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퍼 J-3 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퍼 J-3 컵은 1930년대에 개발된 파이퍼 항공의 소형 경비행기이다. 저렴한 가격으로 항공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938년부터 1947년까지 2만 대가 생산되었다. J-3는 다양한 엔진을 장착한 여러 파생형이 존재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L-4 그래스호퍼라는 이름으로 군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한국 전쟁에도 투입되어 대한민국 공군이 최초로 보유한 항공기가 되었으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전후에는 파이퍼 PA-11 컵 스페셜 등 여러 후속 모델 개발의 기반이 되었으며, 현대에도 개량된 모델이 생산되어 오지 비행기 조종사 및 레크리에이션 조종사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이퍼 항공기 - 파이퍼 PA-28 체로키
파이퍼 PA-28 체로키는 파이퍼 항공기에서 생산한 단발 4인승 경비행기 시리즈로, 훈련용부터 장거리 여행용까지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 경비행기 - 세스나 172
세스나 172는 세스나에서 제작한 단발 고익 경비행기로, 1956년부터 양산되어 훈련기, 촬영기, 관광용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여러 파생 모델을 통해 발전해왔으며, 군용으로도 사용되었다. - 경비행기 - 세스나 208 캐러밴
세스나 208 캐러밴은 세스나에서 개발한 단발 터보프롭 고익 항공기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카고마스터, 208B 슈퍼 카고마스터, 208B 그랜드 캐러밴 등의 파생 모델과 지속적인 성능 개선을 통해 발전해왔다. - 1938년 첫 비행한 항공기 - 99식 함상폭격기
99식 함상폭격기는 일본 해군 항공대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운용한 함상 급강하 폭격기로, 아이치 항공기에서 개발 및 생산되었으며, 연합군에서는 'Val'이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다. - 1938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더글러스 DC-4E
더글러스 DC-4E는 1930년대 유나이티드 항공의 요구로 개발되었으나, 과도한 개발 비용과 기술적 복잡성으로 인해 개발이 중단된 대형 여객기이다.
파이퍼 J-3 컵 | |
---|---|
개요 | |
![]() | |
종류 | 훈련기/경량 항공기 |
제작 국가 | 미국 |
제작사 | 파이퍼 항공기 |
설계자 | C. G. 테일러 |
최초 비행 | 1938년 |
생산 기간 | 1938년–1947년 |
생산 대수 | 미국 제작: 19,888대 |
개발 기반 | 테일러 컵 |
파생형 | PA-11 컵 스페셜 |
설명 | |
"컵 옐로우" 색상 유래 | 컵 옐로우 이야기 |
주요 제원 (J-3 Cub) | |
전장 | 6.83m |
전폭 | 10.74m |
전고 | 2.03m |
익면적 | 16.67m² |
자체 중량 | 307kg |
최대 이륙 중량 | 553kg |
엔진 | 1 × Continental A-40-4 피스톤 엔진, 40마력 (30kW) |
성능 | |
최대 속도 | 140km/h |
순항 속도 | 121km/h |
실속 속도 | 63km/h |
항속 거리 | 354km |
상승률 | 2.3m/s |
2. 역사
1929년 클래런스 길버트 테일러가 설계한 테일러 E-2 컵은 1930년 펜실베이니아주 브래드포드에서 처음 등장했다. 사업가이자 투자자인 윌리엄 T. 파이퍼의 후원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되어 항공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했다. 1930년대 후반, 회사가 파산하자 파이퍼가 자산을 인수했지만, 창립자인 테일러는 사장으로 남았다.
1936년, 테일러가 병가를 낸 동안 직원 Walter Jamouneau에 의해 초기 컵이 J-2로 개조되었다. 테일러는 재설계된 것을 보고 격분하여 Jamouneau를 해고했지만, 파이퍼는 Jamouneau의 변경을 장려했고 그를 다시 고용했다. 그 후 파이퍼는 테일러의 회사 지분을 매입했다.
1938년 펜실베이니아주 브래드포드의 파이퍼 공장(구 실크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생산이 중단되기 전까지 약 1,200대의 J-2가 생산되었다. 파이퍼가 회사를 펜실베이니아주 록헤이븐으로 이전한 후, Jamouneau에 의해 추가 변경이 적용된 J-3가 J-2를 대체했다. J-3는 40 hp (30 kW) 엔진으로 구동되었으며, 1938년에 1,000달러가 조금 넘는 가격에 판매되었다.[5]
J-3 컵에는 Continental A 시리즈,[27] Franklin 4AC,[28] Lycoming O-145[29] 등 다양한 플랫-포 엔진이 사용되었으며, 극소수는 Lenape ''Papoose'' 3기통 성형 엔진이 장착되어 '''J3P'''로 지정되었다.[30]
1939년 유럽에서 전쟁 발발 가능성이 커지면서 민간 조종사 훈련 프로그램(CPTP)이 결성되었다. 파이퍼 J-3 컵은 CPTP의 주요 훈련기였으며, CPTP에서 훈련받은 조종사의 약 75%가 컵에서 훈련을 받았다. 전쟁이 끝날 무렵, 미국 군 조종사의 80%가 파이퍼 컵에서 초기 비행 훈련을 받았다.[6]
1940년, 미국이 전쟁에 참전하기 전 해에 3,016대의 컵이 제작되었으며, 전시 수요로 인해 생산 속도는 20분마다 컵 1대가 제작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6]
2. 1. 개발 배경
1929년, 클래런스 길버트 테일러는 동생 고든 테일러와 함께 테일러 브라더스 에어크래프트사를 설립했고, 동생이 사망하자 사업가이자 투자자인 윌리엄 T. 파이퍼의 지원으로 펜실베이니아주브래드퍼드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했다.테일러 형제는 복좌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해 '''테일러 E-2 카브'''(Taylor E-2 Cub)를 설계했다. 이 기종은 탠덤 복좌의 고익기로, 목재와 금속을 혼합한 구조에 천으로 덮인 기체였다. 엔진은 처음에는 20마력이었으나, 곧 40마력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1930년 9월 10일 첫 비행을 했고, 뛰어난 조종성을 보여준 카브는 다음 해 11월 형식 증명을 취득했다.[2]
그러나 이 시기 테일러 브라더스 에어크래프트사는 심각한 경영난으로 E-2 카브를 1대도 양산하지 못한 채 도산했다. 이후 파이퍼가 새로운 자본을 투입해 테일러 에어크래프트로 이름을 바꾸어 회사를 살리고, 파이퍼는 임원 겸 관재인이 되었다.
37마력 엔진을 탑재하여 양산된 카브는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기체로 판매량이 높았다. 이후 엔진 변경 등을 통해 F-2, G-2, H-2로 개량되었다. 그러나 다시 경영난으로 제조 및 판매권이 파이퍼에게 넘어가, 1937년부터 그가 카브의 생산을 계속하기 위해 설립한 파이퍼 에어크래프트사에서 생산이 이루어졌다. 이 무렵에는 기체 형상이 개선된 '''J-2'''로 생산이 이행되었다. 테일러사와 파이퍼사는 이들 기종을 약 1,576대 생산했다.[4]
1936년, 테일러가 병가를 낸 동안 직원 Walter Jamouneau에 의해 초기 컵이 J-2로 개조되었다.[3] 테일러는 재설계된 것을 보고 격분하여 Jamouneau를 해고했지만, 파이퍼는 Jamouneau의 변경을 장려했고 그를 다시 고용했다. 그 후 파이퍼는 테일러가 회사에 가진 지분을 매입했다.[4]
1938년 5월, 복잡한 공중 급유 장치를 장착한 카브가 케네스 크레스와 글렌 잉글라트의 조종으로 뉴욕에서 마이애미까지 총 3,486km를 왕복 비행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톰 스미스가 조종하는 J-3가 캘리포니아주 랭커스터 상공에서 218시간 23분 동안 비행하며 경비행기 체공 시간 기록을 세웠다.
설계 기술자 [월터 자모뉴]의 설계로 탄생한 '''J-3'''는 카브 시리즈 중 가장 유명한 기체가 되었다. 동체의 직경을 넓혀 더 강력한 엔진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고, 엔진 강화에 따라 수직 안정판도 대형화되었다. 성능이 향상되어 시장성을 높인 J-3는 1937년 10월 31일 형식 증명을 취득했고, 이듬해에는 737대나 대량 생산되었다. 파이퍼는 "1938년에 미국에서 판매된 민간 항공기 중 3분의 1이 카브였다"고 선전했다.
2. 2. 민간 항공 분야에서의 활약
1938년부터 1947년까지 10년 동안 파이퍼 항공은 J-3를 2만 대 생산했다. 설계 기술자 [월터 자모뉴](en:Walter Jamouneau)의 설계로 탄생한 J-3는 카브 시리즈 중 가장 유명한 기종이 되었다. 동체 직경을 넓혀 더 강력한 엔진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고, 엔진 강화에 따라 수직 안정판도 대형화되었다. 성능이 향상되어 시장성을 높인 J-3는 1937년 10월 31일에 형식 증명을 취득했고, 이듬해에는 737대나 대량 생산되었다. 파이퍼는 "1938년에 미국에서 판매된 민간 항공기 중 3분의 1이 카브였다"고 선전했다.[1]J-3는 탑재하는 엔진에 따라 J-3C (콘티넨탈제 엔진), J-3F (프랭클린제 엔진), J-3L (라이커밍제 엔진)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마력에 따라 -40, -50, -65로 세분화되었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인 모델이었던 J-3C-65는 65마력의 콘티넨탈제 엔진을 탑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플로트를 장착한 수상기형은 형식명 뒤에 "S"가 붙었다(예: J-3C-65S).[1]
1938년 5월, 복잡한 공중 급유 장치를 장착한 카브가 케네스 크레스와 글렌 잉글라트의 조종으로 뉴욕에서 마이애미까지 총 3486km가 넘는 거리를 왕복 비행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톰 스미스가 조종하는 J-3가 캘리포니아주 랭커스터 상공에서 218시간 23분 동안 비행하며 경비행기 체공 시간 기록을 수립했다.[1]
J-3는 약 20,043대(후술할 무동력형 제외)가 생산되었고, 1947년에 카브 시리즈는 생산을 종료했다. 현재도 다수의 기체가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여러 기업이 부품과 액세서리를 공급하고 있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 J-3는 영국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 모금 프로그램의 일부였다. "플릿파이어"로 불린, 영국 공군 휘장을 단 파이퍼 컵 J3기가 영국 공군 자선 기금에 기증되어 추첨되었다.[7][8] 1941년 4월 29일, 총 48대의 플릿파이어 항공기가 라과디아 공항으로 날아와 헌정 및 기금 모금 행사를 가졌다.[7][8]1941년 진주만 공격 몇 분 전, 2등 기관사 마커스 F. 포스톤은 학생 조종사로서 K-T 비행 서비스에서 파이퍼 큐브 J-3를 조종하며 오아후 계곡 상공에서 단독 비행을 하고 있었다. 포스톤은 일본 항공기가 섬 상공에 나타나기 시작했을 때 비행 중이었고, 결국 격추되었다. 파이퍼 J-3 큐브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격추된 최초의 미국 항공기였다.
민간 소유의 큐브는 민간 항공 순찰대의 일환으로 전쟁 노력에 동참하여 미국 동부 해안과 미국 걸프 해안을 순찰하며 독일 U보트와 U보트 공격 생존자를 찾았다.[10][11][12]
파이퍼는 군용 모델을 개발했는데, 이는 '''O-59'''(1941), '''L-4'''(1942년 4월 이후), '''NE'''(미국 해군)로 지정되었다. L-4 그래스호퍼는 민간용 J-3 큐브와 기계적으로 동일했지만, 플렉시글라스 온실 스카이라이트와 후방 창문을 사용하여 시야를 개선했다. 조종사 외에 승객 1명을 더 태울 수 있었으며, 조종사만 탑승했을 때 L-4는 최고 속도 85mph, 순항 속도 75mph, 실용 상승 한계 약 3657.60m, 실속 속도 38mph, 3시간의 비행 지속 시간,[13] 및 약 362.10km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14] 약 5,413대의 L-4가 미군을 위해 생산되었으며, 여기에는 NE-1 및 NE-2로 계약을 맺고 미국 해군을 위해 제작된 250대가 포함되었다.[15][16]
에어론카 및 테일러크래프트의 모든 L-4 모델과 기타 탠덤 시트 경비행기는 통칭하여 "그래스호퍼"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제조사와 관계없이 모든 연락기는 종종 '큐브'라고 불렸다. L-4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주로 포병 관측 및 훈련 연락 조종사로 사용되었지만, 단거리 정찰, 의료 대피, 택배 또는 보급 임무도 드물지 않았다.[6] 19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L-4의 느린 순항 속도와 저고도 기동성은 침공 해변 남쪽의 보카주 지형에서 매복하고 있는 숨겨진 독일 대포와 장갑차를 발견하기 위한 이상적인 관측 플랫폼이었다.
"바주카 찰리" 찰스 카펜터 소령이 조종한 L-4 ''로지 더 로케터''는 6개의 바주카 로켓 발사기를 장착하고, 전쟁 중 여러 대의 전차와 장갑차를 파괴한 것으로 평가받았다.[17][18] L-4는 브로디 착륙 시스템을 사용하여 선박에서도 운용할 수 있었다.
미국 육군은 1941년에 J-3을 관측기로 평가하여 '''O-59'''라는 명칭으로 채용했지만, 일부 '''UC-83'''으로 명명되었던 기체도 포함하여, 취역 시에 '''L-4 글래스호퍼'''(Grasshopper)로 개칭되었다. 미국 해군도 '''NE'''라는 명칭으로 연습기로 채용했다. 또한 엔진을 떼어내 연습용 글라이더로 만든 '''TG-8'''(육군)/'''LNP-1'''(해군)도 존재하며, 그 대부분은 전후 J-3 사양으로 되돌려졌다.

전시 중 군용형의 최종 생산 수는 O-59가 859대, L-4 시리즈가 4,461대, TG-8/LNP-1 글라이더가 합쳐 253대였다.
2. 4.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공군은 1948년 9월 13일 L-4 연락기 10대를 미군에게서 인수받아 육군항공대에 배치했다. 이는 대한민국 공군이 보유한 최초의 항공기였다. 미군에게서 받은 L-4 연락기의 별 마크 위에 태극 무늬를 칠했는데, 이것이 현재 대한민국 공군 국적 마크의 시초가 되었다.[46]한국 전쟁 초기, L-4 연락기는 후방석에 앉은 관측사가 폭탄을 안고 출격하여 투하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L-4 연락기는 여수·순천 사건 진압과 지리산 무장공비 토벌 작전에도 투입되었다.[46] 1950년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하루 만에 대한민국 공군은 L-4 연락기를 동두천으로 출격시켜 후방 좌석의 관측병이 폭탄 2발을 투하,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을 지원했다. 다음 날까지 총 70발의 폭탄이 투하되었고, 이후 폭탄이 소진되자 정찰 임무로 전환되었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대한민국은 총 25대의 L-4 연락기를 잃었다.[24]
미국 육군 또한 소수의 L-4 연락기를 운용했지만, 전쟁 중 L-16 연락기로 대체되었다.[24] L-4 연락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와 마찬가지로 포병 관측, 전방 항공 통제, 정찰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었다.[19] 일부 L-4 연락기에는 부상병 후송을 위한 들것 1개를 운반할 수 있도록 높은 등받이 캐노피가 장착되었다.[19]
2. 5. 전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천 대의 잉여 L-4 "그래스호퍼"가 민간용으로 전환되어 J-3로 다시 등록되었다.[21] 1940년대 후반, J-3는 파이퍼 PA-11 컵 스페셜(1,500대 생산)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엔진 전체를 덮는 카울링을 갖춘 최초의 파이퍼 컵 버전이었다.[25] 이후 파이퍼는 파이퍼 PA-18 슈퍼 컵을 생산했으며, 총 2,650대가 생산되었다. 슈퍼 컵은 150hp (110kW)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 속도가 130mph (210km/h)로 증가했고, 항속 거리는 약 740.30km (740km)였다.J-3는 엔진 실린더 헤드가 노출된 카울링을 가지고 있어 후속 모델과 구별된다. 노출된 실린더에는 "눈썹" 모양의 에어 스쿠프가 장착되어 엔진 냉각을 돕는다.[25] J-3는 단독 비행 시 조종사가 뒷좌석에 앉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PA-11부터는 날개 연료 탱크 덕분에 앞좌석에서 단독 비행이 가능해졌다.[25]
현대에도 J-3 컵은 오지 비행기 조종사들과 레크리에이션 조종사들에게 인기가 높다. 워싱턴주의 Cub Crafters와 텍사스의 American Legend Aircraft에서는 현대화되고 엔진이 개선된 버전을 생산하고 있다.
전후에도 카브는 다음과 같은 파생 기종을 만들어냈다.
기종 | 설명 | 생산 수 |
---|---|---|
파이퍼 PA-11(PA-11 Cub Special) | J-3에서 발전. 엔진 전체가 카울링으로 덮이게 되었고, 주 날개 내에 연료 탱크가 증설되었으며, 앞 좌석에서도 단독 조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
파이퍼 PA-12(PA-12 Super Cruiser) | J-5에서 발전한 3인승 기종. | |
파이퍼 PA-14(PA-14 Family Cruiser) | PA-12의 캐빈을 확대한 4인승 기종. | |
파이퍼 PA-15(PA-15/17 Vagabond) | 날개 폭이 짧고, 시위 길이가 긴 주 날개를 가진 2인승 기종. PA-17에서는 이중 장치의 추가 등 개량이 이루어졌다. | 601대 |
파이퍼 PA-16(PA-16 Clipper) | PA-14의 동체에 PA-15의 주 날개를 조합한 기체. | 736대 |
파이퍼 PA-20(PA-20 Pacer) | PA-16의 개량형. 보다 강력한 엔진을 장착. | 1,120대 |
파이퍼 PA-20(Tri-Pacer / Colt) | PA-20의 착륙 장치를 전륜식으로 변경한 모델, 콜트는 2인승 연습기형. | 7,629대 (Tri-Pacer), 1,861대 (Colt) |
노자와식 Z-1 | 1939년에, J-2를 베이스로 일본의 노자와 항공 연구소가 설계하여, 노자와 공작소가 제작한 기체. | 시제기 1대[41] |
탠덤 복좌(세로로 두 좌석)의 카브가 성공하면서 파이퍼사는 두 종류의 파생형을 더 개발했다. '''J-4 카브 쿠페'''(Cub Coupe)는 J-3의 동체 폭을 넓혀 나란히 복좌(가로로 두 좌석)로 만든 것으로, 아이러니하게도 회사를 떠난 테일러가 설계한 테일러크래프트 B와의 경쟁을 위해 개발되었다. J-4는 1938년 10월 26일 형식 증명을 받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군용기 생산으로 전환되면서 곧 생산이 중단되었다. '''J-5 카브 크루저'''(Cub Cruiser)는 뒷좌석에 2명을 더 태울 수 있도록 한 3인승 기체로, J-4보다 더 오랫동안 생산되었다. J-4와 J-5의 총 생산 대수는 약 2,761대이다.
3. 파생형
전후에도 카브는 수많은 파생 기종을 만들어냈다.
카브 시리즈는 군용기로도 채택되어 민간에서 징용된 기체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다용되었다. 미국 육군은 1941년 J-3을 관측기로 평가하여 '''O-59'''라는 명칭으로 채용했지만, 일부 '''UC-83'''으로 명명되었던 기체도 포함하여 취역 시에 '''L-4 글래스호퍼'''(Grasshopper)로 개칭되었다. 미국 해군도 '''NE'''라는 명칭으로 연습기로 채용했다. 엔진을 떼어내 연습용 글라이더로 만든 '''TG-8'''(육군)/'''LNP-1'''(해군)도 있었으며, 대부분 전후 J-3 사양으로 되돌려졌다.
전시 중 군용 L-4 시리즈는 4,461대, O-59는 859대, TG-8/LNP-1 글라이더는 합쳐서 253대가 생산되었다.
3. 1. 민간용 파생형
J-3는 엔진에 따라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크게 콘티넨탈(Continental) 엔진을 장착한 J3C, 프랭클린(Franklin) 엔진을 장착한 J3F, 라이커밍(Lycoming) 엔진을 장착한 J3L로 나뉜다. 각 모델은 다시 엔진 출력에 따라 세분화된다. 예를 들어, J3C-65는 65마력 콘티넨탈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다. 플로트를 장착한 수상기형은 모델명 뒤에 'S'가 붙는다(예: J3C-65S).
이 외에도 특수 목적 또는 실험적인 모델들이 있었다.

- J-3R: 슬롯 플랩이 있으며 65hp의 Lenape LM-3-65 엔진으로 구동되는 변형 모델이다.
- J-3X: 1944년 변형 모델로, 65hp의 Continental A-65-8 엔진으로 구동되는 캔틸레버 날개 장착했다.
- L-4B Prospector: 캐나다에서 제조된 모델로, 탈착식 뒷좌석 및 조종 장치, 추가 용량, 옵션 연료 탱크 추가 및 PA-12 색상 구성표로 도색되었다.[31]
- Cammandre 1: J-3 Cub/L-4 항공기의 프랑스 개조 모델이다.[32]
- Poullin J.5A: Jean Poullin이 특수 작업을 위해 개조한 5대의 L-4 Cub이다.[33]
- Poullin J.5B: Jean Poullin이 특수 작업을 위해 개조한 단일 L-4 Cub이다.[33]
- Wagner Twin Cub: J-3의 쌍동체 개조 모델이다.[34]
3. 2. 군용 파생형


모델명 | 설명 |
---|---|
YO-59 | 미국 육군 항공대 시험 및 평가용 J3C-65 4대 |
O-59 | 미국 육군 항공대 생산 버전, 이후 L-4로 재지정; 140대 생산 |
O-59A | 개선된 버전, 65hp(48kW) Continental O-170-3 왕복 엔진 장착; 948대 생산, 이후 L-4A로 재지정 |
L-4 | YO-59 및 O-59로 재지정 |
L-4A | O-59A로 재지정. |
L-4B | L-4A와 동일, 무선 장비 미장착; 980대 생산 |
L-4C | 징발된 J3L-65 8대, 처음 두 대는 원래 UC-83A로 지정 |
L-4D | 징발된 J3F-65 5대 |
L-4H | L-4B와 동일, 개선된 장비 및 고정 피치 프로펠러 장착, 1801대 생산 |
L-4J | 제어 가능한 피치 프로펠러를 장착한 L-4H, 1680대 생산 |
UC-83A | 징발된 J3L-65 2대, 이후 L-4C로 재지정 |
TG-8 | 3인승 훈련 글라이더 변형, 250대 생산 |
LNP | TG-8 3대에 대한 미국 해군 지정. |
NE-1 | J3C-65의 이중 조종 장치 버전, 미국 해군 지정, 230대 생산 |
NE-2 | NE-1과 동일, 소규모 장비 변경, 20대 생산 |
카브 시리즈는 군용기로도 채용되어 민간에서 징용한 기체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다용되었다. 미국 육군은 1941년에 J-3을 관측기로 평가하여 '''O-59'''라는 명칭으로 채용했지만, 일부 '''UC-83'''으로 명명되었던 기체도 포함하여, 취역 시에 '''L-4 글래스호퍼'''(Grasshopper)로 개칭되었다. 미국 해군도 '''NE'''라는 명칭으로 연습기로 채용했다. 또한 엔진을 떼어내 연습용 글라이더로 만든 '''TG-8'''(육군)/'''LNP-1'''(해군)도 존재하며, 그 대부분은 전후 J-3 사양으로 되돌려졌다.
전시 중 군용형의 최종 생산 수는 O-59가 859대, L-4 시리즈가 4461대, TG-8/LNP-1 글라이더가 합쳐 253대였다.
4. 운용 국가 (군용)
대한민국 공군은 1948년 9월 13일 미군으로부터 L-4 연락기 10대를 인수하여 공군 전신인 육군항공대에 배치했다. 이 L-4 연락기는 대한민국 공군이 보유한 최초의 항공기였다.[46] 미군에게 양도받은 L-4 연락기의 별 마크 위에 태극 무늬를 칠하여 대한민국 공군의 국적 마크로 사용하였다.
한국 전쟁 초기, L-4 연락기는 후방석 관측사가 폭탄을 안고 타서 투하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46] 1950년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하루 만에 L-4 연락기는 동두천으로 출격하여 북한군에 맞서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을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후방 좌석의 관측병이 폭탄 2발을 투하했다. 다음 날까지 총 70발의 폭탄이 투하되었고, 이후 폭탄이 소진되어 정찰 임무로 전환되었다.[24] L-4 연락기는 여수·순천 사건 진압과 지리산 무장공비 토벌 작전에도 투입되었다.[46] 한국은 한국 전쟁 동안 총 25대의 L-4기를 잃었다.[24]
다른 국가들의 운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운용 내용 |
---|---|
인도네시아 공군[36] | |
대한민국 공군 | 1949년 10월 1일 공군 창설을 위해 육군으로부터 L-4 10대를 인수받았다. 한국 전쟁 발발 당시 L-4 8대가 운용 중이었다. 전쟁 중 25대가 손실되었다.[24][37] |
태국 해군[39] | |
미국 공군 | |
미국 육군[37] | 소수의 L-4기를 운용했지만, 전쟁 중 L-16기로 대체되었다.[24] L-4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와 마찬가지로 포병 관측, 전방 항공 통제 및 정찰과 같은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었다.[19] 일부 L-4기에는 부상병의 후송을 위한 들것 1개를 운반할 수 있도록 높은 등받이 캐노피가 장착되었다.[19] |
미국 육군 항공대 | |
미국 해군[37] | |
미국 민간 항공 순찰대 | |
영국 공군 | |
이스라엘 공군 | 1948년의 제1차 중동 전쟁 때 창설된 텔아비브 비행대[42], 네게브 비행대[43], 갈릴리 비행대[44]에서 각각 수 대의 J-3/L-4를 운용. 전후, 이 비행대를 통합한 제100 비행대에서도 잠시 사용되었지만, 이후 운용 기종이 PA-18 슈퍼 컵으로 통일되어 J-3/L-4는 퇴역했다.[45] |
파라과이 군 | L-4[38] |
5. 제원 (J3C-65 컵)
J3C-65 Cup영어 모델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40]
승무원 | 1명 |
정원 | 승객 1명 |
길이 | 6.83m |
날개폭 | 10.74m |
높이 | 2.03m |
날개면적 | 16.58m2 |
경하중량 | 345kg |
유효탑재량 | 205kg |
최대이륙중량 | 550kg |
엔진 | Continental A-65-8 공랭식 수평 대향식 4기통 1개, 65hp (2,350 rpm) |
최고 속도 | 76kn (140km/h) |
순항 속도 | 65kn (121km/h) |
순항 거리 | 191NM (354km) |
최대 고도 | 3500m |
상승률 | 2.3m/s |
날개 하중 | 33.4kg/m2 |
추력 대 중량비 | 18.75lb/hp (11.35kg/kW) |
참조
[1]
웹사이트
The story of Cub Yellow
http://www.pipercubf[...]
2008-04
[2]
웹사이트
Piper J-3
http://www.nasm.si.e[...]
2006-04-02
[3]
서적
Piper Cubs
Tab Books
1993
[4]
웹사이트
They're not all Piper Cubs
http://www.historyne[...]
2011-09-06
[5]
문서
Piper J-3 Cub Film Series
TM Technologies
[6]
웹사이트
The Piper Cub
http://www.centennia[...]
2006-04-02
[7]
간행물
Shindig at N.Y. Airport Opens Fund Drive for R.A.F
https://books.google[...]
1941-05-12
[8]
웹사이트
Alamo Liaison Squadron
http://www.als-canno[...]
2010-09-04
[9]
웹사이트
Museum Guide
North Carolina Aviation Museum
[10]
서적
'Volume III: U.S. Navy, U.S. Marine Corps and U.S. Coast Guard Aircraft Lost During World War II Listed by Aircraft Type'
Lulu.com
2011
[11]
웹사이트
Civil Air Patrol
http://www.af.mil/hi[...]
2006-11-27
[12]
학술지
Guarding the home skies
http://www.americain[...]
310 Publishing
2008-10-03
[13]
문서
The Maytag Messerschmitts
1945-03
[14]
서적
Jane's Fighting Aircraft of World War II
Studio Editions
1989
[15]
서적
'Warbirds: An Illustrated guide to U.S. Military Aircraft, 1915–2000'
ABC-CLIO
1999
[16]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002
[17]
문서
'What''s New in Aviation: Piper Cub Tank Buster'
1945-02
[18]
서적
Above the Thunder: Reminiscences of a Field Artillery Pilot in World War II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9
[19]
서적
Korean War Almanac
Infobase Publishing
2006
[20]
문서
Nicholas Aircraft Sales
1946-04
[21]
웹사이트
Cub Aircraft History
https://torontoaviat[...]
2020-02-28
[22]
웹사이트
Cub Aircraft Co. Ltd. i Lundtofte 1937 - 1940
http://www.ole-nikol[...]
2020-02-28
[23]
웹사이트
Cub Production, 1931-2019
http://www.pipercubf[...]
2020-02-28
[24]
서적
Korean War : Weapons of the United Nations
http://medcmd.mil.kr[...]
Ministry of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2022-06-27
[25]
뉴스
Piper J-3 Cub: The World's Most Iconic Airplane
https://disciplesoff[...]
2014-11-21
[26]
웹사이트
Approved Type Certificate 660
http://www.airweb.fa[...]
1939-10
[27]
웹사이트
AIRCRAFT SPECIFICATION NO. A-691
http://www.airweb.fa[...]
2006-08
[28]
웹사이트
AIRCRAFT SPECIFICATION NO. A-692
http://www.airweb.fa[...]
2006-08
[29]
웹사이트
AIRCRAFT SPECIFICATION A-698
http://www.airweb.fa[...]
2006-08
[30]
웹사이트
Approved Type Certificate 695
http://www.airweb.fa[...]
1942-10
[31]
웹사이트
Cub Aircraft History
https://torontoaviat[...]
2022-03-19
[32]
웹사이트
Cammandre 1
http://www.abpic.co.[...]
2011-02-07
[33]
서적
Les Avions Francais de 1944 a 1964
Editions EPA
[34]
웹사이트
TwinNavion.com
https://www.twinnavi[...]
2022-05-22
[35]
웹사이트
Indonesian aviation 1945-1950
http://nei.adf-seria[...]
2005-11
[36]
문서
Heyman (2005)
[37]
서적
The Piper Cub Story
The Sports Car Press
[38]
서적
World Military Aviation
Arco Publishing Company
[39]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 Historical Listings Thailand (THL)
http://www.worldairf[...]
2012-08-30
[40]
서적
The Piper Cub Story
The Sports Car Press
[41]
서적
日本航空機総集 九州・日立・昭和・日飛・諸社篇
출판협동사
[42]
웹사이트
aeroflight.co.uk Tel Aviv Squadron
http://www.aerofligh[...]
[43]
웹사이트
aeroflight.co.uk Negev Squadron
http://www.aerofligh[...]
[44]
웹사이트
aeroflight.co.uk Galilee Squadron
http://www.aerofligh[...]
[45]
웹사이트
aeroflight.co.uk 100 Squadron
http://www.aerofligh[...]
[46]
뉴스
대한민국 최초 항공기 L-4 연락기 문화재된다
연합뉴스
2010-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