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집트 아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아랍어는 이집트에서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으로, 이집트인 외에도 중동, 유럽, 북미 등지에 이주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7천 7백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이집트 아랍어는 '이집트 구어체' 또는 '암미야'라고도 불리며, 카이로 아랍어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집트 아랍어는 이집트어(콥트어)의 영향을 받아 음운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다른 아랍어 방언과 차이를 보인다. 이집트 아랍어는 공식적인 지위는 없지만, 이집트 영화와 미디어의 영향으로 아랍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며, 사회언어학적으로 다양한 수준의 변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언어 - 베자어
    베자어는 화자들이 Bidhaawyeet 또는 Tubdhaawi라고 부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의 언어로, 북쿠시어 아속의 유일한 구성원이며 로마자와 아랍 문자로 표기되고 명사와 형용사는 성, 수, 격에 따라, 동사는 강동사와 약동사로 나뉘어 활용된다.
  • 이집트의 언어 - 콥트어
    콥트어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파생되어 현재는 구어로는 거의 사멸되었지만 콥트 정교회 등에서 전례 언어로 사용되며, 그리스 문자에 고대 이집트 민중 문자에서 파생된 고유 문자를 더해 만들어진 콥트 문자를 사용하고,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 후 쇠퇴했으나 20세기 초부터 부흥 운동이 일고 있다.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는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표준 아랍어로,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나흐다 시대를 거치며 변화했으며, 구어체 아랍어와 구분되는 디글로시아 현상을 보인다.
  • 아랍어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집트 아랍어
지도 정보
언어 정보
이름이집트 아랍어
자기 이름(Masri)
로마자 표기Maṣrī
사용 국가이집트
사용자 민족이집트인
모어 화자7840만 9630명 (2021년)
제2 언어 화자2500만 명 (2022년)
총 화자1억 340만 9630명 (2021년–2022년)
언어 계통아프리카아시아어족
하위 언어 계통셈어파
서셈어군
중앙셈어군
아랍어
방언유대-이집트 아랍어
기타 지역별 변이
문자아랍 문자
ISO 639-3arz
글롯로그egyp1253
IETFar-EG
언어 명칭
문자적 의미이집트의
특징
사용 범위이집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
미디어영화 및 TV 프로그램 더빙에 사용
영향다른 아랍어 방언에 비해 큰 영향력을 가짐
코란코란을 이해하기 위한 학습 자료로 사용됨
이집트 문화이집트 문화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
외래어 영향콥트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튀르키예어
고대 그리스어
콥트어의 영향발음
문장 구조
어휘

2. 명칭

이집트 아랍어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비아랍어와 비교할 때 자신의 방언을 '''아랍어'''(عربىar)라고 부른다. 현대 표준 아랍어와 비교할 때는 '''이집트 구어체'''(العاميه المصريهarz) 또는 간단히 '''암미야'''(عاميهarz, ''구어체'')라고 하고, 다른 아랍어 방언과 비교할 때는 '''이집트 방언'''(اللهجه المصريهarz) 또는 간단히 '''마스리'''(مَصرىarz, ''이집트의'')라고 부른다.[18]

"이집트 아랍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집트 아랍어의 한 방언인 "카이로 아랍어"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이집트의 고유 명칭인 مصرarz (Maṣr)는 현지에서 카이로 자체를 가리키는 데 자주 사용된다. 파리 프랑스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카이로 방언은 이집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언이다.[19]

3. 역사

이집트인의 본래 언어는 이집트어(콥트어)였다. 이슬람 세력에 정복될 당시에는 동로마 제국의 영향으로 그리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초기 콥트어가 사용되고 있었다. 당시 동로마 제국의 공용어가 그리스어였기 때문에, 이집트인들은 콥트어와 그리스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중언어 상태에 있었다.[21]

7세기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 이후, 아랍어가 행정 언어로서 그리스어를 대신하게 되면서 이집트인들은 콥트어와 아랍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이중언어 상태를 맞이했다.[21] 이슬람 이전에도 이집트 동부 사막과 시나이 반도 일부 지역에서는 아랍어가 사용되었고,[21] 나바테아인과의 무역 등을 통해 기프트 주민들처럼 나일 계곡 일부 주민들에게도 아랍어는 알려져 있었다. 정복 이후 나일 계곡의 이집트인들은 점차 아랍어를 문어로 채택하기 시작했다.[21]

약 3~4세기에 걸쳐 일상생활에서는 콥트어를 사용하고 공식 언어로는 아랍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 상태(때로는 이전 공용어였던 그리스어까지 포함한 삼중 언어 사용)가 지속되었다. 이 시기는 남부 지역(상이집트)에서 더 오래 지속되었다.[21] 점차 아랍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모국어 대체가 일어나, 하이집트에서는 늦어도 11세기까지, 상이집트에서는 14세기까지 아랍어가 일상 언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집트 아랍어는 이 과정에서 콥트어 및 그리스어로부터 어휘를 일부 받아들였지만, 그 외 기층 언어의 영향은 크지 않다.

이집트 아랍어는 이집트 최초의 이슬람 수도였던 푸스타트(현재 카이로의 일부)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21] 오늘날에도 카이로 방언은 이집트 아랍어를 대표하는 방언으로 여겨지며, 파리 프랑스어의 경우처럼 이 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언이다.[19] 이집트의 고유 명칭인 مصر|arz는 현지에서 카이로 자체를 가리키는 데 자주 사용된다.[19]

}) || 아랍어

|-

| rowspan=2 | 모던 스탠다드 아랍어 || '''이집트 구어체''' (العاميه المصريه|arz) || 이집트 구어체

|-

| '''아미야''' (عاميه|arz) || 구어체

|-

| rowspan=2 | 다른 아랍어 방언 || '''이집트 방언''' (اللهجه المصريه|arz) || 이집트 방언

|-

| '''마스리''' (مَصرى|arz) || 이집트의

|}

초기 카이로 아랍어에 대한 중요한 언어학적 기록 중 하나는 16세기 학자 유수프 알-마그리비( يوسف المغربي|ar)가 저술한 ''Dafʿ al-ʾiṣr ʿan kalām ahl Miṣr''[22] (دفع الإصر عن كلام أهل مصر|ar, "카이로 사람들의 언어에서 짐을 덜어내다")이다. 이 문서는 당시 카이로 방언('미스르', Miṣr는 여기서 카이로를 의미)이 고전 아랍어와 비교했을 때 일부 '오류'를 포함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아랍어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중세 이집트의 언어 상황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다.

아라비아 반도에서 바누 힐랄 부족의 이동과 같은 이민 물결과 지속적인 이슬람화 및 아랍화 과정을 통해 이집트 아랍어는 점차 구어 콥트어를 대체했다. 지역 연대기에 따르면, 17세기까지도 상이집트의 농촌 여성들 사이에서는 콥트어가 구어로 계속 사용되었다고 한다. 현재 콥트어는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와 콥트 가톨릭 교회의 예배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4. 지위

이집트 아랍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지 않으며 언어로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23][24] 이집트 헌법에 따라 표준 아랍어(Modern Standard Arabic)가 اللغة العربية|알루가 알아라비야ar, 즉 "아랍어"라는 이름으로 국가의 공식 언어이다.[25] 지역 방언에 대한 관심은 180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이는 당시 지배 계급의 언어였던 튀르키예어에 대한 반발과 함께 이집트자결권을 위한 민족 운동이 형성되던 시기와 맞물린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아랍어 개혁과 현대화 문제는 이집트 지식인 사회에서 뜨거운 논쟁거리였다. 제안은 표준 아랍어의 오래된 어휘를 대체할 신어 개발부터, 표준 아랍어의 구문 및 형태론적 규칙을 단순화하고 구어체를 도입하는 것, 심지어 표준 아랍어를 버리고 마스리(Masri), 즉 이집트 아랍어를 사용하는 완전한 "이집트화"(تمصير|탐시르ar)까지 다양했다.[26]

이집트에서 언어 개혁을 지지한 인물로는 최초의 이집트 페미니스트 논문을 쓴 카심 아민, 카이로 대학교의 전 총장 아흐메드 룻피 엘사예드, 그리고 저명한 지식인 살라마 무사 등이 있다. 이들은 근대주의적이고 세속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코란과의 연관성 때문에 아랍어가 불변의 언어라는 전통적인 가정에 동의하지 않았다. 대화체가 방언으로 쓰인 최초의 현대 이집트 소설은 1913년 무함마드 후세인 하이칼의 ''자이납''(Zaynab)이다. 이집트 아랍어로 완전히 쓰인 최초의 소설인 알리 무스타파 무샤라파의 ''Kantara Who Disbelieved''는 1966년에 출판되었다.[27] 이흐산 압델 쿠두스, 유수프 이드리스와 같은 다른 주목할 만한 소설가들과 살라 자힌, 압델 라흐만 엘압누디, 아흐메드 파우드 네그므와 같은 시인들은 방언 문학을 독립적인 문학 장르로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6]

그러나 이집트 엘리트 내 특정 집단 사이에서 이집트 아랍어가 풍부한 문학적 산출을 보였던 짧은 기간은 20세기 후반 범아랍주의의 부상으로 인해 줄어들었다. 이는 파룩 1세 국왕 치하 이집트의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참여에서도 나타난다. 무함마드 나기브와 가말 압델 나세르가 이끈 1952년 이집트 혁명은 범아랍주의의 중요성을 더욱 높여 이집트 국가 정책의 중심 요소로 만들었다. 혁명 정부는 공공 영역에서 표준 아랍어의 중요성을 재강조했고, 이집트 방언에 공식적인 언어 지위를 부여하려는 노력은 무시되었다. 이집트 아랍어는 단순한 방언으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이집트 전역에서조차 사용되지 않았으며, 거의 모든 상이집트에서는 사이디 아랍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점도 작용했다. 혁명 정부가 영화, 연극, 텔레비전 프로그램, 음악에서 이집트 방언의 사용을 대대적으로 후원했지만, 공식 간행물에서는 혁명 이전처럼 표준 아랍어를 사용하는 관행이 유지되었다.

언어 전문가들은 이집트 혁명가들이 아랍어에 대해 다면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고 지적한다. 이집트의 초대 대통령인 무함마드 나기브는 공개 연설에서 표준 아랍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그의 후계자인 가말 압델 나세르는 방언을 사용하고 전통적인 이집트 단어와 표현으로 연설을 꾸미는 것으로 유명했다. 반대로,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를 포함한 국가 언론 매체에서는 표준 아랍어가 표준이었다. 이는 특히 아랍 라디오 및 텔레비전 연합과 같이 단순히 이집트만이 아닌 전체 아랍 세계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이집트의 국가 방송 회사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따라서 표준어가 아닌 방언으로 방송할 필요성이 적었다. 특히 아랍의 목소리 라디오 방송국은 지역 전역의 청중을 보유하고 있었고, 표준 아랍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세 개의 이집트 신문(알아흐람, 알마스리 알유움, 알두스투르)에 대한 제이나브 이브라힘의 연구에 따르면, 이집트 아랍어로 된 제목의 총 수는 각 신문마다 달랐다. 알아흐람에는 하나도 없었으며, 알마스리 알유움은 평균 5%의 제목이 이집트 아랍어였고, 알두스투르는 평균 11%였다.[28]

고전 아랍어와 대조되는 이집트 아랍어의 지위는 이집트에서 정치적, 종교적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집트 아랍어를 "방언" 또는 "언어"로 간주해야 하는지 여부는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이집트 아랍어는 여러 독립적인 언어 변이체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압스탄트(abstand) 기준(언어 자체의 구조적 차이)으로는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될 수 있지만, 다흐슈프라헤(Dachsprache)(지붕 언어)인 표준 아랍어(MSA) 아래 사회문화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5. 출판물

20세기 초, 이집트 아랍어로 된 성경의 많은 부분이 나일 미션 프레스(Nile Mission Press)에 의해 출판되었다. 1932년까지 신약성경 전체와 구약성경의 일부 책들이 아랍 문자로 된 이집트 아랍어로 출판되었다.[29]

초기 소설에서는 대화 부분에 이집트 아랍어와 표준 아랍어가 혼용되었다. 마무드 타히르 하키의 『덴슈와이의 처녀』(عذراء دنشواي|아드라 딘슈와이ara; 1906), 야쿠브 사루프의 『이집트의 처녀』(فتاة مصر|파타트 미스르ara; 1905-1906), 그리고 모하메드 후세인 헤이칼의 『자이납』(1914) 등이 그 예이다.

초기 이집트 아랍어 희곡들은 유럽 극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거나 영향을 받았다. 무함마드 우스만 자랄은 몰리에르, 장 라신, 카를로 골도니의 희곡과 장 드 라 퐁텐의 우화를 이집트 아랍어로 번역하고 각색했으며, 야쿠브 사누는 이집트 아랍어로 희곡을 번역하고 직접 쓰기도 했다. 많은 희곡들이 표준 아랍어로 쓰였지만, 구어체 아랍어로 공연되었다. 타우피크 알 하킴은 표준 아랍어 희곡의 구어체 공연 버전을 제공했으며, 마무드 타이무르는 그의 희곡 『거짓 위의 거짓』(كذب في كذب|키드브 피 키드브ara, 1951 또는 약 1952년)과 『위조자들』(المزيفون|알무자이이푼ara, 약 1953년)을 표준 아랍어와 구어체 아랍어 두 가지 버전으로 출판했다.

1952년 이집트 혁명 이후에는 누만 아슈르, 알프레드 파라그, 사드 에딘 와흐바(سعد الدين وهبة|사드 앗딘 와흐바ara), 라샤드 루시디(رشاد رشدي|라샤드 루슈디ara), 그리고 유수프 이드리스와 같은 작가들이 이집트 아랍어로 희곡을 썼다. 이후 극장에서 구어체 이집트 아랍어의 사용은 안정적이고 일반적이 되었다. 후대 작가로는 알리 살렘과 나기브 수루르 등이 있다.

1940년대 이후 1990년대 이전까지 이집트 아랍어로 된 소설은 드물었다. 무스타파 무샤라파(مصطفى مصطفى مشرفة|무스타파 무스타파 무샤라파ara)의 『배신한 칸타라』(قنطرة الذي كفر|칸타라 알라디 카파르ara, 1965)와 우스만 사브리(عثمان صبري|우스만 사브리ara; 1896-1986)의 『나일 강 여행』(رحلة في النيل|리흘라 피 일닐arz, 1965) 및 『비밀의 집』(بيت سري|베트 시리arz, 1981) 등이 이 시기에 해당한다.

1990년대 이후 이집트 아랍어로 출판된 산문 작품이 증가했다. 소설로는 유수프 알 카이드의 『새의 젖』(لبن العصفور|라반 일아스푸르arz; 1994), 바하 아와드(بهاء عواد|바하 아와드ara)의 『늦은 오후의 태양』(شمس الاصيل|샴스 일아실arz; 1998), 사파 압델 알 모네임의 『삶의 활력』(من حلاوة الروح|민 할라위트 일로흐arz, 1998), 사미흐 파라지(سامح فرج|사미흐 파라즈ara)의 『반호프 거리』(بانهوف اشتراسا|반후프 이시티라사arz, 1999) 등이 있다. 자서전으로는 아흐메드 파우드 네그므의 자서전, 모하메드 나세르 알리(محمد ناصر|무함마드 나세르ara)의 『초등학교 1학년』(اولى أول|울라 아윌arz), 그리고 파티아 알 아살의 『일생의 포옹』(حضن العمر|후든 일움르arz) 등이 출판되었다. 압델 라흐만 엘 아브누디의 서간체 소설 『고양이 하라지의 편지』(جوابات حراجى القط|자와바트 하라지 일굿aec, 2001)는 사이디 아랍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21세기에는 이집트 아랍어로 출판되는 잡지와 책의 수가 많이 증가했다. 잡지로는 2002년부터 발행된 『바르티』, 2005년부터 발행된 주간지 『세상을 향한 미소』(اضحك للدنيا|이드하크 릴둔야ara), 그리고 2005년부터 발행된 월간지 『이흐나』(احنا|이흐나arz) 등이 있다. 이 시기 출판된 책 중에는 여성 작가들의 작품이 많은데, 예를 들어 가다 압델 알의 『결혼하고 싶어요!』(عايزه أتجوز|아이자 아트가위즈arz, 2008)와 소하 엘페키(سهى الفقي|소하 엘페키ara)의 『그녀는 여행을 했을 것이다』(شكلها سافرت|샤클라하 사파리트arz, 2016)가 있다.

6. 지역 분포

이집트인뿐만 아니라 중동, 유럽, 북미 등지로 이주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7천 7백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아랍어의 여러 방언 중 이집트 아랍어는 다른 지역에서도 널리 통용되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20세기 초부터 이집트 영화 및 미디어가 아랍권 전역으로 확산되고 인기를 얻었으며,[20] 많은 아라비아 반도, 알제리, 리비아 등 중동 국가들이 교육 시스템을 구축할 때 이집트 출신 교사와 교수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20]

예를 들어 예멘에서는 예멘 아랍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을 "이집트인"으로 여길 정도이며, 많은 예멘인들이 이집트 구어체 아랍어 어휘를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수단레반트 지역에서도 나타난다. 최근에는 레바논 미디어의 성장에 따라 이러한 경향에 변화가 생기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레바논 예술가들은 자국 방언과 함께 이집트 구어체 아랍어로 노래를 부른다.

일반적으로 "이집트 아랍어"는 수도 카이로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어에서 파리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하듯, 카이로 방언은 이집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언이다.[19]

한편, 상이집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사이디 아랍어(Sa'īdi Arabic)는 언어학적으로 이집트 아랍어(카이로 방언)와는 다른 방언으로 분류되며,[30] 두 방언 간의 상호 이해도는 제한적이다.[30] 사이디 아랍어는 약 1,90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하는 주요 방언이다. 이집트 내에서는 고대부터 상이집트하이집트를 구분하는 전통적인 인식이 존재하며, 오늘날에도 북부 사람들을 بَحَارْوَه|바하르와arz라고 부르고, 남부 사람들을 صَعَايْدَه|사아이다arz라고 부른다. 그러나 실제 방언 분포는 이러한 단순한 이분법보다 복잡하여, 나일강 삼각주 동부와 서부 간에도 차이가 있으며, 기자에서 미냐에 이르는 지역의 방언은 중이집트 그룹으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또한, 이집트 서부의 베다위 아랍어는 언어학적으로 마그레브 아랍어에 속하며, 북서 아라비아 아랍어 역시 이집트 아랍어와는 구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언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나일 계곡에서 사용되는 모든 이집트 아랍어 방언들은 다른 아랍어 방언들과 구별되는 몇 가지 공통적인 언어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여기에는 특정 음절에서의 장모음 단축, 지시사와 의문사의 위치, 특정 시제의 의미 용법, 분사 사용 방식 등이 포함된다.

7. 주요 특징

사이디 아랍어(Sa'īdi Arabic)는 에스놀로그 및 ISO 639-3 등에서 이집트 아랍어와는 다른 방언으로 분류하며, 두 방언 간 상호 이해도는 제한적이다.[30] 사이디 아랍어는 190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하는 등 널리 쓰이지만, 이집트 전국적으로 높은 위상을 가지지는 않는다.

상이집트하이집트 간의 전통적인 구분과 그 차이는 고대부터 존재해왔다. 오늘날 이집트인들은 일반적으로 북부 사람들을 بَحَارْوَه|바하르와arz라고 부르고, 남부 사람들을 صَعَايْدَه|사아이다arz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집트 전역의 언어적 차이는 이러한 단순한 구분보다 더 복잡하며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나일강 삼각주 내에서도 동부에서 서부로 갈수록 언어가 변화하며, 기자(Giza)에서 미냐(Minya)에 이르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중이집트 그룹으로 더욱 세분된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나일강 유역의 모든 이집트 아랍어 방언들을 다른 모든 아랍어 방언들과 구별하는 공통적인 음운 및 문법적 특징들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환경에서의 장모음 축약, 지시사와 의문사의 문장 내 위치, 특정 시제 사용 방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이집트 서부의 베다위 아랍어(Western Egyptian Bedawi Arabic) 방언은 이집트의 다른 아랍어 방언들과 달리 언어학적으로 마그레브 아랍어(Maghrebi Arabic)에 속한다. 북서 아라비아 아랍어(Northwest Arabian Arabic) 또한 이집트 아랍어와는 구별된다. 이집트 아랍어는 사용 지역(sprachraum)에 따라 지역적 변이가 있으며, 특정 지역의 말씨를 특징짓는 고유한 특성들이 나타난다.

7. 1. 발음

이집트 아랍어의 발음은 현대 표준 아랍어(푸스하, فُصْحَى|푸스하ar)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 자음 변화:
  • 현대 표준 아랍어의 /d͡ʒ/ ( ج) 발음은 /g/로 소리 난다. 이는 글을 읽을 때나 이집트의 초등학교, 외국인 어학 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피라미드가 있는 기자의 지명은 표기상으로는 'jiza'이지만, 이집트 아랍어 발음에 따라 'giza'로 읽힌다. 역사적으로는 /g/ 발음이 더 오래되었으며, 일부 마그레브 아랍어 방언에도 남아 있다.
  • 현대 표준 아랍어의 /q/ (까프 ق) 발음은 많은 경우 성문 폐쇄음(ʔ)으로 변화한다. 하지만 꾸란(qur'aan)이나 '문화'(thaqafa)와 같은 일부 단어에서는 여전히 /q/로 발음되기도 한다.
  • 현대 표준 아랍어의 치 마찰음 발음이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θ/ ( ث) → /t/ 또는 드물게 /s/
  • /ð/ ( ذ) → /d/ 또는 드물게 /z/
  • /ðˤ/ ( ظ) → /dˤ/ 또는 드물게 /zˤ/
  •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이 연속해서 오면, 뒤따르는 자음의 성질(유성/무성)에 동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58]

7. 2. 문법

현대 표준 아랍어나 고전 아랍어가 동사-주어-목적어(VSO) 어순을 선호하는 것과 달리, 이집트 아랍어는 다른 아랍어 방언들과 마찬가지로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아델이 책을 읽었다"는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는 قرأَ عادل الكتابar (''Qaraʾa ʿĀdilu l-kitāb'')가 되지만,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عادل قرا الكتابarz (''ʕādil ʔara l-kitāb'')가 된다.

의문사의 위치 또한 현대 표준 아랍어나 다른 지역 방언과 차이를 보인다. 표준 아랍어나 레반트 방언 등에서는 의문사가 문장 앞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문장 끝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콥트어의 영향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예시: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현대 표준 아랍어 (푸스하): ما اسمك؟ar (''ma-smuka?'')
  • 레바논-시리아 방언: شو اسمك؟ar (''shu ismak?'')
  • 이집트 아랍어: اسمك إيه؟arz (''ismak eh?'')


부정 표현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명사문을 부정할 때는 표준 아랍어의 لاar (lā) 대신 مشarz (miš)를 사용한다. 동사문을 부정할 때는 동사를 ماarz (ma-)와 شarz (-š) 사이에 넣어 표현한다.

  • 예시: "나는 모른다."
  • 현대 표준 아랍어 (푸스하): لا أعرفar (''lā aʿrif'')
  • 이집트 아랍어: ماعرفشarz (''maʿrafš'')


현재 진행 시제를 나타내기 위해 동사의 현재형 어간 앞에 بـarz (b-/bi-)를 붙인다.

  • 예시: "나는 지금 이 책을 읽고 있다."
  • 이집트 아랍어: أنا بقرأ الكتاب دهarz (''ana ba'ra il-kitāb da'')


다른 많은 아랍어 방언들과 마찬가지로,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명사의 이중(dual) 형태는 남아있지만 동사, 형용사, 지시사 등과의 통사적 일치는 상실되었다. 즉, 문법적으로 이중 명사는 복수처럼 취급된다.

  • 예시: "이 두 시리아 교수는 대학으로 걸어가고 있다."
  • 현대 표준 아랍어: هذان الأستاذان السوريان يمشيان إلى الجامعةar (''Haḏān al-ʾustāḏān as-Sūriyyān yamšiyān ʾilā l-ǧāmiʿah'')
  • 이집트 아랍어: الأستاذين السوريين دول بيمشوا للجامعةarz (''il-ʔustazēn il-Suriyyīn dōl biyimšu lil-gamʕa'')

7. 3. 어휘

터키어, 영어, 프랑스어 등에서 유래된 외래어가 많다. 예를 들어, '바샤'(paşa|파샤tr)는 터키어에서 유래하여 지위 있는 남성이나 남편을 의미하며, '아산세르'(ascenseur|아상쇠르프랑스어)는 프랑스어에서 온 엘리베이터를 뜻하는 단어이다.

또한, 아랍어에서 유래한 명사라도 이집트 아랍어 고유의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의미하는 عربية|아라베이야ar는 표준 아랍어(푸스하)에서 사용하는 سيارة|사이야라ar와는 다른 단어이다.

8. 음운론

이집트 아랍어는 다른 아랍어 방언과 상당히 다른 음운론을 가지고 있으며, 자음모음의 독자적인 목록을 가지고 있다.

9. 형태론

(내용 없음)

9. 1. 명사

고전 아랍어(CA)나 현대 표준 아랍어(MSA)와는 달리, 현대 구어체 아랍어의 모든 변종과 마찬가지로, 이집트 아랍어 명사는 격 변화가 없으며 훈음이 결여되어 있다(목적격의 특정 고정구문, 예: شكراًar [ˈʃokɾɑn], "감사합니다"는 예외). 모든 명사는 어미 없는 형태를 취하므로, 단수와 파절 복수는 단순히 격 어미를 잃는다. MSA에서 어미 없는 형태에서도 격의 차이가 존재하는 음운적 복수와 이중 형태에서는 소유격/목적격 형태가 유지된다. 대부분 지명인 '아부(abu)'로 시작하는 구성 상태의 고정 표현은 모든 격에서 '-u'를 유지한다.[39]

명사는 「규칙적인 복수형」 또는 「불규칙적인 복수형」을 취한다. 규칙적인 복수형은 어미를 추가하여 만들어지며, 굴절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불규칙적인 복수형의 경우, 어근에 대해 다른 패턴이 사용된다.

ـِين|-īnarz 접미사가 붙는 규칙적인 복수형은 분사어 또는 CaCCaaC 패턴을 따르는 남성을 가리키는 명사에 사용된다. CaCCa 형태의 명사에는 ـيِين|-yīnarz 형태를, 니스바 형용사에는 ـيِّين|-yyīnarz 형태를 취한다.

이집트 아랍어의 다양한 명칭[18]
비교 대상명칭 (아랍어 표기)의미
비(非)아랍어아랍어 ({{lang|ar|عربى|}
가장 일반적인 불규칙 복수형 패턴
단수복수참고예시
CVCCVC(a)CaCaaCiC두 번째 모음이 단모음인 4자음 명사maktab, makaatib "책상, 사무실"; markib, maraakib "배"; maṭbax, maṭaabix "부엌"; masʔala, masaaʔil "문제"; maṭṛaḥ, maṭaaṛiḥ "장소"; masṛaḥ, masaaṛiḥ "극장"; tazkaṛa, tazaakir "티켓"; ʔiswira, ʔasaawir "팔찌"; muʃkila, maʃaakil "문제"; muulid, mawaalid "(성스러운) 생일"; maktaba, makaatib "문구류";
CVCCVVC(a)CaCaCiiC두 번째 모음이 장모음인 4자음 명사fustaan, fasatiin "드레스"; muftaaḥ, mafatiiḥ "열쇠"; fingaan, fanagiin "컵"; sikkiina, sakakiin "칼"; tamriin, tamariin "운동"; siggaada, sagagiid "카펫"; magmuuʕ, magamiiʕ "합계"; maṣruuf, maṣaṛiif "경비"; maskiin, masakiin "가난한, 불쌍한"
CaC(i)C, CiCC, CeeC (< *CayC)CuCuuC3자음 명사에 매우 일반적dars, duruus "수업"; daxl, duxuul "소득"; daʔn, duʔuun "턱"; ḍeef, ḍuyuuf "손님"; ḍirṣ, ḍuruuṣ "어금니"; fann, funuun "예술"; farʔ, furuuʔ "차이"; faṣl, fuṣuul "수업, 장"; geeb, guyuub "주머니"; geeʃ, guyuuʃ "군대"; gild, guluud "가죽"; ḥall, ḥuluul "해결책"; ḥarb, ḥuruub "전쟁"; ḥaʔʔ, ḥuʔuuʔ "권리"; malik, muluuk "왕"
CaC(a)C, CiCC, CuCC, CooC (< *CawC)ʔaCCaaC3자음 단어에 매우 일반적durg, ʔadraag "서랍"; duʃʃ, ʔadʃaaʃ "샤워"; film, ʔaflaam "영화"; miʃṭ, ʔamʃaaṭ "빗"; mitr, ʔamtaar "미터"; gism, ʔagsaam "몸"; guzʔ, ʔagzaaʔ "부분"; muxx, ʔamxaax "뇌"; nahṛ, ʔanhaaṛ "강"; door, ʔadwaaṛ "(자신의) 차례, 층(건물)"; nooʕ, ʔanwaaʕ "종류"; yoom, ʔayyaam "날"; nuṣṣ, ʔanṣaaṣ "절반"; qism, ʔaqṣaam "구분"; waʔt, ʔawʔaat "시간"; faṛaḥ, ʔafṛaaḥ "기쁨, 결혼식"; gaṛas, ʔagṛaas "종"; maṭaṛ, ʔamṭaaṛ "비"; taman, ʔatmaan "가격"; walad, ʔawlaad "소년"
CaaC, CuuCʔaCwaaC이전 항목의 변형ḥaal, ʔaḥwaal "상태"; nuur, ʔanwaaṛ "빛"
CaCCa, CooCa (< *CawCa)CiCaC, CuCaCCaCCa < 고전 아랍어 CaCCa (CaaCiCa 아님)gazma, gizam "신발"; dawla, duwal "국가"; ḥalla, ḥilal "냄비"; ʃooka, ʃuwak "포크"; taxta, tuxat "칠판"
CiCCaCiCaCḥiṣṣa, ḥiṣaṣ "할당"; ḥiṭṭa, ḥiṭaṭ "조각"; minḥa, minaḥ "장학금"; nimra, nimar "번호"; qiṣṣa, qiṣaṣ "이야기"
CuCCaCuCaCfuṛma, fuṛam "모양"; fuṛṣa, fuṛaṣ "기회"; fusḥa, fusaḥ "소풍"; fuuṭa, fuwaṭ "수건"; nukta, nukat "농담"; ʔuṭṭa, ʔuṭaṭ "고양이"; mudda, mudad "기간"
CVCVVC(a)CaCaayiC두 번째 모음이 장모음인 3자음 어근sigaaṛa, sagaayir "담배"; gariida, gaṛaayid "신문"; gimiil, gamaayil "호의"; ḥabiib, ḥabaayib "연인"; ḥariiʔa, ḥaraayiʔ "파괴적인 불"; ḥaʔiiʔa, ḥaʔaayiʔ "사실"; natiiga, nataayig "결과"; xaṛiiṭa, xaṛaayiṭ "지도"; zibuun, zabaayin "고객"
CaaCiC, CaCCaCawaaCiCCaCCa < 고전 아랍어 CaaCiCa (CaCCa 아님)ḥaamil, ḥawaamil "임신한"; haanim, hawaanim "숙녀"; gaamiʕ, gawaamiʕ "모스크"; maaniʕ, mawaaniʕ "장애물"; fakha, fawaakih "과일"; ḥadsa, ḥawaadis "사고"; fayda, fawaayid "이익"; ʃaariʕ, ʃawaariʕ "거리"; xaatim, xawaatim "반지"
CaaCiCCuCCaaC주로 직업 명사kaatib, kuttaab "작가"; saakin, sukkaan "주민"; saayiḥ, suwwaaḥ "관광객";
CaCiiCCuCaCa형용사와 직업 명사faʔiir, fuʔaṛa "가난한"; nabiih, nubaha "똑똑한"; naʃiiṭ, nuʃaṭa "활동적인"; raʔiis, ruʔasa "대통령"; safiir, sufaṛa "대사"; waziir, wuzaṛa "장관"; xabiir, xubaṛa "전문가"; ṭaalib, ṭalaba "학생"
CaCiiC/CiCiiCCuCaaC형용사gamiil, gumaal "아름다운"; naʃiiṭ, nuʃaaṭ "활동적인"; niḍiif, nuḍaaf "깨끗한"; tixiin, tuxaan "뚱뚱한"



2차 불규칙 복수형 패턴
단수복수참고예시
CVCCVVCCaCaCCa직업 명사tilmiiz, talamza "학생"; ʔustaaz, ʔasatza "선생님"; simsaaṛ, samasṛa "중개인"; duktoor, dakatra "의사"
CaCVVCCawaaCiiCqamuus, qawamiis "사전"; maʕaad, mawaʕiid "약속"; ṭabuuṛ, ṭawabiiṛ "줄"; meʃwar, maʃaweer "산책, 약속"
CaCaCCiCaaCgamal, gimaal "낙타"; gabal, gibaal "산"
CaCCʔaCCuCʃahṛ, ʔaʃhur "달"
CiCaaC, CaCiiC(a)CuCuCkitaab, kutub "책"; madiina, mudun "도시"
CaCC(a)CaCaaCimaʕna, maʕaani "의미"; makwa, makaawi "다리미"; ʔahwa, ʔahaawi "커피"; ʔaṛḍ, ʔaṛaaḍi "땅"
CaaCa, CaaCi, CaCyaCawaaCiḥaaṛa, ḥawaaṛi "골목"; naadi, nawaadi "클럽"; naḥya, nawaaḥi "측면"
CaCaC, CiCaaCʔaCCiCa/ʔiCCiCaḥizaam, ʔaḥzima "벨트"; masal, ʔamsila "예시"; sabat, ʔisbita "바구니"
CiCiyyaCaCaayahidiyya, hadaaya "선물"
CaaCCiCaaCfaaṛ, firaan "쥐"; gaaṛ, giraan "이웃"; xaal, xilaan "외삼촌"



색상 및 결함 명사의 예
의미(어형 변화 양식)녹색파란색검은색흰색청각 장애시각 장애외눈박이
남성형ʔaCCaCʔaxḍaṛʔazraʔʔiswidʔabyaḍʔaṭṛaʃʔaʕmaʔaʕwaṛ
여성형CaCCaxaḍṛazarʔasoodabeeḍaṭaṛʃaʕamyaʕooṛa
복수형CuCCxuḍrzurʔsuudbiiḍṭurʃʕumyʕuur



색상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명사 집합과 다양한 신체적 결함을 나타내는 여러 명사 (''ʔaṣlaʕ'' "대머리"; ''ʔaṭṛaʃ'' "청각 장애"; ''ʔaxṛas'' "벙어리")는 표에 표시된 것처럼 특별한 어미 변화 패턴을 따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미가 변하는 일반적인 색상은 소수에 불과하다: ''ʔaḥmaṛ'' "빨간색"; ''ʔazraʔ'' "파란색"; ''ʔaxḍaṛ'' "녹색"; ''ʔaṣfaṛ'' "노란색"; ''ʔabyaḍ'' "흰색"; ''ʔiswid'' "검은색"; ''ʔasmaṛ'' "갈색 피부, 갈색 머리"; ''ʔaʃʔaṛ'' "금발". 나머지 색상은 불변이며, 대부분 색깔 있는 물체에서 파생된 소위 ''nisba'' 형용사이다: ''bunni'' "갈색" (< ''bunn'' "커피 가루"); ''ṛamaadi'' "회색" (< ''ṛamaad'' "재"); ''banafsigi'' "자주색" (< ''banafsig'' "제비꽃"); ''burtuʔaani'' "주황색" (< ''burtuʔaan'' "오렌지"); ''zibiibi'' "적갈색" (< ''zibiib'' "건포도"); 등 또는 외래어: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beeع'' "베이지색"; 터키어 pembe에서 유래한 ''bamba'' "분홍색".

제1형 동사 명사는 규칙적이지 않다. 다음 표는 일반적인 패턴을 나열한 것이다.

제1형 동사 명사 패턴[40]
패턴템플릿예시
فَعْلarz (faʿl)CVCCضرب|ḍarbarz (ḍarb, 타격)
فَعْلَةarz (faʿla)CVCCa
فِعْلarz (fiʿl)CVCC
فِعْلَةarz (fiʿla)CVCCa
فُعْلarz (fuʿl)CVCC
فُعْلَةarz (fuʿla)CVCCa
فَعَلarz (faʿal)CVCVCعمل|ʿamalarz (ʿamal, 일)
فَعَلَةarz (faʿala)CVCVCa
فَعَالarz (faʿāl)CVCVVC
فَعَالَةarz (faʿāla)CVCVVCa
فِعَالarz (fiʿāl)CVCVVC
فِعَالَةarz (fiʿāla)CVCVVCaكتابة|kitābaarz (kitāba, 글쓰기)
فُعَالarz (fuʿāl)CVCVVC
فَعُولarz (faʿūl)CVCVVC
فُعُولarz (fuʿūl)CVCVVC
فُعُولَةarz (fuʿūla)CVCVVCa
فَعِيلarz (faʿīl)CVCVVC
فِعْلَانarz (fiʿlān)CVCCaan
فُعْلَانarz (fuʿlān)CVCCaan
فَعَلَانarz (faʿalān)CVCVCaan
مَفْعَلarz (mafʿal)maCCVC
مَفْعِلَةarz (mafʿila)maCCVCa
مَفَعَّةarz (mafaʿʿa)maCVCCa
مَفَالarz (mafāl)maCVVC
مَفِيلarz (mafīl)maCVVC
فَوْلarz (fōl)CVVC
فَعَالِيَّةarz (faʿaliyya)CVCVCiyya
فِعَىarz (fiʿa)CVCa


9. 2. 대명사

"집"biyúut
"집들"bánk
"은행"sikkíina
"칼"máṛa
"아내"ʔább
"아버지"ʔidéen
"손들"구성 기본형béet-biyúut-bánk-sikkíin(i)t-miṛáat-ʔabúu-ʔidée-"나의 ..."béet-ibiyúut-ibánk-isikkínt-imiṛáat-iʔabúu-yaʔidáy-ya"너의(남성) ..."béet-akbiyúut-akbánk-aksikkínt-akmiṛáat-akʔabúu-kʔidée-k"너의(여성) ..."béet-ikbiyúut-ikbánk-iksikkínt-ikmiṛáat-ikʔabúu-kiʔidée-ki"그의 ..."béet-ubiyúut-ubánk-usikkínt-umiṛáat-uʔabúu-(h)ʔidée-(h)"그녀의 ..."bét-habiyút-habank-áhasikkinít-hamiṛát-haʔabúu-haʔidée-ha"우리의 ..."bét-nabiyút-nabank-ínasikkinít-namiṛát-naʔabúu-naʔidée-na"너희의 ..."bét-ku(m)biyút-ku(m)bank-úku(m)sikkinít-ku(m)miṛát-ku(m)ʔabúu-ku(m)ʔidée-ku(m)"그들의 ..."bét-humbiyút-humbank-úhumsikkinít-hummiṛát-humʔabúu-humʔidée-hum



접미사 전치사
기본 단어fi
"안에"
bi
"〜에 의해, 안에, 〜와 함께"
li
"〜에게"
wayya
"〜와 함께"
ʕala
"위에"
ʕand
"〜의 소유에, 가지다"
min
"〜에서"
"... 나를"fíy-yabíy-yalíy-yawayyáa-yaʕaláy-yaʕánd-imínn-i
"... 너를(남성)"fíi-kbíi-klíi-k, l-akwayyáa-kʕalée-kʕánd-akmínn-ak
"... 너를(여성)"fíi-kibíi-kilíi-ki, li-kiwayyáa-kiʕalée-kiʕánd-ikmínn-ik
"... 그를"fíi-(h)bíi-(h)líi-(h), l-u(h)wayyáa-(h)ʕalée-(h)ʕánd-umínn-u
"... 그녀를"fíi-habíi-halíi-ha, la-hawayyáa-haʕalée-haʕand-áhaminn-áha, mín-ha
"... 우리를"fíi-nabíi-nalíi-na, li-nawayyáa-naʕalée-naʕand-ínaminn-ína
"... 너희를"fíi-ku(m)bíi-ku(m)líi-ku(m), li-ku(m)wayyáa-ku(m)ʕalée-ku(m)ʕand-úku(m)minn-úku(m), mín-ku(m)
"... 그들을"fíi-humbíi-humlíi-hum, li-humwayyáa-humʕalée-humʕand-úhumminn-úhum, mín-hum



동사의 경우, 전치사 ''li-''와 속사태 대명사를 함께 사용하여 간접 목적어를 나타낼 수도 있다.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 속사태 대명사 모두 하나의 동사에 붙을 수 있다.

9. 3. 동사

아랍어 동사는 기본적으로 세 개 또는 네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어근을 기반으로 한다. 이 자음의 조합이 동사의 기본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자음 사이에 들어가는 모음의 변화나 동사 앞뒤에 붙는 접두사접미사시제, 인칭, 와 같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며, 사역, 강조, 수동, 재귀와 같은 의미 변화를 표현하기도 한다.

동사는 과거 시제에 사용되는 어근과 미래 시제, 접속법, 명령법에 사용되는 어근, 이렇게 두 가지 주요 어근 형태를 가진다. 과거 어근에는 인칭, 수, 성을 나타내는 접미사가 붙고, 미래/접속법/명령법 어근에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함께 붙는다. 대략적으로 접두사는 인칭을, 접미사는 수와 성을 나타낸다. 아랍어에는 동사의 기본형인 부정사가 없기 때문에, 보통 3인칭 남성 단수 과거 형태를 사전 등재 형태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쓰다'라는 의미의 동사는 ''kátab''으로 표기하는데, 이는 실제로는 "그는 썼다"라는 뜻이다. 동사 활용을 설명할 때는 ''kátab/yíktib''와 같이 과거형("그는 썼다")과 현재/미래형("그는 쓴다")을 함께 표기하여 과거 어근(''katab-'')과 미래 어근(''-ktib-'', 접두사 ''yi-'' 제외)을 보여준다.

아랍어 동사는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첫 번째 기준은 '형태(Form)'로, 사역, 강조, 수동, 재귀 등의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어근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쓰다'를 의미하는 어근 K-T-B에서 형태 I은 '''kátab/yíktib''' "쓰다", 형태 II는 '''káttib/yikáttib''' "쓰게 하다", 형태 III은 '''ká:tib/yiká:tib''' "서신을 교환하다" 등으로 파생된다. 두 번째 기준은 어근을 구성하는 자음의 종류에 따른 것이다. 예를 들어, 마지막 어근 자음이 W나 Y인 '불완전 동사'(Defective verbs)는 어미 변화 시 추가적인 모음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예: R-M-Y "던지다" → '''ráma/yírmi'''). 중간 어근 자음이 W나 Y인 '속이 빈 동사'(Hollow verbs)는 어근이 마치 두 개의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것처럼 보인다(예: G-Y-B "가져오다" → '''gá:b/yigí:b''').

=== 동사 종류 ===

이집트 아랍어 동사는 어근의 자음 구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강세 동사 (Sound verbs): 어근 자음 중에 '약한' 자음(W 또는 Y)이 없는 동사이다. 과거형과 현재형의 모음 패턴(a, i, u)에 따라 여러 조합이 존재한다.
  • 불완전 동사 (Defective verbs): 어근의 마지막 자음이 W 또는 Y인 동사이다.
  • 속이 빈 동사 (Hollow verbs): 중간 어근 자음이 W 또는 Y인 동사이다. 일부 형태(예: 형태 II, III)에서는 강세 동사처럼 활용되기도 한다. (예: ʕ-Y-N에서 파생된 형태 II ''ʕáyyin/yiʕáyyin'' "임명하다", G-W-B에서 파생된 형태 III ''gá:wib/yigá:wib'' "대답하다")
  • 중복 동사 (Doubled verbs): 중간 자음과 마지막 자음이 동일한 동사이다. (예: Ḥ-B-B "사랑하다" → '''ḥább/yiḥíbb''')
  • 동화 동사 (Assimilated verbs): 어근의 첫 번째 자음이 W 또는 Y인 동사이다. 대부분은 이집트 아랍어에서 규칙 동사처럼 취급된다. (예: '''wázan/yíwzin''' "무게를 재다", '''wíṣíl/yíwṣal''' "도착하다") 일부 불규칙 동사도 있다. (예: '''wíʔif/yúʔaf''' "멈추다", '''wíʔiʕ/yúʔaʕ''' "떨어지다")
  • 이중 약화 동사 (Doubly weak verbs): 두 개 이상의 '약한' 자음을 가진 동사로, 보통 두 번째와 세 번째 자음이 모두 W나 Y이다. 실제로는 일반적인 불완전 동사처럼 활용된다. (예: K-W-Y "다림질하다" → '''káwa/yíkwi''', ʔ-W-Y "강화하다" → '''ʔáwwa/yiʔáwwi''', D-W-Y "치료하다" → '''dá:wa/yidá:wi'''}})


=== 불규칙 동사 ===

몇몇 동사는 매우 불규칙적인 활용 형태를 보인다.

  • '''ídda/yíddi''' "주다" (일반적인 불완전 동사와 유사한 어미 변화)
  • '''wíʔif/yúʔaf''' "멈추다" 와 '''wíʔiʕ/yúʔaʕ''' "떨어지다" (''áʔaf, báʔaf, ḥáʔaf'' "나는 (멈출 것이다)", ''úʔaf'' "멈춰!")
  • '''kal/yá:kul''' "먹다" 와 '''xad/yá:xud''' "가지다" (과거: ''kalt, kal, kálit, kálu'' "내가/그가/그녀가/그들이 먹었다", 규칙적 형태 ''ákal'' 등도 사용됨; 현재/미래: ''á:kul, bá:kul, ḥá:kul'' "나는 (먹을 것이다)", ''yáklu'' "그들이 먹는다"; 명령: ''kúl, kúli, kúlu'' "먹어라!"; 능동 분사: ''wá:kil'' "먹는"; 수동 분사: ''mittá:kil'' "먹힌")
  • '''gé/yí:gi''' "오다": 매우 불규칙적이며, 특히 독특한 형태는 아래 표에 굵게 표시되어 있다.


'''gé/yí:gi "오다" 활용 (불규칙)'''

시제/법과거현재 접속법명령법
인칭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1인칭gé:t 또는 gí:tgé:na 또는 gí:naá:giní:gicolspan=2 style="background:silver"|
2인칭남성gé:t 또는 gí:tgé:tu 또는 gí:tutí:gití:g-utaʕá:lataʕá:l-u
여성gé:ti 또는 gí:tití:g-itaʕá:l-i
3인칭남성 또는 (또한 ʔíga)
gá:ni (또는 -li)
"그는 나에게 왔다"
하지만 아님 *gé:-ni
gum
하지만 gú:-ni (또는 -li)
"그들이 나에게 왔다" 그리고
magú:-ʃ "그들은 오지 않았다"
yí:-giyí:-g-urowspan=2 colspan=2 style="background:silver"|
여성gat (또한 ʔígat)tí:-gi



'''gé/yí:gi "오다": 비한정 형태'''

수/성능동 분사동명사
남성 단수gayynigíyy (표준 아랍어 영향)
여성 단수gáyy-a
복수gayy-í:n



=== 동사 활용 접사 ===

다음 표는 시제, 인칭, 수, 성에 따라 동사 어간에 붙는 접두사와 접미사를 보여준다. 어간 형태는 뒤따르는 접미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지(PAv, NPv), 자음으로 시작하는지(PAc), 또는 접미사가 없는지(PA0, NP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음 시작 접미사 관련 형태는 은색, 자음 시작 접미사 관련 형태는 금색으로 표시했다.

시제/법과거미래/현재
인칭단수복수단수복수
1인칭small>PAc-t'small>PAc-na''a'-NP0'ni'-NP0
2인칭남성small>PAc-t'small>PAc-tu''ti'-NP0'ti-NPv-u'
여성small>PAc-ti''ti-NPv-i'
3인칭남성PA0small>PAv-u''yi'-NP0'yi-NPv-u'
여성small>PAv-it''ti'-NP0



=== 동사 형태별 어간 및 파생형 ===

다음 표는 주요 동사 형태(Form)와 어근 유형(강세, 불완전, 속이 빈, 중복 등)에 따른 과거/미래 어간, 능동/수동 분사, 동명사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어근 자음은 F(첫 자음), M(중간 자음), L(마지막 자음), S/T(네 자음 어근의 두/세 번째 자음)로 표기했다.


  • 기울임꼴 형태는 일반적인 모음 축약/삭제 규칙에 따른다.
  • 강세 표시는 일반적인 강세 규칙을 따른다.
  • 분사와 동명사는 종종 확장된 의미를 가지며, 새로운 어휘 항목의 주요 출처가 된다.
  • 일부 동사 종류는 규칙적인 동명사 형태가 없거나, 동사마다 다른 형태를 사용한다.
  • 형태 I 외에는 수동 분사 대신 해당 수동 동사 형태의 능동 분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 형태 II 수동 의미 → 형태 V 능동 분사 사용) 일부 형태(VIII, X)에서는 고전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별도의 수동 분사 형태가 쓰이기도 한다. (예: ''mistáʕmil'' "사용하는", ''mustáʕmal'' "사용된")
  • 모든 형태에 속이 비거나 중복 어근을 위한 별도 동사 종류가 있는 것은 아니며, 없는 경우 강세 동사처럼 활용된다. (예: 형태 I 속이 빈 동사 ''ḍá:ʕ/yiḍí:ʕ'' "잃다" → 형태 II 강세 동사 ''ḍáyyaʕ/yiḍáyyaʕ'' "낭비하다, 잃다", 둘 다 어근 Ḍ-Y-ʕ)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rowspan=5|형태

! rowspan=5|어근 유형

! colspan=6|어간

! colspan=2|분사

! rowspan=5|동명사

! rowspan=5|예시

|-

! style="background:silver"|

! colspan=3|과거

! colspan=2 rowspan=2|미래/현재

! rowspan=4|능동

! rowspan=4|수동

|-

! 접미사 인칭

! 1/2인칭

! colspan=2|3인칭

|-

! 접미사 유형

! 자음 시작

! 없음

! 모음 시작

! 없음

! 모음 시작

|-

! 접미사 이름

! style="background:gold"|PAc

! PA0

! style="background:silver"|PAv

! NP0

! style="background:silver"|NPv

|-

! rowspan=6|I

! rowspan=6|강세

| rowspan=6 style="background:silver"|

| rowspan=3 colspan=3|FaMaL

| colspan=2|FMaL

| rowspan=6|Fá:MiL

| rowspan=6|maFMú:L

| rowspan=6|(다양함, 예:
FaML, FiML)

| '''fátaḥ/yíftaḥ''' "열다"

|-

| colspan=2|FMiL

| '''kátab/yíktib''' "쓰다"

|-

| colspan=2|FMuL

| '''dáxal/yúdxul''' "들어가다"

|-

| rowspan=3 colspan=2|FiMiL

| rowspan=3|''FiML''

| colspan=2|FMaL

| '''fíhim/yífham''' "이해하다"

|-

| colspan=2|FMiL

| '''mísik/yímsik''' "잡다"

|-

| colspan=2|FMuL

| '''síkin/yúskun''' "거주하다"

|-

! rowspan=4|I

! rowspan=4|불완전

| rowspan=4 style="background:silver"|

| rowspan=2|FaMé:

| rowspan=2|FáMa

| rowspan=2|FaM

| FMa

| FM

| rowspan=4|Fá:Mi

| rowspan=4|máFMi

| rowspan=4|(다양함, 예:
FaMy, máFMa)

| '''báʔa/yíbʔa''' "남다"

|-

| FMi

| FM

| '''ráma/yírmi''' "던지다"

|-

| rowspan=2|FiMí:

| rowspan=2|FíMi

| rowspan=2|FíMy

| FMa

| FM

| '''nísi/yínsa''' "잊다"

|-

| FMi

| FM

| '''míʃi/yímʃi''' "걷다"

|-

! rowspan=4|I

! rowspan=4|속이 빈

| rowspan=4 style="background:silver"|

| FíL

| rowspan=4 colspan=2|Fá:L

| colspan=2|Fí:L

| rowspan=4|Fá:yiL

| rowspan=4|(mitFá:L, 보통
형태 VIIt)

| rowspan=4|(다양함, 예:
Fe:L, Fo:L)

| '''ga:b/yigí:b''' "가져오다"

|-

| FúL

| colspan=2|Fú:L

| '''ʃa:f/yiʃú:f''' "보다"

|-

| FíL

| rowspan=2 colspan=2|Fá:L

| '''na:m/yiná:m''' "자다"

|-

| FúL

| '''xa:f/yixá:f''' "두려워하다"

|-

! rowspan=2|I

! rowspan=2|중복

| rowspan=2 style="background:silver"|

| rowspan=2|FaMMé:

| rowspan=2 colspan=2|FáMM

| colspan=2|FíMM

| rowspan=2|Fá:MiM

| rowspan=2|maFMú:M

| rowspan=2|(다양함, 예:
FaMM, FuMM)

| '''ḥabb/yiḥíbb''' "사랑하다"

|-

| colspan=2|FúMM

| '''ḥaṭṭ/yiḥúṭṭ''' "놓다"

|-

! rowspan=2|II

! rowspan=2|강세

| rowspan=2 style="background:silver"|

| colspan=5|FaMMaL

| miFáMMaL

| rowspan=2 style="background:silver"|

| rowspan=2|taFMí:L

| '''ɣáyyaṛ/yiɣáyyaṛ''' "변경하다"

|-

| colspan=5|FaMMiL

| miFáMMiL

| '''dárris/yidárris''' "가르치다"

|-

! II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FaMMé:

| FáMMa

| FáMM

| FáMMi

| FáMM

| miFáMMi

| style="background:silver"|

| taFMíya

| '''wárra/yiwárri''' "보이다"

|-

! III

! 강세

| style="background:silver"|

| ''FaMíL''

| Fá:MiL

| ''FáML''

| Fá:MiL

| ''FáML''

| miFá:MiL

| style="background:silver"|

| miFáMLa

| '''zá:kir/yizá:kir''' "공부하다"

|-

! III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FaMé:

| Fá:Ma

| Fá:M

| Fá:Mi

| Fá:M

| miFá:Mi

| style="background:silver"|

| miFáMya

| '''ná:da/yiná:di''' "부르다"

|-

! IV

! 강세

| style="background:silver"|

| colspan=3|ʔáFMaL

| colspan=2|FMiL

| míFMiL

| style="background:silver"|

| iFMá:L

| '''ʔáḍṛab/yíḍrib''' "파업하다"

|-

! IV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ʔaFMé:

| ʔáFMa

| ʔáFM

| FMi

| FM

| míFMi

| style="background:silver"|

| (흔하지 않음)

| '''ʔáṛḍa/yíṛḍi''' "부탁하다"

|-

! IV

! 속이 빈

| style="background:silver"|

| ʔaFáL

| colspan=2|ʔaFá:L

| colspan=2|Fí:L

| miFí:L

| style="background:silver"|

| ʔiFá:La

| '''ʔafá:d/yifí:d''' "알리다"

|-

! IV

! 중복

| style="background:silver"|

| ʔaFaMMé:

| colspan=2|ʔaFáMM

| colspan=2|FíMM

| miFíMM

| style="background:silver"|

| iFMá:M

| '''ʔaṣárr/yiṣírr''' "주장하다"

|-

! rowspan=2|V

! rowspan=2|강세

| rowspan=2 style="background:silver"|

| colspan=3|itFaMMaL

| colspan=2|tFaMMaL

| mitFáMMaL

| rowspan=2 style="background:silver"|

| rowspan=2|taFáMMuL (또는 형태 II)

| '''itmáṛṛan/yitmáṛṛan''' "연습하다"

|-

| colspan=3|itFaMMiL

| colspan=2|tFaMMiL

| mitFáMMiL

| '''itkállim/yitkállim''' "말하다"

|-

! V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itFaMMé:

| itFáMMa

| itFáMM

| tFáMMa

| tFáMM

| mitFáMMi

| style="background:silver"|

| (형태 II 사용)

| '''itʔáwwa/yitʔáwwa''' "강해지다"

|-

! VI

! 강세

| style="background:silver"|

| ''itFaMíL''

| itFá:MiL

| ''itFáML''

| tFá:MiL

| ''tFáML''

| mitFá:MiL

| style="background:silver"|

| taFá:MuL (또는 형태 III)

| '''itʕá:win/yitʕá:win''' "협력하다"

|-

! VI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itFaMé:

| itFá:Ma

| itFá:M

| tFá:Ma

| tFá:M

| mitFá:Mi

| style="background:silver"|

| (형태 III 사용)

| '''iddá:wa/yiddá:wa''' "치료받다"

|-

! VIIn

! 강세

| style="background:silver"|

| colspan=3|inFáMaL

| nFíMiL

| ''nFíML''

| minFíMiL

| style="background:silver"|

| inFiMá:L (또는 형태 I)

| '''inbásaṭ/yinbísiṭ''' "즐기다"

|-

! VIIn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inFaMé:

| inFáMa

| inFáM

| nFíMi

| nFíM

| minFíMi

| style="background:silver"|

| (형태 I 사용)

| '''inḥáka/yinḥíki''' "들리다"

|-

! VIIn

! 속이 빈

| style="background:silver"|

| inFáL

| colspan=2|inFá:L

| colspan=2|nFá:L

| minFá:L

| style="background:silver"|

| inFiyá:L (또는 형태 I)

| '''inbá:ʕ/yinbá:ʕ''' "팔리다"

|-

! VIIn

! 중복

| style="background:silver"|

| inFaMMé:

| colspan=2|inFáMM

| colspan=2|nFáMM

| minFáMM

| style="background:silver"|

| inFiMá:M (또는 형태 I)

| '''inbáll/yinbáll''' "젖다"

|-

! VIIt

! 강세

| style="background:silver"|

| colspan=3|itFáMaL

| tFíMiL

| ''tFíML''

| mitFíMiL

| style="background:silver"|

| itFiMá:L (또는 형태 I)

| '''itwágad/yitwígid''' "발견되다"

|-

! VIIt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itFaMé:

| itFáMa

| itFáM

| tFíMi

| tFíM

| mitFíMi

| style="background:silver"|

| (형태 I 사용)

| '''itnása/yitnísi''' "잊혀지다"

|-

! VIIt

! 속이 빈

| style="background:silver"|

| itFáL

| colspan=2|itFá:L

| colspan=2|tFá:L

| mitFá:L

| style="background:silver"|

| itFiyá:L (또는 형태 I)

| '''itbá:ʕ/yitbá:ʕ''' "팔리다"

|-

! VIIt

! 중복

| style="background:silver"|

| itFaMMé:

| colspan=2|itFáMM

| colspan=2|tFáMM

| mitFáMM

| style="background:silver"|

| itFiMá:M (또는 형태 I)

| '''itʕádd/yitʕádd''' "세어지다"

|-

! VIII

! 강세

| style="background:silver"|

| colspan=3|iFtáMaL

| FtíMiL

| ''FtíML''

| miFtíMiL, muFtáMiL (고전화됨)

| muFtáMaL (고전화됨)

| iFtiMá:L (또는 형태 I)

| '''istálam/yistílim''' "받다"

|-

! VIII

! 불완전

| style="background:silver"|

| iFtaMé:

| iFtáMa

| iFtáM

| FtíMi

| FtíM

| miFtíMi, muFtáMi (고전화됨)

| style="background:silver"|

| (형태 I 사용)

| '''iʃtára/yiʃtíri''' "사다"

|-

! VIII

! 속이 빈

| style="background:silver"|

| iFtáL

| colspan=2|iFtá:L

|

10. 구문

고전 아랍어와는 달리, 다른 아랍어 방언들과 마찬가지로 이집트 아랍어는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선호한다. 고전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는 동사-주어-목적어(VSO)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 "아델이 책을 읽었다"는 قرأَ عادل الكتاب|Qaraʾa ʿĀdilu l-kitābara 가 되지만,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عادل قرا الكتاب|ʕādil ʔara l-kitābarz 가 된다.

다른 아랍어 방언들과 공통적으로 이중 형태의 고유한 일치가 상실되었다. 명사에서는 이중 형태가 어느 정도 사용되지만, 동사, 지시어, 형용사와의 일치에서는 이중 명사를 복수로 취급한다. 예를 들어,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 "이 두 시리아 교수는 대학으로 걸어가고 있다"는 هذان الأستاذان السوريان يمشيان إلى الجامعة|Haḏān al-ʾustāḏān as-Sūriyyān yamšiyān ʾilā l-ǧāmiʿahara 가 되지만,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الأستاذين السوريين دول بيمشو للجامعة|il-ʔustazēn il-Suriyyīn dōl biyimʃu lil-gamʕaarz 가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른 아랍어 방언들과는 달리, 이집트 아랍어는 의문문에서 의문사를 문장 끝에 배치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는 콥트어 기층의 영향으로 여겨지는 특징 중 하나이다.

11. 콥트어 기층

일부 학자들은 이집트 아랍어에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 이전 이집트인 대다수의 모국어였던 콥트어의 토착 언어층 영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음운론, 통사론, 어휘 분야에서 그 영향이 논의된다. 콥트어는 17세기 중반까지 사용되다가 이집트 아랍어로 대체된 토착 이집트어의 마지막 단계이다.

콥트어에는 치(齒)간 자음이 없었기 때문에, 고전 아랍어의 치간 자음 /θ/, /ð/, /ðˤ/가 이집트 아랍어에서 각각 치음 /t/, /d/, 강세 치음 /dˤ/로 나타나는 현상이 콥트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자음 참조) 그러나 Behnstedt는 이러한 치간 자음과 파열음의 합병 현상이 콥트어 기층이 없는 다른 아랍 지역(예: 메카, 아덴, 바레인)에서도 나타난다며, 이는 기층의 영향보다는 일반적인 언어 변화일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음운론적 수준에서 콥트어 기층의 영향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

이집트 아랍어의 통사론적 특징 중 하나로 의문사(예: '누가', '언제', '왜')가 문장 맨 앞으로 이동하지 않고 문장 내 원래 논리적 위치에 남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콥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예시:


  • راح مصر امتى؟ (rāħ maṣr ʾimta?) "그는 언제 이집트에 갔는가?" (직역: 그는 이집트에 갔다 언제?)
  • راح مصر ليه؟ (rāħ maṣr lēh?) "그는 이집트에 갔는가?" (직역: 그는 이집트에 갔다 왜?)
  • مين [اللى] راح مصر؟ (mīn [illi] rāħ maṣr?) "누가 이집트/카이로에 갔는가?" (직역 순서 동일)


모든 의문사가 문장 앞에 오는 현대 표준 아랍어의 같은 문장은 다음과 같다.

  • متى ذهب إلى مصر؟ (matā ḏahaba ʾilā miṣr?)
  • لِمَ ذهب إلى مصر؟ (lima ḏahaba ʾilā miṣr?)
  • من ذهب إلى مصر؟ (man ḏahaba ʾilā miṣr?)


Diem은 카이로 아랍어에서도 의문사의 전치(문장 앞으로 이동)가 나타나고, 고전 아랍어나 다른 아랍어 방언에서도 의문사의 후치(문장 뒤에 남음)가 발견되므로, 콥트어 기층의 영향이 있다 하더라도 이는 두 가지 가능성 중 하나를 더 선호하는 경향일 뿐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베른슈테트(Behnstedt)는 이집트 아랍어에 약 250~300개의 콥트어 차용어가 존재한다고 추정했다.

12. 표기법 및 로마자 표기

이집트 아랍어에는 고정된 표기법이 없다. 아랍 문자로 쓰일 경우 표기는 표준 아랍어에 가까운 철자와 이집트 아랍어의 음운론에 가까운 철자 사이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변동성은 이집트 구어 아랍어를 쓰도록 설계되지 않은 아랍 문자의 한계에서 비롯된다. 그중 하나는 표준 아랍어에는 없는 이집트 아랍어의 일부 소리에 대한 기호가 없다는 점이다.[36] 두 가지 표기 방식 모두 병행하여 사용되며, 종종 한 저자 또는 한 작품 내에서도 혼용된다.[37][38]

두 가지 표기 방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모음 축약 또는 모음 삭제의 결과로 원래 긴 모음이 짧아지거나 삭제되는 경우: 예를 들어 عرف|이리프arz (`ʿirif`, '알다')의 여성형 현재분사는 /ˈʕæɾfæ/로 발음되며 두 가지 방식으로 쓸 수 있다.
  • 원래 긴 모음 "ا"를 짧게 발음한 형태를 반영한 어원적 철자: عارفة
  • "ا"가 없는 음운적 철자: عرفة
  • 표준 아랍어에서 "ث", "ذ", "ظ"로 쓰이는 단어들은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t/, /z/, /dˤ/로 발음된다. 이 경우 어원적인 표준 아랍어 철자를 유지하거나, 발음에 맞춰 "ت", "د", "ض"로 음운적으로 다시 쓸 수 있다.


아래 표는 1880년 Spitta의 표기법을 시작으로 여러 학자들이 사용한 로마자 표기법의 예시를 보여준다. 학자들이 고유한 글자를 사용한 경우, 가능한 가장 가까운 근사치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학자들 간의 음소 기호 사용과 이집트 아랍어의 아랍 문자 표기법(불확실한 경우 Hinds & Badawi (1986) 참조[39]) 사이의 대응 관계는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렵다. 이는 여러 학자들이 연구 대상 언어에 대해 서로 다른 분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아래 표 역시 최대한 근사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랍 문자로마자 표기IPA[41]
Spitta[42]Mitchell[37]Harrell[43]Abdel-MassihHinds/
Badawi[39]
Woidich[40]Franco[44]
자음
بbbbbbbb/b/
ب/پ[45]pp/p/[45]
تttttttt/t/
ث[46]
(/t/ 또는 /s/로 발음)
t/s[47]t/θt/s/t/, /s/
جggggggg/ɡ/
ج/چ[45]jžžjžj/ʒ/[45]
حħɦ7/h (h[48])/ħ/
خxxxxxkh/7'/5 (kh[48])/x/
دddddddd/d/
ذ[46]
(/d/ 또는 /z/로 발음)
d/zd/z/d/, /z/
رrrrr/ṛrrr/r/~/ɾ/
زzzzzzzz/z/
سsssssss/s/
شśʃʃšʃšsh/ch/4/ʃ/
صʂʂs/sˤ/
ضɖɖ/ẓd/dˤ/
طʈʈt/tˤ/
ظ[46]
(/dˤ/ 또는 /zˤ/로 발음)
ʐd/ᶎz/dˤ/, /zˤ/
عʿƹعʕƹʿ3 (쓰지 않거나 a/e[48])/ʕ/
غġɣǥɣɣġgh/3' (gh[48])/ɣ/
فfffffff/f/
ف/ڤ[45]vvvv/v/[45]
قq (ʾ)[49]qʔʔɢ2/k/ʔ/
qqqqqqk/q/
كkkkkkkk/k/
لllll/ḷlll/l/
مmmmmmmm/m/
نnnnnnnn/n/
هhhhhhhh/h/
وwwwwwww/ou/w/
يjyyyyyy/i/j/
ءʾʕʔʔʕʾ2 (쓰지 않거나 a/e[50])/ʔ/
장모음
اɑ̂/(ɑ̊)[51]aaa:aaaaāa/a(ː)/: /æ(ː)/
ɑ̈aaa:aaɑɑāa/a(ː)/: /ɑ(ː)/
وûuuu:uuuuūou/oo/o/u(ː)/
ooo:ooooōo/o(ː)/
يyiii:iiiiīi/ee/i(ː)/
eee:eeeeēe/ei/ai/e(ː)/
단모음
ـَ/اɑ/ɑ̈/(e/ɑ̊)[52]aaaa/ɑaa/a/
/æ/ and /ɑ/
ـُ/وo/uo/uu/(o)o/uo/uo/uo/ou/u/
/o/~/ʊ/~/u/
ـِ/يi/(e/ü)[53]i/ei/(e)e/ie/ie/ie/i/i/
/e/~/ɪ/ and /i/
삽입 모음(삽입 모음)[54]e̊/å/i̊/ů[57]ĭ/ă/ŭa/e/i/o/u[58]ⁱ/ᵃ/...[55]i/i̊/u/ů[56]쓰지 않거나 e[59]/e/~/ɪ/


13. 사회언어학적 특징

siyadtak/siyadtik[seˈjættæk]표준 아랍어 سِيَادَتُكَ|siyādatukaar, "당신의 영주님"화자보다 훨씬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 특히 직장에서. 대통령을 포함한 고위 정부 관계자에게도 적용된다. 실질적으로 "각하" 또는 "존경하는"과 동등하다.سَعَادْتَكarz
saʿādtak[sæˈʕættæk]표준 아랍어 سَعَادَتُكَ|saʿādatukaar, "당신의 행복"정부 관계자 및 사회적 지위가 훨씬 높은 다른 사람들. 정부 맥락에서는 "각하" 또는 판사를 지칭할 때 "존경하는"과 동등하다.مَعَالِيكarz
maʿālīk[mæʕæˈliːk]표준 아랍어 مَعَالِيكَ|maʿālīkaar, "당신의 폐하"(구식) 정부 장관. 실질적으로 "각하" 또는 "존경하는"과 동등하다.حَجّarz/حَجَّةarz
ḥagg/ḥagga[ˈħæɡ(ɡ)]/[ˈħæɡɡæ]표준 아랍어 {{lang, "순례자"전통적으로 하지를 한 무슬림 또는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한 기독교인. 현재는 모든 노인에 대한 일반적인 존경의 표현으로도 사용된다.بَاشَاarz
bāsha[ˈbæːʃæ]오스만 튀르크어 파샤사회적 지위가 동등하거나 낮은 남성에 대한 비공식적인 호칭. 비공식적인 영어에서 "남자" 또는 "친구"와 거의 동등하다.بيه/بكarz
bēh[beː]오스만 튀르크어 베이사회적 지위가 동등하거나 낮은 남성에 대한 비공식적인 호칭. 본질적으로 بَاشَا|bāshaarz와 동등하지만 덜 사용된다.أَفَنْدِيarz
afandi[æˈfændi]오스만 튀르크어 efendiبيه|bēharz 및 بَاشَا|bāshaarz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귀족 남성에 대한 대부분 구식 호칭; 같은 가족의 사회적 동등자나 어린 남성 구성원에게 농담처럼 더 자주 사용된다.هَانِمarz
hānim[ˈhæːnem]오스만 튀르크어 hanım/khanum, "숙녀"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여성 또는 화자가 그렇게 여기는 여성에 대한 호칭. 다소 구식이다.سِتّarz
sitt[ˈset(t)]표준 아랍어 sayyida(t) "여주인""여성"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단어. 호칭으로 사용될 때 약간의 존경을 전달한다.مَدَامarz
madām[mæˈdæːm]프랑스어 madame나이가 많은 여성이나 기혼 여성에 대한 존경스러운 호칭.آنِسَةarz
ānisa[ʔæˈnesæ]표준 아랍어 آنِسَة|ānisahar, "젊은 여성"미혼 여성에 대한 준공식적인 호칭.أُسْتَاذarz
ustāz[ʔosˈtæːz]표준 아랍어 أُسْتَاذ|ustādhar, "교수", "신사"실제 대학 교수교사 외에도 특정 분야의 전문가에게 사용된다. بيه|bēharz 또는 بَاشَا|bāshaarz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비공식적인 언급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أُوسْطَى/أُسْطَىarz
usṭa[ˈostˤɑ]/[ˈɑstˤɑ]튀르키예어 ustatr, "숙련공"운전 및 숙련된 노동자. 이 용어는 같은 단어를 "대통령"으로 사용하기 전에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으로 마을의 우두머리를 가리켰다.رَئِيسarz
raʾīs[ˈɾɑjjes]표준 아랍어 رَئِيس|raʿīsar, "우두머리"숙련된 노동자. 이 용어는 "대통령"을 의미하는 같은 단어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으로 마을의 우두머리를 가리켰다.بَاش مُهَنْدِسarz
bashmuhandis[bæʃmoˈhændes]오스만 튀르키예어 baş mühendis, "수석 기술자"특정 유형의 고도로 숙련된 노동자(예: 전기 기술자 및 배관공).مِعَلِّمarz
miʿallim[meˈʕællem]표준 아랍어 مُعَلِّم|muʿallimar, "교사"대부분의 노동 계급 남성, 특히 반숙련 및 비숙련 노동자.عَمّarz
ʿamm[ˈʕæm(m)]표준 아랍어 عَمّ|ʿammar, "아버지의 형제"화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나이 많은 남성 하인이나 사회적 하급자. بَاشَا|bashaarz와 마찬가지로 친숙한 호칭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원래 의미로의 사용도 현재 유효하며, 3인칭 언급에 사용된다. 아버지의 형제에 대한 2인칭 호칭은 عَمّو|ʿammoarz [ˈʕæmmo]이다; 프랑스어 oncle에서 유래한 أُنْكِل|onkelarz [ˈʔonkel]도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혈연으로 관련되지 않은 삼촌(숙모의 배우자, 처남, "명예" 삼촌 포함)에게 사용된다.دَادَةarz
dāda[ˈdæːdæ]튀르키예어 dadı, "유모"화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나이 많은 여성 하인이나 사회적 하급자.أَبِيهarz
abēh[ʔæˈbeː]오스만 튀르키예어 abi/ağabey, "형"화자보다 약 10~15세 많은 남성 친척. 상류층이고 다소 구식이다.أَبْلَةarz
abla[ˈʔɑblɑ]오스만 튀르키예어 abla, "누나"화자보다 약 10~15세 많은 여성 친척.



다른 경칭도 존재하며, 경칭은 2인칭과 3인칭에서 사용된다.

이집트 아랍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지 않으며 언어로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23][24] 헌법에 따라 표준 아랍어(Modern Standard Arabic)가 국가의 공식 언어이다.[25] 20세기 후반 범아랍주의의 부상과 1952년 이집트 혁명 이후, 표준 아랍어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이집트 방언에 공식 지위를 부여하려는 노력은 무시되었다. 그러나 혁명 정부는 영화, 연극, 텔레비전 프로그램, 음악 등 대중 매체에서는 이집트 방언 사용을 후원하기도 했다.

고전 아랍어와 대조되는 이집트 아랍어의 지위는 이집트 내에서 정치적, 종교적 함의를 가질 수 있어, 이를 '방언'으로 보아야 할지 '언어'로 보아야 할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이집트 아랍어는 독립적인 언어 변이체로 간주될 수 있으며, abstandde 기준으로는 언어의 지위를 가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Dachsprachede인 표준 아랍어(MSA) 아래 통합되어 있다.

상이집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사이디 아랍어(Sa'īdi Arabic)는 에스놀로그, ISO 639-3 등에서 이집트 아랍어와는 다른 방언으로 분류되며, 두 방언 간 상호 이해도는 제한적이다.[30] 약 190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하는 주요 방언이다. 또한 서부 이집트 베다위 아랍어(Western Egyptian Bedawi Arabic)는 언어학적으로 마그레브 아랍어에 속하며 이집트의 다른 아랍어 방언들과 구별된다.

이집트 신문 3곳(알아흐람, 알마스리 알유움, 알두스투르)의 제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이집트 아랍어 사용 비율은 신문마다 차이가 있었다. 알아흐람은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알마스리 알유움은 평균 5%, 알두스투르는 평균 11%의 제목이 이집트 아랍어였다.[28]

14. 연구

이집트 아랍어는 과거와 현재 모두 학자와 일반인들에게 여러 이유로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개인적인 관심, 고대 이집트에 대한 서구의 관심(이집트 열풍), 사업, 뉴스 보도, 그리고 외교 및 정치적 상호 작용 등이 주요 연구 동기이다. 이집트 구어 아랍어(ECA)는 현재 세계 여러 고등 교육 기관과 대학교의 대학원학부 과정에서 연구 분야로 자리 잡았다. 학문적 교육 외에도 아랍어 학교와 대학교 프로그램에서는 이집트 아랍어 강좌를 교실 수업 방식으로 제공하며, 일부는 온라인 학습을 위한 수업도 제공한다.

15. 샘플 텍스트

'''세계인권선언 제1조'''

'''이집트 아랍어''' (아랍 문자; 표기는 표준화되지 않음):

: الاعلان العالمى لحقوق الانسان, البند الاولانى

: البنى ادمين كلهم مولودين حرّين ومتساويين فى الكرامة والحقوق. اتوهبلهم العقل والضمير، والمفروض يعاملو بعضيهم بروح الاخوية.

'''프랑코/아랍어 채팅 알파벳''' (엄격한 표준이 없음):

: el e3lan el 3alami le 72u2 el ensan, el band el awalani

: el bani2admin kollohom mawlodin 7orrin we metsawyin fel karama wel 7o2u2. Etwahablohom el 3a2l wel damir, wel mafrud ye3amlo ba3dihom be ro7 el akhaweya.

'''IPA 음운적 표기''' (문어 아랍어와 비교를 위해):

: /il ʔiʕˈlaːn il ʕaːˈlami li ħˈʔuːʔ il ʔinˈsaːn | il ˈband il ʔawwaˈlaːni/

: /il bani ʔadˈmiːn kulˈluhum mawluˈdiːn ħurˈriːn wi mitsawˈjiːn fil kaˈrˤaːma wil ħuˈʔuːʔ || ʔetwahabˈlohom ilˈʕaʔle we ddˤaˈmiːr wel mafˈruːdˤ jeʕamlo baʕˈdˤiːhom biˈroːħ el ʔaxaˈwejja/

'''IPA 음운적 표기''' (이집트어 음운론의 일반적인 예시를 위해):

: /el ʔeʕˈlaːn el ʕaːˈlami le ħˈʔuːʔ el ʔenˈsaːn | el ˈband el ʔawwaˈlaːni/

: /el bani ʔadˈmiːn kolˈlohom mawloˈdiːn ħorˈriːn we metsawˈjiːn fil kaˈrˤaːma wil ħoˈʔuːʔ || ʔetwahabˈlohom elˈʕaʔle we ddˤaˈmiːr wel mafˈruːdˤ jeˈʕamlu baʕˈdˤiːhom beˈroːħ el ʔaxaˈwejja/

'''IPA 음성적 표기''' (빠른 말씨, 장모음은 반장모음 또는 길이가 구별되지 않음):

: [el ʔeʕˈlæːn el ʕæˈlæmi le ħˈʔuːʔ el ʔenˈsæːn | el ˈbænd el ʔæwwæˈlæːni]

: [el bæniʔædˈmiːn kolˈlohom mæwlʊˈdiːn ħʊrˈriːn we metsæwˈjiːn fel kɑˈɾɑːmɑ wel ħʊˈʔuːʔ || ʔetwæhæbˈlohom elˈʕæʔle we ddɑˈmiːɾ wel mɑfˈɾuːd jeˈʕæmlu bɑʕˈdiːhom beˈɾoːħ el ʔæxæˈwejjæ]

'''한국어''':

: 세계인권선언 제1조

: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

16. 샘플 단어 및 문장

중복 동사는 중간과 마지막 어근 자음이 동일한 동사를 말한다. 예를 들어 Ḥ-B-B에서 유래한 "사랑하다"를 뜻하는 '''ḥább/yiḥíbb'''가 있다.


  • إزيكarz (남성에게 "어떻게 지내세요?")
  • إزيكarz (여성에게 "어떻게 지내세요?")
  • إزيكوarz (복수에게 "어떻게 지내세요?")
  • ايه دهarz ("이게 다 뭐야?", "무슨 소용이야?", "이게 뭐야?" – 짜증 섞인 표현)
  • * 예: انت بتقوللهم عليا كده ليه, ايه ده؟arz ("왜 그들에게 나에 대해 그런 말을 해, 이게 다 뭐야?")
  • خلاصarz: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지만, 주된 의미는 "그만", 종종 부사적으로 사용됨
  • * "그만해!" 예: زهقت, خلاصarz ("짜증나, 그만해!")
  • * "끝났어!", "마침내, 결국" 예: مامتى كانت عيانه و ماتت, خلاصarz ("어머니가 아프셨다가 결국 돌아가셨어.")
  • * "그래, 그럼!" 예: خلاص, أشوفك بكراarz ("그럼 내일 봐")
  • خالصarz ("전혀")
  • * ماعندناش حاجه نقولها خالصarz ("전혀 할 말이 없어")
  • كفايةarz ("그만해!", "충분해!")
  • يعنىarz ("즉", "다시 말해", "알다시피")
  • * انت عامل إيه؟arz ("잘 지내세요? [남성]")에 대한 대답으로: مش أد كدهarz "그저 그래요" 또는 نص نصarz (문자 그대로 "반반") = مش تمامarz "완벽하진 않아요"
  • * يعنى ايه؟arz ("그게 무슨 뜻이야?")
  • * امتى هتخلص يعنى؟arz ("언제 끝나요?")
  • بقىarz (강조하는 어미 → 명령문에서는 "그냥", 의문문에서는 "그래서…?")
  • * هاته بقىarz ("그냥 내게 줘!")
  • * عمل ايه بقى؟arz ("그래서, 그는 뭘 했어?")

참조

[1] unknown
[2] 서적 https://books.google[...] مكتبة لبنان ناشرون 1999
[3] 웹사이트 https://www.aljazeer[...]
[4] 웹사이트 https://akhbarelyom.[...] 2016-11-15
[5] 웹사이트 Different Arabic Dialects Spoken Around the Arab World https://etoninstitut[...] 2018-04-15
[6] 웹사이트 Disney returns to using Egyptian dialect in dubbing movies https://enterprise.p[...]
[7] 웹사이트 Languages Spoken In Egypt https://www.worldatl[...] 2017-04-25
[8] 서적 Egyptian Colloquial Arabic https://books.google[...] Czech Institute of Egyptology 2005-04-26
[9] 웹사이트 TBS 15 The State of the Musalsal: Arab Television Drama and Comedy and the Politics of the Satellite Era by Marlin Dick http://tbsjournal.ar[...]
[10] 서적 Colloquial Arabic of Egypt: The Complete Course for Beginners 2014
[11] 서적 The Europeans, Second Edition: A Geography of People, Culture, and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11-06-15
[12] 서적 The Rough Guide to Egypt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UK 2007-08-02
[13]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Egypt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4] 웹사이트 https://tafl.live/ tafl.live
[15] 웹사이트 https://raseef22.net[...] 2017-02-18
[16] 웹사이트 https://www.masrawy.[...]
[17] 웹사이트 https://raseef22.com[...] 2017-05-31
[18] 웹사이트 Islam online on Mahmoud Timor http://www.islamonli[...]
[19] 논문 World Natural Heritage https://opil.oup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8
[20] 서적 Egyptian Arabic Phrasebook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01
[21]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22] 웹사이트 Edition of Daf' al-Isr دفع الإصر عن كلام أهل مصر https://www.academia[...] 2009-01
[23] 웹사이트 ISO 639-2 Language Code List -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4] 웹사이트 Code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Names of Languages. From ISO 639, revised 1989. https://xml.coverpag[...]
[25] 웹사이트 https://manshurat.or[...] 2017-04-03
[26] 서적 Egypt, Islam, and the Arabs Oxfo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Book Review: First novel written in colloquial Arabic republished – Review – Books – Ahram Online http://english.ahram[...]
[28] 논문 Arabic and the Media BRILL 2011-01-01
[29] 웹사이트 The British Civil Engineer who made Jesus speak like an Egyptian: William Willcocks and al-Khabar al-Ṭayyib bitāʿ Yasūʿ al-Masīḥ – Biblia Arabica https://biblia-arabi[...]
[30]
[36] 웹사이트 Tunisian Arabic Grammar https://lingualism.c[...] 2023-06-29
[37] 질의응답
[38] 논문 Rural Dialect of Egyptian Arabic: An Overview http://journals.open[...] 2021-04-20
[39] 서적 2005
[40] 서적 2000
[41] 위키 Egyptian Arabic phonology
[42] 서적 1880
[43] 서적 1957
[44] 서적 2010
[45] 웹사이트 1978
[46] 위키 transliteration
[47] 서적
[48] 일반
[49] 서적 1880
[50] 일반
[51] 서적 1880
[52] 일반
[53] 서적 1880
[54] 서적 1986
[55] 서적 1986
[56] 서적 2006
[57] 웹사이트 Egyptian Arabic http://www.lmp.ucla.[...]
[58] 웹사이트 アラビア語 発音モジュール 理論編 > 1-8-2章 p.1 http://www.coelang.t[...] 2021-01-11
[59] 웹사이트 アラビア語 発音モジュール 理論編 > 2-4章 p.1 http://www.coelang.t[...] 2021-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