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벨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벨 1세는 1754년 러시아 황태자 표트르 표도로비치와 예카테리나 알렉세예브나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엘리자베타 여제의 조카이자 예카테리나 2세의 아들이었지만, 어머니와의 불화와 정통성에 대한 의심을 품었다. 1796년 예카테리나 2세의 사망으로 황위에 오른 파벨 1세는 어머니의 정책을 뒤집고, 프로이센식 군복 도입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그는 영국과 대립하고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으나, 1801년 근위대 장교들에게 암살당했다. 파벨 1세는 변덕스럽고 보복적인 성격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통치는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호기사단 총장 - 가르니에 드 나뷔레
    가르니에 드 나뷔레는 12세기 말과 13세기 초 성 요한 기사단의 수장으로서, 제3차 십자군 전쟁에서 활약하며 아르수프 전투에서 기사단을 이끌고 십자군 원정을 위한 자금 모금 활동을 펼쳤다.
  • 구호기사단 총장 -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는 1565년 몰타 대공방전을 승리로 이끌고 발레타를 건설했으며, 퀘르시 귀족 가문 출신으로 성 요한 기사단 기사, 트리폴리 총독, 갤리선 총사령관을 역임하고 1557년 기사단장으로 선출되었다.
  • 표트르 3세 - 푸가초프의 난
    푸가초프의 난은 1773년부터 1775년까지 예멜리얀 푸가초프가 표트르 3세를 사칭하며 농노제에 불만을 품은 농민과 코사크를 규합하여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정부군의 진압으로 푸가초프가 처형되며 종결되었다.
  • 표트르 3세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예카테리나 2세 - 푸가초프의 난
    푸가초프의 난은 1773년부터 1775년까지 예멜리얀 푸가초프가 표트르 3세를 사칭하며 농노제에 불만을 품은 농민과 코사크를 규합하여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정부군의 진압으로 푸가초프가 처형되며 종결되었다.
  • 예카테리나 2세 - 표트르 3세
    표트르 3세는 1762년 잠시 러시아 황제였으며, 엘리자베타 여제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재위 6개월 만에 아내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폐위된 후 사망했고,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최근 개혁적인 면모가 재평가되고 있다.
파벨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파벨 1세의 초상화, 1800년 블라디미르 보로비코프스키 그림
파벨 1세의 초상화, 1800년 블라디미르 보로비코프스키 그림
이름파벨 1세
러시아어 이름Па́вел I Петрович (파벨 페트로비치)
로마자 표기Pavel I Petrovich
독일어 이름Paul
전체 이름파벨 페트로비치 로마노프
러시아어 전체 이름Павел Петрович Романов (파벨 페트로비치 로마노프)
출생일1754년 10월 1일
출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일1801년 3월 23일
사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미하일롭스키 성
매장지상트페테르부르크, 성 베드로-바울 대성당
종교러시아 정교회
서명
통치 정보
작위러시아 황제
재위 기간1796년 11월 17일 – 1801년 3월 23일
대관식1797년 4월 5일, 모스크바 우스펜스키 대성당
이전 군주예카테리나 2세
다음 군주알렉산드르 1세
작위 2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재위 기간 21763년 7월 9일 – 1801년 3월 23일
가문 정보
왕가로마노프-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
왕조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아버지표트르 3세
어머니예카테리나 2세
결혼 및 자녀
배우자빌헬미나 루이사 폰 헤센-다름슈타트 (1773년 결혼, 1776년 4월 15일 사망)
조피 도로테아 폰 뷔르템베르크 (1776년 결혼)
자녀알렉산드르 1세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엘레나 파블로브나
마리야 파블로브나
예카테리나 파블로브나
올가 파블로브나
안나 파블로브나
니콜라이 1세
미하일 파블로비치

2. 생애

1754년 10월 1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여름 궁전에서 훗날 표트르 3세가 되는 황태자 표트르 표도로비치 대공과 훗날 예카테리나 2세가 되는 황태자비 예카테리나 알렉세예브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파벨의 출생에 대해서는, 친부모가 표트르-예카테리나 부부가 아니라 예카테리나와 그녀의 애인 세르게이 살티코프 백작이라는 설이 있지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서는 풍설 이상의 증거는 없다고 한다.[57] 파벨은 태어난 직후 할머니 엘리자베타에 의해 어머니와 격리되어 성장했다.

파벨 페트로비치 대공


파벨은 1776년 첫 아내 나탈리아 알렉세예브나(헤센다름슈타트의 빌헬미나)가 출산 중 사망하자, 같은 해 뷔르템베르크의 조피 도로테아(마리아 표도로브나)와 재혼하였다. 1783년 어머니에 의해 가치나의 영지에서 살게 된 그는 그곳에서 작은 궁정을 갖고 영지를 관리하며 사병을 훈련시키고 정부 개혁을 계획하는 일에 몰두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파벨 대신 손자 알렉산드르 1세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으나, 1796년 갑작스럽게 서거하면서 파벨이 제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파벨 1세는 아버지 표트르 3세가 어머니 때문에 살해되었고, 따라서 표트르 3세를 계승할 권리를 어머니가 침해했다는 피해의식을 갖고 있었다. 황태자이자 정적이었던 그는 항상 어머니의 감시를 받아왔고, 어머니와 관련된 모든 것을 혐오했다. 그는 어머니가 총애하던 신하와 측근들을 이유 없이 미워하여 국내외 정책 전반을 모두 거부하였다. 이러한 경험으로 1797년 제위계승법을 맏아들 상속 원칙으로 확립했다.

1798년 파벨 1세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에 가담하여 오스트리아 제국 군대와 함께 스위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프랑스와 맞섰다. 179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프랑스를 장악하자, 영국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

1801년 3월 23일 새벽, 파벨 1세는 침실에서 베니히센 백작의 군인으로 추정되는 이들에게 퇴위를 강요받다가 살해당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754년 10월 1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여름 궁전에서 러시아의 황태자 표트르 표도로비치 대공(훗날의 표트르 3세)과 황태자비 예카테리나 알렉세예브나(훗날의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났다.[57] 파벨은 태어난 직후 엘리자베타에게 데려가져 어머니와 거의 접촉하지 못했다.[57]

소년 시절 파벨은 총명하고 잘생겼다는 평가를 받았다.[57] 그러나 1771년 티푸스를 앓은 후 외모가 변했고, 난폭하고 의심 많은 성격을 갖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57]

파벨은 니키타 이바노비치 파닌 백작과 같은 유능한 가정교사들의 보호를 받았다.[57] 파닌의 조카는 훗날 파벨을 암살하는 자들 중 한 명이 되었다. 파벨의 가정교사 중 한 명인 포로신은 파벨이 "항상 서두르며" 생각 없이 행동하고 말한다고 불평했다.[57]

2. 2. 예카테리나 2세와의 갈등

어머니 예카테리나 2세와 파벨은 평생 갈등 관계에 있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파벨을 불신하고 견제했으며, 파벨은 어머니의 총신들을 질투하고 자신의 정통성에 대한 의심을 품었다.[8][9] 예카테리나 2세는 파벨 대신 손자 알렉산드르 1세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다.[8]

1762년 예카테리나 2세가 즉위하면서 8살이던 파벨은 황태자가 되었지만, 어머니는 쿠데타를 일으켜 남편 표트르 3세를 폐위시켰다. 표트르 3세는 감옥에서 사망했는데, 예카테리나의 지지자들에게 살해되었거나, 간수와의 다툼 중 뇌졸중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5]

1772년 파벨은 18세가 되었고, 파벨과 그의 조언자 파닌은 표트르 3세의 외아들인 그가 러시아의 정당한 차르라고 믿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파벨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헤세-다름슈타트의 빌헬미나 공주(러시아식 이름은 나탈리아 알렉세예브나)를 아내로 선택했다. 1776년 빌헬미나와 아이가 출산 중 사망하자, 예카테리나 2세는 파벨을 위해 뷔르템베르크의 소피아 도로테아(마리아 표도로브나)를 새 아내로 맞이했다.[6][7]

파벨은 어머니의 자리를 갈망했고, 당시 유행하던 계승법에 따라 그것은 정당하게 그의 것이었다. 파벨이 자신의 별도의 궁정을 포함한 권력을 원한다는 것이 예카테리나 2세에게 명확해지면서, 둘 사이에는 격렬한 경쟁이 시작되었다.[6]

예카테리나 2세의 어머니인 엘리자베타 여제가 파벨을 양육했지만, 파벨은 다양한 보호자들의 감독을 받았다. 엘리자베타 사후에도 카테리나와의 관계는 개선되지 않았다. 파벨은 그녀가 애인들에게 퍼붓는 호의를 질투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파벨에게 러시아 통치에 대한 권력을 공유하도록 초대한 적이 없었다. 파벨의 아들 알렉산드르가 태어난 후, 예카테리나 2세는 더 적합한 상속자를 찾은 것처럼 보였다.[9]

1783년 어머니에 의해 가치나의 영지에서 살게 된 그는 그 곳에 작은 궁정을 갖고 영지를 관리하며 사병을 훈련시키고 정부 개혁을 계획하는 일에 몰두했다.[57]

파벨은 군사 개혁에 관한 논문인 "반성(Reflections)"에서 어머니의 정책에 단호하게 반대하며 은밀한 비판을 썼다. 이 책에서 그는 확장주의적 전쟁을 비판하고 더욱 방어적인 군사 정책을 옹호했다. "반성"은 어머니에게 무관심하게 받아들여졌고, 그녀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파벨을 중심으로 한 내부 음모에 대한 의심을 더했다.[9]

예카테리나 2세가 나이가 들면서 아들이 궁정 행사에 참석하는 것에 대해 덜 걱정하게 되었고, 그녀의 관심은 주로 미래의 황제 알렉산드르 1세에게 집중되었다. 1787년 예카테리나 2세는 아들을 계승에서 배제하기로 결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알렉산드르와 그의 형제 콘스탄틴이 태어난 후, 예카테리나 2세는 엘리자베타가 파벨에게 했던 것처럼 그들을 자신의 보호 아래 두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알렉산드르의 스승과 은밀히 만나 그의 즉위에 대해 논의했고, 알렉산드르의 어머니 마리아를 설득하여 아들의 정통성을 허가하는 제안에 서명하도록 시도했다. 하지만 두 가지 노력 모두 결실을 맺지 못했고, 알렉산드르는 할머니의 소망에 동의했지만, 러시아 황위의 직계 상속자로서 아버지의 지위를 존중했다.[8]

2. 3. 결혼과 가정생활

1773년 파벨은 헤센-다름슈타트의 빌헬미나(나탈리아 알렉세예브나)와 결혼했다.[6] 신부의 언니인 프레데리카 루이사는 이미 프로이센 왕세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와 결혼한 상태였다. 그러나 빌헬미나는 결혼 3년 만인 1776년 4월 15일 출산 중 사망했다.[6]

알렉산더 로슬린(Alexander Roslin)이 그린 나탈리아 알렉세예브나(1776년)


빌헬미나가 죽은 후, 예카테리나 2세는 곧바로 파벨을 위한 다른 아내를 찾기 시작했고, 첫 번째 아내가 사망한 지 6개월도 채 되지 않은 1776년 10월 7일 파벨은 재혼했다.[7] 새 신부는 뷔르템베르크의 조피 도로테아(마리아 표도로브나)였다.[7]

알렉산더 로슬린(Alexander Roslin)이 그린 마리아 표도로브나(뷔르템베르크의 조피 도로테아)(1777년)


1777년에는 결혼 1년 만에 첫 아이인 알렉산드르 1세가 태어났고, 이때 황후는 파벨에게 파블롭스크 궁전을 하사했다.[7] 파벨과 마리아 표도로브나는 1781년부터 1782년까지 서유럽을 여행하기도 했다.[7] 1783년에는 예카테리나 2세가 가치나를 하사하여 파벨은 자신의 궁정을 갖게 되었다.[7]

파벨과 마리아 표도로브나 사이에서는 4남 6녀가 태어났다.

파벨 1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의 자녀
이름초상화생몰년비고
알렉산드르 1세--1777년 ~ 1825년러시아 제국의 황제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1779년 ~ 1831년폴란드 입헌왕국 부왕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여대공--1783년 ~ 1801년오스트리아 대공 요제프 안톤 요한과 결혼
옐레나 파블로브나 여대공--1784년 ~ 1803년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세자 프리드리히 루트비히와 결혼
마리야 파블로브나 여대공--1786년 ~ 1859년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세자 카를 프리드리히와 결혼
예카테리나 파블로브나 여대공--1788년 ~ 1819년뷔르템베르크빌헬름 1세와 결혼
올가 파블로브나 여대공--1792년 ~ 1795년요절
안나 파블로브나 여대공--1795년 ~ 1865년네덜란드 국왕 빌럼 2세와 결혼
니콜라이 1세--1796년 ~ 1855년러시아 제국의 황제
미하일 파블로비치 대공--1798년 ~ 1849년


2. 4. 즉위와 통치

1796년 어머니 예카테리나 2세가 갑작스럽게 뇌졸중으로 사망하면서 파벨 1세는 황제에 즉위했다.[61] 즉위식은 1797년 4월 5일에 거행되었으며, 같은 날 황위 계승법을 제정하여 남성 계승자에 의한 황위 계승 규칙을 확정하고 여성의 황위 계승을 금지하였다.

황제가 된 파벨 1세는 어머니의 정책을 전면 부정하는 정책을 펼쳤다. 라디시체프, 노비코프 등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시베리아 유형이나 슐리셀부르크 감옥에 투옥되었던 이들을 석방하고, 폴란드 독립운동가 타데우시 코시추슈코에게는 돈을 주어 미국으로 망명하게 했다.

파벨 1세는 아버지 표트르 3세의 유해를 겨울 궁전의 교회로 옮긴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으로 옮겨 로마노프 가문의 매장지에 안치했다. 표트르 3세 폐위와 죽음에 관여했던 알렉세이 올로프 백작은 장례 행렬에서 러시아 제국의 황금 왕관을 들고 표트르 3세의 관 앞에서 걷도록 강요받았다. 표트르 3세는 재위 시절 왕관을 쓰지 못했기에 파벨 1세는 그의 유해에 대해 직접 대관식 의례를 거행했다.

파벨 1세는 왕권신수설을 내세워 귀족들에게 일방적인 충성을 강요했기 때문에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그는 귀족들의 특권을 축소하고, 프로이센식 군사 제도를 도입하는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이러한 개혁은 일관성이 없었다.[10] 예를 들어 농노들의 노동 부역 일수를 주 3일로 줄였지만, 황실령지 농민 12만 명을 귀족에게 양도하여 결과적으로 농노의 수를 늘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1798년 파벨 1세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에 참가하여 프랑스와 적대 관계를 맺었으나, 1801년 제2차 무장 중립 동맹에 참가하여 영국과 적대 관계를 맺었다.[57]

2. 5. 대외 정책

파벨 1세는 초기에는 반(反) 프랑스 정책을 추진하여 제2차 대프랑스 동맹에 참여했다.[15] 1798년 프랑스와 맞서는 나라들과 동맹을 맺었고, 러시아 군대는 오스트리아 제국 군대와 함께 스위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활동했다.[16] 179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프랑스를 장악하자, 파벨 1세는 나폴레옹에게 감화되어 친(親) 프랑스 정책으로 선회하고 영국과 대립했다.[57] 1801년 제2차 무장 중립 동맹에 참가하여 영국과 적대 관계를 맺었다.[57] 이러한 외교 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국제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2. 6. 암살

1801년 3월 23일 새벽,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미하일롭스키 성에서 근위대 장교들이 파벨 1세의 침실에 난입하여 황제를 암살했다.[57] 이 암살은 페터 루트비히 폰 데어 파렌 백작, 니키타 페트로비치 파닌 백작, 호세 데 리바스가 계획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재 영국 대사인 찰스 윗워스 경의 지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43]

1800년 12월 데 리바스의 죽음으로 암살이 지연되었지만, 해임된 장교들이 미하일 성 궁전에서 파벨 1세를 살해했다.[57] 암살자들 중에는 러시아 군 복무 중이던 하노버 출신 장군인 레빈 아우구스트 폰 베니그센 백작과 조지아 출신 장군인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야슈빌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함께 만찬을 즐긴 후 술에 취한 채 파벨 1세의 침실로 뛰어들어가 커튼 뒤에 숨어 있는 황제를 발견했다.[44] 음모자들은 그를 끌어내어 식탁으로 끌고 가 퇴위 서명을 강요하려 했다. 파벨 1세가 저항하자 주보프가 칼로 그를 쳤고, 이후 암살자들은 파벨 1세를 질식시켜 짓밟아 죽였다.

파벨 1세 암살 당시 성에 있던 그의 아들 알렉산드르 1세는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주보프에 의해 황제 즉위가 선포되었고, 이를 받아들였다.[45][57] 알렉산드르 1세는 암살자들을 처벌하지 않았고, 궁정 의사인 제임스 와일리 경은 사망 원인을 뇌졸중이라고 발표했다.[46][47]

3. 가족 관계

이름출생사망참고
알렉산드르 1세, 러시아 황제1777년 12월 12일1825년 11월 19일바덴의 루이제 아우구스테 공주 (엘리자베타 알렉세예브나)(1779–1826)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으나, 두 딸 모두 유년기에 사망하였다.
러시아의 콘스탄틴 대공1779년 4월 27일1831년 6월 15일첫 번째 부인인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줄리아네 공주 (안나 표도로브나)[54]와 결혼했으나 (1820년 이혼), 두 번째 부인인 요안나 그루진스카 백작부인과 사실혼 관계를 맺었다. 그는 요안나와 사이에 찰스(1821년 출생) 한 명을 두었으며, 첫 번째 관계에서 파벨 알렉산드로프, 두 번째 관계에서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와 콘스탄스 콘스탄티노브나 등 3명의 사생아를 두었다.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대공녀1783년 8월 9일1801년 3월 16일헝가리 팔라틴 요제프 대공(1776–1847)과 결혼하여 한 명의 딸을 두었으나, 어머니와 딸 모두 출산 중 사망하였다. 구스타프 4세 아돌프와 약혼했던 적이 있다.
옐레나 파블로브나 대공녀1784년 12월 13일1803년 9월 24일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세습대공(1778–1819)와 결혼하여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
마리아 파블로브나 대공녀1786년 2월 4일1859년 6월 23일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칼 프리드리히 대공(1783–1853)과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예카테리나 파블로브나 대공녀1788년 5월 21일1819년 1월 9일올덴부르크의 게오르크 공작(1784–1812)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고, 뷔르템베르크의 빌헬름 1세 국왕(1781–1864)과 재혼하여 두 딸을 두었다.
올가 파블로브나 대공녀1792년 7월 22일1795년 1월 26일치아농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2세 6개월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안나 파블로브나 대공녀1795년 1월 7일1865년 3월 1일네덜란드의 빌럼 2세 국왕(1792–1849)과 결혼하여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니콜라이 1세, 러시아 황제1796년 6월 25일1855년 2월 18일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1798–1860)와 결혼하여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
미하일 파블로비치 대공1798년 2월 8일1849년 9월 9일뷔르템베르크의 샤를로테 공주 (엘레나 파블로브나)(1807–1873)와 결혼하여 다섯 명의 딸을 두었다.



파벨 1세는 첫 번째 부인인 헤센다름슈타트의 빌헬미나(나탈리아 알렉세예브나)가 죽자 1776년 뷔르템베르크의 조피 도로테아(마리아 표도로브나)와 재혼하였다.

4. 평가와 유산

파벨 1세는 정신 질환, 기행, 독단적인 통치, 잦은 정책 변경 등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 그는 어머니인 예카테리나 2세와의 불화로 인해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이는 그의 통치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48] 그는 어머니와 관련된 모든 것을 혐오하여 예카테리나 2세의 정책을 모두 뒤집고, 프랑스 혁명 사상을 탄압하는 등 반동적인 정책을 펼쳤다.

파벨 1세의 정책은 일관성이 없었다. 농노의 노동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 3일 노동제를 시행했지만, 동시에 더 많은 농민을 귀족에게 양도하여 농노의 수를 늘리는 모순적인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또한 왕권신수설을 내세워 귀족들에게 일방적인 충성을 강요하여 귀족들의 불만을 샀다. 외교 정책에 있어서도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가 다시 영국과 동맹을 맺는 등 변덕스러운 모습을 보였다.[48]

그러나 파벨 1세의 개혁 정책 중 일부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1797년에는 제위 계승법을 맏아들 상속의 원칙으로 확립하여 왕위 계승의 안정성을 높였다.

파벨 1세의 암살은 러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죽음으로 인해 알렉산드르 1세가 즉위하게 되었고, 파벨 1세의 통치는 이후 러시아 황제들에게 반면교사가 되었다.

일부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는 파벨 1세를 성인으로 추앙하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 시성된 적은 없다.[48]

5. 대중문화

파벨 1세는 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뤄지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2014년부터 방영된 러시아 텔레비전의 드라마 <예카테리나>가 있으며, 시즌 1에서는 예고르 샤라쇼프가, 시즌 2에서는 Табаков, Павел Олегович|파벨 타바코프ru가 파벨 1세를 연기했다.[50][51][52][53]

참조

[1] 웹사이트 Мальтийский орден http://www.encspb.ru[...]
[2] 서적 Catherine the Great: Life and Legend Oxford UP 1989
[3] 웹사이트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Павла І http://history-gatch[...] 2021-07-12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So dark a stream; a study of the Emperor Paul I of Russia, 1754-1801 1959
[8] 서적 Paul I of Russia Clarendon Press 1992
[9] 서적
[10] 서적 A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Uniforms of the Napoleonic wars... 1792-1815 2008
[11] 웹사이트 "Russian military parade", Alexandre Benois, 1907 http://www.napolun.c[...] 2012-09-23
[12] 서적 Russian Grenadiers and Infantry 1799-181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2
[13] 서적 The Secret World Government Or "The Hidden Hand": The Unrevealed in History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2
[14] 서적 A Treasure of Royal Scandals Penguin Books 2001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Paul I and the Knights of Malta 1979
[18] 웹사이트 The 79 Grand Masters http://www.orderofma[...]
[19] 웹사이트 History After Malta http://www.spiritual[...] 2013-09-12
[20] 간행물 The grand master of the order of Malta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1855-04-21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Was Paul Bonaparte's Fool?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웹사이트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9-05-27
[44]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Freepress
[45] 서적 A History of Russia Yale University Press
[46] 웹사이트 The Memoirs of General the Baron de Marbot http://www.gutenberg[...]
[47] 간행물 A Medical Adventurer. Biographical Note on Sir James Wylie, Bart., M.D., 1758 to 1854 1928-06
[48] 서적 Reminiscences
[49] 웹사이트 'Howards End' Star Joseph Quinn Set To Join Helen Mirren & Jason Clarke In HBO-Sky Drama 'Catherine The Great' https://deadline.com[...] 2021-07-12
[50] 웹사이트 Briefe der Großfürstin Wilhelmine (Natalija) an ihre Mutter [Karoline] https://arcinsys.hes[...] Hessisches Staatsarchiv Darmstadt
[51] 웹사이트 Korrespondenz des Landgrafen Ludwig IX. mit seiner Tochter Großfürstin Natalija von Russland, seinem Schwiegersohn Großfürst Paul und dem russischen Hof https://arcinsys.hes[...] Hessisches Staatsarchiv Darmstadt
[52] 웹사이트 König Friedrich (1754-1816) - Briefwechsel mit dem kaiserlichen Hause von Russland - 3. Briefwechsel mit Kaiser Paul, 1776-1801 http://www.landesarc[...] Hauptstaatsarchiv Stuttgart 2021-11-22
[53] 웹사이트 Herzog Friedrich Eugen (1732-1797) - Briefwechsel des Herzogs mit dem kaiserlichen Hause von Russland, 1776-1797 http://www.landesarc[...] Hauptstaatsarchiv Stuttgart 2021-11-22
[54] 서적 The Pope of Rome and the Popes of the Oriental Orthodox Church
[55] 웹사이트 Semen Velikiy http://royal-genealo[...] 2022-01-20
[56] 웹사이트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57] 웹사이트 Paul I. #URL 정보 없음. Encyclo[...]
[58] 웹사이트 エカテリーナ2世がクーデター https://jp.rbth.com/[...] RUSSIA BEYOND 2019-02-19
[59] 기타
[60] 기타
[61]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