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트루스 발데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트루스 발데즈는 12세기 말에 활동한 인물로, 발도파 운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리옹의 부유한 상인이었으나, 성경을 프랑코-프로방스어로 번역하고 가난을 설교하며 추종자들을 모았다. 발데즈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를 비판하고, 평신도의 설교권을 주장하다가 파문되었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왈도파로 불리며 박해를 받았다. 그의 사상은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발도파 교회로 이어졌다.

2. 발도파와의 관계

피터 발도는 1170년부터 1177년 사이 발도파의 창시자로 간주된다.[12][13] 많은 역사가들은, 야나 슐만을 포함하여, 페트루스 발데즈가 1170년에서 1177년 사이에 발도파를 창시했다고 본다.[6][7][4]

발도파가 페트루스 발데즈보다 먼저 존재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앙투안 모나스티어는 그의 저서 『발도파 교회 역사』(1859)에서 12세기 말 퐁칼 수도원장 베르나르의 글을 인용하여, 발도파가 루키우스 2세 재위 기간(1144년 ~ 1145년)에 생겨났다고 주장했다. 베르나르는 또한 루키우스 2세가 그들을 이단으로 정죄했지만, 그들은 1184년 교황 루키우스 3세에 의해 정죄되었다고 언급한다.[8]

모나스티어는 또한 에베라르 드 베튄이 1210년(모나스티어는 1160년이라고 주장)에 저술하면서, ''보두아''라는 이름이 "계곡 거주자" 또는 "슬픔과 눈물의 골짜기에 거주하는 자"를 의미하며, 페트루스 발데즈 이전에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고 설명한다.

19세기까지 발데즈가 어떤 새로운 운동을 시작한 것이 아니라, 예수 승천 직후 사도들이 알프스 산맥에 세운 순수한 기독교에서 유래했으며, 발데즈는 단지 이 순수한 신앙을 지속시켰다는 주장이 있었다.[4]

2. 1. 발도파의 기원

피터 발도는 1170년부터 1177년 사이 발도파의 창시자로 간주된다. 많은 역사가들은, 야나 슐만을 포함하여, 페트루스 발데즈가 1170년에서 1177년 사이에 발도파를 창시했다고 본다.

발도파가 페트루스 발데즈보다 먼저 존재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앙투안 모나스티어는 그의 저서 『발도파 교회 역사』(1859)에서 12세기 말 퐁칼 수도원장 베르나르의 글을 인용하여, 발도파가 루키우스 2세 재위 기간(1144년 ~ 1145년)에 생겨났다고 주장했다. 베르나르는 또한 루키우스 2세가 그들을 이단으로 정죄했지만, 그들은 1184년 교황 루키우스 3세에 의해 정죄되었다고 언급한다.

모나스티어는 또한 에베라르 드 베튄이 1210년(모나스티어는 1160년이라고 주장)에 저술하면서, ''보두아''라는 이름이 "계곡 거주자" 또는 "슬픔과 눈물의 골짜기에 거주하는 자"를 의미하며, 페트루스 발데즈 이전에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고 설명한다.

19세기까지 발데즈가 어떤 새로운 운동을 시작한 것이 아니라, 예수 승천 직후 사도들이 알프스 산맥에 세운 순수한 기독교에서 유래했으며, 발데즈는 단지 이 순수한 신앙을 지속시켰다는 주장이 있었다.

2. 2. 초기 발도파의 활동

1170년부터 1177년 사이 피터 발도는 발도파의 창시자로 간주된다.[12][13]

3. 생애와 업적

왈도의 삶에 대한 세부 사항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 현존하는 자료에 따르면 그는 리옹 출신의 부유한 의류 상인이자 상인이었고, 어느 정도 학식이 있는 사람이었다. 성공적인 상인으로 자리매김한 후 왈도는 수도사들에게 성경을 번역하여 필사하도록 의뢰했다.[4] 리옹의 성직자들은 신약성경방언인 "로망스어"(프랑코-프로방스어)로 번역했다. 이로 인해 왈도는 라틴어가 아닌 '현대 언어'로 된 유럽 최초의 성경 번역본을 제공한 인물로 인정받게 되었다.

왈도는 성경과 교부들의 저술을 읽으면서 순수함과 완전함의 개념에 매료되었다.[4] 1173년 순수함을 추구하기 위해 그는 순회 가수가 성 알렉시우스에 대한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듣고 가난을 받아들였다. 알렉시우스는 예수처럼 가난하게 살기 위해 많은 유산과 아름다운 신부를 포기했다.[4] 왈도는 가진 모든 것을 팔고, 결혼과 집을 포기했으며, 두 어린 딸을 수녀원에 보냈다.[4]

왈도는 롬바르디를 돌아다니며 구걸하고 가난의 가치를 설교하기 시작했다. 롬바르디 지역은 당시 종교 개혁 운동의 온상이었으며, 그중 많은 운동이 나중에 가톨릭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여기에는 카타르파, 후밀리아티, 알비겐스파, 스페로니스트 등이 포함된다. 왈도가 추종자를 모으고 그들이 자체 교리를 결정하면서 이러한 다른 개혁 운동과 많은 특징을 공유했는데, 이로 인해 역사가들은 그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많은 종교적 아이디어의 기원을 파악하기 어려워졌다.[4] 이 다른 집단의 지도자들과 달리 왈도는 가톨릭 교회의 사제직이나 어떤 종교 단체에도 가입한 적이 없었다.[4]

성 알렉시우스에 대한 소식을 듣는 것 외에도, 왈도가 가난을 받아들이고 설교하기로 결정하는 데 기여했을 수 있는 다른 사건으로는, 성변화에 대한 거부가 사형으로 간주되었을 때 그것을 거부한 것과 저녁 식사 중에 친구가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하게 사망한 것 등이 있다. 이 시점부터 그는 급진적인 기독교 생활을 시작하여 재산을 아내에게 넘기고, 남은 소유물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으로 분배했다. 대략 이 시기에 왈도는 단순함과 가난에 대한 자신의 생각, 특히 "두 주인을 섬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하나님과 맘몬을 섬길 수 없다"는 것을 바탕으로 공개적으로 설교하고 가르치기 시작했다.[9]

왈도의 모범에 영감을 받아 추종자들이 생겨났고, 그들은 신자 공동체로 성장했다. 1170년까지 왈도는 "리옹의 가난한 자", "롬바르디의 가난한 자", 또는 "하나님의 가난한 자"라고 불리는 많은 추종자를 모았다. 그들은 행상인으로 여행하면서 자신들의 가르침을 전파했다. 종종 왈도파라고 불리는 그들은 알비겐스파나 카타리파와는 구별되었다. 왈도파 운동은 처음부터 평신도 설교, 자발적 가난, 성경의 엄격한 준수로 특징지어졌다.

1179년 1월, 왈도와 그의 제자 중 한 명은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로마 교황청의 환영을 받은 로마로 갔다. 그들은 보편적 사제직, 민간어 또는 지역 언어로 된 복음, 자발적 가난의 문제 등 당시 교회 내에서 논쟁이 벌어지던 문제들을 포함하여 세 명의 성직자 패널 앞에서 그들의 신앙을 설명해야 했다. 회의 결과는 결정적이지 않았다. 교황은 왈도파의 가난 서약을 확인했지만, 평신도라는 이유로 설교를 계속하는 것을 금지했다.[4] 왈도와 그의 추종자들은 이 금지에 반발하여 설교와 선교 활동을 늘렸다. 그들은 계속해서 추종자를 모으고 가톨릭교회와 다른 교리를 선포하기 시작했는데, 그 예로는 여성 포함 모든 자격 있는 신자가 교회 당국의 허가 없이 성경을 설교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었다.[4] 또한 연옥, 죽은 자를 위한 기도, 면죄부에 반대하는 설교를 시작했다.[4] 그들은 가톨릭교회에 의해 파문당했다. 1180년대 후반까지 그들은 이단으로 추적당했다. 이러한 박해는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그들의 설교를 더욱 증가시켰다.[4] 왈도파는 무기나 맹세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교리를 발전시켰고, 이로 인해 그들은 가톨릭 의식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다.[4] 가톨릭 교회는 그들에게 배교를 혐의를 씌웠다.[4]

왈도가 리옹 대성당의 가고일로 묘사됨: 그는 마치 미치광이처럼 속이 빈 머리를 하고, 하나님 앞에서 몸을 낮추는 대신 하늘을 향해 설교하고 있다.


왈도는 자신이 교황의 과도함과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 연옥과 성변화 등을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교리를 요한계시록의 "바빌론의 창녀"라고 말했다.

왈도의 사상은, 운동 자체는 아니지만, 같은 해 3월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비난받았다. 왈도파 운동의 지도자들은 아직 파문당하지 않았다.

1180년, 왈도는 여전히 현존하는 신앙 고백을 작성했다.

리옹에서 쫓겨난 왈도와 그의 추종자들은 피에몬테의 높은 계곡과 프랑스 뤼베롱에 정착하여 신약성경에 근거한 기독교를 추구했다. 결국 왈도는 1184년 베로나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교황 루치우스 3세에 의해 파문당했다. 리옹의 가난한 자들의 교리는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다시 비난받았고, 그들은 처음으로 이 집단을 언급하며 그들의 원칙을 이단으로 선언했다. 교회의 억압을 두려워한 왈도의 추종자들은 왈도 복음주의 교회에서 이탈리아 북부의 산악 지역으로 도망쳤다.

3. 1. 초기 생애와 회심

페트루스 발데즈는 리옹 출신의 부유한 의류 상인이었다.[4] 어느 정도 학식이 있었던 그는 성공적인 상인으로 자리매김한 후, 수도사들에게 성경 번역을 의뢰했다.[4] 리옹의 성직자들은 신약성경방언인 "로망스어"(프랑코-프로방스어)로 번역했다.[4] 이를 통해 왈도는 라틴어가 아닌 '현대 언어'로 된 유럽 최초의 성경 번역본을 제공한 인물로 인정받게 되었다.

성경과 교부들의 저술을 읽으면서 왈도는 순수함과 완전함의 개념에 매료되었다.[4] 1173년, 그는 순회 가수가 성 알렉시우스에 대한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듣고, 가난을 받아들여 가진 모든 것을 팔고, 결혼과 집을 포기했으며, 두 어린 딸을 수녀원에 보냈다.[4] 왈도는 롬바르디를 돌아다니며 구걸하고 가난의 가치를 설교하기 시작했다.[4]

성변화에 대한 거부가 사형으로 간주되었을 때 그것을 거부한 것과 저녁 식사 중 친구의 갑작스러운 죽음 등도 왈도가 가난을 받아들이고 설교하기로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급진적인 기독교 생활을 시작하여 재산을 아내에게 넘기고, 남은 소유물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으로 분배했다.[9] 또한 "두 주인을 섬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하나님과 맘몬을 섬길 수 없다"는 것을 바탕으로 공개적으로 설교하고 가르치기 시작했다.[9]

왈도의 모범에 영감을 받은 추종자들이 생겨났고, 1170년까지 "리옹의 가난한 자", "롬바르디의 가난한 자", 또는 "하나님의 가난한 자"라고 불리는 많은 추종자를 모았다.[4] 그들은 행상인으로 여행하면서 자신들의 가르침을 전파했다. 왈도파 운동은 평신도 설교, 자발적 가난, 성경의 엄격한 준수를 특징으로 했다.[4]

1179년 1월, 왈도와 그의 제자 중 한 명은 로마로 가서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로마 교황청의 환영을 받았다. 그들은 보편적 사제직, 민간어 또는 지역 언어로 된 복음, 자발적 가난의 문제 등을 설명해야 했다. 회의 결과는 결정적이지 않았고, 교황은 왈도파의 가난 서약을 확인했지만, 평신도라는 이유로 설교를 계속하는 것을 금지했다.[4]

왈도와 그의 추종자들은 이 금지에 반발하여 설교와 선교 활동을 늘렸다. 그들은 여성 포함 모든 자격 있는 신자가 교회 당국의 허가 없이 성경을 설교할 권리가 있다는 것과 연옥, 죽은 자를 위한 기도, 면죄부에 반대하는 설교를 했다.[4] 왈도는 자신이 교황의 과도함과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 연옥과 성변화를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교리를 요한계시록의 "바빌론의 창녀"라고 말했다.

왈도의 사상은 1179년 3월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비난받았지만, 왈도파 운동의 지도자들은 아직 파문당하지 않았다.[4] 1180년, 왈도는 여전히 현존하는 신앙 고백을 작성했다.[10] 리옹에서 쫓겨난 왈도와 그의 추종자들은 피에몬테의 높은 계곡과 프랑스 뤼베롱에 정착하여 신약성경에 근거한 기독교를 추구했다. 1184년 베로나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교황 루치우스 3세에 의해 파문당했고, 리옹의 가난한 자들의 교리는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다시 비난받았다.[4] 교회의 억압을 두려워한 왈도의 추종자들은 왈도 복음주의 교회에서 이탈리아 북부의 산악 지역으로 도망쳤다.[11]

3. 2. 성경 번역과 설교

피터 발도는 평신도들에게 성경을 가르치기 위해 수도사들에게 의뢰하여 신약성경방언인 프랑코-프로방스어(로망스어)로 번역했다.[4] 이는 라틴어가 아닌 '현대 언어'로 된 유럽 최초의 성경 번역본으로 평가받는다.[4] 그는 성경과 교부들의 저술을 읽고 순수함과 완전함의 개념에 매료되었으며, 1173년 성 알렉시우스에 대한 노래를 듣고 가난을 받아들였다.[4] 이후 재산을 처분하고 롬바르디를 돌아다니며 가난의 가치를 설교하기 시작했다.[4]

왈도는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 하나님과 맘몬을 섬길 수 없다"는 것을 바탕으로 설교하고 가르쳤다.[9] 그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은 추종자들이 생겨났고, 이들은 "리옹의 가난한 자", "롬바르디의 가난한 자", 또는 "하나님의 가난한 자"라고 불렸다.[4] 왈도파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알비겐스파나 카타리파와는 구별되며, 평신도 설교, 자발적 가난, 성경의 엄격한 준수를 강조했다.

1179년, 왈도와 그의 제자는 로마 교황청을 방문하여 교황 알렉산데르 3세에게 신앙을 설명했지만, 평신도의 설교는 금지당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왈도와 추종자들은 설교와 선교 활동을 계속하였고, 여성 포함 모든 자격 있는 신자가 성경을 설교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연옥, 죽은 자를 위한 기도, 면죄부에 반대했다.[4]

왈도는 교황의 과도함과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 연옥성변화 등을 비판하며, 이러한 교리를 요한계시록의 "바빌론의 창녀"라고 칭했다.[4] 결국 왈도는 1184년 베로나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교황 루치우스 3세에 의해 파문당했고,[11] 그의 추종자들은 왈도 복음주의 교회에서 이탈리아 북부 산악 지역으로 피신했다.[11]

3. 3.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

페트루스 발데즈는 리옹 출신의 부유한 상인으로, 1173년경 성 알렉시우스에 대한 노래를 듣고 가난을 결심, 재산을 처분하고 설교를 시작했다.[4] 그는 성경을 프랑코-프로방스어로 번역하여 평신도들에게 전파했는데, 이는 '현대 언어'로 된 최초의 유럽 성경 번역본 중 하나였다.[4] 그는 롬바르디를 돌아다니며 가난의 가치를 설교했고, 많은 추종자들이 생겨나 "리옹의 가난한 자" 또는 왈도파로 불렸다.[4]

1179년, 발데즈는 교황 알렉산데르 3세를 만나 신앙을 설명했지만, 평신도는 설교할 수 없다는 이유로 설교가 금지되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데즈와 그의 추종자들은 설교를 계속하며 보편적 사제직, 여성의 설교권, 연옥 부정 등 가톨릭 교회와 다른 교리를 주장했다.[4] 그들은 가톨릭교회에 의해 파문당하고 이단으로 몰려 박해를 받았으며,[4] 발데즈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를 요한계시록의 "바빌론의 창녀"라고 비판했다.[4]

1184년, 교황 루치우스 3세는 발데즈를 파문했고, 왈도파는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선언되었다.[11] 왈도파는 왈도 복음주의 교회에서 이탈리아 북부 산악 지역으로 피신하여 신앙을 이어갔다.[11]

3. 4. 피터 발도의 최후

왈도의 삶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4] 현존하는 자료에 따르면 왈도는 리옹 출신의 부유한 상인이었고, 어느 정도 학식이 있는 사람이었다.[4] 그는 성경과 교부들의 저술을 읽으면서 순수함과 완전함의 개념에 매료되었고, 1173년 경 가난을 받아들여 재산을 아내에게 넘기고 남은 소유물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으로 분배했다.[4] 이후 왈도는 "두 주인을 섬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하나님과 맘몬을 섬길 수 없다"는 것을 바탕으로 공개적으로 설교하고 가르치기 시작했다.[9]

왈도는 롬바르디를 돌아다니며 구걸하고 가난의 가치를 설교하기 시작했다.[4] 1170년까지 "리옹의 가난한 자" 등으로 불리는 많은 추종자를 모았고, 행상인으로 여행하면서 가르침을 전파했다.[4] 1179년 1월, 왈도와 그의 제자 중 한 명은 로마로 가서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로마 교황청의 환영을 받았다.[4] 그들은 세 명의 성직자 패널 앞에서 신앙을 설명해야 했지만, 회의 결과는 결정적이지 않았다.[4] 교황은 왈도파의 가난 서약을 확인했지만, 평신도라는 이유로 설교를 계속하는 것을 금지했다.[4]

왈도와 그의 추종자들은 이 금지에 반발하여 설교와 선교 활동을 늘렸다.[4] 그들은 여성 포함 모든 자격 있는 신자가 교회 당국의 허가 없이 성경을 설교할 권리가 있다는 것과 연옥, 죽은 자를 위한 기도, 면죄부에 반대하는 설교를 했다.[4] 왈도는 자신이 교황의 과도함과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 연옥과 성변화 등을 비판했다.[4] 그는 이러한 교리를 요한계시록의 "바빌론의 창녀"라고 말했다.[4]

왈도의 사상은 1179년 3월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비난받았지만, 왈도파 운동의 지도자들은 아직 파문당하지 않았다.[4] 1180년, 왈도는 여전히 현존하는 신앙 고백을 작성했다.[10] 리옹에서 쫓겨난 왈도와 그의 추종자들은 피에몬테의 높은 계곡과 프랑스 뤼베롱에 정착하여 신약성경에 근거한 기독교를 추구했다.[4] 결국 왈도는 1184년 베로나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교황 루치우스 3세에 의해 파문당했다.[4] 리옹의 가난한 자들의 교리는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다시 비난받았고, 그들은 처음으로 이 집단을 언급하며 그들의 원칙을 이단으로 선언했다.[11]

4. 사상과 신념

4. 1. 청빈과 단순한 삶

4. 2. 성경 중심의 신앙

4. 3. 평신도의 설교권

4. 4. 가톨릭 교회의 비판

5. 유산과 영향

5. 1. 종교 개혁에 미친 영향

5. 2. 현대 발도파 교회

5. 3. 한국 개신교에 주는 교훈

참조

[1] 웹사이트 Waldo http://www.dictionar[...]
[2] 웹사이트 Britannicarum Ecclesiarum Antiquitates: Quibus Inserta Est Pestiferæ Adversùs Dei Gratiam À Pelagio Britanno in Ecclesiam Inductæ Hæreseos Historia. Accedit Gravissimæ Quæstionis De Christianarum Ecclesiarum Successione & Statu Historica Explicatio. A Jacobo Usserio .. https://books.google[...] impensis Benj. Tooke 1687-02-19
[3] 웹사이트 Petrus Waldus und Franz von Assisi: Ein Vortrag auf Veranstaltung des Evangelischen Vereins für Kirchliche https://books.google[...] Schultze 1854-02-19
[4] 서적 The Rise of the Medieval World 500-1300: A Biographical Dictionary (The Great Cultural Eras of the Western Worl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2
[5] 서적 Faiths Across Time: 5,000 Years of Religious History [4 Volumes]: 5,000 Years of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23-03-07
[6] 웹사이트 Waldenses https://www.britanni[...] 2019-01-28
[7] 웹사이트 Waldens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9-01-28
[8] 웹사이트 Waldens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9-01-28
[9]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10] 웹사이트 The Waldensian Confessions of Faith (Circa 1120) {{!}} Reformed Theology at A Puritan's Mind https://www.apuritan[...] 2023-01-01
[11] 간행물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http://www.encyclope[...] Gale Group 2017-08-08
[12] 웹인용 Waldenses https://www.britanni[...] 2019-01-28
[13] 웹인용 Waldens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9-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