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이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시스는 1969년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로, 로드 스튜어트, 로니 우드, 이안 맥라건, 케니 존스, 로니 레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1970년부터 1975년까지 활동하며 "Stay with Me"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으나, 로드 스튜어트의 솔로 활동 성공과 멤버 간의 갈등으로 해체되었다. 1986년, 1993년, 2008년 이후 여러 차례 재결합했으며, 2012년에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21년에는 새로운 음악을 녹음했다. 페이시스는 펑크 록에 영향을 미쳤으며, 4장의 정규 앨범과 1장의 라이브 앨범을 발매했다. 1974년에는 내한 공연을 가졌고, 2011년에는 후지 록 페스티벌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마더스 오브 인벤션
    마더스 오브 인벤션은 프랭크 자파를 중심으로 결성되어 실험적인 음악과 사회 비판적인 가사, 연극적인 공연 스타일로 록 음악 역사에 큰 영향을 남긴 미국의 록 밴드이다.
  • 1975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노이!
    1971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클라우스 딩거와 미하엘 로터를 주축으로 결성된 크라우트록 밴드 노이!는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과 "모터릭" 비트로 일렉트로니카, 펑크 록 등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미쳤으며, 멤버 교체와 재결합을 거쳐 2010년까지 활동했다.
  • 2009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비지스
    비지스는 기브 삼 형제를 중심으로 결성된 호주 출신 팝 그룹으로, 스키플과 록앤롤로 시작해 1970년대 디스코 음악으로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막대한 음악적 영향력을 남겼다.
  • 2009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홀 (밴드)
    1989년 코트니 러브와 에릭 얼랜드슨이 결성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홀은 1994년 앨범 《Live Through This》의 성공과 멤버 교체, 해체를 거쳐 2009년 재결합 후 2016년 다시 해체되었으며, 펑크 록, 그런지, 얼터너티브 록을 결합한 음악으로 여성 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69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어스, 윈드 & 파이어
    어스, 윈드 & 파이어는 모리스 화이트가 이끄는 미국의 펑크, 소울, R&B, 재즈 퓨전 밴드로서, 1970년대 중후반 전성기를 누리며 "샤이닝 스타" 등의 히트곡으로 빌보드 차트를 석권하고 긍정적 메시지와 사회 비판적 시각을 담은 가사, 독특한 보컬, 풍성한 악기 구성으로 많은 후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969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올맨 브라더스 밴드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1969년 조지아주 메이컨에서 결성되어 블루스, 재즈, 컨트리 융합 사운드와 즉흥 연주로 유명한 서던 록의 선구자 밴드이며, 멤버들의 비극적인 사건과 해체, 재결합을 거쳐 45년간 활동 후 해체되었지만 음악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페이시스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0년의 페이시스. 왼쪽부터: 로니 레인, 이언 맥클래건, 로드 스튜어트, 로니 우드, 케니 존스.
1970년의 페이시스. 왼쪽부터 로니 레인, 이언 맥클래건, 로드 스튜어트, 로니 우드, 케니 존스.
결성지잉글랜드 런던
장르
블루스
활동 기간1969년–1975년
2009년–2011년
2021년–현재 (재결합: 1986년, 1993년, 2012년, 2015년, 2019년, 2020년)
레이블워너 브라더스
머큐리
관련 활동스몰 페이시스
제프 벡 그룹
롤링 스톤스
더 후
웹사이트faces.com
구성원
현재 구성원케니 존스
로드 스튜어트
로니 우드
이전 구성원로니 레인
이언 맥클래건
데쓰 야마우치
제시 에드 데이비스
믹 허크널
글렌 맷록

2. 역사

1968년 말, 스티브 매리엇이 스몰 페이시스를 탈퇴하자, 남은 멤버 로니 레인, 이안 맥래건, 케니 존스제프 벡 그룹 출신의 로드 스튜어트와 론 우드를 영입해 밴드 이름을 페이시스로 변경했다.[34]

1969년 5월, 론 우드와 로드 스튜어트는 콰이어트 멜론이라는 밴드에서 아트 우드, 킴 가드너 등과 함께 활동하며 4곡을 녹음하고 몇 차례 공연을 가졌다.[2][3] 그해 여름, 우드와 스튜어트는 제프 벡 그룹에서 나와 로니 레인, 이안 맥래건, 케니 존스와 함께 정식으로 페이시스에 합류했다.[4]

페이시스는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영국, 유럽, 미국을 정기적으로 투어했으며, 1974년에는 호주, 뉴질랜드, 일본까지 투어를 진행했다.[2][8] 이들은 "Had Me a Real Good Time", "Stay with Me", "Cindy Incidentally", "Pool Hall Richard" 등의 히트곡을 냈다.

로드 스튜어트의 솔로 경력이 그룹보다 더 성공하면서, 밴드는 리드 싱어에 가려졌다.[4] 1973년 로니 레인이 리드 보컬 기회 부족 등에 대한 불만으로 밴드를 떠났고,[4][9] 그의 베이스 역할은 테츠 야마우치가 이어받았다.[4] 페이시스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 ''Ooh La La''는 레인이 밴드를 떠나기 몇 달 전에 발매되었다.[4]

1974년 라이브 앨범 ''Coast to Coast: Overture and Beginners''가 발매되었으나, 녹음 상태가 좋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10] 1974년 말 영국 20위권에 든 "You Can Make Me Dance, Sing or Anything"을 마지막으로, 1975년 론 우드가 롤링 스톤스와 함께 작업하기 시작하면서 밴드는 해체를 발표했다.

1986년 로드 스튜어트의 웸블리 스타디움 콘서트와 1993년 브릿 어워드에서 재결합 무대를 가졌고,[15] 2008년 재결합 논의가 있었다.[17] 2009년 로드 스튜어트를 제외한 멤버들이 자선 공연을 위해 재결합했으며,[23] 2010년 공식 재결성되어 페스티벌 공연을 했다.[24][25] 2012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26][27] 2015년 로드 스튜어트의 생일 파티에서 짧게 재결합 공연을 했다.[31] 2021년 7월, 케니 존스, 로드 스튜어트, 론 우드가 스튜디오에서 재결합하여 새로운 음악을 녹음했다고 보도되었다.[1]

2. 1. 결성 (1969)

1969년, 스몰 페이시스의 기타와 보컬을 맡았던 스티브 메리엇이 밴드를 떠났다.[34] 남은 멤버 로니 레인(베이스 기타), 이안 맥래건(키보드), 케니 존스(드럼)는 제프 벡 그룹 출신의 로드 스튜어트(보컬)와 론 우드(기타)를 영입했다.[4] 이들은 밴드 이름을 페이시스로 바꾸었다.[34]

새 멤버인 우드와 스튜어트의 키(각각 175cm, 178cm)가 이전 스몰 페이시스 멤버들보다 컸기 때문에, 원래 밴드 이름의 '스몰(small)'은 맞지 않게 되었다.[6] 음반 회사는 이전의 성공을 활용하고자 스몰 페이시스라는 이름을 유지하려 했지만, 밴드는 멤버 교체로 인해 완전히 다른 그룹이 되었다고 반박했다.[4] 결국 타협을 통해, 미국에서는 데뷔 앨범이 스몰 페이시스 명의로 발매되었고, 이후 앨범들은 페이시스라는 새 이름으로 발매되었다.[7]

2. 2. 활동 초기 (1970-1973)

미래의 페이시스 멤버들은 1969년 5월, 콰이어트 멜론이라는 밴드에서 처음으로 함께 활동했다. 여기에는 론 우드의 형 아트 우드, 킴 가드너가 참여했고, 론 우드와 로드 스튜어트제프 벡 그룹 활동을 잠시 중단했을 때 4곡을 녹음하고 몇 차례 공연을 가졌다.[2][3] 그해 여름, 우드와 스튜어트는 벡과 결별하고 로니 레인, 이안 맥래건, 케니 존스와 함께 정식으로 밴드에 합류했다.[4] 같은 해, 우드와 맥래건은 스튜어트의 첫 솔로 앨범 ''An Old Raincoat Won't Ever Let You Down''(미국에서는 ''The Rod Stewart Album''으로 알려짐)에 참여했다. 이 앨범에는 미키 월러, 키스 에머슨, 마틴 퓨, 마틴 퀴튼턴 등이 참여했다.[5]

우드와 스튜어트의 합류로, 원래 밴드 이름의 "스몰(small)"은 삭제되었다. 이는 두 신입 멤버가 이전 스몰 페이시스 멤버들보다 키가 컸기 때문이다.[6] 음반 회사 임원들은 이전 성공을 활용하려 했지만, 밴드는 인원 교체로 인해 매우 다른 그룹이 되었다고 주장했다.[4] 타협안으로, 미국에서는 데뷔 앨범이 스몰 페이시스 명의로 발매되었고, 이후 앨범들은 새로운 이름으로 발매되었다.[7]

페이시스는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영국, 유럽, 미국을 정기적으로 투어했으며, 그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리는 라이브 공연 중 하나였다.[8] 1974년에는 호주, 뉴질랜드, 일본까지 투어를 진행했다.[2] 이들의 히트곡으로는 "Had Me a Real Good Time", Stay with Me, "Cindy Incidentally", "Pool Hall Richard" 등이 있었다. 로드 스튜어트의 솔로 경력이 그룹의 경력보다 더 성공하면서, 밴드는 리드 싱어에 가려졌다.[4] 로니 레인은 1973년에 밴드를 떠났는데, 리드 보컬 기회가 적었던 것에 대한 불만이 탈퇴 이유 중 하나였다고 한다.[9]

2. 3. 로니 레인 탈퇴와 야마우치 테츠 영입 (1973)

로드 스튜어트의 솔로 활동이 밴드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면서, 페이시스는 리드 싱어에게 가려지게 되었다.[4] 이에 환멸을 느낀 로니 레인은 1973년에 밴드를 탈퇴했는데,[4] 그는 리드 보컬 기회가 적었던 것에 대한 불만을 탈퇴 이유 중 하나로 꼽았다.[9]

로니 레인의 베이스 역할은 테츠 야마우치(Free에서 앤디 프레이저를 대신함)가 이어받았다.[4] 페이시스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 ''Ooh La La''는 로니 레인이 밴드를 떠나기 몇 달 전에 발매되었다.[4]

2. 4. 후기 활동과 해체 (1973-1975)

로니 레인(Ronnie Lane)은 1973년에 밴드를 떠났는데,[4] 리드 보컬을 부를 기회가 더 적었던 것에 대한 불만도 탈퇴 이유 중 하나였다고 한다.[9] 테츠 야마우치(Tetsu Yamauchi)가 레인의 베이스 역할을 이어받았다.[4]

레인이 밴드를 떠나기 몇 달 전에 발매된 페이시스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은 ''Ooh La La''였다.[4] 이듬해에는 라이브 앨범 ''Coast to Coast: Overture and Beginners''가 발매되었는데, 녹음 상태가 좋지 않고 잘 기획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10] 이 앨범에는 1973년 말 투어(야마우치가 처음 참여한 투어)의 선곡들이 담겨 있었다.[10][11]

페이시스는 또 다른 스튜디오 앨범을 위해 몇 곡을 녹음했지만, 열정을 잃었고 그룹으로서의 마지막 발매는 1974년 말 영국 20위 안에 든 히트곡 "You Can Make Me Dance, Sing or Anything"이었다. 1975년 론 우드는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와 함께 작업하기 시작했고, 이는 로드 스튜어트(Rod Stewart)와 다른 멤버들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제시 에드 데이비스(Jesse Ed Davis)가 리듬 기타로 참여한 가을 미국 투어가 끝나고, 12월에 밴드는 해체를 발표했다.

2. 5. 해체 이후 (1975-2008)

멤버들은 밴드 해체 후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로드 스튜어트(Rod Stewart)는 솔로 활동으로 꾸준히 성공을 거두었다. 론 우드(Ron Wood)는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에 합류하여 정식 멤버가 되었고, 초상화가로서의 경력도 병행하고 있다.[12] 1973년 밴드를 떠난 로니 레인(Ronnie Lane)은 슬림 찬스(Slim Chance)를 결성하여 영국 싱글 차트에서 히트했지만,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1977년에는 더 후(The Who)의 피트 타운젠드(Pete Townshend)와 공동 앨범을 작업했다.[12] 그러나 다발성 경화증 진단을 받고 1979년 마지막 앨범을 낸 후 은퇴했다.[12] 케니 존스(Kenney Jones)는 세션 활동을 시작했고, 키스 문(Keith Moon) 사망 후 더 후(The Who)에 합류했다.[13] 이안 맥라간(Ian McLagan)은 롤링 스톤스(Rolling Stones)의 사이드맨으로 활동하다가 미국으로 이주하여 자신의 밴드를 결성했다.[14] 야마우치 테츠(Tetsu Yamauchi)는 일본으로 돌아가 재즈 뮤지션으로 활동하다 은퇴했다.

1986년, 페이시스는 로드 스튜어트의 웸블리 스타디움 콘서트 앙코르 무대에서 재결합했다.[15] 로니 레인은 휠체어를 타고 무대에 올라 노래했지만, 빌 와이먼(Bill Wyman)이 베이스를 연주했다.[15] 1993년 브릿 어워드(Brit Awards)에서 로드 스튜어트가 공로상을 받았을 때 같은 라인업(레인 제외)으로 다시 재결합했다.[15] 로니 레인은 1992년 로니 우드 쇼에서 이안 맥라간과 함께 마지막 콘서트 무대에 섰고, 1997년 사망했다.[15]

2. 6. 재결합 (2008-현재)

2008년 6월 11일, 로드 스튜어트는 생존해 있는 페이시스 멤버들이 재결합을 논의하고 있으며, 음반을 제작하거나 최소 한두 번의 콘서트를 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17] 11월 18일, 로드 스튜어트, 로니 우드, 이안 맥라겐, 케니 존스는 로드 스튜어트의 투어 베이시스트인 콘라드 코르쉬와 함께 "노래를 기억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리허설을 했다.[18] 같은 달 초, 밴드의 공식 재결합 웹사이트가 개설되었다.[19] 그러나 2009년 1월 23일, 로드 스튜어트의 대변인은 2009년 페이시스 재결합 투어 계획은 없다고 부인했다.[20]

2009년 9월 24일, 페이시스는 로드 스튜어트를 제외하고 런던의 로열 앨버트 홀에서 공연권 협회의 음악 멤버 자선 기금을 위한 단독 자선 공연을 위해 재결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로니 우드는 콘서트 발표 시 "이 멋지고 권위있는 행사를 위해 재결합하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특별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슬프게도 로니 레인은 우리와 함께 할 수 없지만, 그의 영혼이 함께 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신의 가호가 있기를." 레인의 전 부인인 케이티는[21] 이 자선 단체로부터 도움을 받는 많은 사람들 중 한 명이다.[22] 이 행사는 10월 25일에 열렸다. 로니 우드, 케니 존스, 이안 맥라겐이 모두 참여했으며, 스튜어트를 대신하여 믹 허크넬을 포함한 다양한 보컬리스트가 참여했고, 고인이 된 로니 레인의 베이스 기타 자리는 빌 와이먼이 채웠다.[23]

2009년 10월 로열 앨버트 홀에서 재결합한 밴드


2010년 5월 25일, 페이시스가 공식적으로 재결성되었으며, 허크넬이 보컬을, 섹스 피스톨스의 글렌 매트록이 베이스를 맡게 되었다고 발표되었다.[24] 밴드는 2010년과 2011년에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일본에서 페스티벌 공연을 했다.[25]

스몰 페이시스/페이시스는 2012년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6][27] 3월 23일, 페이시스는 19년 만에 처음으로 로드 스튜어트와 함께 헌액식에서 공연을 위해 재결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8] 하지만 행사 전날, 스튜어트는 독감으로 인해 불참했고, 허크넬이 그의 자리를 대신하여 노래를 불렀다.[29] 2013년 6월, 유튜브 인터뷰에서 케니 존스는 2014년 투어를 위해 스튜어트와 함께 밴드가 재결합할 의향이 있음을 확인했다.[30] 하지만 이안 맥라겐은 2014년 12월 3일에 사망하여 이 재결합은 불투명해졌다.

로드 스튜어트, 로니 우드, 케니 존스는 2015년 1월 로드 스튜어트의 70번째 생일 개인 파티에서 짧게 재결합한 후, 9월 5일 허트우드 폴로 클럽에서 자선을 위해 짧은 공연을 했다. 이 재결합 공연은 "40년의 기다림의 가치가 있다"는 제목으로 ''텔레그래프'' 신문에서 "5성급"으로 평하면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31]

2019년에는 비공개 행사에서 추가 재결합이 있었다. 2020년에는 로드 스튜어트로니 우드, 케니 존스와 재결합하여 해당 연도의 브릿 어워드 시상식의 피날레로 "Stay with Me"를 공연했다.

2021년 7월 19일, 케니 존스, 로드 스튜어트, 로니 우드가 스튜디오에서 재결합하여 새로운 음악을 녹음했다고 보도되었다.[1]

3. 음악적 영향

페이시스는 더 후롤링 스톤스와 같은 동시대 밴드에 비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후대의 록 음악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4] 그들의 기본으로 돌아간 로큰롤 사운드는 펑크 록 밴드인 더 댐드와 섹스 피스톨스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언급되었다.[4]

페이시스의 정력적이고, 종종 술이 많이 들어간 라이브 공연 및 스튜디오 앨범은 더 댐드, 뉴욕 돌스, 섹스 피스톨스와 같은 밴드의 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펑크 무브먼트가 종료된 후에도, 더 리플레이스먼츠부터 블랙 크로우즈, 펄 잼, 더 찰라탄스, 화이트아웃, 스테레오포닉스와 같은 록 리바이벌리스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4. 구성원

페이시스는 1969년 로니 레인, 로니 우드, 이안 맥라겐, 케니 존스를 주축으로 결성되었으며, 이후 로드 스튜어트가 합류하여 활동했다.[4] 1973년 로니 레인이 탈퇴하고 야마우치 테츠가 베이스를 맡았으며,[4] 1975년에는 제시 에드 데이비스가 리듬 기타로 잠시 참여했다.[1]

이후 여러 차례 재결합을 통해 빌 와이먼, 앤디 페어웨더 로, 믹 허크넬, 글렌 매트록, 로빈 르 메쉬리에 등이 구성원으로 활동했다.

이름악기활동 기간
케니 존스드럼, 타악기1969–1975, 1986, 1993, 2009–2012, 2015, 2019, 2020, 2021–현재
로니 우드기타, 보컬, 베이스1969–1975, 1986, 1993, 2009–2012, 2015, 2019, 2020, 2021–현재
로드 스튜어트리드 보컬, 하모니카, 밴조, 기타1969–1975, 1986, 1993, 2015, 2019, 2020, 2021–현재
이안 맥라겐키보드, 백 보컬1969–1975, 1986, 1993, 2009–2012; 2014년 사망
로니 레인베이스, 보컬, 기타1969–1973; 1997년 사망
야마우치 테츠베이스1973–1975
제시 에드 데이비스리듬 기타1975; 1988년 사망
빌 와이먼베이스1986, 1993, 2009
앤디 페어웨더 로리듬 기타2009
믹 허크넬리드 보컬2009–2012
글렌 매트록베이스2010–2012
로빈 르 메쉬리에기타2015; 2021년 사망


4. 1. 타임라인

5. 음반 목록

음반명발매일
First Step1970년
Long Player1971년
A Nod Is as Good as a Wink... to a Blind Horse1971년
Ooh La La1973년
Coast to Coast: Overture and Beginners1974년


6. 한국과의 관계

페이시스는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1974년 로드 스튜어트 & 페이시스의 일본 공연과 2011년 후지 록 페스티벌 출연이 한국과 관련된 주목할 만한 사건이었다.

6. 1. 1974년 내한 공연

1974년 2월, 로드 스튜어트 & 페이시스는 일본에서 공연을 가졌다. 2월 15일과 17일 오사카 후생 연금 회관에서 공연할 예정이었으나, 이틀째 공연은 취소되었다. 그 후 2월 19일과 20일에는 일본 무도관에서 공연을 진행했다.

6. 2. 2011년 후지 록 페스티벌

2010년 페스티벌에 이어, 2011년 후지 록 페스티벌에 출연했다.[43] 2011년 후지 록 페스티벌 둘째 날 헤드라이너로 공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od Stewart, Ron Wood, Kenney Jones Reunite for New Faces Recordings https://www.rollings[...] 2021-07-19
[2] 웹사이트 Woodworks 1957–1975 http://www.nzentgraf[...] 2008-02-23
[3] 뉴스 Obituary: Art Wood: Frontman of the Artwoods https://www.independ[...] 2006-11-06
[4] AllMusic
[5] 웹사이트 The Rod Stewart Album by Rod Stewart | 731455805826 | CD | Barnes & Noble http://www.barnesand[...] Barnesandnoble.com 1998-03-31
[6] 서적 All the Rage Pan Books
[7] 문서 see the notes for the Faces' ''The Definitive Rock Collection'', Rhino Records, 2007
[8] 간행물 A Walk Through the Wood Future Publishing Ltd. 2007-05-01
[9] 간행물 Five Guys Walk into a Bar ... Rhino Records 2004-07-01
[10] 웹사이트 Coast to Coast: Overture and Beginners – Faces https://www.allmusic[...] AllMusic
[11] 문서 Liner Notes for "Overture and Beginners"
[12] 웹사이트 Pete Townshend & Ronnie Lane - Rough Mix http://www.discogs.c[...] Discogs
[13] 웹사이트 Kenney Jones https://www.allmusic[...] AllMusic 1948-09-16
[14] 웹사이트 Mac's Pages http://www.macspages[...]
[15] 웹사이트 Room for Ravers: The Legendary Majik Mijits http://www.makingtim[...] MakingTime.co.uk
[16] 웹사이트 The Complete Works of the Rolling Stones 1962–2008 http://www.nzentgraf[...]
[17] 웹사이트 It's Official: Faces Reunion http://www.tampabays[...] Mix 100.7 WMTX-FM
[18] 웹사이트 THE FACES, WITH ROD STEWART, TO START REHEARSALS ... http://www.thedailys[...] GUARDIAN (UK)
[19] 웹사이트 THE FACES OFFICIAL REUNION WEBSITE http://www.facesreun[...]
[20] 웹사이트 Rod Stewart denies Faces reunion http://newsvote.bbc.[...] Newsvote.bbc.co.uk 2009-01-23
[21] 웹사이트 Rock stars to pay tribute to Ronnie http://www.walesonli[...] 2004-04-07
[22] 뉴스 Entertainment | Faces to reform without Stewart http://news.bbc.co.u[...] 2009-09-24
[23] 웹사이트 Holding Back The Jeers: Hucknall Sings With Faces http://www.classicro[...] Classic Rock 2009-10-26
[24] 웹사이트 Mick and The Faces http://www.simplyred[...] Simply Red 2010-05-25
[25] 웹사이트 Hucknall named Faces new singer http://jam.canoe.ca/[...] Jam.canoe.ca
[26] 간행물 Rod Stewart: 'I'll Definitely Make Myself Available' for a Faces Reunion https://www.rollings[...] 2011-12-07
[27] 간행물 Rock Hall Inductees 2012: Guns N' Roses, Beastie Boys Make Grade http://www.billboard[...]
[28] 웹사이트 Rod Stewart, Faces to Reunite on Rock Hall Induction Stage https://www.spin.com[...] 2012-03-23
[29] 웹아카이브 https://news.yahoo.c[...]
[30] 웹사이트 Kenney Jones (The Faces/The Who) – Interview with Spike https://www.youtube.[...] Mad Bad & Dangerous 2013-06-12
[31] 뉴스 The Faces, Hurtwood Park Polo Club, review: 'worth the 40-year wait'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2015-09-06
[32] 웹사이트 The Small Faces/Faces https://www.rockhall[...]
[33] 웹사이트 The Small Faces / Faces https://www.rockhall[...] Rock & Roll Hall of Fame
[34] 문서 [[ピーター・フランプトン]]らと[[ハンブル・パイ]]を結成した。
[35] 문서 ザ・フーが1985年7月の[[ライヴエイド]]と1988年2月8日の[[英国レコード産業協会]]の特別功労賞の受賞式で一時的に再結成した時には、彼も参加した。
[36] 웹사이트 It's Official: Faces Reunion http://www.tampabays[...] Mix 100.7 WMTX-FM 2008-06-14
[37] 웹사이트 THE FACES OFFICIAL REUNION WEBSITE http://www.facesreun[...] 2008-11-14
[38] 웹사이트 THE FACES, WITH ROD STEWART, TO START REHEARSALS... http://www.thedailys[...] GUARDIAN (UK) 2008-11-13
[39] 웹사이트 Rod Stewart denies Faces reunion http://newsvote.bbc.[...]
[40] 웹사이트 Faces to reform without Stewart http://news.bbc.co.u[...]
[41] 웹사이트 Holding Back The Jeers: Hucknall Sings With Faces http://www.classicro[...] Classic Rock 2009-10-31
[42] 웹사이트 Mick and The Faces http://www.simplyred[...] 2010-05-25
[43] 웹사이트 Hucknall named Faces new singer http://jam.canoe.ca/[...] 2010-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