 오늘날 수메르어 문자의 해석은 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기원전 2800년경에는, 몇몇 점토판에서 수메르어와 관련된 음절 요소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2600년경,[60][61] 설형 문자 기호는 쐐기 모양의 필기구로 젖은 점토에 눌러 새기는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데이멜(Deimel, 1922)은 초기 왕조 IIIa 시대(기원전 26세기)에 사용된 870개의 기호를 목록으로 정리했다. 로젠가르텐(Rosengarten, 1967)은 수메르어(사르곤 이전) 라가시에서 사용된 468개의 기호를 목록으로 정리했다.

설형 문자는 3천년기 중반부터 아카드어 표기에 적용되었다. 수메르어와 아카드어가 함께 사용되던 오랜 기간 동안 두 언어는 서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수많은 차용어와 심지어 어순 변화에서도 나타난다.[62] 문맥에 따라 설형 문자 기호는 여러 가능한 표어 문자 중 하나로 읽힐 수 있으며, 각 표어 문자는 수메르어 구어의 단어에 해당하며, 음성 음절(V, VC, CV 또는 CVC) 또는 결정사 (직업 또는 장소와 같은 의미 범주의 표시)로 읽힐 수 있다.

수메르어 기호의 읽기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아카드어 화자를 위해 만들어진 어휘 목록에 크게 기반을 두고 있다.[63]

수메르어의 표기는 발음을 대략적으로만 표현했다. 이것은 종종 형태음소적이어서, 이음의 많은 변동이 무시될 수 있었다.[114]

이신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 여러 필지의 판매, .


수메르어 CV 및 VC 음절 문양
CaCeCiCuaCeCiCuC
a 아/asux-latn,
e 에/esux-latn,
i 이/isux-latn,
u 우/usux-latn,
a 아/asux-latn,
e 에/esux-latn,
i 이/isux-latn,
u 우/usux-latn,
b-ba 바/basux-latn,
be=베/besux-latn,
bi 비/bisux-latn,
bu 부/busux-latn,
ab 압/absux-latn,
eb=엡/ebsux-latn,
ib 입/ibsux-latn,
ub 웁/ubsux-latn,
-b
d-da 다/dasux-latn,
de=데/desux-latn,
di 디/disux-latn,
du 두/dusux-latn,
ad 앋/adsux-latn,
ed=엗/edsux-latnid=읻/idsux-latn,
ud 욷/udsux-latn,
-d
g-ga 가/gasux-latn,
ge=게/gesux-latn,
gi 기/gisux-latn,
gu 구/gusux-latn,
ag 악/agsux-latn,
eg=엑/egsux-latn,
ig 익/igsux-latn,
ug 욱/ugsux-latn-g
ḫ-ḫa 하/ḫasux-latn,
ḫe=헤/ḫesux-latn,
ḫi 히/ḫisux-latn,
ḫu 후/ḫusux-latnaḫ 아흐/aḫsux-latn,
eḫ=에흐/eḫsux-latniḫ=이흐/iḫsux-latnuḫ=우흐/uḫsux-latn,
-ḫ
k-ka 카/kasux-latn,
ke=케/kesux-latn,
ki 키/kisux-latn,
ku 쿠/kusux-latn,
ak=앜/aksux-latnek=엨/eksux-latnik=잌/iksux-latnuk=옼/uksux-latn-k
l-la 라/lasux-latn,
le=레/lesux-latn,
li 리/lisux-latn,
lu 루/lusux-latn,
al 알/alsux-latn,
el 엘/elsux-latn,
il 일/ilsux-latn,
ul 울/ulsux-latn,
-l
m-ma 마/masux-latn,
me 메/mesux-latn,
mi 미/misux-latn,
mu 무/musux-latn,
am 암/amsux-latn,
em=엠/emsux-latnim 임/imsux-latn,
um 움/umsux-latn,
-m
n-na 나/nasux-latn,
ne 네/nesux-latn,
ni 니/nisux-latn,
nu 누/nusux-latn,
an 안/ansux-latnen 엔/ensux-latn,
in 인/insux-latn,
un 운/unsux-latn,
-n
p-pa 파/pasux-latn,
pe=페/pesux-latn,
pi 피/pisux-latn,
pu=푸/pusux-latn,
ap=앞/apsux-latnep=엪/epsux-latn,
ip=잎/ipsux-latn,
up=웊/upsux-latn,
-p
r-ra 라/rasux-latn,
re=레/resux-latn,
ri 리/risux-latn,
ru 루/rusux-latn,
ar 아르/arsux-latn,
er=에르/ersux-latnir 이르/irsux-latn,
ur 우르/ursux-latn,
-r
s-sa 사/sasux-latn,
se=세/sesux-latn,
si 시/sisux-latn,
su 수/susux-latn,
as=아스/assux-latnes=에스/essux-latn,
is=이스/issux-latn,
us=우스/ussux-latn,
-s
š-ša 샤/šasux-latn,
še 셰/šesux-latn,
ši=시/šisux-latn,
šu 슈/šusux-latn,
아슈/ašsux-latn,
에슈/ešsux-latn,
이슈/išsux-latn,
우슈/ušsux-latn,
t-ta 타/tasux-latn,
te 테/tesux-latn,
ti 티/tisux-latn,
tu 투/tusux-latn,
at=앝/atsux-latn,
et=엩/etsux-latnit=잍/itsux-latnut=웉/utsux-latn,
-t
z-za 자/zasux-latn,
ze=제/zesux-latn,
zi 지/zisux-latn,
zu 주/zusux-latn,
az 아즈/azsux-latnez=에즈/ezsux-latn,
iz= 이즈/izsux-latn,
uz=우즈/uzsux-latn
-z
g̃-g̃á=응아/g̃ásux-latng̃e26=응에26/g̃e26sux-latng̃i6=응이6/g̃i6sux-latng̃u10=응우10/g̃u10sux-latnág̃=앙/ág̃sux-latnèg̃=엥/èg̃sux-latnìg̃=잉/ìg̃sux-latnùg̃=웅/ùg̃sux-latn-g̃
ř-řá=르아/řásux-latnře6=르에6/ře6sux-latn|||||



쐐기 문자로 표기되는 것은 수메르어가 사용되던 시대에 전적으로 사용되었다. 가장 오래된 문서 중에는 아직 쐐기 형태를 취하지 않은 그림 문자 (고졸 문자)로 표기된 것도 존재한다. 현대에는 연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알파벳을 사용하여 음역(음역 표기)이 이루어진다. 단, 수메르어는 동음이의어 (동음이의자)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알파벳 표기로 했을 때 판별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숫자를 덧붙여 대응하고 있다 (예: "가다", "세우다". 의 이의어는 20개가 넘는다).

5. 해독



로고음절 문자 설형 문자를 해독하는 열쇠는 베히스툰 비문에서 나왔는데, 이 비문은 고대 페르시아어, 엘람어, 아카드어로 쓰여진 3개 국어 설형 문자 비문이다.

1838년 헨리 로린슨 경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그로테펜트의 1802년 작업을 바탕으로, 현대 페르시아어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베히스툰 비문의 고대 페르시아어 부분을 해독할 수 있었다.[67] 1843년에 그가 나머지 텍스트를 복구했을 때, 그와 다른 사람들은 고대 페르시아어에 대해 그가 해독한 37개의 기호를 시작으로 엘람어와 아카드어 부분을 점차적으로 번역할 수 있었다. 한편, 대부분 셈어족의 아카드어로 된 많은 설형 문자 텍스트가 고고학 발굴에서 발견되었으며, 적절하게 해독되었다.

그러나 1850년까지 에드워드 힝크스는 설형 문자가 셈어족 기원이 아닐 것이라고 의심하게 되었다. 셈어족은 자음 형태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지만, 설형 문자는 음성적으로 기능할 때 특정 모음에 자음을 묶는 음절 문자였다. 또한 특정 기호에 주어진 음절 값을 설명할 셈어 단어를 찾을 수 없었다.[67]

1855년 로린슨은 니푸르, 라르사, 우루크의 남부 바빌론 유적지에서 셈어족이 아닌 비문의 발견을 발표했다.[68] 1856년 힝크스는 번역되지 않은 언어가 교착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68] 1869년 줄리우스 오페르트는 "수메르와 아카드 왕"이라는 알려진 칭호에 기초하여, 아카드 제국이 왕국의 셈어족 부분을 의미한다면 수메르는 셈어족이 아닌 부속지를 묘사할 수 있다는 추론에서 "수메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68]

최초로 수메르-아카드어 이중 언어 텍스트를 과학적으로 다룬 공로는 파울 하우프트에게 있으며, 그는 1879년에 ''Die sumerischen Familiengesetze''(수메르 가족법)를 출판했다.[68]

에르네스트 드 사르제크는 1877년에 수메르 유적지인 텔로 (고대 기르수, 라가쉬 국가의 수도)를 발굴하기 시작하여 1884년에 수메르 점토판을 필사하여 ''Découvertes en Chaldée''의 첫 번째 부분을 출판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는 1888년에 수메르 니푸르를 발굴하기 시작했다.

R. 브륀노의 ''수메르어 표의 문자 분류 목록''은 1889년에 출판되었다.

1874년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터키 출신의 동양학자 조세프 하레비는 수메르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암호학의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을 놓고 아시리아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격론을 벌였으나, 1885년에 이르러서는 아시리아학의 권위자였던 프리드리히 데리취마저 하레비의 의견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프랑수아 투로-당갱은 1898년부터 1938년까지 수메르어 해독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샤를르 포세는 ''Contribution au Dictionnaire sumérien–assyrien''을 1905–1907에 출판하였다.

1908년 스티븐 허버트 랭던은

1944년 수메르 학자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그의 ''수메르 신화''에서 수메르어 해독에 대한 상세하고 읽기 쉬운 요약을 제공했다.[71]

프리드리히 델리치는 1914년에 그의 ''Sumerisches Glossar''와 ''Grundzüge der sumerischen Grammatik''의 형태로 학식 있는 수메르어 사전과 문법을 출판했다.[72] 델리치의 학생인 아르노 포벨은 1923년에 같은 제목의 문법 ''Grundzüge der sumerischen Grammatik''을 출판했으며, 50년 동안 수메르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표준이 될 것이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수메르학에서 또 다른 영향력 있는 인물은 아담 팔켄슈타인이었다.[73] 포벨의 문법은 1984년에 마리 루이즈 톰센의 ''수메르어: 그 역사와 문법 구조 소개''가 출판되면서 마침내 대체되었다.

수메르어에 대한 보다 최근의 문법에는 디에츠-오토 에드자르트의 2003년 ''수메르 문법''과 브람 야거스마의 2010년 ''수메르어 기술 문법''이 포함된다.

수메르어의 주요 제도적 어휘 노력은 1974년에 시작된 펜실베이니아 수메르 사전 프로젝트이다. 2004년에 PSD는 ePSD로 웹에 공개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스티브 티니가 감독하고 있다. 2006년 이후 온라인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았지만 티니와 동료들은 ePSD의 새 버전을 작업 중이며, 작업 초안은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다.

5. 1. 설형문자의 해독

설형문자를 해독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 것은 베히스툰 비문이다.[564][565] 베히스툰 비문은 고대 페르시아어, 엘람어, 아카드어의 세 언어로 같은 내용을 새겨놓았다.

설형문자 해독에 단서를 제공한 베히스툰 비문


1802년 독일의 금석학자인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그로테펜트가 설형문자의 해독을 시작하였다.[564][565] 1838년 영국의 핸리 로우린슨이 그로테펜트의 작업 내용과 현대 페르시아어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베히스툰 비문의 페르시아어 부분을 번역하기 시작하였다. 1843년 로우린슨은 비문의 페르시아어 부분에 대한 해독작업을 마쳤다. 이 과정에서 로우린슨과 다른 학자들은 고대 페르시아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아카드어 설형문자 37개를 확보하였다.[564][565]

고고학 발굴이 활기차게 진행됨에 따라 더 많은 설형문자 텍스트가 발견되었고, 이 설형문자들이 대부분 아카드어로 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비문을 통해 해독의 단서를 찾은 금석학자들은 아카드어를 해독하였고 아카드어가 셈어파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850년 아일랜드의 에드워드 힝크스는 셈어파인 아카드어의 특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어근을 사용하는 특이한 설형문자를 발견하였다. 그는 나중에 이 설형문자가 수메르어로 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564][565]

5. 2. 수메르어의 해독

1838년 헨리 로린슨 경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그로테펜트의 1802년 작업을 바탕으로, 현대 페르시아어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베히스툰 비문의 고대 페르시아어 부분을 해독할 수 있었다.[67] 1843년에 그가 나머지 텍스트를 복구했을 때, 그와 다른 사람들은 고대 페르시아어에 대해 그가 해독한 37개의 기호를 시작으로 엘람어와 아카드어 부분을 점차적으로 번역할 수 있었다. 한편, 대부분 셈어족의 아카드어로 된 많은 설형 문자 텍스트가 고고학 발굴에서 발견되었으며, 적절하게 해독되었다.

그러나 1850년까지 에드워드 힝크스는 설형 문자가 셈어족 기원이 아닐 것이라고 의심하게 되었다. 셈어족은 자음 형태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지만, 설형 문자는 음성적으로 기능할 때 특정 모음에 자음을 묶는 음절 문자였다. 또한 특정 기호에 주어진 음절 값을 설명할 셈어 단어를 찾을 수 없었다.[67]

1855년 로린슨은 니푸르, 라르사, 우루크의 남부 바빌론 유적지에서 셈어족이 아닌 비문의 발견을 발표했다.[68] 1856년 힝크스는 번역되지 않은 언어가 교착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68] 1869년 줄리우스 오페르트는 "수메르와 아카드 왕"이라는 알려진 칭호에 기초하여, 아카드 제국이 왕국의 셈어족 부분을 의미한다면 수메르는 셈어족이 아닌 부속지를 묘사할 수 있다는 추론에서 "수메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68]

최초로 수메르-아카드어 이중 언어 텍스트를 과학적으로 다룬 공로는 파울 하우프트에게 있으며, 그는 1879년에 ''Die sumerischen Familiengesetze''(수메르 가족법)를 출판했다.[68]

에르네스트 드 사르제크는 1877년에 수메르 유적지인 텔로 (고대 기르수, 라가쉬 국가의 수도)를 발굴하기 시작하여 1884년에 수메르 점토판을 필사하여 ''Découvertes en Chaldée''의 첫 번째 부분을 출판했다.[567]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는 1888년에 수메르 니푸르를 발굴하기 시작했다.[568]

R. 브륀노의 ''수메르어 표의 문자 분류 목록''은 1889년에 출판되었다.

1874년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터키 출신의 동양학자 조세프 하레비는 수메르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암호학의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을 놓고 아시리아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격론을 벌였으나, 1885년에 이르러서는 아시리아학의 권위자였던 프리드리히 데리취마저 하레비의 의견을 받아들이게 되었다.[569]

프랑수아 투로-당갱은 1898년부터 1938년까지 수메르어 해독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샤를르 포세는 ''Contribution au Dictionnaire sumérien–assyrien''을 1905–1907에 출판하였다.

1908년 스티븐 허버트 랭던은

1944년 수메르 학자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그의 ''수메르 신화''에서 수메르어 해독에 대한 상세하고 읽기 쉬운 요약을 제공했다.[71]

프리드리히 델리치는 1914년에 그의 ''Sumerisches Glossar''와 ''Grundzüge der sumerischen Grammatik''의 형태로 학식 있는 수메르어 사전과 문법을 출판했다.[72] 델리치의 학생인 아르노 포벨은 1923년에 같은 제목의 문법 ''Grundzüge der sumerischen Grammatik''을 출판했으며, 50년 동안 수메르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표준이 될 것이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수메르학에서 또 다른 영향력 있는 인물은 아담 팔켄슈타인이었다.[73] 포벨의 문법은 1984년에 마리 루이즈 톰센의 ''수메르어: 그 역사와 문법 구조 소개''가 출판되면서 마침내 대체되었다.

수메르어에 대한 보다 최근의 문법에는 디에츠-오토 에드자르트의 2003년 ''수메르 문법''과 브람 야거스마의 2010년 ''수메르어 기술 문법''이 포함된다.

수메르어의 주요 제도적 어휘 노력은 1974년에 시작된 펜실베이니아 수메르 사전 프로젝트이다. 2004년에 PSD는 ePSD로 웹에 공개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스티브 티니가 감독하고 있다. 2006년 이후 온라인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았지만 티니와 동료들은 ePSD의 새 버전을 작업 중이며, 작업 초안은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다.

6. 음운론

수메르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아 있지 않기 때문에 수메르어의 음운론에 대한 연구는 추정에 머무를 수 밖에 없다. 주로 쐐기 문자를 계승해서 사용했던 아카드어 발음을 기초로 수메르어의 음운을 재구성한다.[74]

//와 {}는 각각 수메르어의 음운론적 형태와 형태론적 형태를 나타내며, 일반 텍스트는 수메르어의 표준 아시리아학적 표기에 사용된다. 다음 예시의 대부분은 증명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다른 비근대적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수메르어 설형 문자의 철자는 매우 가변적이므로, 음역과 설형 문자 예시는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그래픽 형태 중에서 하나 또는 최대 몇 개의 일반적인 형태만 표시한다. 철자법 또한 수메르어 역사 과정에서 크게 바뀌었다. 이 기사의 예시에서는 다른 시대의 진정한 예시가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고 바빌로니아 또는 우르 3세 시대의 철자를 의미하는 가장 음성적으로 명확하게 증명된 철자를 사용한다.

수메르어 음운론에 대한 현대적 지식은 화자의 부재, 아카드어 음운론의 필터를 통한 전달, 그리고 설형 문자 스크립트가 제기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결함이 있고 불완전하다. 이. M. 디아코노프는 "수메르어의 형태음운론적 구조를 파악하려 할 때, 우리는 언어를 직접 다루는 것이 아니라 형태음운론을 렌더링하는 데 기본적으로 목표를 두지 않은 매우 불완전한 기억력 필기 시스템에서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을 끊임없이 명심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 자음 ==

수메르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수메르어 자음 음소
colspan="2"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 (g̃)
파열음평음p (b)t (d)k (g)
유기음 (p) (t) (k)
마찰음s (š) (ḫ~h)
파찰음평음 (z)
유기음? (ř~dr)
접근음l
탄음 (r)



단어 종결 자음은 표기되지 않았고, 발음에서도 생략되었을 수 있으며, 모음이 뒤따를 때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소유격 어미 ''-ak''의 는 𒂍𒈗𒆷 ''e2 lugal-la'' "왕의 집"에 나타나지 않지만 𒂍𒈗𒆷 काउंट ''e2 lugal-la-kam'' "(그것은) 왕의 집이다"에서는 명확해진다.

== 모음 ==

필기체계를 통해 구분할 수 있는 분명한 모음은 아(a), 에(e), 이(i), 그리고 우(u) 소리이다. 악카드어에서 다르게 음역되는 경우가 있어, 이 네 가지 모음 외에 다른 모음(/o/, /ɛ/, /ɔ/ 등)이 있었으리라 짐작하는 학자들도 있지만,[97][100] 아직까지 확실하게 증명할 수는 없다.

모음조화 현상이나, 모음동화 현상이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97] 고 수메르 시대 남부 방언(라가시, 우마, 우르, 우루크)에서 사용된 방언은[98] 모음 높이나 혀 뿌리 전진을 기반으로 하는 모음 조화 규칙을 보였다.[97] 예를 들어, /e/ 또는 /i/를 포함하는 접두사는 열린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는 /e/로, 닫힌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는 /i/로 번갈아 나타났다. (𒂊 oxygen oxygen''e-kaš4'' "그는 달린다", 𒉌𒁺 ''i3-gub'' "그는 서 있다").[97] 하지만 일부 동사는 규칙과 반대되는 모음의 질을 가진 접두사를 취하기도 했다.[97][98]

특정 접두사와 접미사의 모음이 인접한 음절의 모음으로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동화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후기 시대의 일부에 기록되어 있다. 2음절 줄기가 두 음절 모두에서 동일한 모음을 갖는 경향도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모음 축약현상은 빈번하게 나타난다.[102]

  • i + a > a
  • u + a > a
  • u + e > e
  • u + e > u


음절은 V, CV, VC, CVC의 구조를 가질 수 있었으며, 더 복잡한 음절이 존재했더라도 설형 문자로 표현되지 않는다.

6. 1. 자음

수메르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수메르어 자음 음소
colspan="2"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 (g̃)
파열음평음p (b)t (d)k (g)()
유기음 (p) (t) (k)
마찰음s (š) (ḫ~h)()
파찰음평음 (z)
유기음? (ř~dr)
접근음l()
탄음 (r)



단어 종결 자음은 표기되지 않았고, 발음에서도 생략되었을 수 있으며, 모음이 뒤따를 때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소유격 어미 ''-ak''의 는 𒂍𒈗𒆷 ''e2 lugal-la'' "왕의 집"에 나타나지 않지만 𒂍𒈗𒆷 काउंट ''e2 lugal-la-kam'' "(그것은) 왕의 집이다"에서는 명확해진다.

6. 2. 모음

필기체계를 통해 구분할 수 있는 분명한 모음은 아(a), 에(e), 이(i), 그리고 우(u) 소리이다. 악카드어에서 다르게 음역되는 경우가 있어, 이 네 가지 모음 외에 다른 모음(/o/, /ɛ/, /ɔ/ 등)이 있었으리라 짐작하는 학자들도 있지만,[97][100] 아직까지 확실하게 증명할 수는 없다.

모음조화 현상이나, 모음동화 현상이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97] 고 수메르 시대 남부 방언(라가시, 우마, 우르, 우루크)에서 사용된 방언은[98] 모음 높이나 혀 뿌리 전진을 기반으로 하는 모음 조화 규칙을 보였다.[97] 예를 들어, /e/ 또는 /i/를 포함하는 접두사는 열린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는 /e/로, 닫힌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는 /i/로 번갈아 나타났다. (𒂊 oxygen oxygen''e-kaš4'' "그는 달린다", 𒉌𒁺 ''i3-gub'' "그는 서 있다").[97] 하지만 일부 동사는 규칙과 반대되는 모음의 질을 가진 접두사를 취하기도 했다.[97][98]

특정 접두사와 접미사의 모음이 인접한 음절의 모음으로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동화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후기 시대의 일부에 기록되어 있다. 2음절 줄기가 두 음절 모두에서 동일한 모음을 갖는 경향도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모음 축약현상은 빈번하게 나타난다.[102]

  • i + a > a
  • u + a > a
  • u + e > e
  • u + e > u


음절은 V, CV, VC, CVC의 구조를 가질 수 있었으며, 더 복잡한 음절이 존재했더라도 설형 문자로 표현되지 않는다.

7. 문법

수메르어의 유한 동사는 여러 문법적 양태를 구별하며, 인칭, 수, 성에 따라 주어와 목적어와 (다소 일관성 있게) 일치한다.[129][237][238] 동사 연쇄는 또한 동사의 다른 수식어에 대한 대명사적 참조를 통합할 수 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일치"로 묘사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참조와 구절 내에 실제 수식어의 존재가 반드시 함께 나타날 필요는 없다. 𒂍𒂠𒌈𒌈𒅆𒁺 ''e2-še3 ib2-ši-du-un'' "나는 집으로 간다"뿐만 아니라 𒂍𒂠𒉌𒁺 ''e2-še3 i3-du-un'' "나는 집으로 간다"와 단순히 ib2-ši-du-un "나는 그것으로 간다"도 가능하다. 따라서 "일치" 대신 "교차 참조"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이 문서에서는 "일치"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239][240]

수메르어 동사는 또한 일부가 시제(과거 vs 현재-미래)로 간주하고, 다른 일부는 문법적 양상 (완료 vs 미완료)으로 간주하는 범주에 따라 이진 구분을 한다. 이는 이후 TA(시제/양상)로 지정된다. 이 두 가지 반대의 구성 요소는 서로 다른 활용 패턴을 수반하며, 적어도 많은 동사의 경우 다른 어간을 갖는다. 이들은 두 개의 해당 형식에 대한 아카드어 문법 용어인 ''ḫamṭu'' "빠른"과 ''marû'' "느린, 뚱뚱한"으로 이론 중립적으로 지칭된다. 마지막으로, 동사가 수동태를 갖는지 또는 중간태를 갖는지, 그리고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수메르어 동사가 엄격하게 타동사 또는 자동사 사용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종종 지적된다. 예를 들어 동사 樖 ''kur9''는 "들어가다"와 "삽입하다/가져오다"를 모두 의미할 수 있으며, 동사 樖 ''de2''는 "흘러나가다"와 "쏟아내다"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사건을 유발하는 작용 주격 참여자가 구절과 동사의 일치 표지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학자들은 자동사와 타동사 ''동사''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신 수메르어에서 자동사와 타동사 ''구문''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242]

동사 어근은 거의 항상 단음절이며, 다양한 접사와 함께 소위 동사 연쇄를 형성하는데, 이는 약 15개의 슬롯으로 구성된 시퀀스로 묘사되지만 정확한 모델은 다르다.[243] 유한 동사는 접두사접미사를 모두 갖는 반면, 비유한 동사는 접미사만 가질 수 있다. 광범위하게, 접두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타나는 세 그룹으로 나뉜다. ''양태 접두사'', "''활용 접두사''", 그리고 ''대명사 및 차원'' 접두사.[244] 접미사는 미래 또는 미완료 표지 /-ed-/, 대명사 접미사, 그리고 전체 동사 연쇄를 명사화하는 /-a/ 종결이다. 전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슬롯양태 접두사"활용 접두사"대명사 접두사 1차원 접두사대명사 접두사 2어간미래/미완료대명사 접미사명사화사
유한 접두사조정자 접두사전방/후방 접두사중간 접두사
공통/Ø/-,
/ḫa/-,
/u/-,
/ga/-,

/i/~/e/-,
-/nga/-/mu/-,-/ba/--/Ø/-,
-/e/~/r/-,
-/n(n)/-,
-/b/-
-/a/-,-/Ø/-,
-/e/~/r/-,
-/n(n)/-,
-/b/-
-/e(d)/--/en/
-/en/
-/Ø/, -/e/
-/a/



위의 슬롯 대부분을 사용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interlinear|ḫa- -mu- -nn- -a- -b- -šum- -ene|PREC -VEN- -3.SG.AN- -DAT- -3.INAN.O- -give- -3.PL.AN.A/S.IPFV|'그가 그에게 이것을 주도록 해!'

| top = 𒄩𒈬𒌦𒈾𒀊 கூறும்𒈬𒉈

ḫa-mu-un-na-ab-šum2-mu-ne

| indent = 4

| glossing = link

}}

{{interlinear|nu- -i- -b- -ši- -e- -gi4-gi4- -e- -a|NEG- -FIN- -INAN- -TERM- -2.O- -return.IPFV- -3.A.IPFV- -NMLZ|'(당신을) 다시 데려오지 않는 사람'

| top = 𒉡𒌒𒅆𒂊रिमेंट

모달 접두사는 화법을 나타낸다. 이들 중 일부는 특정 TA와 일반적으로 결합된다. 다른 경우, 모달 접두사의 의미는 TA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Ø-/는 단순한 직설법의 접두사이다. 즉, 직설법은 표시되지 않는다.

예: 𒅔 ಪೊಲೀಸ ''in-gu7'' {Ø-i-n-gu} "그는 그것을 먹었다."

  • 𒉡 ''nu-''와 𒆷 ''la-'', 𒇷 ''li-'' (Ur III 표기법에서는 𒉌 ''li2-'')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며 "않다"로 번역될 수 있다. 동음이음소 /la-/와 /li-/는 각각 "결합 접두사" 𒁀 ''ba-''와 𒉈 ''bi2-'' 앞에 사용된다. 뒤에 오는 모음 /i/ 또는 /e/는 보상적인 장음화와 함께 ''nu-''의 앞선 /u/와 축약된다(종종 그래픽적으로 표현되지 않음). 비교 𒉌𒁺 ''i3-du'' "그는 걷고 있다"이지만, /nu-i-du/ > /nuː-du/ 𒉡𒅇𒁺 ''nu(-u3)-du'' "그는 걷지 않는다." 반면에 자음이 뒤따르면, ''nu-''의 모음은 뒤따르는 음절의 모음에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a/를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 𒈾 /na-/로 쓰여진 경우가 가끔 있기 때문이다.[245]

예: 𒉡 ஒன்றியம்पुलिस ''nu(-u3)-un-gu7'' {nu-i-n-gu} "그는 그것을 먹지 않았다."

  • 𒄩 ''ḫa- / 𒃶 ḫe2-''는 동사의 유형에 따라 기원/소원 의미("그가 X를 하게 하라", "당신은 X를 할 수 있다") 또는 긍정 의미("그는 정말 이것을 한다")를 갖는다. 동사 형태가 타동사를 나타내는 경우, 기원적 의미는 ''marû'' 형태로 표현되고, 긍정적 의미는 ''ḫamṭu'' 형태로 표현된다. 반면에, 동사 형태가 자동사이거나 상태 동사이면, 사용되는 TA는 항상 ''ḫamṭu''이다.[246] 때때로 기원/소원 형태는 "만약" 또는 "때"의 조건적 의미로도 사용된다.[246] Jagersma에 따르면, 기본 형태는 𒄩 ''ḫa-''이지만, 열린 음절에서는 접두사가 뒤따르는 결합 접두사 ''i3-''와 merged되어 𒃶 ''ḫe2-''가 된다. 후기 고대 아카드 시대부터 철자법은 또한 /e/를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 접두사의 모음이 𒃶 ''ḫe2-''에 동화되는 것을 보여준다. Ur III 시대에는 변이형 𒃶 ''ḫe2-''를 일반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추가적으로 /u/ 앞에서 𒄷 ''ḫu-''로의 동화가 증명되었고, 후자의 그래픽 표현이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흔해졌다.[247] 다른 학자들은 고대 수메르 시대에 ''𒃶 ḫe2-''가 유일한 동음이음소였다고 주장했으며[248]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형태소의 주요 형태로 간주했다.[249]

예: 𒃶𒅁 ಪೊಲೀಸ𒂊 ''ḫe2-eb-gu7-e'' {ḫa-ib-gu7-e} "그가 그것을 먹게 하라!"; 𒄩𒀭 ಪೊಲೀಸ ''ḫa-an-gu7'' "그는 정말 그것을 먹었다."

  • 𒂵 ''ga-''는 사역 의미를 가지며 "내가/우리가 X를 하게 하자" 또는 "내가 X를 할 것이다"로 번역될 수 있다. 간혹 음성 표기는 그 모음이 뒤따르는 모음에 동화되어 𒄄 ''gi4''-와 ಖರೀ ''gu2''-를 생성한다. 그것은 오직 ''ḫamṭu'' 어간과 함께 사용되지만,[250]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체를 표현하기 위해 인칭 접두사를 사용하는데, 이는 다른 방식으로 ''marû'' 활용의 특징이다: 𒂵𒉌pendown呋''ga-ni-ib2-g̃ar'' "내가 그것을 거기에 두게 하자!".[251] 주어의 복수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까지 특별히 표시되지 않았으며,[251] 그동안 1인칭 복수 접미사가 추가되기 시작했다: 𒂵𒉌pendown呋ရိێنێن''ga-ni-ib2-g̃ar-re-en-de3-en'' "우리가 그것을 거기에 두게 하자!".[252]

예: 𒂵𒀊 ಪೊಲೀಸ ''ga-ab-gu7'' "내가 그것을 먹게 하자!"

  • 𒅇 ''u3-''는 미래 의미("후에/때/만약")를 가지며 부드러운 명령형 "X를 해 주세요"로도 사용된다. 그것은 오직 ''ḫamṭu'' 형태로만 사용된다.[250] 열린 음절에서, 접두사의 모음은 ''i3''-와 ''a-''에 동화되며, 이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앞에 위치한다. 접두사는 어간 바로 앞에 위치하면 추가적인 /l/을 얻게 되며, 因而 نتیجہ 𒅇 ول ''u3-ul-''.[253]

예: ಪೊಲೀಸ ''un-gu7'' "만약/때 그가 그것을 먹으면..."

  • 𒈾 ''na-''는 금지 / 부정 소원법[254] 의미("그것을 하지 마세요!"/"그는 그것을 해서는 안 된다!"/"그는 그것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또는 긍정 의미("그는 정말 그것을 했다")를 가지며, 동사의 TA에 따라 다르다: 그것은 거의 항상 ''marû'' TA와 함께 부정적 의미를 표현하고 ''ḫamṭu'' TA와 함께 긍정적 의미를 표현한다.[255][256] 부정적 용법에서, 그것은 기원/소원 ''ḫa-''의 부정으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257] 긍정적 용법에서, 그것은 강조된 주장을 신호한다고 말해져 왔다,[258]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또한 그것이 보고된 언어("전통적으로 구전된 지식" 또는 다른 사람의 말)를 표현한다고 주장하거나[259] 논리적으로 연결된 뒤따르는 사건/상태를 소개한다고 주장했다("X가 발생했으므로(''na-''), Y가 발생했다").[260] Jagersma 등 에 따르면, "부정 ''na-''"와 "긍정 ''na-''"는 실제로 두 개의 다른 접두사인데, "부정 ''na-''"는 단일 자음 앞에 /nan-/ 동음이음소(𒈾𒀭 ''na-an-'' 또는 순음 자음 /b/ 및 /m/ 앞에서 ''្នាំ نام-'')를 가지는 반면 "긍정 ''na-''"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261]

예: 𒈾𒀊 ಪೊಲೀಸ𒂊 ''na-ab-gu7-e'' "그는 그것을 먹지 않아야 한다!"; 𒈾𒀭 ಪೊಲೀಸ ''na-an-gu7'' "그는 정말 그것을 먹었다."

  • 𒁀𒊏 ''ba-ra-''는 강조된 부정 의미("그는 분명히 그것을 하지 않을 것이다")[266] 또는 금지 의미("그는 그것을 해서는 안 된다!")를 가지며,[262] 어떤 사람들은 후자의 용법을 드물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263] 그것은 종종 사역 ''ga-''[264]와 긍정 ''ḫa-''의 부정을 기능할 수 있다.[265] 동사가 행위를 부정하면(항상 현재 또는 미래) ''marû'' TA와 결합되고, 상태를 부정하면(과거, 현재 또는 미래) 또는 행위를 부정하면(항상 과거) ''ḫamṭu'' TA와 결합된다.[266] 금지 의미는 그것이 ''marû'' TA와 결합될 것을 요구하며,[267] 적어도 행위가 타동사인 경우.[262]

예: 𒁀𒊏𒀊 ಪೊಲೀಸ𒂗 ''ba-ra-ab-gu7-en'' "나는 분명히 그것을 먹지 않을 것이다!"; 𒁀𒊏𒀭 ಪೊಲೀಸ ''ba-ra-an-gu7'' "그는 분명히 그것을 먹지 않았다."

  • 𒉡𒍑 ''nu-uš-''는 드문 접두사로, "좌절" 의미, 즉 실현 불가능한 소원("그가 그것을 하면 좋겠어!")을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것은 ''ḫamṭu''와 ''marû'' 모두에서 나타난다.[268]

예: 𒉡𒍑pendown呋ئي ''nu-uš-ib2-gu7-e'' "그가 그것을 먹으면 좋겠어!"

  • ''𒅆 ši-'', 이전에는 𒂠 ''še3-'',는 드문 접두사로, 불분명하고 논쟁적인 의미를 가지며, 긍정("그는 정말 그것을 한다"),[269] 대조적("그에 따라", "그의 입장에서"[270]), "이미 진술되었거나 발생한 것을 재확인하는 것",[273] 또는 "그러므로", "따라서"로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271] 그것은 ''ḫamṭu''와 ''marû'' 모두에서 나타난다.[272] 남부 고대 수메르어에서는 모음 조화 규칙에 따라 열린 모음 앞에서는 /e/, 닫힌 모음 앞에서는 /i/로 모음이 번갈아 나타났지만, 나중에는 열린 음절에서 뒤따르는 음절의 모음에 따라 /ša-/(𒊭 ''ša-'' / 𒁺 ''ša4-'') 및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처음 증명됨) 𒋗 ''šu-''로의 모음 동화를 보인다.[273]

예: 𒅆警方 ''ši-in-gu7'' "그래서/그에 따라/알맞게(?), 그는 그것을 먹었다."

모달 접두사가 전통적으로 동사 연쇄의 한 슬롯으로 함께 그룹화되지만, 그들의 행동은 지위의 차이를 시사한다: 오직 ''nu-''와 ''ḫa-''만이 뒤따르는 유한한 "결합 접두사"와 함께 나타나는 형태음소론적 증거를 나타내는 반면,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과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Jagersma는 처음 두 개를 "전치사"로 분리하고 나머지를 유한 접두사와 함께 (비-전치사) "사전 형식"으로 그룹화한다.[274]

다양한 "활용 접두사"의 의미, 구조, 정체성, 심지어 그 수에 대한 의견은 항상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활용 접두사"라는 용어는 수메르어의 유한 동사가 직설법에서 거의 항상 이 접두사 중 하나를 포함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단히 나타냅니다. 이러한 접두사 ''중''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는 대부분 유럽 언어로 번역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275] 활용 접두사 선택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공간 문법의 미묘함, 정보 구조(초점[276]), 동사 발렌스, 그리고 최근에는 수동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277]' 다음 설명은 Jagersma(2010)의 분석을 주로 따르며, Zólyomi(2017)와 Sallaberger(2023)가 세부 사항에서 대체로 동의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해석의 대부분은 보편적이지 않더라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278]

  • ''𒉌 i3-'' (남부 고대 수메르어 ''변형: 𒂊 e-'' 열린 모음 앞), 때로는 유한 접두사로 설명되기도 하며,[279] 중립적인 유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입니다.[280][281]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반적으로 CV 형태의 접두사 또는 접두사 시퀀스 앞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338] 단, 고대 바빌로니아 수메르어에서는 장소 접두사 𒉌 -/ni/-, 2인칭 여격 𒊏 -/r-a/- 및 2인칭 지향 𒊑 -/r-i/- 앞에서는 예외입니다.[280]

예: 𒅔𒁺 ''in-ře6'' {Ø-i-n-ře} "그가 (그것을) 가져왔다."

  • ''𒀀 a-'', 줄기 앞에 사용되는 변형 ''𒀠 al-''을 갖습니다.[280][282] 다른 유한 접두사는 대부분의 수메르어 텍스트에서 명령형 형태를 제외하고는 드물지만,[280]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태 의미를 갖습니다.[283] 북부 고대 수메르 방언에서 흔하며, 수동태 의미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284][283] Jagersma에 따르면, 고대 수메르 시대에도 남부에서 사용되었지만 종속절에서만 사용되었으며, 여기서 ''ḫamṭu''의 상태 동사뿐만 아니라 ''marû''의 동사도 정기적으로 특징지었습니다. 신수메르 시대에는 줄기 앞 형태 ''al-''만 여전히 사용되었으며 더 이상 ''marû'' 형태와 함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285] ''i3-''와 마찬가지로 접두사 ''a-''는 CV 시퀀스 앞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단, 고대 바빌로니아 수메르어에서는 장소 접두사 ''𒉌'' -/ni/-, 2인칭 여격 𒊏 -/r-a/- 및 2인칭 지향 𒊑 -/r-i/- 앞에서는 예외입니다.[280]

예: 𒀠𒁺 ''al-ře6'' "그것은 가져와졌다."

  • ''𒈬 mu-''는 일반적으로 내향 동사 접두사로 간주되며,[286] 화자 또는 화자와의 근접성을 향한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특히, 1인칭 여격 형태 𒈠 ''ma-''(''mu- + -a-'')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287] 그러나 그 발생의 많은 부분은 다양한 학자들이 지적하려는 더 미묘하고 추상적인 뉘앙스 또는 일반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종종 "화자에 대한 추상적인 근접성" 또는 "화자의 참여"에서 파생되었습니다.[288] ''mu-''는 감정적 친밀감 또는 화자의 사건 주체 또는 다른 참가자와의 일치, [289] 화제성,[290] 사건을 메시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초점을 맞추고 인물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것, [290]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대상에 대한 움직임 또는 행위, [291] "통제, 행위성, 생물성"과의 밀접한 연관성뿐만 아니라 주체에 대한 초점 또는 강조와 같은 전형적인 타동성,[292] 그 자체로서의 완결성[293] 또는 아카드 내향 동사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인칭 여격 접두사에 의해 유도될 수 있습니다.[293]

예: 𒈬𒌦𒁺 ''mu-un-ře6'' "그가 그것을 여기로 가져왔다."

  • ''𒅎 im-''과 ''𒀀𒀭 am3-''은 널리 ''mu-''[294]와 형식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내향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간주됩니다.[295] Jagersma에 따르면, 이들은 ''mu-''의 이음형태, 즉 -/m/-과 앞선 접두사 ''𒉌 i3-'' 및 ''𒀀 a-''로 구성됩니다. 그의 분석에서 이러한 조합은 CV 시퀀스 앞에서 발생하며, 여기서 ''mu-''의 모음 ''-u-''는 손실되는 반면, 역사적으로 앞선 유한 접두사는 보존됩니다: */i-mu-ši-g̃en/ > 𒅎𒅆𒁺 ''im-ši-g̃en'' "그는 그것을 위해 왔다."[296] Zólyomi의 약간 다른 분석에서, Sallaberger가 지원하는 분석에서는 기저 형태에 -/b/-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이음형태 -/m/-을 이끌어냅니다: *{i-mu-b-ši-g̃en} > /i-m-b-ši-g̃en/ > /i-m-ši-g̃en/.[297] 유한 접두사의 모음은 줄기 */i-mu-g̃en/ > 𒉌𒅎𒁺 ''i3-im-g̃en'' 앞에서 보상적 장음화를 겪습니다 "그가 왔다."[298]

예: 𒅎𒁺𒈬 ''im-tum3-mu'' {i-mu-b-tum-e} "그가 그것을 여기로 가져올 것이다."

  • ''mu-''의 모음은 장소 접두사 ''𒉌 -ni-'', 2인칭 여격 𒊏 /-r-a/ 및 2인칭 지향 𒊑 /-r-i/ 앞에서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음 음절의 모음에 동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가지 이음형태를 생성합니다:[299]
  • * 𒈪 ''mi-''는 시퀀스 𒈪''𒉌 mi-ni-'' 및 𒈪𒊑 ''mi-ri-''에서 발생합니다.[300]

예: 𒈪𒉌𒅔𒁺 ''mi-ni-in-ře6'' "그가 그것을 여기로 가져왔다."

  • * 𒈠 ''ma-''는 시퀀스 𒈠𒊏 ''ma-ra-''에서 발생합니다.

예: 𒈠𒊏𒀭𒁺 ''ma-ra-an-ře6'' "그가 (그것을) 당신에게 여기로 가져왔다."

  • ''𒉈 bi2-'' (고대 수메르어 Lagaš 철자법: 𒁉 ''bi-'' 또는 열린 모음 앞의 ''be2-''; 고대 수메르어 우르 철자법: 𒉿 ''be6-'')는 일반적으로 개인 접두사 -/b/-[301][302]와 지향 접두사 -/i/- 또는 -/e/-[301][303]의 시퀀스로 간주됩니다.

예: 𒉈𒅔𒁺 ''bi2-in-ře6'' "그가 (황소, 노동자 그룹이) 그것을 가져오도록 만들었다."

  • ''𒁀 ba-''는 개인 접두사 /b/-와 여격 접두사 -/a/-의 시퀀스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304][305] 그러나 이러한 기원에도 불구하고 /ba-/가 첫 번째 대명사 접두사와 차원 접두사 앞에서 고유한 슬롯을 차지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306][307] ''b-a-''로 추정되는 기원에 따라, ''ba-''가 "3인칭 무생물 여격"의 의미: "그것을 위해", "그것에게"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이는 점이 자주 관찰되었습니다.[304][309] 그러나 이것은 그 발생의 일부만 설명합니다. ''ba-''의 다른 명백한 의미와 사용법이 여러 개 언급되었으며, 이 중 대부분은 Jagersma에 의해 중간 목소리 표지의 포괄적인 기능에 포함됩니다.[310][311]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 재귀 간접 목적어 (무언가를 "자신을 위해" 하다);[310][312]
  • # 주의 중심에서 먼 목표를 향한 분리 및 이동, 특히 동작 동사와 함께;[314][315]
  • # 상태의 변화;[316][317]
  • # 수동태,[311] 즉, 그 행위자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Jagersma에 따르면 북부 수메르어에서는 아님) 일반적으로 타동사에서 발생합니다.[316][311] 일부 연구자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환자/목표에 대한 초점 또는 강조와 상대적으로 낮은 타동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그리고 따라서 그들이 이해하는 대로 ''mu-''의 정반대).[318]

예: 𒁀𒀭𒁺 ''ba-an-ře6'' "그가 그것을 그것에게 가져왔다" / "그가 그것을 그 자신을 위해 가져갔다" / "그가 그것을 가져갔다"; 𒁀𒁺 ''ba-ře6'' "그것이 가져와졌다."

  • ''𒅎𒈪 im-mi-'' (남부 고대 수메르어 ''𒉌𒈪 i3-mi'' 또는, 열린 모음 앞에서는 𒂊𒈨 ''e-me-'')과 𒅎𒈠 ''im-ma-'' (남부 고대 수메르어 𒂊𒈠 ''e-ma-'')는 일반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im-mi-''는 지향 접두사 ''-i~e-''를 포함하는 것으로 널리 간주됩니다.[319] 한 가지 일반적인 분석은 ''im-mi-''와 ''im-ma-''가 각각 ''im-''과 ''bi2-'' 및 ''ba-''의 시퀀스를 나타내며, 여기서 자음 /b/가 앞선 /m/으로 동화되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의미는 ''im-''의 내향적 의미와 위에 나와 있는 ''bi2-'' 및 ''ba-''의 의미의 조합으로 간주됩니다.[320][321] 이것은 Jagersma와 Zólyomi가 옹호하는 분석이며 이 기사의 계획과 예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는 일부 저자는 ''im-ma-''를 자체 접두사로 간주하며,[322] 때때로 ''ba-''의 더 수동적인 뉘앙스와 구별되는 중간 목소리 의미를 부여받았습니다.[323]

예: 𒅎𒈪𒅔𒁺 ''im-mi-in-ře6'' "그가 그것(황소, 노동자 그룹)을 여기로 가져오도록 만들었다"; 𒅎𒈠𒁺 ''im-ma-ře6'' "그것이 여기로 가져와졌다."

  • ''𒀀𒀭𒈪 am3-mi-''와 ''𒀀𒀭𒈠 am3-ma-''는 일반적으로 ''im-mi-''와 ''im-ma-''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되지만, ''im-'' (''i-''에서) 대신 선행하는 ''am-'' (''a-''에서)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의미는 위를 참조하십시오.


드문 접두사 -/nga/-는 '또한', '동등하게'를 의미합니다(특히 이전 시대에는 초기 /n/ 없이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용 접두사"의 순서에 매우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활용 접두사 /i/-와 대명사 접두사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7. 1. 명사

수메르어 명사는 대개 한 음절에서 세 음절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에(e2)는 '집', 이기(igi)는 '눈', 샤칸카(šakanka)는 '시장'을 뜻한다.[550]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는 명사 뒤에 온다.(예: lugal maḫ "고귀한 왕")[550]

명사 뒤에는 명사를 꾸미는 어미들이 따라오며 구를 이루는데, 대개 '명사 - 형용사 - 속격어미 - 종속절 - 소유격어미 - 복수어미 - 격어미' 순서를 따른다.[127] 예를 들어, 'dingir gal-gal-gu-ne-ra'는 '명사 - 형용사(반복) - 소유격어미 - 복수어미 - 여격어미' 순서로, '내 위대한 신들을 위하여/에게'라는 뜻을 나타낸다.[127]

명사의 복수형은 복수어미(-ne) 외에도 다른 낱말(hi-a '다양한', meš 복수형)을 쓰거나 명사를 반복해서 표시할 수 있다.

명사의 격어미는 절대격(ø), 능격(-e), 향격(-e), 속격(-ak), 비교격(-gin), 여격(-ra), 간접목적격(-eše), 수반격(-da), 처소격(-a), 탈격(-ta)이 있다.[550]

독립인칭대명사는 ''g̃e26-e'' (1인칭 단수), ''ze2-e'' (2인칭 단수), ''a-ne'' 또는 ''e-ne'' (3인칭 단수 인간), ''a/e-ne-ne'' (3인칭 복수 인간) 등이 있다.[550] 소유격어미는 ''-g̃u10'' (1인칭 단수), ''-zu'' (2인칭 단수), ''-(a)-n(i)'' (3인칭 단수 인간), ''-b(i)'' (3인칭 단/복수 비인간), ''-me'' (1인칭 복수), ''-zu-ne-ne'' (2인칭 복수), ''-(a)-ne-ne'' (3인칭 복수 인간) 등이 있다.[550]

인간비인간
속격
능격
절대격
여격
위격-종지격
처격
처격2
향격
Adverbiative
탈격
공격
양격


7. 2. 수사

수메르어는 십진법육십진법을 조합하여 사용했다. 예를 들어, 600은 '십 육십'으로 표현되었다.[227] 수메르어의 수 체계는 10을 하위 기수로 하는 육십진법이었다.[227]

기수와 복합 숫자를 만드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228][229][230]

숫자이름설명쐐기 문자
1diš/deš (, dili)𒁹 (𒀸)
2min𒈫
35لاث, 𒌍
4limmuನಾಲ್ಕು, ൪, ີ່
5ia2/i2ຫ້າ
6ia2 "다섯" + "하나"ಆರು
7imin/umun5/uminia2 "다섯" + min "둘"ఏడు
8ussuಎಂಟು
9ilimmuia2/i2 (5) + limmu (4)ಒಂಬತ್ತು
10uಹತ್ತು
11u-diš (?)ಹತ್ತು واحد
20nišಇಪ್ಪತ್ತು
30ušu3ಮೂವತ್ತು
40nimin"두 [십] 덜됨"ನಲವತ್ತು
50ninnu"십 덜됨"ಐವತ್ತು
60g̃eš2(d)[231]ಅರವತ್ತು, ಅರವತ್ತು
120g̃eš2(d)-min"두 g̃eš2(d)"ಒಂದು ನೂರು ಮತ್ತು ಇಪ್ಪತ್ತು
240g̃eš2(d)-limmu"네 g̃eš2(d)"రెండు ನೂರು ಮತ್ತು ನಲವತ್ತು
420g̃eš2(d)-imin"일곱 g̃eš(d)"ನಾಲ್ಕು ನೂರು ಮತ್ತು ಇಪ್ಪತ್ತು
600g̃eš2(d)-u"열 g̃eš(d)"ಆರು ನೂರು
1000li-mu-um아카드어에서 차용ಲೆಮುಉಮ್
1200g̃eš2(d)-u-min"두 g̃eš2(d)-u"ಒಂದು ಸಾವಿರದ ಇನ್ನೂರು
3600šar2"전체"𒊹 또는 𒄭[232]
36000šar2-u"열 전체"ಮೂವತ್ತಾರು ಸಾವಿರ
216000šar2 gal"큰 전체"𒊹𒃲 또는 𒄭𒃲[233]



서수는 고대 수메르어에서는 접미사 ''-kam-ma''를, 이후 시대에는 ''-kam(-ma)''를 사용하여 형성되었다.[234] 하지만 때때로 기수가 서수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었다.[235]

숫자 구문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다른 수식어처럼 명사 뒤에 배치되는 것 외에도, 숫자는 연결 동사로 강화될 수 있다. (𒌉لاث𒀀𒀭 ''dumu eš5''-''am3'', 문자 그대로 "그 아이들은 셋이다"). 소유 대명사 𒁉 -''bi''가 숫자 뒤에 추가되어 전체 구문에 확실한 의미를 부여하는 구조도 있다. 𒌉لاث𒀀𒁉 ''dumu eš5''-''a-bi'': "''그'' 세 아이" (문자 그대로 "아이들 - 그들 중 셋").[235]

분수는 𒅆...N...𒅅 ''igi-''N-''g̃al2'' : "N분의 일" 형태로 표현한다. 𒅅 ''g̃al2''는 생략될 수 있다. "2분의 1"은 𒋗𒊒𒀀 ''šu-ru-a'', 나중에 𒋗𒊑𒀀 ''šu-ri-a''이다. 분수를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은 무게 측정, 특히 미나 (𒈠𒈾 ''ma-na'')의 분수에 제한되었다. परिषद ''šuššana'' "3분의 1"(아카드어 기원), परिषद ''šanabi'' "3분의 2", परिषद ''gig̃usila'' "6분의 5", ಬಂಧನಗಾಳಿಯನ್ನುಗಾಳಿಗಾಳಿಗಾಳಿಗಾಳಿగાઈగાઈగાઈగાઈగાઈಗાઈ ''gig̃4'' "육십분의 일" 등이 있다.[236]

7. 3. 동사

수메르어의 유한 동사는 여러 문법적 양태를 구별하며, 인칭, 수, 성에 따라 주어와 목적어와 (다소 일관성 있게) 일치한다.[129][237][238] 동사 연쇄는 또한 동사의 다른 수식어에 대한 대명사적 참조를 통합할 수 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일치"로 묘사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참조와 구절 내에 실제 수식어의 존재가 반드시 함께 나타날 필요는 없다. 𒂍𒂠𒌈𒌈𒅆𒁺 '''''e2-še3''' i'''b2-ši'''-du-un'' "나는 집으로 간다"뿐만 아니라 𒂍𒂠𒉌𒁺 '''''e2-še'''3 i3-du-un'' "나는 집으로 간다"와 단순히 pendownpendown ''i'''b2-ši'''-du-un'' "나는 그것으로 간다"도 가능하다. 따라서 "일치" 대신 "교차 참조"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이 문서에서는 "일치"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239][240]

수메르어 동사는 또한 일부가 시제(과거 vs 현재-미래)로 간주하고, 다른 일부는 문법적 양상 (완료 vs 미완료)으로 간주하는 범주에 따라 이진 구분을 한다. 이는 이후 '''TA'''(시제/양상)로 지정된다. 이 두 가지 반대의 구성 요소는 서로 다른 활용 패턴을 수반하며, 적어도 많은 동사의 경우 다른 어간을 갖는다. 이들은 두 개의 해당 형식에 대한 아카드어 문법 용어인 ''ḫamṭu'' "빠른"과 ''marû'' "느린, 뚱뚱한"으로 이론 중립적으로 지칭된다. 마지막으로, 동사가 수동태를 갖는지 또는 중간태를 갖는지, 그리고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수메르어 동사가 엄격하게 타동사 또는 자동사 사용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종종 지적된다. 예를 들어 동사 樖 ''kur9''는 "들어가다"와 "삽입하다/가져오다"를 모두 의미할 수 있으며, 동사 樖 ''de2''는 "흘러나가다"와 "쏟아내다"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사건을 유발하는 작용 주격 참여자가 구절과 동사의 일치 표지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학자들은 자동사와 타동사 ''동사''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신 수메르어에서 자동사와 타동사 ''구문''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242]

동사 어근은 거의 항상 단음절이며, 다양한 접사와 함께 소위 동사 연쇄를 형성하는데, 이는 약 15개의 슬롯으로 구성된 시퀀스로 묘사되지만 정확한 모델은 다르다.[243] 유한 동사는 접두사접미사를 모두 갖는 반면, 비유한 동사는 접미사만 가질 수 있다. 광범위하게, 접두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나타나는 세 그룹으로 나뉜다. ''양태 접두사'', "''활용 접두사''", 그리고 ''대명사 및 차원'' 접두사.[244] 접미사는 미래 또는 미완료 표지 /-ed-/, 대명사 접미사, 그리고 전체 동사 연쇄를 명사화하는 /-a/ 종결이다. 전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슬롯양태 접두사"활용 접두사"대명사 접두사 1차원 접두사대명사 접두사 2어간미래/미완료대명사 접미사명사화사
유한 접두사조정자 접두사전방/후방 접두사중간 접두사
공통/Ø/-,
/ḫa/-,
/u/-,
/ga/-,

/i/~/e/-,
-/nga/-/mu/-,-/ba/--/Ø/-,
-/e/~/r/-,
-/n(n)/-,
-/b/-
-/a/-,-/Ø/-,
-/e/~/r/-,
-/n(n)/-,
-/b/-
-/e(d)/--/en/
-/en/
-/Ø/, -/e/
-/a/



위의 슬롯 대부분을 사용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interlinear|ḫa- -mu- -nn- -a- -b- -šum- -ene|PREC -VEN- -3.SG.AN- -DAT- -3.INAN.O- -give- -3.PL.AN.A/S.IPFV|'그가 그에게 이것을 주도록 해!'

| top = 𒄩𒈬𒌦𒈾𒀊 கூறும்𒈬𒉈

ḫa-mu-un-na-ab-šum2-mu-ne

| indent = 4

| glossing = link

}}{{interlinear|nu- -i- -b- -ši- -e- -gi4-gi4- -e- -a|NEG- -FIN- -INAN- -TERM- -2.O- -return.IPFV- -3.A.IPFV- -NMLZ|'(당신을) 다시 데려오지 않는 사람'

| top = 𒉡𒌒𒅆𒂊रिमेंट

모달 접두사는 화법을 나타낸다. 이들 중 일부는 특정 TA와 일반적으로 결합된다. 다른 경우, 모달 접두사의 의미는 TA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Ø-/는 단순한 직설법의 접두사이다. 즉, 직설법은 표시되지 않는다.

예: 𒅔 ಪೊಲೀಸ ''in-gu7'' {'''Ø'''-i-n-gu} "그는 그것을 먹었다."

  • 𒉡 ''nu-''와 𒆷 ''la-'', 𒇷 ''li-'' (Ur III 표기법에서는 𒉌 ''li2-'')는 부정의 의미를 가지며 "않다"로 번역될 수 있다. 동음이음소 /la-/와 /li-/는 각각 "결합 접두사" 𒁀 ''ba-''와 𒉈 ''bi2-'' 앞에 사용된다. 뒤에 오는 모음 /i/ 또는 /e/는 보상적인 장음화와 함께 ''nu-''의 앞선 /u/와 축약된다(종종 그래픽적으로 표현되지 않음). 비교 𒉌𒁺 ''i3-du'' "그는 걷고 있다"이지만, /nu-i-du/ > /nuː-du/ 𒉡𒅇𒁺 ''nu''(-''u3'')''-du'' "그는 걷지 않는다." 반면에 자음이 뒤따르면, ''nu-''의 모음은 뒤따르는 음절의 모음에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a/를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 𒈾 /na-/로 쓰여진 경우가 가끔 있기 때문이다.[245]

예: 𒉡 ஒன்றியம்पुलिस '''''nu'''''(-''u3'')''-un-gu7'' {'''nu'''-i-n-gu} "그는 그것을 먹지 않았다."

  • 𒄩 ''ḫa- / 𒃶 ḫe2-''는 동사의 유형에 따라 기원/소원 의미("그가 X를 하게 하라", "당신은 X를 할 수 있다") 또는 긍정 의미("그는 정말 이것을 한다")를 갖는다. 동사 형태가 타동사를 나타내는 경우, 기원적 의미는 ''marû'' 형태로 표현되고, 긍정적 의미는 ''ḫamṭu'' 형태로 표현된다. 반면에, 동사 형태가 자동사이거나 상태 동사이면, 사용되는 TA는 항상 ''ḫamṭu''이다.[246] 때때로 기원/소원 형태는 "만약" 또는 "때"의 조건적 의미로도 사용된다.[246] Jagersma에 따르면, 기본 형태는 𒄩 ''ḫa-''이지만, 열린 음절에서는 접두사가 뒤따르는 결합 접두사 ''i3-''와 merged되어 𒃶 ''ḫe2-''가 된다. 후기 고대 아카드 시대부터 철자법은 또한 /e/를 포함하는 음절 앞에서 접두사의 모음이 𒃶 ''ḫe2-''에 동화되는 것을 보여준다. Ur III 시대에는 변이형 𒃶 ''ḫe2-''를 일반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추가적으로 /u/ 앞에서 𒄷 ''ḫu-''로의 동화가 증명되었고, 후자의 그래픽 표현이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흔해졌다.[247] 다른 학자들은 고대 수메르 시대에 ''𒃶 ḫe2-''가 유일한 동음이음소였다고 주장했으며[248]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형태소의 주요 형태로 간주했다.[249]

예: 𒃶𒅁 ಪೊಲೀಸ𒂊 '''''ḫe2'''-eb-gu7-e'' {'''ḫa'''-ib-gu7-e} "그가 그것을 먹게 하라!"; 𒄩𒀭 ಪೊಲೀಸ '''''ḫa'''-an-gu7'' "그는 정말 그것을 먹었다."

  • 𒂵 ''ga-''는 사역 의미를 가지며 "내가/우리가 X를 하게 하자" 또는 "내가 X를 할 것이다"로 번역될 수 있다. 간혹 음성 표기는 그 모음이 뒤따르는 모음에 동화되어 𒄄 ''gi4''-와 ಖರೀ ''gu2''-를 생성한다. 그것은 오직 ''ḫamṭu'' 어간과 함께 사용되지만,[250]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체를 표현하기 위해 인칭 접두사를 사용하는데, 이는 다른 방식으로 ''marû'' 활용의 특징이다: 𒂵𒉌pendown呋''ga-ni-i'''b'''2''-''g̃ar'' "내가 '''그것'''을 거기에 두게 하자!".[251] 주어의 복수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까지 특별히 표시되지 않았으며,[251] 그동안 1인칭 복수 접미사가 추가되기 시작했다: 𒂵𒉌pendown呋ရိێنێن''ga-ni-ib2-g̃ar-'''re-en-de3-en''''' "우리가 그것을 거기에 두게 하자!".[252]

예: 𒂵𒀊 ಪೊಲೀಸ '''''ga'''-ab-gu7'' "내가 그것을 먹게 하자!"

  • 𒅇 ''u3-''는 미래 의미("후에/때/만약")를 가지며 부드러운 명령형 "X를 해 주세요"로도 사용된다. 그것은 오직 ''ḫamṭu'' 형태로만 사용된다.[250] 열린 음절에서, 접두사의 모음은 ''i3''-와 ''a-''에 동화되며, 이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앞에 위치한다. 접두사는 어간 바로 앞에 위치하면 추가적인 /l/을 얻게 되며, 因而 نتیجہ 𒅇 ول ''u3''-''ul-''.[253]

예: ಪೊಲೀಸ '''''u'''n-gu''''7'' "만약/때 그가 그것을 먹으면..."

  • 𒈾 ''na-''는 금지 / 부정 소원법[254] 의미("그것을 하지 마세요!"/"그는 그것을 해서는 안 된다!"/"그는 그것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또는 긍정 의미("그는 정말 그것을 했다")를 가지며, 동사의 TA에 따라 다르다: 그것은 거의 항상 ''marû'' TA와 함께 부정적 의미를 표현하고 ''ḫamṭu'' TA와 함께 긍정적 의미를 표현한다.[255][256] 부정적 용법에서, 그것은 기원/소원 ''ḫa-''의 부정으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257] 긍정적 용법에서, 그것은 강조된 주장을 신호한다고 말해져 왔다,[258]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또한 그것이 보고된 언어("전통적으로 구전된 지식" 또는 다른 사람의 말)를 표현한다고 주장하거나[259] 논리적으로 연결된 뒤따르는 사건/상태를 소개한다고 주장했다("X가 발생했으므로(''na-''), Y가 발생했다").[260] Jagersma 등 에 따르면, "부정 ''na-''"와 "긍정 ''na-''"는 실제로 두 개의 다른 접두사인데, "부정 ''na-''"는 단일 자음 앞에 /nan-/ 동음이음소(𒈾𒀭 ''na-an-'' 또는 순음 자음 /b/ 및 /m/ 앞에서 ''្នាំ نام-'')를 가지는 반면 "긍정 ''na-''"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261]

예: 𒈾𒀊 ಪೊಲೀಸ𒂊 '''''na'''-ab-gu7-e'' "그는 그것을 먹지 않아야 한다!"; 𒈾𒀭 ಪೊಲೀಸ '''''na'''-an-gu7'' "그는 정말 그것을 먹었다."

  • 𒁀𒊏 ''ba-ra-''는 강조된 부정 의미("그는 분명히 그것을 하지 않을 것이다")[266] 또는 금지 의미("그는 그것을 해서는 안 된다!")를 가지며,[262] 어떤 사람들은 후자의 용법을 드물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263] 그것은 종종 사역 ''ga-''[264]와 긍정 ''ḫa-''의 부정을 기능할 수 있다.[265] 동사가 행위를 부정하면(항상 현재 또는 미래) ''marû'' TA와 결합되고, 상태를 부정하면(과거, 현재 또는 미래) 또는 행위를 부정하면(항상 과거) ''ḫamṭu'' TA와 결합된다.[266] 금지 의미는 그것이 ''marû'' TA와 결합될 것을 요구하며,[267] 적어도 행위가 타동사인 경우.[262]

예: 𒁀𒊏𒀊 ಪೊಲೀಸ𒂗 '''''ba-ra'''-ab-gu7-en'' "나는 분명히 그것을 먹지 않을 것이다!"; 𒁀𒊏𒀭 ಪೊಲೀಸ '''''ba-ra'''-an-gu7'' "그는 분명히 그것을 먹지 않았다."

  • 𒉡𒍑 ''nu-uš-''는 드문 접두사로, "좌절" 의미, 즉 실현 불가능한 소원("그가 그것을 하면 좋겠어!")을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것은 ''ḫamṭu''와 ''marû'' 모두에서 나타난다.[268]

예: 𒉡𒍑pendown呋ئي '''''nu''-''uš'''''-''ib2-gu7-e "그가 그것을 먹으면 좋겠어!"

  • ''𒅆 ši-'', 이전에는 𒂠 ''še3-'',는 드문 접두사로, 불분명하고 논쟁적인 의미를 가지며, 긍정("그는 정말 그것을 한다"),[269] 대조적("그에 따라", "그의 입장에서"[270]), "이미 진술되었거나 발생한 것을 재확인하는 것",[273] 또는 "그러므로", "따라서"로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271] 그것은 ''ḫamṭu''와 ''marû'' 모두에서 나타난다.[272] 남부 고대 수메르어에서는 모음 조화 규칙에 따라 열린 모음 앞에서는 /e/, 닫힌 모음 앞에서는 /i/로 모음이 번갈아 나타났지만, 나중에는 열린 음절에서 뒤따르는 음절의 모음에 따라 /ša-/(𒊭 ''ša-'' / 𒁺 ''ša4-'') 및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처음 증명됨) 𒋗 ''šu-''로의 모음 동화를 보인다.[273]

예: 𒅆警方 '''''ši'''-in-gu7'' "그래서/그에 따라/알맞게(?), 그는 그것을 먹었다."

모달 접두사가 전통적으로 동사 연쇄의 한 슬롯으로 함께 그룹화되지만, 그들의 행동은 지위의 차이를 시사한다: 오직 ''nu-''와 ''ḫa-''만이 뒤따르는 유한한 "결합 접두사"와 함께 나타나는 형태음소론적 증거를 나타내는 반면,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과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Jagersma는 처음 두 개를 "전치사"로 분리하고 나머지를 유한 접두사와 함께 (비-전치사) "사전 형식"으로 그룹화한다.[274]

다양한 "활용 접두사"의 의미, 구조, 정체성, 심지어 그 수에 대한 의견은 항상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활용 접두사"라는 용어는 수메르어의 유한 동사가 직설법에서 거의 항상 이 접두사 중 하나를 포함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단히 나타냅니다. 이러한 접두사 ''중''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는 대부분 유럽 언어로 번역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275] 활용 접두사 선택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공간 문법의 미묘함, 정보 구조(초점[276]), 동사 발렌스, 그리고 최근에는 수동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277]' 다음 설명은 Jagersma(2010)의 분석을 주로 따르며, Zólyomi(2017)와 Sallaberger(2023)가 세부 사항에서 대체로 동의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해석의 대부분은 보편적이지 않더라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278]

  • ''𒉌 i3-'' (남부 고대 수메르어 ''변형: 𒂊 e-'' 열린 모음 앞), 때로는 '''유한 접두사'''로 설명되기도 하며,[279] 중립적인 유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입니다.[280][281]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반적으로 CV 형태의 접두사 또는 접두사 시퀀스 앞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338] 단, 고대 바빌로니아 수메르어에서는 장소 접두사 𒉌 -/ni/-, 2인칭 여격 𒊏 -/r-a/- 및 2인칭 지향 𒊑 -/r-i/- 앞에서는 예외입니다.[280]

예: 𒅔𒁺 '''''i'''n-ře6'' {Ø-'''i'''-n-ře} "그가 (그것을) 가져왔다."

  • ''𒀀 a-'', 줄기 앞에 사용되는 변형 ''𒀠 al-''을 갖습니다.[280][282] 다른 유한 접두사는 대부분의 수메르어 텍스트에서 명령형 형태를 제외하고는 드물지만,[280]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태 의미를 갖습니다.[283] 북부 고대 수메르 방언에서 흔하며, 수동태 의미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284][283] Jagersma에 따르면, 고대 수메르 시대에도 남부에서 사용되었지만 종속절에서만 사용되었으며, 여기서 ''ḫamṭu''의 상태 동사뿐만 아니라 ''marû''의 동사도 정기적으로 특징지었습니다. 신수메르 시대에는 줄기 앞 형태 ''al-''만 여전히 사용되었으며 더 이상 ''marû'' 형태와 함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285] ''i3-''와 마찬가지로 접두사 ''a-''는 CV 시퀀스 앞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단, 고대 바빌로니아 수메르어에서는 장소 접두사 ''𒉌'' -/ni/-, 2인칭 여격 𒊏 -/r-a/- 및 2인칭 지향 𒊑 -/r-i/- 앞에서는 예외입니다.[280]

예: 𒀠𒁺 '''''al'''-ře6'' "그것은 가져와졌다."

  • ''𒈬 mu-''는 일반적으로 '''내향 동사 접두사'''로 간주되며,[286] 화자 또는 화자와의 근접성을 향한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특히, 1인칭 여격 형태 𒈠 ''ma-''(''mu- + -a-'')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287] 그러나 그 발생의 많은 부분은 다양한 학자들이 지적하려는 더 미묘하고 추상적인 뉘앙스 또는 일반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종종 "화자에 대한 추상적인 근접성" 또는 "화자의 참여"에서 파생되었습니다.[288] ''mu-''는 감정적 친밀감 또는 화자의 사건 주체 또는 다른 참가자와의 일치, [289] 화제성,[290] 사건을 메시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초점을 맞추고 인물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것, [290]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대상에 대한 움직임 또는 행위, [291] "통제, 행위성, 생물성"과의 밀접한 연관성뿐만 아니라 주체에 대한 초점 또는 강조와 같은 전형적인 타동성,[292] 그 자체로서의 완결성[293] 또는 아카드 내향 동사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인칭 여격 접두사에 의해 유도될 수 있습니다.[293]

예: 𒈬𒌦𒁺 '''''mu'''-un-ře6'' "그가 그것을 여기로 가져왔다."

  • ''𒅎 im-''과 ''𒀀𒀭 am3-''은 널리 ''mu-''[294]와 형식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내향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간주됩니다.[295] Jagersma에 따르면, 이들은 ''mu-''의 이음형태, 즉 -/m/-과 앞선 접두사 ''𒉌 i3-'' 및 ''𒀀 a-''로 구성됩니다. 그의 분석에서 이러한 조합은 CV 시퀀스 앞에서 발생하며, 여기서 ''mu-''의 모음 ''-u-''는 손실되는 반면, 역사적으로 앞선 유한 접두사는 보존됩니다: */i-mu-ši-g̃en/ > 𒅎𒅆𒁺 ''im-ši-g̃en'' "그는 그것을 위해 왔다."[296] Zólyomi의 약간 다른 분석에서, Sallaberger가 지원하는 분석에서는 기저 형태에 -/b/-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이음형태 -/m/-을 이끌어냅니다: *{i-mu-b-ši-g̃en} > /i-m-b-ši-g̃en/ > /i-m-ši-g̃en/.[297] 유한 접두사의 모음은 줄기 */i-mu-g̃en/ > 𒉌𒅎𒁺 ''i3-im-g̃en'' 앞에서 보상적 장음화를 겪습니다 "그가 왔다."[298]

예: 𒅎𒁺𒈬 '''''im'''-tum3-mu'' {i-mu-b-tum-e} "그가 그것을 여기로 가져올 것이다."

  • ''mu-''의 모음은 장소 접두사 ''𒉌 -ni-'', 2인칭 여격 𒊏 /-r-a/ 및 2인칭 지향 𒊑 /-r-i/ 앞에서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음 음절의 모음에 동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가지 이음형태를 생성합니다:[299]
  • * 𒈪 ''mi-''는 시퀀스 𒈪''𒉌 mi-ni-'' 및 𒈪𒊑 ''mi-ri-''에서 발생합니다.[300]

예: 𒈪𒉌𒅔𒁺 '''''mi'''-ni-in-ře6'' "그가 그것을 여기로 가져왔다."

  • * 𒈠 ''ma-''는 시퀀스 𒈠𒊏 ''ma-ra-''에서 발생합니다.

예: 𒈠𒊏𒀭𒁺 '''''ma'''-ra-an-ře6'' "그가 (그것을) 당신에게 여기로 가져왔다."

  • ''𒉈 bi2-'' (고대 수메르어 Lagaš 철자법: 𒁉 ''bi-'' 또는 열린 모음 앞의 ''be2-''; 고대 수메르어 우르 철자법: 𒉿 ''be6-'')는 일반적으로 개인 접두사 -/b/-[301][302]와 지향 접두사 -/i/- 또는 -/e/-[301][303]의 시퀀스로 간주됩니다.

예: 𒉈𒅔𒁺 '''''bi2'''-in-ře6'' "그가 (황소, 노동자 그룹이) 그것을 가져오도록 만들었다."

  • ''𒁀 ba-''는 개인 접두사 /b/-와 여격 접두사 -/a/-의 시퀀스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304][305] 그러나 이러한 기원에도 불구하고 /ba-/가 첫 번째 대명사 접두사와 차원 접두사 앞에서 고유한 슬롯을 차지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306][307] ''b-a-''로 추정되는 기원에 따라, ''ba-''가 "3인칭 무생물 여격"의 의미: "그것을 위해", "그것에게"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이는 점이 자주 관찰되었습니다.[304][309] 그러나 이것은 그 발생의 일부만 설명합니다. ''ba-''의 다른 명백한 의미와 사용법이 여러 개 언급되었으며, 이 중 대부분은 Jagersma에 의해 '''중간 목소리 표지'''의 포괄적인 기능에 포함됩니다.[310][311]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 재귀 간접 목적어 (무언가를 "자신을 위해" 하다);[310][312]
  • # 주의 중심에서 먼 목표를 향한 분리 및 이동, 특히 동작 동사와 함께;[314][315]
  • # 상태의 변화;[316][317]
  • # 수동태,[311] 즉, 그 행위자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Jagersma에 따르면 북부 수메르어에서는 아님) 일반적으로 타동사에서 발생합니다.[316][311] 일부 연구자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환자/목표에 대한 초점 또는 강조와 상대적으로 낮은 타동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그리고 따라서 그들이 이해하는 대로 ''mu-''의 정반대).[318]

예: 𒁀𒀭𒁺 '''''ba'''-an-ře6'' "그가 그것을 그것에게 가져왔다" / "그가 그것을 그 자신을 위해 가져갔다" / "그가 그것을 가져갔다"; 𒁀𒁺 '''''ba'''-ře6'' "그것이 가져와졌다."

  • ''𒅎𒈪 im-mi-'' (남부 고대 수메르어 ''𒉌𒈪 i3-mi'' 또는, 열린 모음 앞에서는 𒂊𒈨 ''e-me-'')과 𒅎𒈠 ''im-ma-'' (남부 고대 수메르어 𒂊𒈠 ''e-ma-'')는 일반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im-mi-''는 지향 접두사 ''-i~e-''를 포함하는 것으로 널리 간주됩니다.[319] 한 가지 일반적인 분석은 ''im-mi-''와 ''im-ma-''가 각각 ''im-''과 ''bi2-'' 및 ''ba-''의 시퀀스를 나타내며, 여기서 자음 /b/가 앞선 /m/으로 동화되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의미는 ''im-''의 내향적 의미와 위에 나와 있는 ''bi2-'' 및 ''ba-''의 의미의 조합으로 간주됩니다.[320][321] 이것은 Jagersma와 Zólyomi가 옹호하는 분석이며 이 기사의 계획과 예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는 일부 저자는 ''im-ma-''를 자체 접두사로 간주하며,[322] 때때로 ''ba-''의 더 수동적인 뉘앙스와 구별되는 중간 목소리 의미를 부여받았습니다.[323]

예: 𒅎𒈪𒅔𒁺 '''''im'''-'''mi'''-in-ře6'' "그가 그것(황소, 노동자 그룹)을 여기로 가져오도록 만들었다"; 𒅎𒈠𒁺 '''''im-ma'''''-''ře6'' "그것이 여기로 가져와졌다."

  • ''𒀀𒀭𒈪 am3-mi-''와 ''𒀀𒀭𒈠 am3-ma-''는 일반적으로 ''im-mi-''와 ''im-ma-''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되지만, ''im-'' (''i-''에서) 대신 선행하는 ''am-'' (''a-''에서)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의미는 위를 참조하십시오.


드문 접두사 -/nga/-는 '또한', '동등하게'를 의미합니다(특히 이전 시대에는 초기 /n/ 없이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용 접두사"의 순서에 매우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활용 접두사 /i/-와 대명사 접두사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𒅔

참조

[1] 문서 Jagersma (2010: 1), Zólyomi (2017: 15), Foxvog (2016: 21), Edzard (2003: 1), ePSD2 entry for ''emegir''
[2] 웹사이트 Sumerian http://multitree.org[...] 2024-04-07
[3] 문서 Jagersma (2010: 6-8), Zólyomi (2017: 19), Zamudio (2017: 264)
[4] 문서 ePSD2 entry for emegir
[5]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Near Eastern Languages Wiley-Blackwell
[6] 간행물 Notes Assyriologiques 1911
[7] 문서 Jagersma (2010: 4-6)
[8] 문서 Foxvog (2016: 4)
[9] 문서 Thomsen (2001: 27-32)
[10] 문서 Zólyomi (2017: 16)
[11] 간행물 Proto-Cuneiform and Sumerians 2014
[12] 문서 Rubio (2009: 16)
[13] 문서 Hayes (2000: 389)
[14] 문서 Thomsen (2001: 16-17)
[15] 문서 Jagersma (2010: 9-10)
[16] 문서 Sallaberger (2023: 24)
[17] 문서 Sommerfeld, Walter. 2021. Old Akkadian. In: History of the Akkadian Language. Ed. M. Weeden et al. Leiden: Brill. P. 640-641.
[18] 문서 Black, J.A. and G. Zólyomi (2007). The study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variation in Sumerian. https://etcsl.orinst[...]
[19] 문서 Andrew (2007: 43)
[20] 문서 Barthelmus (2016: 1-2)
[21] 문서 Viano (2016: 24)
[22] 문서 Cf. also the Catalogue entries across time of the Diachronic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project. https://web.archive.[...]
[23] 문서 Rubio (2009: 39)
[24] 문서 George (2007: 45)
[25] 문서 Thomsen (2001: 17)
[26] 문서 Rubio (2009: 37)
[27] 문서 Rubio (2009: 40)
[28] 문서 Huber, Peter. On the Old Babylonian Understanding of Sumerian Grammar. LINCOM Studies in Asian Linguistics 87 (Munich 2018: LINCOM GmbH) https://cdli.mpiwg-b[...]
[29] 문서 Jagersma (2010: 6)
[30]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Corpus of Sumerian Kassite Texts https://oracc.museum[...]
[31] 문서 Barthelmus (2016: ''passim'')
[32] 문서 Andrew (2007: 49)
[33] 문서 Barthelmus (2016: 230-250)
[34] 문서 Veldhuis, Niek. 2008. Kurigalzu's statue inscription.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60, 25–51. P. 28-31
[35] 서적 Sumerian in the Middle Assyrian Period https://mprl-series.[...]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2018-05-18
[36] 문서 Viano 2016
[37] 간행물 Information Flows in Rural Babylonia c. 1500 BC https://discovery.uc[...] Institute of English Studies/School of Advanced Study 2019-01-01
[38] 문서 Thomsen (2001: 31)
[39] 간행물 A Fragment of a Cylinder of Adad-Apla-Iddina https://findit.libra[...] 1981-01-01
[40] 학위논문 Resurgent Babylon: A Cultural, Political and Intellectual History of the Second Dynasty of Isin https://tspace.libra[...] University of Toronto 2024-03-01
[41] 서적 Ancient Iraq Penguin Books
[42] 서적 Babylon Thames and Hudson
[43] 서적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Ancient Civilizations Penguin Books
[44] 서적 Evolution and Consciousness: The Role of Speech i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Human Nature
[45] 논문 External Connections of the Sumerian Language
[46] 서적 Proto-Sumero-Dravidian: The Common Origin of Sumerian and Dravidian Languages History and Heritage Unit, Tamil Information Centre 2017
[47] 간행물 Sumerian: A Uralic Language (I)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0-01-01
[48] 문서 Dictionnaire d'étymologie sumérienne et grammaire comparée 1975-01-01
[49] 논문 Sumerian – Ural-Altaic affinities
[50] 서적 Sumerian affiliations. A Plea for Reconsideration
[51] 논문 SUMERIAN AND TIBETO-BURMAN, Additional Studies
[52] 뉴스 Urges Turks to teach culture of their race, Kemal says historians have maligned people, Sun Language revived The News Journal 1936-03-02
[53] 서적 Sumerian Turks: Civilization's Journey from Siberia to Mesopotamia Independently Published
[54] 서적 Toward Proto-Nostratic: a new approach to the comparison of Proto-Indo-European and Proto-Afroasiatic John Benjamins
[55] 서적 The Origin of Language: Tracing the Evolution of the Mother Tongue John Wiley & Sons, Inc
[56] 논문 Sumerian: The descendant of a proto-historical creole?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Sumerian problem http://files.eric.ed[...]
[57] 논문 Proto-Cuneiform And Sumerians
[58] 논문 On the alleged 'pre-Sumerian substratum'
[59] 논문 The Case for Euphratic http://science.org.g[...] 2012-12-11
[60] 논문 Problems of absolute chronology in protohistoric Mesopotamia https://www.persee.f[...] 1980-01-01
[61] 웹사이트 Inscriptions From Tell Abu Salabikh https://isac.uchicag[...] 2024-05-31
[62] 문서 Wann ist Sumerisch als gesprochene Sprache ausgestorben?
[63] 문서 Sallaberger (2023: 28-29), Attinger (2009: 38-39); Mittermayer, C./P. Attinger (2006): Altbabylonische Zeichenliste der sumerisch-literarischen Texte. OBO Sonderband. Freiburg/Göttingen; Attinger 2019 (Lexique sumérien-français)
[64] 문서 Foxvog (2016: 15), Hayes (2000: 29-30)
[65] 서적 Before the European Challenge: The Great Civilizations of Asia an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0
[66] 서적 Mémoires https://archive.org/[...] Mission archéologique en Iran 1900
[67] 논문 The Earliest Contributions to the Decipherment of Sumerian and Akkadian http://cdli.ucla.edu[...]
[68] 문서 In Keilschrift, Transcription und Übersetzung : nebst ausführlichem Commentar und zahlreichen Excursen : eine assyriologische Studie 1879-01-01
[69] 논문 The Vocabulary of Sumerian
[70] 웹사이트 Babyloniaca, études de philologie assyro-babylonienne. https://quod.lib.umi[...]
[71] 서적 Sumerian Mythology http://www.sacred-te[...] 2005-09-23
[72] 간행물 The beginnings of Sumerology (I). From Delitzsch’s grammar to Adam Falkenstein https://www.ub.edu/i[...]
[73] 간행물 The beginnings of Sumerology (II). From Delitzsch’s grammar to Adam Falkenstein https://www.ub.edu/i[...]
[74] 웹사이트 Diakonoff 1976:112 https://oi.uchicago.[...] 2018-09-23
[75] 문서
[76] 문서
[77] 문서
[78] 문서 Gab es ein ''h'' im Sumerischen?
[79] 문서
[80] 학술지 Sound change in Sumerian: the so-called /dr/-phoneme https://www.academia[...] 2015-11-23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Eléments de linguistique sumérienne http://web.archive.o[...]
[86] 문서 Gab es ein ''h'' im Sumerischen?
[87] 문서
[88] 문서
[89] 문서
[90] 웹사이트 Zólyomi, Gábor. 2017. An introduction to the grammar of Sumerian. P. 12-13 https://core.ac.uk/d[...] 2018-09-16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ATR] "Harmony and the Vowel Inventory of Sumerian"
[98] 문서
[99] 문서 The limits of [ATR] vowel harmony in Sumerian and some remarks about the need of transparent data http://sepoa.fr/wp/w[...]
[100] 문서 Die sumerische Wurzelharmonie
[101] 문서
[102] 문서
[103] 문서
[104] 문서
[105] 문서
[106] 서적 Jagersma (2010: 63-67)
[107] 서적 Zólyomi (2017: 33)
[108] 서적 Jagersma (2010: 60, 356)
[109] 논문 Untersuchungen zur sumerischen Grammatik. Zum Akzent des Sumerischen
[110] 논문 Verschlußlaute und Betonung im Sumerischen Neukirchen-Vluyn
[111] 기타 Op.cit. 178-179
[112] 기타 Op.cit.: 193
[113] 서적 Attinger (1993: 145-146)
[114] 서적 Zólyomi (2017: 18)
[115] 서적 Jagersma (2010: 19-24)
[116] 서적 Sallaberger (2023: 38), Jagersma (2010: 154-158, 175-176, 356-358, 641-642, 720)
[117] 웹사이트 Transliteration and the diacritics [CDLI Wiki] https://cdli.ox.ac.u[...] 2021-10-26
[118] 서적 Foxvog (2016: 15)
[119] 서적 Jagersma (2010: 25-26)
[120] 논문 On the Orthography of the Sumerian Literary Texts from the Ur III Period
[121] 서적 Viano (2016: 141)
[122] 서적 Thomsen (2001: 22)
[123] 논문 UD.GAL.NUN versus ‘Normal’ Sumerian: Two Literatures or One? https://www.academia[...] Firenze
[124] 서적 Michalowski (2004)
[125] 서적 Thomsen (2001: 22-25)
[12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Grammar of Sumerian https://core.ac.uk/d[...] Budapest
[127] 웹사이트 Kausen, Ernst. 2006. Sumerische Sprache. p.9 http://homepages.fh-[...] 2006-02-06
[128] 학위논문 Voice and Topicalization in Sumerian http://www.assziriol[...]
[129] 학위논문 In the Eye of the Beholder: Quantificational, Pragmatic and Aspectual Features of the *bí- Verbal Formation in Sumerian http://cdli.ucla.edu[...]
[130] 서적 Thomsen (2001: 49)
[131] 서적 Rubio (2007: 1329)
[132] 서적 Civil (2020: 43)
[133] 서적 Michalowski 2008
[134] 서적 Jagersma (2010: 101-102)
[135] 서적 Zólyomi (2017: 15)
[136] 서적 Foxvog (2016: 22)
[137] 서적 Edzard (2003: 29)
[138] 서적 Jagersma (2010: 102-105)
[139] 서적 Hayes 2000: 49-50
[140] 서적 Foxvog (2016: 23)
[141] 서적 2010
[142] 서적 2010
[143] 서적 2009
[144] 서적 2023
[145] 서적 2010
[146] 서적 2001
[147] 서적 2009
[148] 서적 2010
[149] 서적 2020, 2009
[150] 서적 2003, 2010, 2007, 2004, 2001
[151] 서적 ensi2 gal-gal 2009
[152] 서적 2001
[153] 서적 2001, 2004
[154] 서적 2007, 2016, 2001, 2010, 2017
[155] 문서
[156] 서적 2010
[157] 서적 2010
[158] 서적 2001, 2016
[159] 서적 2009
[160] 서적 2017
[161] 서적 2017
[162] 서적 2023
[163] 서적 2010
[164] 서적 2016
[165] 서적 2010
[166] 서적 2010
[167] 서적 2010
[168] 서적 2017
[169] 서적 2010
[170] 서적 2010
[171] 서적 2010
[172] 서적 2010
[173] 서적 2010
[174] 서적 2010
[175] 서적 2003
[176] 문서 Jagersma (2010: 615-617)
[177] 서적 Copular Clauses and Focus Marking in Sumerian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4
[178] 문서 Jagersma (2010: 452-454)
[179] 문서 Jagersma (2010: 202)
[180] 문서 Jagersma (2010: 435-438)
[181] 문서 Attinger (1993: 287), Jagersma (2010: 328)
[182] 문서 Jagersma (2010: 439-443)
[183] 문서 Jagersma (2010: 394, 464)
[184] 문서 Jagersma (2010: 413)
[185] 문서 Jagersma (2010: 214-215, 218)
[186] 문서 Edzard (2003: 55-56)
[187] 문서 Thomsen (2001: 67)
[188] 문서 Jagersma (2010: 210-211)
[189] 문서 Thomsen 2001: 68
[190] 문서 Foxvog (2016: 30)
[191] 문서 Edzard (2003: 55)
[192] 문서 Thomsen (2001: 73), Zólyomi (2017: 39)
[193] 문서 Jagersma (2009: 220-225)
[194] 간행물 'Dieser Ur-Namma hier… Eine auf die Darstellung weisende Statueninschrift.’ Revue d’assyriologie et d’archéologie orientale 107: 173–186 https://www.cairn.in[...] 2013
[195] 문서 Jagersma (2010: 225-228), Edzard (2003: 57)
[196] 문서 Edzard (2003: 49)
[197] 문서 Jagersma (2003: 228)
[198] 문서 Foxvog (2016: 35)
[199] 문서 Thomsen (2001: 119)
[200] 문서 Edzard (2003: 27)
[201] 문서 Thomsen (2001: 77)
[202] 문서 Jagersma (2003: 228-229)
[203] 문서 Jagersma (2010: 59)
[204] 문서 Edzard (2003: 59), Thomsen (2001: 78)
[205] 문서 Jagersma (2010: 231-234)
[206] 문서 Foxvog (2016: 36)
[207] 문서 Jagersma (2010: 234-239)
[208] 문서 Zólyomi (2017: 92)
[209] 문서 Jagersma (2010: 268-269)
[210] 문서 Jagersma (2010: 278)
[211] 문서 Thomsen (2001: 64)
[212] 문서 Jagersma (2010: 267)
[213] 문서 Jagersma (2010: 269)
[214] 문서 Attinger (1993: 148)
[215] 문서 (2010: 269)
[216] 문서 Jagersma (2010: 279)
[217] 문서 See Thomsen (2001: 64), Edzard (2003: 47) and references therein.
[218] 문서 Jagersma (2010: 279-281)
[219] 문서 Foxvog (2016: 24), Hayes (2000: 98), partly Thomsen (2001: 64).
[220] 문서 Jagersma (2010: 270-272)
[221] 문서 Jagersma (2010: 284)
[222] 문서 Jagersma (2010: 83)
[223] 문서 Sallaberger (2023: 49), Zólyomi (2017: 68-69), Attinger (1993: 168), Jagersma considers this, too, to be a special noun case.
[224] 문서 Jagersma (2010: 282-283)
[225] 문서 Jagersma (2010: 137)
[226] 문서 Jagersma (2010: 85)
[227] 서적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2-25
[228] 문서 Jagersma (2010: 242-246)
[229] 문서 Sallaberger (2023: 48-49, 201-204)
[230] 문서 Foxvog (2016: 51)
[231] 문서 Jagersma (2010: 244)
[232] 서적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2-12
[233] 서적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2-12
[234] 문서 Jagersma (2010: 256)
[235] 문서 Jagersma (2010: 246-250)
[236] 문서 Jagersma (2010: 260-267)
[237] 문서 Foxvog (2016: 69-70)
[238] 문서 Jagersma (2010: 395)
[239] 문서 Jagersma (2010: 297-299)
[240] 문서 Zólyomi (2017: 86-87)
[241] 간행물 The Forerunners of ''Marû'' and ''Ḫamṭu'' in Old Babylonian Eisenbrauns
[242] 문서 Sallaberger (2023: 54), Foxvog (2016: 60), cf. Edzard (2003: 36). Attinger (1993: 148) describes the logic of this reasoning, although he does not entirely agree with it.
[243] 웹사이트 PPCS Morphological model http://psd.museum.up[...] 2012-10-25
[244] 문서 E.g. Attinger 1993, Rubio 2007
[245] 문서 Jagersma 2010 (552-555)
[246] 서적 Jagersma (2010: 561-564)
[247] 서적 Jagersma (2010: 558-561)
[248] 서적 Rubio (2007: 1341)
[249] 논문 Edzard (2003: 117), Rubio (2007: 1341), Foxvog (2016: 104). Thomsen (2001: 202, 206) tentatively treats /ḫa-/ as the main form, but is hesitant.
[250] 서적 Jagersma (2010: 518)
[251] 서적 Jagersma 2010: 569-570
[252] 서적 Edzard (2003: 115)
[253] 서적 Jagersma (2010: 518-521)
[254] 서적 Foxvog (2016: 107)
[255] 서적 Jagersma (2010: 565-569, 579-581)
[256] 서적 Edzard (2003: 118-119)
[257] 서적 Jagersma (2010: 564)
[258] 서적 The view of Falkenstein cited in Jagersma (2010: 579). Cf. Edzard (2003: 119) for a slightly different description. Civil (2020: 139), too, admits that it sometimes simply gives "an emphatic sense".
[259] 서적 Foxvog (2016: 108), Rubio (2007: 1342-1343). Originally posited by Miguel Civil (also in Civil 2020: 139).
[260] 서적 Sallaberger (2023: 128), somewhat similarly in Edzard (2003: 119).
[261] 서적 Jagersma (2010: 579), Zamudio (2017: 183-184, 188-189), Attinger (1993: 289), Sallaberger (2023: 128, 132). In contrast, Zólyomi (2017: 240) assumes the form ''na(n)-'' with an underlying final nasal for both meanings.
[262] 서적 Edzard (2003: 117)
[263] 서적 Rubio (2007: 1341-1342) considers the vetitive meaning rare and cites other authors who reject it. Jagersma (2010) does not mention such a meaning.
[264] 서적 Edzard (2003: 116)
[265] 서적 Rubio (2007: 1341-1342)
[266] 서적 Jagersma (2010: 574-575)
[267] 서적 Thomsen (2001: 193)
[268] 서적 Thomsen (2001: 212-213)
[269] 서적 Jagersma (2010: 578-579), citing Falkenstein.
[270] 서적 Thomsen (2001: 207-208), citing Th. Jacobsen.
[271] 서적 Foxvog (2016: 109)
[272] 서적 Thomsen (2001: 207)
[273] 서적 Edzard (2003: 120)
[274] 서적 Jagersma (2010: 287, 743)
[275] 서적 Hayes (2000: 43-44, 50)
[276] 서적 Rubio 2007 and references therein
[277] 서적 Woods 2008, Zólyomi 1993.
[278] 서적 For a recent detail overview of previous theories see Woods (2008: 22-44)
[279] 서적 Cf. Edzard (2003: 109).
[280] 서적 Jagersma (2010: 535-542)
[281] 논문
[282] 논문
[283] 논문
[284] 논문
[285] 논문
[286] 논문
[287] 논문
[288] 논문
[289] 논문
[290] 논문
[291] 논문
[292] 논문
[293] 논문
[294] 논문
[295] 논문
[296] 논문
[297] 논문
[298] 논문
[299] 논문
[300] 논문
[301] 논문
[302] 논문
[303] 논문
[304] 논문
[305] 논문
[306] 논문
[307] 논문
[308] 논문
[309] 논문
[310] 논문
[311] 논문
[312] 논문
[313] 논문
[314] 논문
[315] 논문
[316] 서적 Jagersma (2010: 487-494)
[317] 서적 Woods (2008: 303-304) and Civil (2020: 172, 176) make the related claim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completion of an event and perfectivity.
[318] 서적 Woods (2008: 303-304), Civil (2020: 172, 176)
[319] 서적 Jagersma (2010: 400), Edzard (2003: 92-93), Rubio (2007: 1348, 1350-1351), Civil (2020: 141-145, 167-179)
[320] 서적 Jagersma (2010: 383-384, 400), Zólyomi (2017)
[321] 서적 Cf. Foxvog (2016: 91-92), Edzard (2003: 92-93). Woods (2008: 306), too, believes that "the most viable candidate, on the basis of function and meaning, remains the one implied by the analysis of the ancients, namely, ''imma-'' < ''i+m+ba-''". Thomsen (2003: 162-163), following Falkenstein, recognises the connection with /ba-/ and /bi-/, but not the connection with /im-/.
[322] 서적 Rubio (2007: 1348, 1350-1351), Civil (2020: 141-145, 167-179), Michalowski (2007). Woods (2008: 304), in spite of his statement on the origin and composition of ''im-ma-'', nevertheless calls it "a primary voice marker that is functionally independent of ''ba-''". Specifically, Rubio and Michalowski consider /imma-/ a gemination of /mu-/, which is rejected by Woods on semantic grounds (2008: 306).
[323] 서적 Civil (2020: 141-145, 167-179), Woods (2008: 304-305).
[324] 서적 Jagersma (2010: 513-516)
[325] 서적 Jagersma 2010, Foxvog 2016, Zólyomi 2017.
[326] 서적 Jagersma (2010: 8, 470-473)
[327] 서적 Zólyomi (2017: 162-163)
[328] 서적 Jagersma (210: 382)
[329] 서적 Jagersma (2010: 381-382, 391-392, 447, 509-511)
[330] 서적 Zólyomi (2017: 86)
[331] 서적 Jagersma (2010: 381-389, 327-338). The pronominal prefix set used before dimensional prefixes and the one used as subject/object markers before the stem are commonly listed separately, but the latter are a subset of the former.
[332] 서적 Edzard 2003: 87
[333] 서적 Michalowski 2004
[334] 서적 Jagersma (2009: 337-339)
[335] 서적 Zólyomi (2017: 125-126, 162-163)
[336] 서적 Jagersma (2010: 401-403, 421-423), Zólyomi (2017: 163), Sallaberger (2023: 112-113), Zamudio (2017: 144), possibly Attinger (2009: 6, 31).
[337] 서적 Jagersma 2010: 403
[338] 서적 Jagersma (2010: 526-528)
[339] 서적 Jagersma (2010: 501-504)
[340] 서적 So in Thomsen (2001), Edzard (2003), Rubio (2007), Foxvog (2016), Michalowski (2020).
[341] 서적 Jagersma (2010: 381)
[342] 서적 Jagersma (2010: 399, 407), Attinger (1993: 237)
[343] 서적 Thomsen (2001: 221), Attinger (1993: 231, 237)
[344] 서적 Rubio (2007: 1351)
[345] 서적 Jagersma (2010: 386-387, 389-392, 404, 409-410)
[346] 서적 Jagersma 2010: 449
[347] 서적 Thomsen (2001: 223)
[348] 서적 Thomsen 2001: 226-227, Foxvog 2016: 79
[349] 서적 Jagersma (2010: 454-455)
[350] 서적 Jagersma (2010: 481-482)
[351] 문헌
[352] 문헌
[353] 문헌
[354] 간행물 Structural interference from Akkadian in Old Babylonian Sumerian http://www.assziriol[...] 2008-07-20
[355] 문헌
[356] 문헌
[357] 문헌
[358] 문헌
[359] 문헌
[360] 문헌
[361] 문헌
[362] 문헌
[363] 문헌
[364] 문헌
[365] 문헌
[366] 문헌
[367] 문헌
[368] 문헌
[369] 문헌
[370] 문헌
[371] 문헌
[372] 문헌
[373] 문헌
[374] 문헌
[375] 문헌
[376] 문헌
[377] 문헌
[378] 문헌
[379] 문헌
[380] 문헌
[381] 문헌
[382] 문헌
[383] 문헌
[384] 문헌
[385] 문헌
[386] 문헌
[387] 문헌
[388] 문헌
[389] 문헌
[390] 문헌
[391] 문헌
[392] 문헌
[393] 문헌
[394] 문헌
[395] 문헌
[396] 문헌
[397] 문헌
[398] 문헌
[399] 문헌
[400] 문헌
[401] 문헌
[402] 문헌
[403] 문헌
[404] 문헌
[405] 문헌
[406] 문헌
[407] 문헌
[408] 문헌
[409] 문헌
[410] 문헌
[411] 문헌
[412] 문헌
[413] 문헌
[414] 문헌
[415] 문헌
[416] 문헌
[417] 문헌
[418] 문헌
[419] 문헌
[420] 문헌
[421] 논문 Thomsen (2001: 118-120) and Jagersma (2010: 372-373), both citing Poebel and Falkenstein
[422] 논문 Jagersma (2010: 372), Sallaberger (2023: 88, 101), Attinger (1993: 186-187)
[423] 논문 Sallaberger (2023: 101)
[424] 논문 Edzard (2003: 128)
[425] 논문 Jagersma (2010: 556)
[426] 논문 Foxvog (2016: 111-112)
[427] 논문 Edzard (2003: 127-129)
[428] 논문 Jagersma (2010: 504)
[429] 논문 Foxvog (2016: 112-113)
[430] 논문 Jagersma (2010: 628-629)
[431] 논문 Jagersma (2010: 630-636)
[432] 논문 Jagersma (2010: 627)
[433] 논문 Sallaberger (2020: 60)
[434] 웹사이트 Epsd2/Sux/šum[give] http://oracc.museum.[...] 2021-02-21
[435] 논문 Jagersma (2010: 638-640)
[436] 논문 Jagersma (2010: 674-675)
[437] 논문 Jagersma (2010: 627-676)
[438] 논문 Edzard (2003: 135-136)
[439] 논문 Foxvog (2016: 139-144)
[440] 논문 Jagersma (2010: 655-659)
[441] 논문 Jagersma (2010: 656-660)
[442] 논문 Foxvog (2016: 144-145)
[443] 논문 Jagersma (2010: 685)
[444] 논문 Jagersma (2010: 677-678)
[445] 논문 Jagersma (2010: 717-718)
[446] 논문 Zólyomi (2017: 112)
[447] 논문 Jagersma (2010: 706-710)
[448] 논문 Jagersma (2010: 303-307). Zolyomi (2017) also mentions the second and third constructions. Edzard (2003: 95) notes the second one
[449] 논문 The same construction is described by Hayes (2000: 235)
[450] 논문 Cf. Edzard (2003: 95), Woods (2008: 303)
[451] 논문 Jagersma (2010: 494)
[452] 논문 Thomsen (2001: 179, 183), Foxvog (2016: 75), Rubio (2007: 1361-1362)
[453] 논문 Thomsen (2001: 179), Edzard (2003: 95)
[454] 논문 Jagersma (2010: 496)
[455] 논문 Sallaberger (2023: 107); originally proposed by Claus Wilcke
[456] 서적 Attinger 2009
[457] 서적 Keetman 2017
[458] 서적 Keetman 2017
[459] 간행물 The final person-prefixes and the passive https://www.academia[...] 2006
[460] 간행물 Voice and Topicalization in Sumerian https://www.academia[...] Budapest 1993
[461] 서적 Zólyomi, Jagersma 2017, 2010
[462] 서적 Jagersma 2010
[463] 서적 Johnson 2004
[464] 서적 Jagersma, Zólyomi 2010, 2017
[465] 서적 Zólyomi 2017
[466] 서적 Jagersma 2010
[467] 서적 Jagersma 2010
[468] 서적 Jagersma 2010
[469] 서적 Jagersma 2010
[470] 서적 Sallaberger 2023
[471] 서적 Jagersma 2010
[472] 서적 Jagersma 2010
[473] 서적 Jagersma 2010
[474] 서적 Jagersma, Zólyomi, Sallaberger 2010, 2017, 2023
[475] 서적 Jagersma 2010
[476] 서적 Jagersma 2010
[477] 서적 Jagersma 2010
[478] 서적 Zólyomi 1993
[479] 서적 Thomsen 2001
[480] 서적 Jagersma 2010
[481] 서적 Edzard 2003
[482] 서적 Jagersma 2010
[483] 서적 Edzard 2003
[484] 서적 Edzard 2003
[485] 서적 Jagersma 2010
[486] 서적 Jagersma 2010
[487] 서적 Jagersma, Zólyomi, Foxvog 2010, 2017, 2016
[488] 서적 Zólyomi 2017
[489] 서적 Thomsen 2001
[490] 서적 Jagersma, Zólyomi 2010, 2017
[491] 논문
[492] 논문
[493] 논문
[494] 논문
[495] 논문
[496] 논문
[497] 논문
[498] 논문
[499] 논문
[500] 논문
[501] 논문
[502] 논문
[503] 논문
[504] 논문
[505] 논문
[506] 논문
[507] 논문
[508] 논문
[509] 논문
[510] 논문
[511] 논문
[512] 논문
[513] 논문
[514] 논문
[515] 논문
[516] 논문
[517] 서적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518] 간행물 Phonetic Relations in Sumerian https://www.jstor.or[...] 2023-05-09
[519] 논문
[520] 간행물 The Vocabulary of Sumerian https://www.jstor.or[...]
[521] 서적 Die Musik der Sumerischen Kultur
[522] 문서 Linguistic Anthropology and the Study of Emesal as (a) Women's Language Helsinki, Neo-Assyrian Text Corpus Project
[523] 문서 Emesal studies today: a preliminary assessment De Gruyter, Boston / Berlin
[524] 논문
[525] 논문
[526] 문서 Thomsen (2001: 294)
[527] 문서 Foxvog (2016: 158), Thomsen (2001: 286-294)
[528] 문서 Thomsen (2001: 200, 204)
[529] 서적 Morphology of Asia and Africa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530] 문서 Jagersma (2010: 7, see also p. 549 on Fara).
[531] 문서 Zólyomi (2017: 19)
[532] 문서 Jagersma 2010: 7
[533] 문서 Sallaberger 2023: 37
[534] 문서 Jagersma (2010: 170)
[535] 문서 Zólyomi (2000: 9-13)
[536] 웹사이트 ETCSRI's Morphological Parsing https://oracc.museum[...] 2024-06-13
[537] 문서 Sallaberger (2023: 105)
[538] 문서 Hayes (2000: 236-237)
[539] 문서 Attinger (2009: 24)
[540] 문서 Zólyomi (2017: 21)
[541] 문서 Sallaberger (2023: 37)
[542] 문서 Barthelmus (2016: 231-233)
[543] 서적 Introduction to Sumerian grammar https://cdli.ucla.ed[...]
[544] 학위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Sumerian https://openaccess.l[...]
[545]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2018-03-12
[546] 웹사이트 Cone of Enmetena, king of Lagash https://www.louvre.f[...] 2020-02-27
[547] 문서 母語、国語。{{lang|sux-xsux|[[:wikt:𒅴|𒅴]]}}は「言語」の意。{{lang|sux-xsux|[[:wikt:𒂠|𒂠]]}}は「{{lang|en|Native}}」の意。
[548] 문서 少なくともウルク文化期(紀元前3200年)に[[ウルク古拙文字]]の使用が確認されており、[[楔形文字]]の先祖と見られている。解読が進めば筆記された最古の言語のひとつとなる。
[549] 문서 [[ウィリアム・ハーディー・マクニール|マクニール]]『疫病と世界史』
[550] 웹사이트 Sumerische Sprache http://homepages.fh-[...] Kausen, Ernst 2006
[551] 학위논문 Voice and Topicalization in Sumerian http://www.assziriol[...] 1993
[552] 학위논문 In the Eye of the Beholder: Quantificational, Pragmatic and Aspectual Features of the *bí- Verbal Formation in Sumerian http://cdli.ucla.edu[...] 2004
[553] 서적 Syntactic Change in Akkadian: The Evolution of Sentential Complementation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54] 간행물 Bilingualism, Scribal Learning, and the Death of Sumerian http://oi.uchicago.e[...] Chicago 2006
[555] 백과사전 수메르어(Sumerian language) http://www.doopedia.[...] 두산백과사전
[556] 백과사전 Sumerian language http://www.britannic[...]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557] 서적 세상의 모든 역사:고대편 1 이론과 실천
[558] 웹사이트 영어의 능격성 http://www.jella.or.[...] 청주과학대학
[559] 웹사이트 수메르어 문법 입문(영어) http://home.comcas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560] 웹사이트 수메르어 문법 입문(영어) http://home.comcast.[...]
[561] 문서 Rubio (2007), 1369
[562] 서적 언어 그 미지의 건 민음사 1997
[563] 서적 언어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07
[564] 웹사이트 Old Percian http://www.ancientsc[...]
[565] 웹인용 Documentation of Behistun Inscription Nearly Complete https://web.archive.[...] 2010-04-23
[566] 문서 in Keilschrift, Transcription und Übersetzung : nebst ausführlichem Commentar und zahlreichen Excursen : eine assyriologische Studie Leipzig : J.C. Hinrichs 1879
[567] 웹사이트 Ernest de Sarzec http://www.servinghi[...]
[568] 웹사이트 Nippur rebacked http://penn.museum/d[...]
[569] 간행물 Étude sur les documents philologiques assyriens http://gallica.bnf.f[...] 18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