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안군은 서해안의 태안반도에 위치한 군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한 시대에는 신소도국과 고랍국이 위치했으며, 백제에 편입되어 성대혜현으로 불리다가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 태안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조운을 위한 운하 건설이 시도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서산군에 편입되었다가 1989년 태안군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2007년에는 허베이 스피릿호 원유 유출 사고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 태안군은 2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광, 농업,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이루어진다. 주요 관광지로는 안면도, 태안해안국립공원 등이 있으며, 매년 튤립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안군 - 고남패총박물관
고남패총박물관은 신석기 시대 유물을 중심으로 선사 시대 유물과 원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유물을 전시하며,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는 디오라마와 부대 시설을 갖춘 박물관이다. - 태안군 - 안면도서관
1993년 개관한 안면도서관은 태안군립 도서관으로 일반자료실, 어린이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열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도서, 비도서 자료를 제공하며 매주 월요일과 법정 공휴일에 휴관하고 자료실별 운영시간이 다르다. - 충청남도의 군 - 청양군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한 청양군은 칠갑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많고 백제 시대부터 역사를 지닌 1읍 9면의 농업 기반 지역으로, 충청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으며 칠갑산 도립공원 등의 관광자원과 충남도립청양대학교가 있다. - 충청남도의 군 - 부여군
부여군은 충청남도 서남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가 있던 곳으로, 역사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15면으로 구성되었고, 금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지, 온대 기후, 풍부한 백제 유적을 바탕으로 관광 및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태안군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태안군 |
한자 표기 | 泰安郡 |
로마자 표기 | Taean-gun |
Revised Romanization | Taean-gun |
McCune–Reischauer | T'aean-gun |
위치 | 대한민국 호서 지방 충청남도 |
행정 구역 | 2읍 8면 (또는 2읍 6면) |
면적 | 504.82 km² (또는 504.94 km²) |
인구 | 60,360명 (2024년 9월) (또는 61,437명 (2022년 3월)) |
인구 밀도 | 126.6 명/km² |
방언 | 충청 방언 |
행정 | |
군수 | 가세로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성일종 (국민의힘, 서산시·태안군) |
군청 소재지 | 태안읍 군청로 1 (남문리 90) |
상징 | |
군목 | 소나무 |
군화 | 동백꽃 |
군조 | 갈매기 |
![]() | |
기타 정보 | |
홈페이지 | 태안군청 홈페이지 |
2. 역사
백제 시대에 태안반도 주변은 성대혜현(省大兮縣)이라 불렸다. 통일신라 경덕왕 시대에는 소태현(蘇泰縣)이 되었고, 고려 충렬왕 시대에는 태안현(泰安縣)이 되었다.
좁고 긴 태안반도를 관통하여 조세용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하 건설 시도가 있었다. 얕은 수심의 만과 반도 북쪽의 가로림만을 남북으로 잇는 홀포운하(堀浦運河)는 12세기부터 17세기까지 공사가 진행되었으나 결국 중단되었고[8], 태안반도 끝부분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운하는 조선 시대 17세기에 완공되어 반도 남단이 안면도로 분리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군면통폐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태안군 전체가 서산군에 편입되었다.[13] 1973년 7월 1일 서산군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하였다.[12] 1986년 4월 1일 안면읍 고남출장소가 고남면으로 승격하였고, 1987년 1월 1일 이북면이 이원면으로 바뀌었다. 1989년 1월 1일, 서산군 태안읍, 안면읍, 고남면, 남면, 근흥면, 소원면, 원북면, 이원면을 관할로 태안군이 재설치되었다(2읍 6면).[13] 단, 안면읍 죽도리는 홍성군에 편입되었다.
2007년 12월 7일, 홍콩 선적의 유조선 Hebei Spirit영어, 헤이베이 스피릿호와 삼성중공업의 크레인을 운반 중이던 배가 충돌하여 엑손 발데즈호 원유 유출 사고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10000ton의 원유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여[9] 어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2. 1. 선사 시대 ~ 통일 신라 시대
안면도 고남면에서 발견된 10여 개의 패총(고남 패총군과 남면의 달산 패총군)은 모두 신석기 시대의 유적이며, 여기서 출토된 한두 점의 구석기 유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다. 이 유적과 유물들로 미루어 보아, 태안 지역에는 지금으로부터 4500~5000년경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태안 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의 유물은 없지만, 이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인 고인돌(지석묘)이 발견되었는데, 태안읍 장산리에서 7기, 고남면 고남리에서 1기 등 모두 8기가 발견되었다.[12]마한 54개국 중에서 충청남도 내에 위치했던 나라는 모두 16개국이며, 이 중에서 태안에 자리한 나라는 신소도국과 고랍국이다. 신소도국은 지금의 태안읍 동문리 백화산 기슭의 샘골이며, 고랍국은 고남면 고남리에 있었다. 마한 54개국 중에서 가장 유력한 중심국은 충남 천안의 목지국이었는데, 이 목지국의 진왕이 정치적으로 최고의 연맹장이 되어 주변 여러 나라를 통치했으며, 따라서 태안에 위치했던 신소도국은 제천 의식의 중심국 역할을 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태안은 일찍이 4세기경부터 마한의 제천 의식 중심국으로서 신앙적인 소도의 종주국이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12]
369년 근초고왕이 마한 54개국을 완전 정복하여 백제에 병합할 때, 태안에 위치했던 ‘신소도국’과 ‘고랍국’도 백제의 판도에 편입되었는데, 이때 태안은 성대혜현(省大兮懸)으로 개편된다. 백제의 성대혜현이 된 태안은 5세기 말엽부터 대륙과 통교를 하였는데, 이를 실증할 수 있는 것이 오늘날 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 중인 태안마애삼존불(마애삼불)이다.[12]
290여 년간 백제의 영토였던 성대혜현은 이후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어 소태현(또는 소주)이라 불리며 270여 년간 내려왔으나, 오늘날 신라의 문화재로 보존되어 오는 것은 매우 희소하여 석가여래좌상과 태안여상이 소장하고 있는 몇 점의 토기가 있을 뿐이다.[12]
2. 2. 고려 ~ 조선 시대
983년(고려 성종 2년), 전국이 12주로 나누어져 중앙에서 목사가 파견될 때 태안은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 되었다.[13]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지금의 홍성인 운주에 속하게 되었다.[13] 1298년(충렬왕 24년), 소태현 출신 이대순이 원나라로부터 총애를 받아 소태가 ‘태안’(泰安)으로 개칭되고 군으로 승격하였다.[13]좁고 긴 태안반도를 관통하여 조세용 곡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하를 건설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얕은 수심의 만과 반도 북쪽의 가로림만을 남북으로 잇는 堀浦運河(홀포운하)는 12세기부터 17세기까지 걸친 공사 끝에 착공을 중단했으나[8], 태안반도 끝부분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운하는 조선시대 17세기에 완공되어, 반도 남단은 안면도(安眠島)로서 본토에서 분리되었다.
1895년에 현이 군으로 변경되어 태안군이 설치되었으나,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군면통폐합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태안군 전체가 서산군에 편입되었다.[13] 당시 행정 구역 개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서산군) |
---|---|
태안군 군내면 남문리/서문리 일부/옥하리 일부/동문리 일부, 남산리/금산리/산남리/통천리 일부/원동리 일부/(남면) 송아리 일부, 천월리 일부/동문리 일부/옥하리 일부, 왕산리/신대리/신곡리/반곡리, 소곶리/송암리/대평리/흑점리, 귀실리/정과리/서문리 일부/(근서면) 장산리/삼한리 | 태안면 |
태안군 동일면 도내리/상창리/북창리 일부/창평리 일부, 삭선리/해창리 일부/우평리 일부, 금암리/산후리/조곡리/오룡리/해창리 일부/우평리 일부, 어은리/탄동리/고장리/북창리 일부 | |
태안군 동이면 물중리/고일리/물상리 일부/옥항리 일부, 항동리/흥인리/역리 일부/평신리 일부/고굴리 일부/물상리 일부/(동일면) 창평리 일부/하창리, 평촌리/천월리/평신리 일부/옥항리 일부/(군내면) 천월리 일부 | |
태안군 근서면 방두리/추동리/와야리/신동리, 낭금리/접지리/우항리/마금리 일부/용요리 일부, 수창리/용요리 일부, 석전리/운동리/궁기리/안기리/후동리 일부/석동리 일부, 신대리/신흥리/석동리 일부/후동리 일부/(안흥면) 용천리 | 근흥면 |
태안군 안흥면 가의리, 안파리/황곡리/도장리/고장리, 신진리, 신기리/정산리/죽림리/성남리/성동리 | |
태안군 이원면 관동리/외동리 일부/마방리 일부, 내동리/외동리 일부, 당하리/청산리/활곡리/태곡리/마방리 일부 | 이북면 |
태안군 북일면 마산리/사증리/중리리/하리리/태포리 일부, 장작리/사창리/태포리 일부, 내청산리/외청산리/흑점리/이화리/갈두리 일부, 굴향리/내포리/외포리/(이원면) 분지리 | |
태안군 북이면 동해리/거로리/(원이면) 원동리 일부, 반계리/상계리/상리리/정포리 일부, 방축리/귀갈리/민어포리, 신두리/수철리/두응리/정포리 일부, 산리리/연곡리/송곡리, 황곡리/항촌리 | 원북면 |
태안군 원이면 대기리/대정리/소정리/안파리/신안리/신사리/석우리/저곡리/(북일면) 월은리/저곡리/보평리/갈두리 일부, 흑점리/풍천리/삼계리/산저리/정이리/양산리/양계리/인동리 일부/삼봉리 일부, 송우리/내동리/고현리/장대리/삼봉리 일부/석문리 일부/인동리 일부, 영전리/상리/(소근면) 중미리 | |
소원면 | |
태안군 원일면 | |
태안군 소근면 | |
태안군 안상면 | 안면면 |
태안군 안하면 | |
태안군 남면(南面) 거아도리, 대산리/달곶리 일부/외잠리 일부, 대암리/당산리 일부/신성리 일부, 동산리/몽대리 일부/신월리 일부, 거온리/웅도리/신성리 일부, 장내리/몽대리 일부/달곶리 일부/신월리 일부, 내잠리/잠곡리/외잠리 일부, 원청리/당산리 일부, 진벌리/송아리 일부/(군내면) 원동리 일부 | 남면 |
2. 3. 일제 강점기 ~ 현대
- 1914년 4월 1일 :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군면통폐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태안군 전체가 서산군에 편입되었다.[12]
- 1973년 7월 1일 : 서산군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하였다.[12]
- 1986년 4월 1일 : 안면읍 고남출장소가 고남면으로 승격하였다.
- 1987년 1월 1일 : 이북면이 이원면으로 바뀌었다.
- 1989년 1월 1일 : 서산군 태안읍·안면읍·고남면·남면·근흥면·소원면·원북면·이원면 일원을 관할로 태안군이 설치되었다.[13] 단, 안면읍 죽도리는 홍성군에 편입하였다.
- 2007년 12월 7일 : 홍콩 선적의 유조선 Hebei Spirit, 헤이베이 스피릿호영어과 삼성중공업의 크레인을 운반 중이던 배가 충돌하여 엑손 발데즈호 원유 유출 사고의 3분의 1에 달하는 10000ton의 원유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9]하여 어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2. 4. 2007년 허베이 스피릿호 원유 유출 사고
2007년 12월 7일, 홍콩 선적의 유조선 헤이베이 스피릿 호가 삼성중공업의 크레인을 운반 중이던 바지선(벌크선)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9] 이 사고로 엑손 발데즈호 원유 유출 사고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1만 톤의 원유가 유출되어,[9] 태안군 해안 지역의 어업 등에 큰 피해를 입혔다.3. 지리
태안군은 한반도의 중부 지역인 서해안의 태안반도 중앙부에 위치한다. 동쪽만 서산시와 육지로 이어져 있고, 서남북 3면은 모두 바다에 둘러싸인 반도이다. 동쪽으로는 서산시, 서쪽으로는 서해, 남쪽으로는 보령군의 원산도를 마주보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경기도의 덕적군도를 바라보고 있다. 서산시는 내륙으로 연결되는 육상 교통의 유일한 관문이며, 서쪽으로 315km 나가면 중국의 산둥반도에 이르는데, 일찍이 대륙 문화가 서해를 통해 태안반도에 들어왔다.[14]
태안군의 동쪽 끝은 동경 126° 26’ (태안읍 인평리), 서쪽 끝은 동경 126° 25’ (근흥면 신진도리의 격렬비열도)이다. 북단은 북위 36° 58’ (이원면 내리), 남단은 북위 36° 23’ (고남면 고남리)이다. 국내 유일의 해안국립공원이 있는 지역으로, 해안선 길이는 530.8km이며 곳곳이 절경을 이룬다. 또한 120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분포되어 있다. 내륙은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많은 산지가 개간되어 논과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리아스식 해안은 만곡이 심하여 간척지가 잘 발달되어 있다. 안면도 천연송림과 아름다운 해안을 따라 30여 개의 해수욕장, 전설을 간직한 수많은 섬들이 있다.[15]
충청남도 서쪽 끝 태안반도는 동쪽으로 충청북도 서산시와 접하고, 나머지 세 방향은 황해와 맞닿아 있다. 대전광역시의 북서쪽 181km, 서울의 남서쪽 174km 거리에 있으며, 두 도시에서 자동차로 1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해안선의 총 길이는 530.8km이며, 크고 작은 130여 개의 섬들이 있다. 특히 반도 남쪽 끝 안면도(安眠島)는 면적 118km2로 한국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다. 섬에는 소나무를 중심으로 한 안면도 자연휴양림이 있다. 안면도의 소나무는 습도가 높은 기후와 돌이 적은 토양 덕분에 옹이가 없고 곧게 자라는 목재로 귀하게 여겨져 왔다. 해수욕 외에도 섬 많은 바다에 지는 아름다운 석양과 풍부한 해산물도 관광객을 끈다.
태안반도 내륙에는 소나무 숲이 있으며, 언덕 위까지 농지로 개간되었고, 연안에는 간척한 농지가 펼쳐져 있다. 해안 지역에서는 굴과 전복 등의 양식업이 활발하다.
- 섬 - 안면도(安眠島), 가의도(賈誼島), 석도(石島)(태안군), 화창도花昌島|화창도중국어, 격렬비열도(格列飛列島)
4. 행정 구역
태안군의 행정 구역은 2읍 6면, 65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태안군의 면적은 504.99km2이며, 인구는 2016년 5월 31일 기준으로 30,160세대, 63,520명이다. 인구의 43.8%가 태안읍에, 14.8%가 안면읍에 거주하여 읍 지역에만 전체의 59%에 달하는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1970년에는 현재의 태안군 일대에 거주하는 주민수가 10만 5120명에 달하였다.[16]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태안읍 | 泰安邑 | 12,409 | 28,807 | 87.63km2 |
안면읍 | 安眠邑 | 4,732 | 9,278 | 91.49km2 |
고남면 | 古南面 | 1,336 | 2,590 | 27.8km2 |
남면 | 南面 | 2,264 | 4,599 | 60.65km2 |
근흥면 | 近興面 | 2,958 | 5,714 | 52.97km2 |
소원면 | 所遠面 | 2,867 | 5,651 | 69.36km2 |
원북면 | 遠北面 | 2,379 | 5,002 | 74.14km2 |
이원면 | 梨園面 | 1,213 | 2,380 | 40.95km2 |
태안군 | 泰安郡 | 30,160 | 63,520 | 504.99km2 |
읍·면 | 법정리 | 비고 |
---|---|---|
태안읍 | 남문리, 남산리, 동문리, 도내리, 삭선리, 반곡리, 산후리, 상옥리, 송암리, 어은리, 인평리, 평천리, 장산리 | |
안면읍 | 승언리, 신야리, 정당리, 중장리, 창기리, 황도리 | 안면도 |
고남면 | 고남리, 누동리, 장곡리 | 안면도 |
소원면 | 모항리, 법산리, 소근리, 송현리, 시목리, 신덕리, 영전리, 의항리, 파도리 | |
원북면 | 대기리, 동해리, 마산리, 반계리, 방갈리, 신두리, 양산리, 이곡리, 장산리, 청산리, 황촌리 | |
근흥면 | 가의도리, 신진도리, 도황리, 두야리, 마금리, 수룡리, 안기리, 용신리, 정죽리 | |
이원면 | 관리, 내리, 당산리, 사창리, 포지리 | |
남면 | 진산리, 몽산리, 달산리, 당암리, 거리, 신온리, 신장리, 원청리, 양잠리 |
5. 인구
연도 | 총인구(명) |
---|---|
1960년 | 89,095 |
1970년 | 100,830 |
1975년 | 107,736 |
1980년 | 98,658 |
1985년 | 93,788 |
1990년 | 83,493 |
1995년 | 62,566 |
2000년 | 65,928 |
2005년 | 58,739 |
2010년 | 53,888 |
2015년 | 59,723 |
2017년 | 61,170 |
6. 산업
태안군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3조 9,712억 원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1.4%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277억원으로 8.3%,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573억원으로 1.44%를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3조 5,863억 원으로 90.31%를 차지한다. 3차 산업에서는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54.6%), 건설업(6.3%), 공공행정(4.74%), 숙박 및 음식점업(3.5%)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2]
2014년 태안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19,087명으로 충청남도 총 종사자 수의 2.3%를 차지한다. 농림어업(1차 산업) 종사자는 38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815명(4.3%),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8,218명(95.4%)이다. 2차 산업 비중은 충청남도 전체(32.8%)보다 낮고, 3차 산업 비중은 충청남도 전체(66.7%)보다 높다. 3차 산업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22.8%), 도소매업(16.1%), 건설업(9.3%),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9.2%)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3]
6. 1. 개요
태안군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53,063명이고 주간인구는 55,621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5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907명, 유출인구는 69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87명, 유출인구는 146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2,558명 더 많은데,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24]태안군의 어업은 손으로 잡는 어업, 배를 이용한 어업, 그리고 양식업이 혼합되어 있으며, 주요 어종은 봄에는 꽃게, 여름에는 문어와 오징어, 늦여름부터 가을에는 오징어, 가을에는 대합, 겨울에는 바지락이다.
2차 산업으로는 태안읍 삭선리에 농공단지가, 장산리에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있다. 태안농공단지는 태안읍 삭선리에 위치한 79625m2의 산업단지이다. 입주업체의 인력난 해소를 군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시설(8억원), 운전자금(3억원) 이외 공장가동 후 추가 정책자금도 알선 지원한다. 인근 대산항을 통하여 연간 화물 200만 톤 규모로 수출입이 가능하고, 저렴한 토지가격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수월하며 적극적으로 행정력을 동원 지원하고 있다. 또한 13억 인구의 중국과 최단거리 위치로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게 될 요충지로 육성하고 있다.[18]
한때 Mgame(엠게임)이 서울 구로구 본사를 태안읍으로 이전하려 했으나, Mgame의 부실 경영으로 무산되었고, 고객 지원 부서만 이전되었다. 현재 그 부지는 Mplay Park(엠플레이 파크)가 자리 잡고 있다.
대한통운 항공(Korea Express Air)의 본사는 태안군에 있다.[3]
6. 2. 농업
태안군은 농특산물 공동브랜드 《꽃다지》를 이용하고 있으며, 쌀, 육쪽마늘, 고추, 고구마, 사과, 화훼류, 생강, 포도, 가공류, 바닷물 절임배추 등에 적용하고 있다.[19] 또한 축산에도 《쇠고기 이력제》를 시행하여 안전하고 신뢰를 받을 수 있는 한우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20]태안군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3조 9,712억 원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277억 원으로 8.3%의 비중을 차지한다.[22]
6. 3. 어업
태안군의 어업은 손으로 잡는 어업, 배를 이용한 어업, 그리고 양식업이 혼합되어 있으며, 주요 어종은 봄에는 꽃게, 여름에는 문어와 오징어, 늦여름부터 가을에는 오징어, 가을에는 대합, 겨울에는 바지락이다.[23]종류 | 항구 이름 |
---|---|
국가어항 | 모항항, 안흥항 |
지방어항 | 구매항, 몽산포항 |
어촌정주어항 | 가경주항, 개목항, 당암항, 대야도항, 만대항, 연포항, 의점포항, 정산포항, 청산항, 탄개포항, 황골항, 황도항, 황포항 |
6. 4. 관광업
태안군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다. 특히, 해안선을 따라 발달한 해수욕장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은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주요 자원이다.
- '''주요 관광지'''
- 안면도
- 태안해안국립공원
-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 안면도쥬라기공원
- 신두리 해안사구
- '''해수욕장'''
태안군에는 다음과 같은 해수욕장들이 있다.[18]
이름 | 주소 |
---|---|
갈음이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산147-46 (마을) |
곰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온리 903-13 (마을) |
구례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황촌리 810-6 (마을) |
구름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157 (마을) |
기지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560-1 (마을) |
꽃지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산29-100 (일반) |
꾸지나무골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 498-1 (마을) |
달산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달산리 995-16 (마을) |
두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산12-1 (마을) |
마검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온리 2-1 (마을) |
만리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1325-52 (일반) |
몽산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신장리 353-58 (일반) |
바람아래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422-44 (마을) |
밧개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1831-3 (마을) |
방주골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산83 (마을) |
방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산18-459 (마을) |
백사장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1269-135 (마을) |
사목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 739-3 (마을) |
삼봉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1304-3 (일반) |
샛별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신야리 산19-1 (마을) |
신두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1414-26 (마을) |
안면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정당리 산28-55 (마을) |
어은돌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1097-18 (마을) |
연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도황리 1526-170 (일반) |
의항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산81-1 (마을) |
장돌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493-2 (마을) |
장삼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603-1 (마을) |
천리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978-2 (마을) |
청포대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원청리 512-3 (마을) |
통개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130-22 (마을) |
파도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595-1 (마을) |
학암포 해수욕장 |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방갈리 515-121 (일반) |
매년 4월 중순부터 한 달 동안 태안 세계 튤립 축제가 열린다. 2015년 세계 튤립 정상회의(WTS)에서 세계 5대 튤립 축제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넓은 바다와 모래사장, 수백만 송이의 튤립을 감상할 수 있다. 전통 민속 체험, 마술 체험, 비눗방울 쇼, 아로마 체험 등 다양한 행사도 함께 진행된다.[5]
안면도는 면적 118㎢로 한국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다. 섬에는 소나무를 중심으로 한 안면도 자연휴양림이 있다. 안면도의 소나무는 습도가 높은 기후와 돌이 적은 토양 덕분에 옹이가 없고 곧게 자라는 목재로 귀하게 여겨져 왔다. 해수욕 외에도 섬 많은 바다에 지는 아름다운 석양과 풍부한 해산물도 관광의 매력이다. 태안반도 내륙에는 소나무 숲이 있으며, 언덕 위까지 농지로 개간되었고, 연안에는 간척한 농지가 펼쳐져 있다. 또한 해안 지역에서는 굴과 전복 등의 양식업이 활발하다.
6. 5. 기타 산업
태안농공단지는 태안읍 삭선리에 있는 79625m2 규모의 산업단지이다. 군에서는 입주업체의 인력난 해소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시설(8억원), 운전자금(3억원) 외에 공장 가동 후 추가 정책자금도 알선 지원한다. 인근 대산항을 통해 연간 화물 200만 톤 규모로 수출입이 가능하고, 저렴한 토지가격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수월하며 행정력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13억 인구의 중국과 최단 거리에 있어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게 될 요충지로 육성하고 있다.[18]대한통운 항공(Korea Express Air)의 본사는 태안군에 있다.[3]
태안군의 어업은 손으로 잡는 어업, 배를 이용한 어업, 양식업이 혼합되어 있으며, 주요 어종은 봄에는 꽃게, 여름에는 문어와 오징어, 늦여름부터 가을에는 오징어, 가을에는 대합, 겨울에는 바지락이다.
2차 산업으로는 태안읍 삭선리에 농공단지가, 장산리에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있다.
한때 엠게임(Mgame)이 서울특별시 구로구 본사를 태안읍으로 이전하려 했으나, 엠게임의 부실 경영으로 무산되었고, 고객 지원 부서만 이전되었다. 현재 그 부지는 엠플레이 파크(Mplay Park)가 자리 잡고 있다.
7. 교통
국도 제32호선(태안~대전선)은 태안에서 시작하여 서산, 당진, 예산, 공주를 거쳐 대전까지 이어진다. 국도 제77호선도 태안군을 지난다.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안면도 영목항과 보령시 대천항 사이를 해상으로 잇는 총연장 14km의 원산안면대교가 완공되어,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와 태안군 고남면 간 이동이 더 빨라졌다.[3]
태안군에는 태안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시외버스로는 태안시외버스터미널과 안면버스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
대한통운 항공(Korea Express Air)의 본사가 태안군에 있다.[3]
8. 교육
충청남도태안교육지원청이 태안읍에 위치하고 있다.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 |
---|
태안초등학교 |
백화초등학교 |
송암초등학교 |
화동초등학교 |
안면초등학교 |
방포초등학교 |
안중초등학교 |
창기초등학교 |
고남초등학교 |
남면초등학교 |
삼성초등학교 |
근흥초등학교 |
안흥초등학교 |
소원초등학교 |
모항초등학교 |
시목초등학교 |
원북초등학교 |
대기초등학교 |
이원초등학교 |
9. 주요 기관
- 한서대학교 태안캠퍼스 - 한서대학교 항공학부가 있으며, 길이 1.18km, 폭 25m의 활주로 1본 및 관제시설을 포함한 태안비행장을 갖추고 있다. 세스나 C172SP (자가용, 사업용 및 계기한정 훈련용) 23기, Seminole PA-44 (다발엔진 훈련용) 2기, Kingair C90GT 1기 (터보프롭 및 다발엔진 훈련용), 세스나 Citation CJ1+ 1기 (제트 형식한정 훈련용), SOC AT-4 LSA 4기 (경량항공기 훈련용), EXTRA 330LT 1기 (비정상자세 회복 훈련용), Enstrom 480B 2기 (헬리콥터 자가용 훈련용), Beechcraft 1900D 2기 (항공기사용사업용) 등으로 운항실습을 한다. 국가 지정 전문교육기관으로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 항공교통관제교육원, 항공기술교육원을 보유하고 있다.
- 태안해양경비안전서
- 태안소방서
- 태안경찰서
10. 자매 도시
태안군은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하고 있다.
구분 | 지역 | 위치 |
---|---|---|
국내 | 서울특별시 서초구 | 대한민국 |
경상남도 고성군 | 대한민국 | |
충청북도 제천시 | 대한민국 | |
경기도 광명시 | 대한민국 | |
경기도 수원시 | 대한민국 | |
국외 | 밀워키 | 미국 위스콘신주 |
태안 | 중국 산둥성 |
10. 1. 국내
10. 2. 국외
태안군은 국외 도시와 교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2]
웹사이트
천리포수목원
http://www.chollipo.[...]
[3]
웹사이트
Home
http://www.keair.co.[...]
2012-11-04
[4]
잡지
South Korea Test Fires New Ballistic Missile
https://thediplomat.[...]
2017-04-07
[5]
웹사이트
코리아플라워파크
http://www.koreaflow[...]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웹사이트
http://www.taean.go.[...]
[8]
웹사이트
http://www.geocities[...]
[9]
뉴스
http://news.bbc.co.u[...]
[10]
웹사이트
Du-ung Wetland Ramsar Sit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7-07-27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13]
웹인용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2018-09-06
[14]
웹사이트
태안군지-위치
http://www.taean.go.[...]
2012-04-26
[15]
웹사이트
태안군의 위치
http://www.taean.go.[...]
2012-04-26
[16]
웹사이트
태안군의 인구현황
http://www.taean.go.[...]
2011-08-24
[17]
기관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18]
웹사이트
태안농공단지
http://www.taean.go.[...]
2012-04-27
[19]
웹사이트
공동브랜드 꽃다지
http://www.taean.go.[...]
2012-04-27
[20]
웹사이트
쇠고기 이력제 도입
http://www.taean.go.[...]
2012-04-27
[21]
웹사이트
태안 지역 특산물
http://www.taean.go.[...]
2012-04-27
[22]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23]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24]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