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팔봉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팔봉면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한 면으로, 팔봉산의 여덟 개 봉우리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팔봉면으로 명명되었으며, 1995년 서산시와 서산군 통합으로 서산시 팔봉면이 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며, 특히 감자 재배가 활발하여 팔봉산 감자축제가 열린다. 주요 관광지로는 팔봉산, 고파도, 아라메길 등이 있으며, 팔봉초등학교팔봉중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성연면
    성연면은 충청남도 서산시 중앙에 위치한 분지 지형의 면으로, 교통 요충지이자 자동차산업 집적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일람리, 고남리, 오사리 등 여러 리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역사와 지리적 특징을 갖는다.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대산읍
    대산읍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하며 큰 산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다양한 지질 구조와 관광 자원을 갖춘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팔봉면 - [지명]에 관한 문서
팔봉면
팔봉면 행정복지센터
팔봉면 행정복지센터
면사무소팔봉면 팔봉1로 392
홈페이지팔봉면 행정복지센터
일반 정보
광역시도충청남도
시군구서산시
면적51.36
세대1,692
세대 조사2017년 5월 31일
인구3,546
인구 조사2017년 5월 31일
법정리9
행정리22
57

2. 명칭의 유래

팔봉산(해발 361.5m)은 여덟 개의 봉우리가 줄지어 서 있는 산이다. 조선 시대에는 노지면, 영풍창면, 문현면 등 3개 면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여 어느 면에도 속하지 않아 특별한 기록이 없었다. 팔봉산에 대한 기록은 1691년 호산록에 처음 등장하는데, "군의 서쪽 해안에 있는데 여덟 봉우리가 산 위에 나열되어 있으므로 팔봉산이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3] 현재의 팔봉면이라는 지명은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주변 지역을 통폐합할 때 팔봉산(八峰山)의 '팔봉(八峰)'에서 명칭을 따서 만들어졌다.[3]

3. 연혁


현재 리옛 군, 면옛 동리
어송리서산군 영풍창면송티리, 어은리, 정자동
진장리서산군 영풍창면, 태안군 동이면고성리, 진산리, 장북리, 고굴리, 역리 각 일부
금학리서산군 영풍창면, 서산군 문현면소길리, 추학리, 금곡리, 마전리, 우길리 각 일부
흑석리서산군 영풍창면, 서산군 문현면흑석리, 잉하리
대황리서산군 영풍창면, 서산군 문현면황곡리, 대동리, 방길리 일부
호리서산군 영풍창면, 서산군 문현면내호리, 외호리
덕송리서산군 영풍창면, 서산군 문현면덕동, 상송리
양길리서산군 문현면사양리, 우길리, 방길리 일부
고파도리태안군 북일면고파도리

4. 행정구역

팔봉면은 9개의 법정리(고파도리, 금학리, 대황리, 덕송리, 양길리, 어송리, 진장리, 흑석리, 호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리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고파도리(古波島里): 조선 시대에는 서산군과 태안군에 나뉘어 속해 있다가 1895년(고종 32년) 태안군에 통합, 1994년에 서산시로 편입. 고려 시대 군사 주둔지였던 파지도에서 지명 유래.[6][7][8]
  • 금학리(金鶴里): 조선 시대 금곡리(金谷里)와 마전리(麻田里)가 1895년 4개 마을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에 다시 통합. 금곡리의 '금(金)'자와 추학리(秋鶴里)의 '학(鶴)'자를 따서 지어짐.[9] 안학만 신부가 서산본당교회를 처음 세운 곳으로 천주교 초기 전파 지역.[9]
  • 양길리(陽吉里): 조선 시대 문현면 방길리(方吉里)와 항점리(缸店里)가 1895년 4개 리로 나뉘었다가 1914년 통합. 사양동의 '양(陽)' 자와 방길리, 우길리의 '길(吉)' 자를 따서 지어짐.[10] '뱅길리'라는 5일장이 섰고, 1927년 팔봉초등학교 설립으로 면내 중심 기능.[10]
  • 대황리(大黃里): 조선 시대 대동리(大洞里)와 지파동리(地把洞里)가 1895년 대동리와 황곡리(黃谷里)로 바뀌었다가 1914년 통합. 대동리의 '대(大)'자와 황곡리의 '황(黃)'자를 따서 지어짐.[11] 황골(黃谷)은 가을 단풍이 아름다워 붙여진 이름.[11]
  • 흑석리(黑石里): 조선 시대 문현면 흑석리와 잉복리(仍卜里)가 1895년 3개 리로 분할되었다가 1914년 통합. 흑석2리 1반에 있던 큰 검은돌에서 지명 유래.[12] 가로림만 동남쪽에 위치하여 과거 어족 자원 풍부.[12]
  • 호리(虎里): 조선 시대 문현면 호두리(虎頭里)가 1895년 내(內)호두리와 외(外)호두리로 나뉘었다가 1914년 통합. 호랑이 머리 형상에서 지명 유래, '범머리', '부머리'라고도 불림.[13] 호3리는 조선 중기 파지도만호진(波知島萬戶鎭)이 있던 곳으로 구도(舊島)라고도 불림.[13] 1930년대 인천 간 정기여객선 운행.[13]
  • 덕송리(德松里): 조선 시대 문현면 덕동리(德洞里)가 1895년 덕동리, 상송리(上松里), 하송리(下松里)로 나뉘었다가 1914년 덕동리와 상송리가 합쳐짐. 덕동리의 '덕(德)' 자와 상송리의 '송(松)' 자를 따서 지어짐.[14]
  • 어송리(漁松里):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어은동, 송티리, 정자동을 합병, 팔봉면으로 편입. 어은동(漁隱洞)의 '어(漁)'자와 송티리(松峙里)의 '송(松)'자를 합쳐 만듦.[15] 팔봉산 기슭에 위치, 소나무가 많음.[15]
  • 진장리(榛墻里): 조선 시대 서산군 영풍창면과 태안군 동이도면의 여러 지역에 걸쳐 있다가 1914년 통합. 진산리(榛山里)의 '진(榛)'자와 장북리(墻北里)의 '장(墻)'자를 따서 지어짐.[16] ‘진(榛)’은 개암나무로 덮여 있던 작은 봉우리에서 유래.[16]

4. 1. 고파도리

고파도리는 면적이 1.01km2인 작은 섬이지만, 조선 시대에는 이 작은 섬에 2개의 군이 있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서산군 문현면 고파도리와 태안군 북일도면 고파도리로 나뉘어 있었다. 나뉘어 있던 두 동리는 1895년(고종 32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하나로 합쳐져 태안군 북일면 고파도리가 되었다. 199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는 태안군에서 서산군 팔봉면 고파도리가 되면서 현재까지 서산시 소속이다.[6]

고파도라는 지명은 고려 때 군사 주둔지였던 파지도(波知島)에서 유래했다.[7] 파지도는 조선 태종 때 팔봉면 호리로 수영(水營)을 옮기면서 옛 파지도섬 또는 고파지도로 불렸고, এখান থেকেই 지금의 고파도(古波島)라는 이름이 유래했다.[8]

4. 2. 금학리

금학리는 조선 시대 노지면 금곡리(金谷里)와 마전리(麻田里) 2개 리가 있었으나,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풍창면으로 소속이 바뀌면서 마전리에서 추학리(秋鶴里)가, 금곡리에서 소길리(小吉里)가 분리되어 총 4개 마을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마전리, 추학리, 금곡리, 소길리, 문현면 우길리를 합쳐 하나의 동리로 만들었다. 금학리란 이름은 금곡리(金谷里)의 '금(金)'자와 추학리(秋鶴里)의 '학(鶴)'자를 따서 지어졌다.[9]

금학리는 논보다 밭이 많고 비옥하여 삼과 약초 재배가 발달하였다.[9]

금학리는 서산 지역에서 천주교가 일찍 전파된 곳 중 하나이다. 1914년 서산 지구 초대 신부로 부임한 안학만 신부가 금학리 118번지에 서산본당교회를 처음 세웠다. 최초로 세워진 서산본당교회 자리에는 현재 공소가 있고, 성모동산이라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9]

4. 3. 양길리

양길리는 조선시대에 문현면 방길리(方吉里)와 항점리(缸店里) 2개 리였다가,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 때 문현면 사양동(斜陽洞), 오류동(五柳洞), 방길리(方吉里), 우길리(牛吉里) 4개 리로 나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인근의 여러 리를 합쳐 하나의 동리로 통합하였는데, 사양동, 오류동과 방길리, 우길리의 각 일부를 합하여 한 동리를 만들었다. 이때 사양동의 '양(陽)' 자와 방길리와 우길리의 '길(吉)' 자를 따서 양길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0]

양길리는 '뱅길리'라는 이름으로도 유명했는데, 이는 조선시대 양길리의 옛 지명인 방길리의 방언인 '뱅길'이라는 이름으로 5일장이 섰기 때문이다. 팔봉면뿐만 아니라 지곡면, 성연면에서도 이 장을 많이 이용했다. 1927년 팔봉초등학교가 이 마을에 세워지면서 면소재지가 아님에도 면내 중심 기능을 계속 맡아왔다.[10]

4. 4. 대황리

대황리는 조선 시대 문현면 대동리(大洞里)와 지파동리(地把洞里)였다가,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 때 대동리는 그대로 유지되고 지파동리가 황곡리(黃谷里)로 바뀌어 대동리와 황곡리가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대동리와 황곡리, 방길리(현재의 양길리) 일부를 합쳐 대황리가 되었다. 대황리라는 명칭은 대동리의 '대(大)'자와 황곡리의 '황(黃)'자를 따서 지어졌다.[11]

1895년부터 1914년까지 독립된 행정 동리였던 황골(黃谷)은 현재 자연마을 이름으로만 남았지만, 한때는 대황리보다 유명했다. 황골이라는 이름은 이 마을이 서산 지방에서 산이 높고 골짜기가 깊은 지대로, 으름, 머루, 다래덩굴과 온갖 관목류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차 있어 가을이면 붉게 단풍이 들어 절경을 이루었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11]

4. 5. 흑석리

흑석리는 조선 시대에 문현면 흑석리와 잉복리(仍卜里) 2개 리로 되어 있었다.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 때 흑석리는 그대로 유지되고, 잉복리는 잉복리와 월곡리(月谷里) 2개 마을로 분할되어 문현면 흑석리, 잉복리, 월곡리 총 3개 리로 분할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흑석리, 월곡리와 잉복리의 일부를 합해서 현재의 흑석리 지역이 되었다.[12]

흑석(黑石)리는 이름에서 유래를 추측할 수 있듯이 1911년 간행된 『조선지지자료』에 거믄돌[黑石里] 등 관련 명칭이 확인되는데, 흑석2리 1반의 들 가운데에 볏섬만큼이나 큰 검은돌이 있었다고 전해져 생긴 지명이다. 과거에 논밭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큰 검은돌을 없애 현재는 존재하지 않아 문헌과 구전으로만 전해진다.[12] 흑석리는 가로림만의 동남쪽에 위치해 풍부한 어족이 서식할 수 있는 자연조건으로 1945년 광복 직후까지만 해도 마을 앞 바다에서 뱅어, 곤쟁이가 잡히는 등 바닷고기가 풍부했던 곳이다.[12]

4. 6. 호리

호리는 조선 시대에 문현면 호두리(虎頭里)였다.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 때 호두리는 내(內)호두리와 외(外)호두리 2개로 나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두 개 리가 합쳐지면서 현재의 호리가 되었다.[13] 호두리나 호리는 모두 호랑이와 관련된 지명으로, 호리1리 1반 지역의 지형이 입을 크게 벌린 호랑이 머리 같다 하여 호두(虎頭)라는 이름을 얻었고 마을 이름도 여기서 유래되었다.[13] 그래서 호리는 호랑이 머리를 뜻하는 '범머리', '부머리'라고 불렸다.[13]

같은 호리지만 예전부터 호3리만 따로 구도(舊島)라 불려왔다.[13] 구도(舊島)라는 이름은 조선 중기(1600년대)까지 호3리에 파지도만호진(波知島萬戶鎭)이 있었는데, 대산읍 독곶리 황금산으로 파지도를 옮기면서 구파도영(舊波島營)이라 불렸고, 줄여서 구도(舊島)라고 불렀다.[13] 구도는 1930년대부터 구도와 인천 간 정기여객선이 운행되어 서산, 태안이 외부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는 항구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운행되지 않는다.[13] 이곳은 면소재지도 아니고 타 지역과 연결되는 중요 노선의 교차 지점도 아니었지만, 호리는 3면이 바다이고 가로림만이 남에서 북편으로 길게 뻗은 반쪽짜리 섬 모양으로 주변에 어족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13]

4. 7. 덕송리

덕송리는 조선시대에 문현면 덕동리(德洞里)였다. 1895년(고종 32년) 행정구역 개편 때 문현면 덕동리가 덕동리, 상송리(上松里), 하송리(下松里) 3개로 나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다시 덕동리, 상송리가 합해지면서 현재의 덕송리가 되었다. 덕송리(德松里)란 명칭은 덕동리(德洞里)의 '덕(德)' 자와 상송리(上松里)의 '송(松)' 자를 따서 지어졌다.[14]

4. 8. 어송리

어송리는 원래 서산군 영풍창면 어송리였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어은동, 송티리, 정자동을 합병하여 어송리라 하고, 영풍창면에서 팔봉면으로 편입되었다. 어송리는 어은동(漁隱洞)의 '어(漁)'자와 송티리(松峙里)의 '송(松)'자를 합쳐 만든 이름이다.[15] 어송리의 '송(松)' 자에서 보듯이 이 지역은 팔봉산 기슭으로 주변에 울창한 소나무가 많다.[15]

4. 9. 진장리

진장리는 조선 시대에는 서산군 영풍창면의 고성리, 장북리와 태안군 동이도면의 굴포리, 역리 등 여러 지역에 걸쳐진 지역이었다.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 때 진산리가 추가되어, 영풍창면 진산리, 고성리, 장북리로 바뀌었고 태안군 동이도면은 동이면으로, 굴포리는 고굴리로 바뀌고 역리는 그대로 역리였다.[16]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2개 군, 2개 면 소속이었던 여러 마을들이 합쳐져 진장리가 되었다. 합쳐진 구역은 서산군 영풍창면의 진산리, 고성리, 장북리를 합치고, 태안군 동이면의 역리와 고굴리의 각 일부를 합하여 현재의 진장리가 되었다. 진장리(榛墻里)란 명칭은 서산군 영풍창면 진산리(榛山里)의 '진(榛)'자와 장북리(墻北里)의 '장(墻)'자를 따서 지어졌다.[16]

진장리의 ‘진(榛)’은 이 마을 중심부에 있던 해발 20m도 안되는 작은 봉우리와 관련이 있는데, 이 산이 온통 개암나무(榛木)로 덮여 있었다고 해서 진산리(榛山里)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현재는 과수원으로 개발되어 산의 형체는 없어졌다.[16]

5. 산업

팔봉면은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특히 감자 재배가 활발하며, 팔봉산 감자축제가 열린다. 어업은 가로림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구도항고파도항이 있다. 구도항은 지방어항이고, 고파도항어촌정주어항이다.

6. 관광

팔봉면은 팔봉산, 고파도, 아라메길 등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6. 1. 팔봉산

팔봉산은 여덟 개의 봉우리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산으로,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6. 2. 고파도

고파도는 팔봉면에 속한 섬으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조용한 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

6. 3. 아라메길

아라메길은 서산시의 해안을 따라 조성된 트레킹 코스로, 팔봉면 구간은 아름다운 해안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7. 축제

팔봉산 감자축제는 매년 6월 셋째 주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간 열린다.

7. 1. 팔봉산 감자축제

팔봉산 감자축제는 2002년 제1회를 시작으로 2017년에 제16회를 맞이하였다. 축제는 매년 6월 셋째 주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간 열리며, 감자 캐기를 비롯한 다양한 체험 행사(찐감자 무료 시식, 맨손 물고기 잡기 등)를 시행한다.[1]

8. 교육

팔봉초등학교

팔봉중학교

고성초등학교 (2007년 폐교)[17]

9. 출신 인물

기자헌 (1562년~1624년)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eosan.go[...]
[2] 웹사이트 팔봉면 인사말 http://pb.seosan.go.[...] 2016-03-04
[3] 웹인용 인사말 - 읍면동 https://www.seosan.g[...] 2022-02-14
[4] 서적 팔봉면지
[5] 법령 서산시 조례 제130호 http://www2.elis.go.[...]
[6] 서적 팔봉면지
[7] 서적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8] 서적 『세조실록(世祖實錄)』
[9] 서적 팔봉면지
[10] 서적 팔봉면지
[11] 서적 팔봉면지
[12] 서적 팔봉면지
[13] 서적 팔봉면지
[14] 서적 팔봉면지
[15] 서적 팔봉면지
[16] 서적 팔봉면지
[17] 서적 팔봉면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