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란스바이칼 전선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은 1941년 9월 15일 자바이칼 군관구를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독소전 중에는 후방 지역으로 병력과 물자를 지원했으며, 1945년 8월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 참여하여 관동군을 격파하고 만주 지역을 점령했다. 1945년 9월 10일 해산되어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로 개편되었다. 주요 지휘관으로는 미하일 코발료프,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전선군 - 남서부 전선군 (소련)
남서부 전선군은 독소 전쟁 초기에 독일 남부 집단군에 맞서 싸운 소련군의 전선군으로,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고 스탈린그라드 포위망 형성에 기여했으며, 1943년 제3우크라이나 전선군으로 개칭되었다. - 소련의 전선군 -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전선에서 활약한 소련군의 전선군으로, 우크라이나, 폴란드, 독일 등지에서 나치 독일 국방군을 상대로 승리했으며, 종전 후에는 소련 중앙군집단으로 재편되었다. - 소련-일본 전쟁 - 남사할린 침공
남사할린 침공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소련군이 일본 영토였던 남사할린 섬을 점령한 군사 작전으로, 얄타 회담을 배경으로 소련의 만주 침공과 함께 시작되어 일본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의 압도적인 전력에 의해 점령되었다. - 소련-일본 전쟁 - 제1극동전선군
제1극동전선군은 1945년 소련 원수 키릴 메레츠코프의 지휘하에 창설되어 만주 작전과 한반도 진주에 참여하여 관동군을 격파하고 38선 이북 지역을 점령했으며, 1945년 10월 1일 해체되었다.
트란스바이칼 전선군 | |
---|---|
개요 | |
명칭 | 자바이칼 전선군 |
원어 명칭 | Забайкальский фронт (러시아어) |
로마자 표기 | Zabaykal'skiy front |
군사 정보 | |
소속 국가 | 소련 |
소속 군대 | 붉은 군대 |
군 종류 | 전선군 |
창설일 | 1941년 9월 15일 |
해체일 | 1945년 10월 9일 |
규모 (1945년 7월) | 600,000명 |
주둔지 | 치타주 |
지휘관 | |
사령관 | 미하일 코발료프 |
사령관 | 로디온 말리놉스키 |
참전 |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소련-일본 전쟁) |
참전 전투 | 다싱안링-선양 공세 |
참전 전투 | 갈근묘 학살 |
담당 지역 | |
담당 지역 | 만주와 내몽골 |
최종 위치 | |
최종 위치 | 만주, 내몽골, 화북 |
2. 역사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은 1941년 9월 15일 자바이칼 군관구를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독소전 기간 동안에는 주로 후방 지역으로서 서부 전선에 병력과 장비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45년 대일전 참전을 앞두고 전력이 증강되었으며, 같은 해 8월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 참여하여 몽골 인민 혁명군과 함께 관동군을 격파하고 만주와 내몽골 지역으로 진격했다. 전쟁 종결 후에는 일본군의 무장 해제 및 항복 접수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5년 10월 9일 스타프카의 명령에 따라 해산되어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역할 (1941-1945)
1941년 9월 15일, 자바이칼 군관구를 기반으로 창설되었으며, 제17군과 제36군이 포함되었다. 1942년 8월 1일에는 전선 항공 부대를 바탕으로 제12항공군이 편성되었다.독소전 기간 동안 자바이칼 전선군은 주로 후방 지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총 16개 사단(저격 사단 11개, 기병 사단 1개, 전차 사단 3개, 자동차화 저격 사단 1개)과 2개 여단(저격 여단 1개, 포병 여단 1개)을 서부 전선으로 보냈다. 이는 병력 약 30만 명, 야포 2천 문 이상, 전차 1,400대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1945년, 대일전 참전을 앞두고 부대 규모가 증강되었다. 6월 20일에는 제39군이, 7월 1일에는 최고 사령부 예비에서 제53군과 제6친위전차군이 배속되었고, 7월 5일에는 이싸 플리예프 대장이 지휘하는 기병·기계화군이 새롭게 편성되었다.
1945년 8월, 자바이칼 전선군은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 참여하여 싱안성과 펑톈(현재의 선양시) 방면으로 진격했다. 전선 부대는 몽골 인민 혁명군과 협력하여 내몽골 지역과 장자커우, 둬룬, 솔룬, 하이라얼 방면의 일본군 요새를 돌파했다. 이 과정에서 관동군의 제3방면군 예하 제44군, 제30군, 제4군 및 쑤이위안군 집단을 격파하고 다싱안링 산맥을 넘었다. 8월 18일까지 장자커우, 러허성의 청더, 츠펑, 펑톈, 신징(현재의 창춘시), 치치하얼 등 주요 도시까지 진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는 해당 지역에서 일본군의 무장 해제와 항복 접수 임무를 수행했다.
1945년 9월 10일 스타프카(소련 최고 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같은 해 10월 9일 자바이칼 전선군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전선 지휘부와 예하 부대들은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로 재편되었으며, 함께 작전했던 몽골 인민 혁명군 부대는 몽골 인민 공화국 군으로 복귀했다.
2. 2. 소련-일본 전쟁 참전 (1945)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소련이 일본 제국을 상대로 참전하면서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의 임무는 크게 변화했다. 이전까지 독소전쟁의 후방 지원 역할을 담당했던 전선군은 극동 지역에서의 주요 공격 부대로 재편성되었다.로디온 말리노프스키 원수의 지휘 아래,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은 1945년 8월 개시된 소련의 만주 침공 작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전선군은 몽골 인민 혁명군과 협력하여 만주 지역에 주둔하던 일본 제국 육군의 정예 부대인 관동군을 성공적으로 격파하였으며, 만주국과 내몽골 지역 깊숙이 빠르게 진격했다. 일본이 항복을 선언한 이후에도 소련군의 진격은 계속되었고,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은 만주 지역의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며 전쟁 종결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소련-일본 전쟁이 끝난 후,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은 해당 지역에서 일본군의 무장 해제 및 항복 접수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1945년 10월 9일, 최고 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으며, 그 조직과 부대는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
2. 2. 1. 주요 작전 및 전투
독소전 기간 동안 자바이칼 전선군은 후방 지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전선군은 16개 사단(11개 저격 사단, 1개 기병 사단, 3개 전차 사단, 1개 자동차화 저격 사단)과 2개 여단(1개 저격 여단, 1개 포병 여단)을 포함하여 약 30만 명의 병력, 2천 문 이상의 야포, 1,400대 이상의 전차를 서부 전선으로 파견했다.1945년 여름, 소련의 만주 침공을 준비하며 전선군의 전력이 크게 강화되었다. 6월 20일에는 제39군이, 7월 1일에는 최고 사령부 예비에서 제53군과 제6친위전차군이 배속되었고, 7월 5일에는 이싸 플리예프 대장이 지휘하는 기병·기계화군이 새롭게 편성되었다.
1945년 8월,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원수가 이끄는 자바이칼 전선군은 소련의 만주 침공의 주력 부대로서 싱안성(興安)과 펑톈 시(奉天) 방면으로 진격하는 전략 만주 작전에 참여했다. 전선군 부대는 몽골 인민 혁명군과 협력하여 내몽골 지역과 장자커우(하얼간), 둬룬, 솔룬, 하이라얼 등지의 일본군 요새 지역을 돌파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제국 육군 관동군의 제3방면군 예하 제44군, 제30군, 제4군 및 쑤이위안군 집단을 격파하며 다싱안링 산맥을 넘었다.
일본 천황 히로히토가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항복을 선언하고 8월 16일 이 지역에 휴전 명령이 내려졌음에도, 전투는 약 일주일간 지속되었다. 당시 소련군은 이미 만주국 깊숙이 진입한 상태였으며, 거의 저항 없이 진격을 계속하여 8월 18일까지 장자커우, 러허성의 청더, 츠펑, 펑톈(무크덴), 신징(창춘), 치치하얼 등 주요 도시까지 도달했다. 동시에 멍장 지역도 소련군과 몽골 동맹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수도인 구이화가 빠르게 함락되었다. 만주국의 황제 푸이는 소련 붉은 군대에 의해 체포되어 치타로 이송되었다.[3]
일본의 항복 이후, 자바이칼 전선군은 점령 지역에서 일본군의 무장 해제와 항복 접수 임무를 수행했다. 1945년 9월 10일자 최고 사령부 스타프카의 명령에 따라, 자바이칼 전선군은 1945년 10월 9일부로 해산되었고, 전선군의 지휘 기관과 부대는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 함께 작전했던 몽골군 부대는 몽골 인민 공화국 군으로 복귀했다.
2. 3. 해산 (1945)
만주 전략공세작전이 종료되고 정전이 이루어진 후,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은 패배한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시키고 항복을 받아내는 임무를 수행했다.1945년 9월 10일, 소련군 최고 사령부인 스타프카는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의 해산을 명령했다. 이 명령에 따라 같은 해 10월 9일, 트란스바이칼 전선군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전선군의 지휘 기관과 예하 부대들은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 함께 작전했던 몽골 인민 공화국 군 부대들은 원래 소속으로 복귀하였다.
3. 편성
부대 | 사령관 | 편성일 / 비고 |
---|---|---|
제17군 | ||
제36군 | 알렉산드르 루친스키 | |
제39군 | 1945년 6월 20일 편성 | |
제53군 | 1945년 7월 1일 편성 | |
제6근위전차군 | 안드레이 크라프첸코 대장 | 1945년 7월 1일 편성 |
제12항공군 | 1942년 8월 1일 편성 | |
기병·기계화집단 | 이사 플리예프 | 1945년 7월 5일 편성. 소련-몽골 연합 부대 |
4. 지휘관
# 미하일 코발료프 대장 (1941년 7월 ~ 1945년 7월)
# 로디온 말리놉스키 소련 원수 (1945년 7월 ~ 10월)
참조
[1]
문서
Combat composition of the Soviet Army
http://tashv.nm.ru/B[...]
[2]
웹사이트
BSSA 1 May 1945
http://tashv.nm.ru/B[...]
[3]
학술지
The Last Emperor of China: Internment in the Soviet Union
https://www.tandfonl[...]
2005-06-01
[4]
웹인용
Как мы готовились воевать с Японией
http://vpk-news.ru/a[...]
2017-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