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자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루자도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에 속한 현으로, 움브리아주 면적의 약 75%를 차지하며, 동쪽으로는 마르케주, 서쪽으로는 토스카나주, 남쪽으로는 라치오주와 접한다. 현청 소재지는 페루자이며, 폴리뇨, 치타 디 카스텔로, 스폴레토, 구비오 등의 도시가 주요 도시이다.
페루자 지역은 기원전 6세기에 에트루리아인에 의해 건국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테베레강과 그 지류가 흐르는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발전했다. 1860년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페루자도와 테르니주로 나뉘었다.
페루자도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과 유적지로 유명하며, 페루자 시의 11월 4일 광장, 마조레 분수, 움브리아 국립 미술관 등이 주요 관광 명소이다. 또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과 관련 수도원 시설군, 스폴레토의 산 살바토레 성당과 클리툰노의 작은 신전 등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곳도 있다. 이 지역은 검은 송로버섯, 부활절 피자, 카스텔루초 렌즈콩, 노르차 살라미 등 다양한 특산물과 요리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주 - 라치오주
라치오주는 이탈리아 중부에 위치하여 티레니아해와 접하고, 로마를 포함한 5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며, 구릉지와 산악 지형,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 활동이 특징인 지역이다. - 이탈리아의 주 - 캄파니아주
캄파니아주는 이탈리아 남부에 위치하며 티레니아해에 면하고, 그리스 문화와 로마 문화를 거쳐 농업, 식품 산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나폴리가 주요 도시이다. - 이탈리아의 도 - 스폴레토
스폴레토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페루자현에 위치한 도시로, 아펜니노산맥 구릉 지대에 자리 잡았으며 고대 움브리아인의 거점이었고 로마 식민 도시로 발전, 중세 시대에는 스폴레토 공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건축물과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 이탈리아의 도 - 몬테로니다르비아
몬테로니 다르비아는 아시아노, 부온콘벤토 등과 인접해 있으며, 세례자 성 요한 교구 교회, 성 야고보와 성 크리스토퍼 교회 등의 명소가 있고, 화가 체사레 마카리가 킨치아노 마을에 거주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페루자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공식 명칭 | 페루자 현 (Provincia di Perugia) |
| 현 종류 | 현 |
| 위치 | 이탈리아 움브리아주 |
| 중심 도시 | 페루자 |
| 행정 구역 | |
| 코무네 수 | 59 |
| 주요 코무네 | 아시시 바스티아 움브라 치타디카스텔로 콜차노 폴리뇨 구비오 마르시아노 스폴레토 토디 움베르티데 |
| 지리 | |
| 면적 | 6,334 제곱킬로미터 |
| 좌표 | 북위 43도 6분 43.56초 동경 12도 23분 19.68초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 664,155 명 (2015년 1월 1일 기준)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경제 | |
| GDP 총액 (2015년) | 164억 3,600만 유로 |
| 1인당 GDP (2015년) | 24,785 유로 |
| 행정 | |
| 수반 | 스테파니아 프로이에티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CET (+1) |
| 여름 시간대 | CEST (+2) |
| 우편 번호 | 06010-06089, 06100 |
| 전화 지역 번호 | 075, 0578, 0742, 0743 |
| ISTAT 코드 | 054 |
| ISO 3166-2 | IT-PG |
| 차량 번호판 | PG |
| 공식 웹사이트 | 페루자 현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에트루리아인이 기원전 6세기에 페루자를 건국했을 가능성이 높다. 페루자 지역은 움브리아와 테베레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언덕이 많고 나머지는 숲으로 덮여 있다. 테베레강과 그 지류인 치아세이오, 네스토레, 나야, 키아나강 유역에 위치해 있고,[3] 남부 지역은 언덕이 덜하다.
1840년판 ''페니 백과사전''에는 페루자가 로마시에 필요한 정육의 거의 절반을 공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많은 수의 소는 테베레강과 그 지류의 물로 관개된 평야 지역에서 자라는 풀을 먹고 자랐다. 페루자 지역은 로마, 비테르보, 스폴레토, 리에티에 이어 교황령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지역이었다.[3]
트라시메노 호는 이탈리아 중부에서 가장 큰 호수로 페루자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 호수에는 폴베세, 마조레, 미노레의 세 개의 섬이 있으며,[2] 둘레는 약 약 48.28km이지만 비교적 얕다. 인근 언덕의 샘에서 물이 공급된다.[3]
2. 1. 위치 및 인접 지역

움브리아주에 속한 2개의 현 중 북동쪽에 위치한 현으로, 움브리아주 면적의 약 75%를 차지한다. 동쪽으로는 마르케주, 서쪽으로는 토스카나주, 남쪽으로는 라치오주와 접하고 있다. 현청 소재지 페루자는 테르니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84km, 시에나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89km, 안코나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107km, 피렌체에서 남동쪽으로 약 118km, 수도 로마에서 북쪽으로 약 105km 거리에 있다.
인접 현은 다음과 같다.
| 방위 | 인접 현 |
|---|---|
| 북 | 페사로에우르비노현 (마르케주) |
| 북동 | 안코나현 (마르케주) |
| 동 | 마체라타현 (마르케주) |
| 남동 | 아스콜리피체노현 (마르케주) |
| 남 | 리에티현 (라치오주) |
| 남서 | 테르니현 |
| 서 | 시에나현 (토스카나주) |
| 북서 | 아레초현 (토스카나주) |
2. 2. 주요 도시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른 거주지(Località abitatait)별 인구 통계에 따르면[8], 인구 1만 명 이상의 도시는 다음과 같다.
그 외 주요 도시로는 아시시 등이 있다.
2. 3. 수계
에트루리아인이 기원전 6세기에 페루자를 건국했을 가능성이 높다. 페루자는 움브리아와 테베레 계곡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동쪽은 언덕이 많고 나머지는 숲으로 덮여 있었다. 페루자는 테베레강과 그 지류인 치아세이오, 네스토레, 나야, 키아나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3]이탈리아 중부에서 가장 큰 호수인 트라시메노 호는 페루자 지역에 있다. 트라시메노 호에는 폴베세, 마조레, 미노레의 세 개의 섬이 있다.[2] 호수 둘레는 약 약 48.28km이지만 비교적 얕다. 인근 언덕의 샘에서 트라시메노 호에 물이 공급된다.[3]
3. 역사
에트루리아인이 기원전 6세기에 페루자를 건국했을 가능성이 높다. 움브리아와 테베레 계곡은 이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언덕이 많고 나머지는 숲으로 덮여 있었다. 이 지역은 테베레강과 그 지류인 치아세이오, 네스토레, 나야, 키아나강 유역에 위치해 있고,[3] 남부 지역은 언덕이 적다.
1840년판 ''페니 백과사전''에는 페루자가 로마시에 필요한 정육의 거의 절반을 공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많은 수의 소는 테베레강과 그 지류의 물로 관개된 평야 지역에서 자라는 풀을 먹고 자랐다. 로마, 비테르보, 스폴레토와 리에티에 이어 페루자 지역은 교황령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지역이었다.[3]
이탈리아 중부에서 가장 큰 호수인 트라시메노 호는 페루자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 호수에는 폴베세, 마조레, 미노레의 세 개의 섬이 있다.[2] 이 호수는 둘레가 약 약 48.28km이지만 비교적 얕으며, 인근 언덕의 샘에서 물이 공급된다.[3]
페루자는 1860년 이탈리아 왕국에 움브리아주로 편입되었다. 당시 이 지역은 현재의 움브리아주보다 약간 더 컸으며, 남쪽의 리에티주 (현재 라치오주의 일부)를 포함했다. 페루자, 폴리뇨, 오르비에토, 테르니, 리에티, 스폴레토의 구역(''circondari'')으로 세분화되었다. 1921년, 테르니 시의회는 이 지역을 페루자와 테르니주의 새로운 주로 분리할 것을 제안했다. 1923년, 리에티는 치타두칼레와 함께 로마주(라치오주)에 편입되었고, 남은 움브리아주는 1927년에 페루자와 테르니주로 나뉘었다.
3. 1. 고대
에트루리아인이 기원전 6세기에 페루자를 건국했을 가능성이 높다. 움브리아와 테베레 계곡은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동쪽 부분은 언덕이 많은 지역이고 나머지는 숲으로 덮여 있었다. 이 지역은 테베레강과 그 지류인 치아세이오, 네스토레, 나야, 키아나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3] 남부 지역은 언덕이 덜하다.3. 2. 중세 이후
1840년판 ''페니 백과사전''에는 페루자가 로마시에 필요한 정육의 거의 절반을 공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많은 수의 소는 테베레강과 그 지류의 물로 관개된 평야 지역에서 자라는 풀을 먹고 자랐다. 로마, 비테르보, 스폴레토와 리에티에 이어 페루자 지역은 교황령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지역이었다.[3]이탈리아 중부에서 가장 큰 호수인 트라시메노 호는 페루자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 호수에는 폴베세, 마조레, 미노레의 세 개의 섬이 있다.[2] 이 호수는 둘레가 약 약 48.28km이지만 비교적 얕다. 인근 언덕의 샘에서 물이 공급된다.[3]
페루자는 1860년 이탈리아 왕국에 움브리아주로 편입되었다. 당시 이 지역은 현재의 움브리아주보다 약간 더 컸으며, 남쪽의 리에티주 (현재 라치오주의 일부)를 포함했다. 페루자, 폴리뇨, 오르비에토, 테르니, 리에티, 스폴레토의 구역(''circondari'')으로 세분화되었다.
1921년, 테르니 시의회는 이 지역을 페루자와 테르니주의 새로운 주로 분리할 것을 제안했다.
1923년, 리에티는 치타두칼레와 함께 로마주(라치오주)에 편입되었다. 남은 움브리아주는 1927년에 페루자와 테르니주로 나뉘었다.
4. 행정 구역
페루자도는 59개의 코무네(comune|코무네it, 복수: comuni|코무니it)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코무네는 선출된 지방 정부에 의해 운영된다. 이 지방 정부는 지역 계획, 지방 자치 단체 활동 관리, 환경, 에너지, 도로 유지 보수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4] 2007년 페루자도에서는 약물 과다 복용으로 25명이 사망하여, 이탈리아 내 다른 지방보다 높은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5]
4. 1. 주요 코무네
(명)(km|kmit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