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순천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수·순천 사건은 1948년 10월, 대한민국 국군 제14연대가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며 발생한 군사 반란과 그 이후의 진압 과정을 의미한다. 반란은 여수 주둔 14연대 내 남로당 세포 조직원들이 주도하여 시작되었으며, 여수와 순천을 장악한 반란군은 인근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이승만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진압군을 투입하여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민간인 학살이 발생했고, 이후 정부는 반공 체제를 강화하고 국가보안법을 제정했다. 이 사건은 군 내부 숙청과 박정희의 연루, 사회적 영향, 미국의 개입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한민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진실 규명과 화해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반란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봉기 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남로당 무장봉기와 미군정 및 이승만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되었으며, 현재 진상 규명 노력과 국가의 공식 사과가 이루어졌으나 폭동과 항쟁이라는 시각이 대립하며 논쟁이 진행 중이다. - 하극상 - 12·12 군사 반란
12·12 군사 반란은 1979년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이 육군참모총장 정승화를 체포하고 군부를 장악하여 헌정 질서를 파괴하고 군사독재를 연장시킨 사건이다. - 하극상 - 684부대
684부대는 1968년 4월 공군 2325부대에서 김일성 암살을 목표로 창설되었으나, 남북 관계 변화로 1971년 실미도 사건을 일으켰으며, 냉전 시대 인권 침해 사례로 진상 규명 및 명예 회복 노력이 진행 중인 특수 부대이다. - 여수시의 역사 - 돌산군
돌산군은 1896년부터 1914년까지 전라남도에 존재했던 군으로, 여러 섬을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나 일제강점기 군면 통폐합으로 폐지되어 여수군, 고흥군, 광양군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 여수시에 속한다. - 여수시의 역사 - 여수 에이즈 사건
여수 에이즈 사건은 1998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에이즈에 감염된 구모가 박모와 결혼한 사건이며, 영화 '너는 내 운명'과 드라마 '나의 그녀 이야기'의 모티브가 되었고, 제천 에이즈 사건 이후 다시 주목받았다.
여수·순천 사건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사건 이름 | 여수·순천 사건 |
로마자 표기 | Yeosu-Suncheon sageon |
한자 표기 | 麗水順天事件 |
북한 표기 | 려수군인폭동 (麗水軍人暴動) |
날짜 | 1948년 10월 - 11월 |
장소 | 전라남도 동부 일대 |
관련 사건 | 한반도 분단 |
전투 결과 | |
결과 | 반란 진압, 대한민국 국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대한민국 제1공화국 |
교전국 1 소속 | 대한민국 국군 , 여수·순천 경찰 |
교전국 2 | 남조선로동당 , 육군 14연대, 지역 지지자 |
지휘관 1 | 이승만, 송호성, 원용덕, 김백일, 백선엽, 정일권, 백인엽, 송석하, 김창룡 |
지휘관 2 | 지창수, 김지회, 홍순석 |
병력 1 | 10,000여 명 |
병력 2 | 2,000 ~ 3,000명 |
사상자 규모 | |
사상자 1 | 군인 약 180명, 경찰 74명 |
사상자 2 | 불명 |
사상자 3 | 민간인(경찰 제외) 2,976~3,392명 사망 (실종 825명 포함), 국방부와 전라남도 자료에 따르면 총 사망자 12,000명 주장 |
기타 | |
관련 영화 | 여수순천반란사건 |
2. 사건의 배경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 직후,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은 전국 대한민국 국군 부대에 공작원을 침투시켜 반란과 소요 사태를 일으키려 했다. 1948년 10월 19일, 제주 4·3 사건 진압을 위해 전라남도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에 출동 명령이 내려졌다. 그러나 연대 내 남로당원들이 반란을 선동했고, 이에 부대원들이 호응하면서 부대 전체가 반란에 가담했다.
반란은 여수에서 인접한 순천으로 확산되었으나, 이승만 대통령은 즉시 진압군을 투입하여 1주일 후인 1948년 10월 27일에 반란군을 진압하였다. 진압되지 않은 잔여 병력은 이후 북부 산악 지대로 도주하여 오랫동안 게릴라 저항을 계속하였다. 사건 처리 과정에서 한국 정부는 좌익 세력을 가혹하게 숙청하였고, 반란군뿐만 아니라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 8000명이 살해되었다.[13]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밀항하여 망명하면서, 재일 한국·조선인이 되는 배경이 되었다.[11]
이러한 대량 학살 사건이 다발적으로 발생한 배경에는, 진압 및 숙청에 나선 지휘관들 중 김백일 등 과거 일본군 소속으로 북지·만주 등에서 공산당 토벌에 참여했던 경력을 가진 자들이 많았고, 그들의 일본군 시절 경험이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있다.[12]
한국에서는 여순사건(麗順事件), 여순반란사건(麗順叛亂事件), 여순봉기(麗順蜂起), 여순항쟁(麗順抗爭), 여순군란(麗順軍亂), 여순14연대반란사건(麗順14聯隊叛亂事件), 여수·순천 10·19사건(麗水·順天10·19事件), 10·19사건 등 다양하게 부른다.[13] 과거에는 '여순반란사건'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당시 지역 주민들이 반란의 주체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을 받아들여 1995년부터 '여수·순천사건'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여수군인폭동'(麗水軍人暴動)이라고 부른다. 이는 2013년 기준 우리민족끼리에 실린 내용이다.
2. 1. 대한민국 건국과 초기 정치 상황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연합군에 항복하면서 35년간의 일제 강점기가 막을 내렸다. 이후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과 북으로 나뉘어, 북쪽은 소련, 남쪽은 미국의 군사 통치를 받게 되었다.같은 해 8월,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는 전국에 인민위원회를 조직하고, 9월 6일에는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했다. 조선인민공화국은 서울과 기타 지역의 치안과 행정을 담당하며 정치범 석방과 일본군의 평화적인 철수를 감독했다.[4] 그러나 미군정은 인민위원회와 조선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았고, 결국 농촌 지역에서 인민위원회를 무력으로 해산시켰다.[5]
1945년 12월, 미국, 소련, 영국 대표들이 모여 한국에 대한 공동 신탁통치 문제를 논의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미국은 "한국 문제"를 UN에 넘겼고, 1947년 11월 14일 UN 총회는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UNTCOK)의 감독 아래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실시할 것을 결의했다.
그러나 소련은 UN 결의안을 거부하고 UNTCOK의 북한 진입을 막았다. 결국 UNTCOK은 남한에서만 선거를 진행했고, 소련은 자체 선거를 실시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 남조선국방경비대(대한민국 국군의 전신)는 모병제였고 신원 조회가 허술했다. 이 때문에 경찰의 탄압을 받았던 좌익 계열, 친일 지주에 반감을 품은 소작농, 빈곤 노동자의 자식들이 많이 입대했다. 당시 미군정은 군인의 정치적 견해에 제재를 가하지 않고 사상의 자유를 보장했다. 남로당은 군 장악을 위해 위장 입대시킨 요원들을 통해 군내 동조자를 포섭했다.
2. 2. 제주 4.3 사건과 여수 14연대의 상황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은 남한 단독 선거에 반대하며 무장봉기(제주 4·3 사건)를 일으켰다.[13] 제주 4·3 사건 진압을 위해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제14연대에 출동 명령이 내려졌다. 14연대 내에는 남로당 조직원들이 침투해 있었고, 이들은 제주도 파병에 반대하며 반란을 계획했다. 당시 군과 경찰은 국가 주도권을 놓고 무장 충돌을 벌일 정도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3. 사건의 진행
1948년 10월 19일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14연대 일부 군인들의 무장반란으로 시작되어 10월 27일 진압군에 의해 진압될 때까지 여수, 순천을 비롯한 전라남도 일대에서 벌어진 사건이다.
14연대 반란 이후, 반란군은 순천, 벌교, 보성, 고흥, 광양, 구례, 곡성까지 점령하였다. 이승만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진압군을 투입했다.
반란군 주력은 백운산과 지리산으로 도주하여 장기간 게릴라전을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진압군과 반란군 양측에 의한 민간인 학살이 발생했다.
사건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 내용 |
---|---|
10월 19일 | 여수 주둔 14연대 일부 군인 무장반란, 경찰 및 우익 인사 살해. 여수경찰서장, 한민당 여수지부장 등 70여 명 살해.[14] 반란군은 여수 점령 후 순천으로 이동, 14연대 2개 중대와 합류하여 순천 장악.[9] |
10월 21일 | 반란군, 벌교, 보성, 고흥, 광양, 구례를 거쳐 10월 22일 곡성 점령.[9] 이승만 정부, 여수·순천 지역 계엄령 선포, 송호성 준장을 총사령관으로 10개 대대 병력 투입, 진압 명령.[9] |
10월 22일 | 진압군, 오후 3시 순천 공격 시작. 반란군 주력은 광양 및 인근 산악지대로 후퇴.[9] |
10월 23일 | 진압군, 오전 순천 장악. 광양 일대 반란군 주력 섬멸, 여수 탈환 2단계 작전 돌입. 반란군, 미평 근처 매복, 진압군 습격. 사령관 송호성 준장 부상. 반란군 주력 백운산, 지리산 도주.[9] |
10월 25일 | 진압군, 여수 시내 박격포 사격 시작, 이틀간 시가전 계속.[9] |
10월 27일 | 진압군, 여수 완전 장악.[9] |
3. 1. 14연대의 반란
1948년 10월 19일 밤,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14연대 내 남로당 세포 조직원 약 40명이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제주도 파병 명령을 거부하고 무기고를 점거했다.[13] 이들은 좌익 정당원들이었다.[13]14연대 인사과장 지창수 등 반란 주도 세력은 2,000여 명의 병력을 훈련장에 집결시켜 선동적인 연설을 통해 봉기를 주도했고, 봉기에 반대하는 자들은 현장에서 즉결 처분되었다. 반란군은 여수읍을 장악하고, 여수경찰서, 군청 등을 점령하여 경찰과 우익 인사들을 살해했다. 이 과정에서 여수경찰서장과 사찰계 직원 10명, 한민당 여수지부장, 대동청년단 여수지구위원장, 경찰서후원회장 등과 그 가족을 포함해 70여 명이 살해당했다.[14] 보도에 따르면 수일 만에 경찰관 약 100명, 이승만파 시민 약 500명이 반란군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한다.
10월 20일, 여수읍 내를 거의 장악한 반란군은 순천군에 주둔하는 제14연대 2개 중대와 합류했다. 같은 날 오후에는 순천을 거의 제압했다. 광주에서 제4연대의 한 개 중대가 진압에 급파되었으나, 이 부대 역시 지휘관을 사살하고 반란에 합류했다.
3. 2. 반란의 확산과 정부의 대응
1948년 10월 19일, 여수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14연대 일부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여수를 점령하고 순천으로 이동, 홍순석 중위가 지휘하는 14연대 2개 중대와 합류하여 순천을 장악했다.[9] 10월 21일에는 반란군이 벌교, 보성, 고흥, 광양, 구례를 거쳐 10월 22일에는 곡성까지 점령했다.[9]이에 이승만 정부는 10월 21일 여수, 순천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송호성 준장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10개 대대 병력을 투입, 진압 작전을 개시했다.[9] 10월 22일 오후 3시, 진압군이 순천 공격을 시작했으나, 반란군의 주력은 광양 및 인근 산악 지대로 후퇴했다.[9]
3. 3. 진압 작전과 민간인 학살
1948년 10월 23일, 진압군은 순천을 탈환했다.[9] 10월 25일, 진압군은 여수 시내에 대한 공격을 시작, 이틀간의 시가전 끝에 10월 27일 여수를 완전히 장악했다.[9] 진압 과정에서 진압군과 경찰은 반란군 협조자 색출을 명분으로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했다.[9] 특히, 여수, 순천 등지에서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반란군 주력은 백운산과 지리산으로 도주하여 장기간 게릴라전을 전개했다.[9] 진압 과정에서 반란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도 다수 발생했다.다음은 진압 작전과 민간인 학살에 대한 개략적인 타임라인이다.
날짜 | 사건 내용 |
---|---|
10월 21일 | 이승만 정부, 여수·순천 지역에 계엄령 선포. 송호성 준장을 총사령관으로 임명, 10개 대대 병력으로 진압 작전 개시.[9] |
10월 22일 | 진압군, 순천 공격 시작. 반란군 주력은 광양 및 인근 산악지대로 후퇴.[9] |
10월 23일 | 진압군, 순천 장악. 반란군 주력은 백운산과 지리산으로 도주.[9] |
10월 25일 | 진압군, 여수 시내 공격 시작. 이틀간 시가전 전개.[9] |
10월 27일 | 진압군, 여수 완전 장악. 진압 과정에서 대규모 민간인 학살 발생.[9] |
4. 극우 세력 연루설과 정치적 파장
사건 직후, 이승만 정부는 극우 세력[22] 일부가 이 반란에 동조했다는 주장을 유포했고, 내무부는 경찰국에 수사를 지시했다. 당시 국무총리 겸 국방장관이었던 이범석은 10월 21일 기자회견에서 "이 사건은 정권욕에 눈이 먼 몰락 극우정객이 공산당과 결탁해 벌인 정치적 음모"라며 사실상 김구를 지목했다.[23]
이범석과 김태선 등이 자신을 여순사건 배후에 있는 극우파로 지목하자 김구는 분개하였다. 김구는 10월 27일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이범석의 주장을 반박했고, 그의 반박문은 조선일보를 통해 보도되었다.[23]
그러나, 윤치영은 극우가 참가한 것만은 사실이라고 계속 주장했다.[26]
4. 1. 이승만 정부의 극우 연루설 유포
이승만 정부는 사건 직후 극우 세력[22] 일부가 이 반란에 동조했다는 주장을 유포하며 김구 등 민족주의 세력을 압박했다. 당시 국무총리 겸 국방장관이었던 이범석은 10월 21일 기자회견에서 "이 사건은 정권욕에 눈이 먼 몰락 극우정객이 공산당과 결탁해 벌인 정치적 음모"라며 사실상 김구를 지목했다.[23]10월 21일 오전 11시, 이범석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여순사건을 '공산주의자가 극우 정객들과 결탁해 일으킨 반국가적 반란'이라고 규정하고,[24][25] 국군 내의 '주모자는 여수 연대장이었던 오동기(吳東起)'라고 지목했다.[25]
10월 22일, 이범석은 '반란군에 고한다'는 제목의 포고문에서 '반란군이 일부 그릇된 공산주의자와 음모 정치가의 모략적 이상물이 되었다'면서 '극우정객'을 재차 언급하였다.[24] 같은 날 김태선 수도경찰청장도 여론몰이를 했다. 그는 10월 1일 발생했던 '혁명 의용군 사건'에 대한 수사발표를 통해 이범석과 자신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이범석, 김태선 등이 자기를 여순사건의 배후에 있는 극우파로 지목하자 김구는 분개하였다.
10월 27일, 김구는 여순사건 진압 직후 공식 기자회견을 열어 "극우분자가 금번 반란에 참여했다는 말을 이해할 수 없다"며 반박하였고, 그의 반박문이 조선일보를 통해 보도되었다.[23]
급히 열린 임시국회에서 국회의원 정광호는 극우가 참가했다는 국방부 장관의 발표 때문에 민심이 나쁘다며 극우가 참가했다는 발표에는 정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윤치영은 극우가 참가한 것만은 사실이라고 계속 주장했다.[26]
김구는 여순 사건을 반란, 테러로 규정했다. 10월 28일의 공개 담화에서 김구는 '순진한 청년들이 용서할 수 없는 죄를 범하였으며', '반도(叛徒, 공산주의자)들의 목적은 북한 정권을 남한에 연장시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규정했다.[27] 10월 30일 담화에서는 여수, 순천 등지의 반란을 '집단 테러 활동'으로 규정하고, "부녀와 유아까지 참살하였다는 보도를 들을 때에 그 야만적 소행에 몸서리쳐지지 않을 수 없다"고 발표하였다.[28]
4. 2. 김구의 반박과 진상 규명 노력
김구는 여순 사건을 반란이자 테러로 규정했다. 그는 10월 28일 발표한 담화를 통해 '순진한 청년들이 용서할 수 없는 죄를 범했다'고 비판했다.[27] 10월 30일 담화에서는 여수, 순천 등지의 반란을 '집단 테러 활동'으로 규정하고, "부녀와 유아까지 참살하였다는 보도를 들을 때에 그 야만적 소행에 몸서리쳐지지 않을 수 없다"고 강하게 비난했다.[28]김구는 극우 세력이 이번 반란에 참여했다는 주장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10월 27일 기자회견을 통해 "극우분자가 금번 반란에 참여했다는 말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23]
임시 국회에서 국회의원 정광호는 국방부 장관이 극우 세력의 참가를 발표하여 민심이 나쁘다며, 발표 내용에 정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26]
5. 사건의 결과 및 영향
1948년 여수시와 순천 등 전라남도 동부 지역에서 진압군과 경찰은 민간인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반란군 협조자 색출 작업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2,500여 명의 민간인이 억울하게 살해당했다.
이승만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강력한 반공 체제를 구축하였다. 군 내부적으로는 공산주의자들을 숙청하는 '숙군 작업'을 벌이는 한편, 1948년 12월 1일에는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좌익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색출 및 처벌에 나섰다.[29]
여순사건 이후 서수(序數) '4'는 대한민국 국군의 독립 부대명에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14연대는 없어졌고, 4연대는 20연대로 재편되었다.
사건 처리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좌익 세력 숙청은 매우 가혹하였고, 반란군뿐만 아니라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 8000명이 살해되었다.[13] 많은 이들이 일본으로 밀항하여 망명, 재일 한국·조선인이 되는 배경이 되었다.[11]
이러한 대량 학살 사건이 다발적으로 발생한 배경으로, 진압 및 숙청에 나선 지휘관들 중 김백일 등과 같이 과거 일본군 소속으로 북지·만주 등에서 공산당 토벌에 참여했던 경력을 가진 자들이 많았고, 그들의 일본군 시절 경험이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있다.[12]
사건 발생 후 피난을 위해 일본으로 탈출·밀입국하여 재일한국인이 된 사람들도 많았다. 김무광(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에 따르면, 사건 발생 후 공산주의자들의 반정부 활동과 보수파의 주도권 다툼으로 정정 불안이 심화되고 경제적 어려움도 심각해져 결과적으로 "많은 조선 사람들이 바다를 건너 일본에 몰래 입국"했으며, 그 정확한 수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1946년~1949년 사이에 검거·강제송환된 밀입국자 수는 5만 명 가까이[16]에 달하고, 미검거자를 그 3배~4배로 추산하면 밀입국자 총수는 20만 명~25만 명 규모가 된다는 것이다.[17]
사건 후 제주도와 마찬가지로 지역 전체에 국가 반역의 낙인이 찍힌 주민들은 긴 침묵을 강요당했다. 사건의 전모가 공개된 것은 민주화 선언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였다.
5. 1. 군 내부 숙청과 박정희의 연루
1948년 남로당 군사부책이던 이재복[30]과 그의 비서 겸 군사연락책 김영식이 체포되는 과정에서 남로당 조직 명단이 입수되었고, 여기서 당시 소령이었던 박정희의 이름이 처음 발견되었다.[31][32] 김안일 특무과장은 김영식을 통해 남로당 세포들을 확인했으며, 이재복의 명단에서 박정희 소령의 이름을 발견했다고 증언했다.[31]박정희는 남로당 입당원서에 도장을 찍거나 여수·순천 사건에 직접 가담하지는 않았지만, 가족과 가까웠던 이재복의 재량으로 명단에 이름이 올라 있었다. 이재복은 박정희의 셋째 형인 독립운동가 박상희의 친구였다. 수사팀장 김창룡은 박정희와 이재복의 개인적인 친분을 확인하고 박정희가 남로당 고위 간부일 가능성을 의심하여 1948년 11월 11일 박정희를 체포한다.[31]
1949년 2월 8일 군사재판 1심에서 박정희는 무기징역, 파면, 급료 몰수형을 선고받았으나, 김점곤 1연대 정보주임, 강측모 전 함경북도지사, 백선엽 육본 정보국장의 노력으로 심사 장관 조치에서 징역 15년으로 감형되었다.[31] 이후 박정희는 수사측이 이미 가지고 있던 남로당 명단에 조직 구도를 그려내며 수사에 협조했고, 재심에서 백선엽 대령, 김안일 방첩과장, 김창룡 대위 세 사람의 보증을 받고 집행 정지 판결로 풀려나 민간인이 되었다.[33][34]
이후 남로당 연루 혐의로 미국 유학 대상자에서 제외되기도 했지만,[35] 1954년 박정희 준장은 6개월간의 미국 유학을 마치고 2군 포병단장으로 발령받았고,[36] 1958년에는 비밀취급 인가가 취소되어 예편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35]
5. 2. 국가보안법 제정과 반공 체제 강화
여수·순천 사건은 이승만 정부가 국가보안법을 제정(1948년 12월 1일)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3] 국가보안법은 반국가단체의 활동을 규제하고,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이후 한국 사회에서 반공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정부는 학도호국단을 창설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반공 체제를 강화했다.5. 3. 사회적 영향과 후유증
여수·순천 사건으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자료에 따라 사망자는 2,976명에서 3,392명, 실종자는 약 82명, 부상자는 1,407명에서 2,056명에 달했으며, 주택 5,242채가 파괴되었다. 특히 진압 과정에서 정부군에 의해 439명에서 2,000명에 이르는 민간인이 학살되었다는 사실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밝혀지기도 했다.[13]이 사건으로 이승만은 한국군 내부에 남로당 당원들이 침투해 있음을 인지하고 대대적인 숙청 작업을 실시했다. 그 결과 1948년에는 장교 18명과 병사 1,693명이, 1949년에는 장교 224명과 병사 2,440명이 군 복무에서 해임되었다.[10] 또한, 이 사건을 계기로 1948년 12월 1일 국가보안법이 제정되었으며,[15] 학도호국단이 창설되었다.
사건 이후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밀항하여 재일한국인이 되는 배경이 되었다.[11] 김무광(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에 따르면, 1946년~1949년 사이에 검거·강제송환된 밀입국자 수는 5만 명 가까이[16]에 달하고, 미검거자를 그 3배~4배로 추산하면 밀입국자 총수는 20만 명~25만 명 규모가 된다고 한다.[17]
이 사건은 오랫동안 금기시되었으며, 진실 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한 노력은 민주화 선언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반란 부대가 제14연대와 제4연대였던 것에서 '4'라는 숫자는 불길하게 여겨져 이후 한국 육군의 부대 번호에서 빠졌다.
6. 미국의 개입
미국은 제주 4·3 사건 개입과 마찬가지로 여수·순천 사건에도 군사적, 물적으로 개입했다. 당시 한국에 주둔하고 있던 미군 때문에 개입하게 되었는데, 미군 고문관들이 여수에 파견되어 대한민국 국군을 지원했고, 그들의 임무는 "대한민국 내 반란 세력의 진압 및 제거"였다. 미국은 송호성을 진압군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제임스 H. 하우스먼(James H. Hausman)을 송호성의 군사 보좌관으로 파견했다. 이 사건 당시 미국은 지상군을 파병하지 않았지만, 각 정부군 부대에 파견된 미군 고문관들은 군사적 권한을 행사하며 군사 작전을 통제하고 지휘했다.[9]
7. 진실·화해를 위한 노력
대한민국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여순사건을 재검토하여, 정부군이 439명에서 2,000명에 이르는 지역 민간인을 살해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0]
참조
[1]
뉴스
국가폭력 단죄하지 않으면 문명 국가로 갈 수 없다
https://www.pressian[...]
[2]
웹사이트
Yeosu and Suncheon incident
http://terms.naver.c[...]
[3]
서적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Libe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Regimes, 1945–1947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서적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and U.S. Foreign Policy
[5]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University of Hawai-i Press
[6]
서적
The Korean War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7]
서적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 U.S.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Monthly Review Press
[8]
웹사이트
439 civilians confirmed dead in Yeosu-Suncheon Uprising of 1948 New report by the Truth Commission places blame on Syngman Rhee and the Defense Ministry, advises government apology
http://english.hani.[...]
2009-01-08
[9]
서적
빨갱이의 탄생
도서출판 선인
[10]
웹사이트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
http://contents.hist[...]
[11]
뉴스
【その時の今日】「在日朝鮮人」北送事業が始まる
https://japanese.joi[...]
2010-08-23
[12]
웹사이트
満洲国軍朝鮮人の植民地解放前後史 ―日本植民地下の軍事経験と韓国軍への連続性―
http://jak.main.jp/i[...]
日本韓国研究会
2023-11-07
[13]
뉴스
Famillies commemorate 8,000 civilian victims the Korean War at Jogye Temple Bereaved family members demand a government apology and compensation for civilian victims
http://english.hani.[...]
2009-12-15
[14]
간행물
LIFE
1948-11-15
[15]
서적
韓国の軍隊――徴兵制は社会に何をもたらしているか
中央公論新社
[16]
저널
戦後における在日朝鮮人の人口現象
[17]
서적
日本帝国と東アジア
http://www.isr.or.jp[...]
統計研究会
[18]
뉴스
여순사건 양민 사망자 대부분 진압군에 희생
http://newslibrary.n[...]
1999-10-20
[19]
뉴스
여순사건 때 순천 민간인 439명 희생
https://news.naver.c[...]
2009-01-08
[20]
뉴스
여수지역 여순사건 희생자 124명
https://news.naver.c[...]
2010-10-11
[21]
뉴스
여순사건 60년에 위령탑 하나 없으니
http://news.khan.co.[...]
2008-10-21
[22]
기타
[23]
뉴스
<볼록거울> 국가보안법 제정 60돌
http://www.yonhapnew[...]
2008-08-29
[24]
뉴스
김구, 여순반란 '수괴' 될 뻔했다
http://www.ohmynews.[...]
2001-10-26
[25]
뉴스
1948-10-22
[26]
간행물
국회속기록 제1회 90호
대한민국 국회
[27]
뉴스
1948-10-28
[28]
뉴스
1948-10-30
[29]
뉴스
그때 오늘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이 시작되다
http://article.joins[...]
2010-08-13
[30]
웹사이트
노동자의 책 - 한국사회주의운동가 이재복(李在福, 1906~49)
http://www.laborsboo[...]
[31]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136)
https://www.chosun.c[...]
1998-03-22
[32]
뉴스
형님 친구 꾐에 빠져 남로당 가입
http://www.ohmynews.[...]
[33]
뉴스
좌익혐의로 무기징역... 재심서 '구사일생'
http://www.ohmynews.[...]
[34]
뉴스
사형 위기서 살아난 박정희
https://www.joongang[...]
[35]
저널
배진영의 기무사(機務司) 비록 〈3〉 5·16과 방첩부대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6-07
[36]
뉴스
[박정희 생애] 제7부 가난한 군인의 길......<195>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1998-05-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