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저 (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저(Phasor)는 전자 공학 및 전기 공학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표기법으로, 일정한 진폭,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정현파를 나타낸다. 페이저 표기법은 복소수를 활용하여 정현파를 표현하며, 복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페이저는 AC 회로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키르히호프의 회로 법칙, 옴의 법칙 등 직류 회로 분석 기술을 선형 AC 회로에 적용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페이저는 진폭 변조 및 주파수 변조와 같은 아날로그 변조를 이해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류 전력 - 단상 전력
단상 전력은 소규모 지역이나 건물에서 사용되는 교류 전력 전송 방식으로, 초기 AC 전력 시스템 구축 이후 3상 전력 공급이 어려운 곳에서 상 변환기를 사용하거나 철도 전철 시스템, 일본의 저압 배전 계통 등에서 활용된다. - 교류 전력 - 역률
역률은 교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지표로, 유효 전력과 피상 전력의 비율이며,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역률 개선 장치와 자동 역률 제어 장치를 사용한다. - 전기공학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 전기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페이저 (전자) | |
---|---|
개요 | |
명칭 | 페이저 |
영어 명칭 | Phasor |
일본어 명칭 | フェーザ |
설명 | 특정 정현파를 복소수로 표현 |
정의 | |
페이저 표현 | 복소수 |
크기 | 정현파의 진폭 (A) |
위상 | 기준 시점 (t = 0)에서의 위상 (θ) |
각주파수 | ω (오메가) |
페이저 형태 | Aejθ 또는 A∠θ (A는 진폭, θ는 위상) |
활용 | |
교류 회로 해석 | 교류 회로의 전압, 전류 계산에 사용 |
장점 | 미분 방정식을 대수 방정식으로 변환하여 계산 간소화 |
적용 조건 | 선형 시불변 회로, 정상 상태 정현파 입력 |
주의 사항 | |
시간 정보 | 페이저는 특정 시점 (t = 0)의 정보만 포함.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 자체를 나타내지는 않음. |
주파수 | 페이저는 특정 주파수(ω)에서만 유효함. |
관련 개념 | |
복소 진폭 | 양자역학의 복소 확률 진폭 |
각도 | 각도 |
진폭 | 진폭 |
임피던스 | 임피던스 |
2. 표기법
'''페이저 표기법'''(각도 표기법이라고도 함)은 전자 공학 및 전기 공학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표기법이다. 극좌표가 크기 와 각도 인 벡터는 로 표기한다.[13] 는 벡터 또는 복소수 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오일러 공식에 따라 을 가지며, 둘 다 크기가 1이다.
'''페이저'''(각도 표기법이라고도 함)는 전자 공학 및 전기 공학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표기법이다. 크기 와 각도 를 갖는 극좌표 벡터는 로 표기한다.[13] 는 벡터 또는 복소수 를 나타내며, 이는 오일러 공식에 따라 을 가지며, 둘 다 크기가 1이다.
복소수 곱셈은 페이저 표기법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두 페이저 과 가 있을 때, 이들의 곱은 다음과 같다.[14]
페이저를 사용하면 DC 회로 해석 기술을 선형 AC 회로에 적용할 수 있다.[16]
각도는 도로 표시될 수 있으며, 라디안으로의 변환이 암시된다. 예를 들어 은 로 가정하며, 이는 벡터 또는 숫자 이다.
3. 정의
각도는 도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도에서 라디안으로의 변환이 암시된다. 예를 들어 은 로 가정하며, 이는 벡터 또는 숫자 이다.
복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은 페이저 표기법을 통해 간단해진다. 벡터 및 가 주어지면 다음이 참이다.[14]
:,
:.
일정한 진폭, 주파수 및 위상을 갖는 실수 값을 갖는 정현파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갖는다.
:
여기서 매개변수 만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오일러 공식에 따르면,
:
여기서 실수부는 원래의 정현파이다. 복소수 표현의 장점은 다른 복소수 표현과의 선형 연산을 통해 다른 복소수 정현파의 실수부에 대한 동일한 선형 연산을 반영하는 복소수 결과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모든 수학은 위상자 로 수행할 수 있으며, 공통 인자 는 결과의 실수부 앞에 다시 삽입된다.
함수 는 의 ''해석적 표현''이다.
4. 연산
:
즉, 크기는 서로 곱하고, 각도는 서로 더한다.
복소수 나눗셈도 마찬가지로 간단하다. 페이저 을 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14]
:
즉, 크기는 서로 나누고, 각도는 뺀다.
페이저에 복소수 상수를 곱하면 또 다른 페이저가 만들어진다. 이는 기본 사인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킨다.
:
여러 페이저를 더하면 또 다른 페이저가 만들어진다. 이는 같은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사인파)들의 합도 같은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가 되기 때문이다.
:
여기서 와 는 , , , 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페이저의 시간 미분은 상수 를 곱하는 것과 같고, 적분은 를 곱하는 것과 같다.
:
5. 응용
AC 회로에서는 유효 전력 ()과 무효 전력 (''Q'')가 존재하며, 복소 전력 및 피상 전력 ()을 정의할 수 있다. 페이저로 표현된 AC 회로의 전력 법칙은 이다. (는 의 복소 공액, 및 의 크기는 각각 전압 및 전류의 RMS 값)
이러한 기술을 통해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를 포함하는 단일 주파수 선형 AC 회로를 분석할 수 있다. 다중 주파수 선형 AC 회로나 서로 다른 파형을 가진 AC 회로는 모든 파형을 크기와 위상을 가진 사인파 성분으로 변환한 다음(푸리에 급수 사용) 각 주파수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해석할 수 있다. (중첩의 정리에 의해 허용) 이 해법은 입력이 정현파이고 모든 과도 현상이 사라진 후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적용된다.[16]
전기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데 페이저 개념이 자주 사용되며, 이 때 위상각은 임피던스에 가해진 전압과 그 임피던스를 통해 흐르는 전류 사이의 위상차이다.
3상 교류 전력 시스템 분석에서 위상자는 보통 0, 120, 240도의 각도에서 단위 크기로 표현되는 세 개의 복소 1의 세제곱근으로 정의된다. 다상 교류 회로의 양을 위상자로 취급하면 평형 회로는 단순화되고 불평형 회로는 대칭분의 대수적 조합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압 강하, 전력 흐름, 단락 전류 계산에 필요한 작업을 크게 줄여준다. 전력 시스템 분석에서 위상 각도는 종종 도로 주어지며 크기는 정현파의 피크 진폭이 아닌 RMS 값으로 주어진다.
동기 위상자 기술은 디지털 계측기를 사용하여 송전 네트워크의 광범위한 지점에서 송전 시스템 전압을 나타내는 위상자를 측정한다. 위상자 간의 차이는 전력 흐름과 시스템 안정성을 나타낸다.
페이저를 사용한 회전 프레임 그림은 진폭 변조 (및 그 변형[17]) 및 주파수 변조와 같은 아날로그 변조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여기서 괄호 안의 항은 복소 평면에서 회전하는 벡터로 생각할 수 있다.
페이저는 길이 를 가지며 초당 회전 속도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시간 에서 양의 실수축과 각도를 이룬다.
파형 는 이 벡터를 실수축에 투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변조된 파형은 이 페이저(반송파)와 두 개의 추가 페이저(변조 페이저)로 표현된다. 변조 신호가 형태의 단일 톤이고, 여기서 은 변조 깊이이고 은 변조 신호의 주파수이면, 진폭 변조의 경우 두 개의 변조 페이저는 다음과 같다.
두 개의 변조 페이저는 벡터 합이 항상 반송파 페이저와 위상이 같도록 위상이 맞춰져 있다. 다른 표현은 반송파 페이저 끝을 중심으로 반송파 페이저에 대해 속도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페이저이다. 즉,
주파수 변조는 변조 페이저가 반송파와 위상이 같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표현이다. 이 경우 변조 페이저의 벡터 합은 반송파 위상에서 90° 이동한다. 엄밀히 말하면, 주파수 변조 표현에는 등에 추가적인 작은 변조 페이저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이러한 효과는 매우 작기 때문에 무시된다.
간단한 선형 소자에 대해,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페이저 표시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5. 1. RLC 회로 예시
캐패시터(축전기)의 경우, 전류와 전압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전류와 전압을 페이저로 표시하면 각각 , 가 되고,
:
가 된다.
인덕터(코일)의 경우,
:
이며, 페이저로 표시하면,
:
가 된다.
RLC 회로의 경우,
:
이며, 각 항을 페이저로 표시하여 합하면,
:
로 나타낼 수 있다.
참조
[1]
서적
Mathematics for Engineers and Technologists
https://archive.org/[...]
Butterworth-Heinemann
[2]
서적
Basic AC Circuits
https://archive.org/[...]
Newnes
[3]
서적
The Fourier Transform and Its Applications
McGraw-Hill
[4]
서적
Electric Circuits and Networks
Pearson Education India
[5]
서적
Electromagnetic Theory for Microwaves and Optoelectronic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6]
서적
Electrical Machines & their Applications
Elsevier
[7]
서적
Fundamentals of electrical engineering
CRC Press
2012
[8]
서적
Pragmatic Electrical Engineering: Fundamentals
Morgan & Claypool Publishers
[9]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ic Circuit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0]
서적
Circuit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Cengage Learning
[11]
서적
The Forgotten Genius of Oliver Heaviside
Prometheus Books Learning
[12]
서적
Circuit Systems with MATLAB and PSpice
John Wiley & Sons
[13]
서적
Electric circuit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14]
서적
Basic AC Circuits
https://www.scienced[...]
Newnes
2000
[15]
서적
Electrical Networks
Mcgraw Hill Higher Education
2009
[16]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Wiley
[17]
간행물
About the Phasor Pathways in Analogical Amplitude Modul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ngineering and Science (IJRES)
[1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