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도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도파는 12세기 교회 분열과 성직자들의 세속화에 반발하여 일어난 기독교 평신도 운동이다. 창시자 피터 발도는 재산을 처분하고 순회 설교를 시작했으며, 그의 추종자들은 청빈과 복음을 강조했다. 발도파는 교회의 설교권 독점과 성경 번역을 거부당하고 이단으로 규정되었으나,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으로 확산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지속적인 박해를 받았으며, 종교개혁 시기에 개신교와 접촉하여 개혁 신학을 받아들였다. 19세기에는 사르데냐 왕국에서 시민권을 얻고, 현대에는 이탈리아 감리교회와 연합하여 활동하고 있다. 발도파는 20세기 나치 시대에 유대인 구출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여성 안수와 동성 결혼 축복을 허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발도파

2. 역사

발도파의 뿌리는 당시 사회적 현상의 맥락에 있다. 교회대분열 이후 12세기가 끝나면서 유럽에서는 왕국제도 형식의 서방교회를 구축하며 심각한 정치적 개입 문제와 창부정치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많은 기독교 평신도들이 성직자의 비리와, 세속화, 신앙생활의 침체에 대한 책임 등의 다양한 이유들 때문에 능동적인 신앙생활을 추구하게 되었다. 또한 사도들이 근검절약을 통해 보였던 복음을 스스로 선포하게 되었다.[153] 이러한 평신도들의 움직임은 성직자들로부터 낙인찍히게 된 발도파, 카타르파(Katharer) 그리고 후밀리안(Humiliaten)들을 성직자들과 프란치스카회 같은 교회의 규정들로부터 낙인찍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종교개혁으로 향하는 신학적 유사성들로 인해 발도파는 "전종교개혁"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16세기경에 활동한 이스트리아 출신의 루터교 신학자 Matthias Flacius Illyricus는 자신의 "Catalogus testium veritatis"에서 발도파를 „Protestanten vor der Reformation(종교개혁 이전의 개신교도들)“이라고 소개한다.


  • 1177년 피터 발도가 리옹에서 순회설교자와 되어 신앙공동체를 세우다.
  • 1179년 발도파가 교황 알렉산데르 3세에게 자신들의 설교권 인정을 청원하다.
  • 1182-1183 발도파가 리옹에서 추방당하다. 공동체의 확산이 시작되다.
  • 1184년 교황 루치오 3세가 베로나 공의회에서 발도파를 이단으로 지정하다.
  • 1218년 피터 발도의 사망. 발도파는 같은 해 베르가모에서 성도의 "회"와 "조직"을 만듦.
  • 1231년 발도파가 처음으로 독일 트리어에 들어왔다는 기사.
  • 1335-1353 보헤미아 남부에서 종교재판관 Gallus von Neuhaus에 의한 발도파박해
  • 1391-1398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종교재판관 페트러스 쯔비커에 의한 극심한 박해
  • 1532년 알프스산 코티, 루베론, 칼라브리아의 발도파들이 개혁교회와 접촉하다.
  • 1545년 루베론에서 발도파 박해받다.
  • 1561년 칼라브리아의 발도파 공동체가 진멸당하다.
  • 1655년 피에몬테의 수많은 발도파들이 대량학살에 희생되다.
  • 1685년 프랑스 왕 루이 14세가 크리소네탈에서 개혁교회를 금했다. 그곳에 거주하던 발도파들은 스위스와 독일로 도망가야만 했다.
  • 1687년 피에몬테의 발도파들은 사보이 공작에 의해 내쫓겼다.
  • 1689년 영광스런 귀환 - 피에몬테의 발도파들은 그들의 스위스를 떠나 되돌아왔다.
  • 1698년 프랑스 발도파들은 또다시 피에몬테에서 추방당해 독일로 옮겼다.
  • 1699-1701 헤센 남부, 뷔템베르크 그리고 바덴에 발도파 거주지가 생겨났다.
  • 1805-1830 독일 발도파 공동체의 종말 - 개신교회에 흡수되었다.
  • 1848년 2월 18일 사르데냐 - 피에몬테 왕권으로 발도파에게 온전한 시민권 인정하다.
  • 1861년에 이탈리아 정부는 발도파를 법적으로 관용("culto tolerato")
  • 1929년 2월 11일에 가톨릭교회의 요청에 의해 무솔리니와 교황과 사이의 라터란협정서에 따라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탈리아 국교가 되다. 발도파교회는 이탈리아에서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했다("culto ammesso").
  • 1948년 이탈리아에서 박해받던 모든 종교(기독교종파)들은 법적으로 동등해졌고, 자유로운 종교활동이 보장되었다.
  • 1929년에 발효되었던 국교로서의 가톨릭 교회를 인정하는 협정은 유지되었다.
  • 1975/1979 이탈리아 발도파 협회(총회)는 이탈리아 감리교회와 통합되었다. "Chiesa Evangelica Valdese"
  • 1984년 협정서의 파기 하고나서, 1948년 맺어진 약속을 확대해 국가적입장에서 발도파교회를 위해 개교회들과 각각 다시 맺을 것을 요구했다.

1451년 필사본에 그려진 마녀로서의 발도파의 그림. 당시에는 마녀와 동일시되었다.


탄압받는 발도파


{{Sidebar

| style = width: 18em

| name = 프로테스탄트

| class = plainlist

| title = 개신교

| titlestyle = background: lightsteelblue

| headingstyle = background: lightsteelblue

| contentstyle = padding-top:0.2em;padding-bottom:0.7em;

| navbarstyle = border-top: 1px #aaa solid;

| image =
150px


| caption = (95개 조항)

| heading1 = 개혁

| heading2 =

| heading3 =

| heading4 = 종교 개혁 이전

| content4 =

  • 아르놀드파
  • 발도파
  • 롤라드파
  • 후스파

| heading5 = 종교 개혁 시대

| content5 =

  • 재세례파
  • 성공회
  • 아르미니우스주의
  • 칼뱅주의
  • 루터파

| heading6 = 종교 개혁 시대 이후

| content6 =

  • 재림 운동
  • 침례교
  • 감리교
  • 연합 교회
  • 오순절교

| heading7 = 초교파・기타

| content7 =

  • 복음주의
  • 단립 교회

}}

창시자 발도는 리옹의 부유한 상인이었지만, 리옹에 온 음유 시인이 부르는 성 알렉시스 전설을 듣고 세상의 부의 허무함을 깨닫고, 1173년경에 전 재산을 털어 순회 설교자가 되었다. 발도는 설교하면서 거리를 돌며 사람들의 희사를 받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다. 이윽고 발도의 삶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나타나, 발도 그룹이 형성되었다. 발도의 정신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사상과 매우 가깝다.

발도는 교회로부터 공식적인 설교 허가를 받으려 했지만, 리옹의 대주교에게 거부당했다. 1179년의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 대표자를 파견하여, 교황알렉산데르 3세와 주교단의 직접적인 허가를 받으려 했지만, 이것은 보류되었다. 발도는 1182년경 리옹 대주교에게 파문당했고, 1184년에는 교황 루키우스 3세로부터 이단 선고를 받았다.

이단 선고의 이유는 "교회 권위의 경시"였다. 교회 상층부는 발도파가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교하는 것을 위험시했다. "영감 없는 설교를 하고 있다"는 것이 발도파에 대한 유죄 선고였다. 게다가 "사실무근의 오류투성이 설교를 하고 있다"라고도 했으며, 성경을 라틴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도 죄로 여겨졌다.

발도들은 이 같은 처사에 굴하지 않고 남프랑스나 북이탈리아에서 활동하며, 카타리파에 대해 정통 신앙을 옹호하는 설교 활동을 거리와 광장, 교회에서 공공연히 계속했다. 교회는 신도를 되찾으려 하여 일부는 복귀했지만, 대부분은 오해가 풀리고 파문이 해제될 것을 기대하며 자유로운 설교를 계속했다. 발도들은 청빈과 사도적 생활을 설파했지만 기본 이념은 원시 교회로의 회귀에 있었으며, 교회에서는 속인의 설교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1230년대가 되면서 이단 심문이 발족하여 풀뿌리까지 파고드는 이단 추적이 시작되자, 발도파는 지하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운동을 존속시키는 것을 선택하고, 은밀히 마을들을 이동하며 설교를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갔다. 발도파의 순회 설교자는 "수염(barba)"이라고 불렸는데, 남녀를 가리지 않았다. 운동은 북이탈리아, 프랑스의 도시화된 지역에서 박해를 피해 알프스 지방, 오스트리아, 독일, 보헤미아로 퍼져나갔다.

이 중 이탈리아파(롬바르디아의 빈자)는 겉으로는 교회의 신도를 가장하면서, 뒤로는 복음에 쓰여 있는 것과 같은 도덕을 지키는 것이 첫 번째이고, 덕이 없는 성직자에게는 따르지 않아도 된다고 설파했다. 더욱이 축재로 인해 부패한 가톨릭 교회의 조직 전체를 무의미한 것으로 부정했다. 연옥의 관념이나 성인 숭배 등, 성경에 쓰여 있지 않은 교리나 관습도 부정했다. 프랑스파(리옹의 빈자)는 교회와 연계를 유지하면서 형식적이고 의례적인 것은 배제했다. 프랑스파는 알비 십자군에 의해 카타리파와 함께 말살되었고, 몇 안 되는 생존자는 이탈리아파와 함께 알프스 계곡에 숨었다.

1300년까지는 북이탈리아와 남프랑스에서는 인적이 드문 산간 마을을 제외하고는 일소되었지만, 보헤미아 등 알프스 북쪽 지역에서는 퍼져 있었기 때문에 철저하게 탄압받았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Sidebar

| style = width: 18em

| name = 프로테스탄트

| class = plainlist

| title = 개신교

| titlestyle = background: lightsteelblue

| headingstyle = background: lightsteelblue

| contentstyle = padding-top:0.2em;padding-bottom:0.7em;

| navbarstyle = border-top: 1px #aaa solid;

| image =

| caption = (95개 조항)

| heading1 = 개혁

| heading2 =

| heading3 =

| heading4 = 종교 개혁 이전

| content4 =

  • 아르놀드파
  • 발도파
  • 롤라드파
  • 후스파

| heading5 = 종교 개혁 시대

| content5 =

  • 재세례파
  • 성공회
  • 아르미니우스주의
  • 칼뱅주의
  • 루터파

| heading6 = 종교 개혁 시대 이후

| content6 =

  • 재림 운동
  • 침례교
  • 감리교
  • 연합 교회
  • 오순절교

| heading7 = 초교파・기타

| content7 =

  • 복음주의
  • 단립 교회

}}

발도파는 프랑스 리용 출신의 부유한 상인 피터 발도(Peter Waldo)가 1173년경 전 재산을 털어 순회 설교자가 되면서 시작되었다.[38] 그는 리옹에 온 음유 시인이 부르는 성 알렉시스 전설을 듣고 세상의 부의 허무함을 깨달았다고 전해진다. 발도는 설교하면서 거리를 돌며 사람들의 희사를 받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고, 그의 삶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나타나 발도 그룹이 형성되었다. 발도의 정신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사상과 매우 가깝다.

그는 1176/77년에 빈민을 위한 무료급식회를 조직하였고 그의 동료 순회설교자들과 함께 복음번역(역자 주: 성경번역) 표준의 기반을 다졌다. 초기 발데즈의 추종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을 살기로 작정하고 아내와 딸에게 필요한 것만 남기고는 모든 재물을 팔아 가난한 자들을 구제했다. 그 후 발도파는 간소한 복장으로 순회하며 복음을 전했다.[154] 그래서 프랑스 남부지역에서는 "리용의 빈민들(거지들, 리용사람들이라고도 불렸다)"이라고 불렸다. 그들은 성경적인 그리스도의 가르침인 모든 사람들에게 복음을 선포(막16:15)하는 것과 순회설교자들이 그때까지 이뤄졌던 라틴어를 모국어로 고쳐서 설교하는 것을 자신들의 자녀들에게 가르쳤다.

발도는 교회로부터 공식적인 설교 허가를 받으려 했지만, 리옹의 대주교에게 거부당했다. 1179년의 제3차 라테란 공의회에 대표자를 파견하여, 교황알렉산데르 3세와 주교단의 직접적인 허가를 받으려 했지만, 이것은 보류되었다.[46] 발도는 1182년경 리옹 대주교에게 파문당했고, 1184년에는 교황 루키우스 3세로부터 이단 선고를 받았다.

이단 선고의 이유는 "교회 권위의 경시"였다. 이것은 서방교회 성직자만 지녔던 설교 권리를 침해했고, 설교권의 해방이 성도들에게 교회의 존재기반에 대한 의문으로 주어질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교회 상층부는 발도파가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교하는 것을 위험시했다. "영감 없는 설교를 하고 있다"는 것이 발도파에 대한 유죄 선고였다. 게다가 "사실무근의 오류투성이 설교를 하고 있다"라고도 했으며, 성경을 라틴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도 죄로 여겨졌다.

발도파는 프랑스 남부로 퍼져 나갔고, 나아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설교금지에도 불구하고 "리용의 빈민"들은 공개적인 복음의 선포를 포기할 수 없었으며, 그 때문에 서방교회쪽에서는 성직자들이 그 성장을 눈여겨보게 되었다. 결국 1184년 교황 루치오 3세는 베로나 공의회에서 이들을 이단으로 규정하며, 이들을 근절하고 그외 모든 이단들의 폐지를 위한 정책을 허가한 교령 "Bulle Ad Abolendam"를 선포했다. "리용의 빈민"들은 성경을 믿었고, 당시 서방교회가 반대했던 복음의 성경적 해석에 근거한 자신들의 입장을 고수했다.

초기 발도파들은 신앙적인 이해와 삶의 방식에 따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개인적 성경연구의 이해를 높임

# 회개의 의미를 높임

# 평신도설교자(설교)들을 통한 복음의 확산

# 자발적 빈곤과 같은 개인적 무소유의 삶

# 성인 공경의 거절

# 연옥의 거절

# 대사의 거절

# 맹세의 거절

# 모든 교회규정의 거절

# 세속적 재판권(특별히 사형제도에 관한)의 거절

# 카타리파의 이원론적 가르침을 거절

헌금이 아닌, 공동체 생활(노동 공동체)을 통한 협동노동을 하던 자립형 (후밀리아와 비숫한)롬바르디아 빈민공동체와 함께 발도파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성장해 나갔다. 13세기가 시작되면서 두개의 거대한 발도파모임이 생겨났다. 그들은 남부프랑스의 "리용의 빈민들"과 이탈리아 고지대의 Giovanni de Ronco가 이끄는 "롬바르디안 빈민공동체"였다.

독일의 언어권은 두 모임으로부터의 선교지였다. 1218년 베르가모에서 소집된 "리용의 빈민들"과 "롬바르디안 빈민공동체" 사이의 통합을 위한 모임이 좌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를 위한 대책들이 13세기 동안 계속적으로 강구되었지만, 더 이상의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2. 2. 확산과 박해

1173년경 리용의 부유한 상인이었던 발도가 성 알렉시스 전설을 듣고 순회 설교자가 되면서 발도파가 시작되었다.[63][64] 발도는 교회로부터 공식적인 설교 허가를 받으려 했으나 1182년경 리옹 대주교에게 파문당했고, 1184년에는 교황 루키우스 3세로부터 이단 선고를 받았다.[63][64] 그럼에도 발도파는 남프랑스나 북이탈리아에서 활동하며, 카타리파에 대해 정통 신앙을 옹호하는 설교 활동을 계속했다.

1182/83년에 리용으로부터 이주 이후, 1184년에 발도파들은 남부프랑스 랑크도크에서, 이탈리아 산간지역에서 활동했던 새로운 신앙의 형제들을 기대할 수 있었다. 1190년대에 발도파들이 스페인과 프랑스 북동부에서 갑자기 나타났다. 1200년에 이르러서는 남부독일 언어권에 이르렀고 1250년까지 이곳에서 넓은 지역에 걸쳐, 특히 오스트리아의 도나우강 주변과 바이에른(Bayern), 슈바벤(Schwaben)과 오버라인란트(oberen Rheinland, 라인강변의 고지대)에 힘있는 발도파 공동체들이 생겨났다.

발도파가 중부와 북부독일로 뻗어나간 것은 대략 14세기에 들어서면서 부터였다. 또한 그 후로 그들은 폴란드, 보헤미아, 슬로바키아 그리고 헝가리에도 있었다. 대략 15세기 동안 발도파들은 독일어권에서부터 급격하게 사라져갔다. 그렇게 된 가능한 이유로 후스파로 전향하였거나, 종교재판의 등장으로 인한 결과로 보여진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발도파를 정통적이지 않다고 여겼으며, 1184년 교황 루치오 3세의 후원하에 베로나 공의회에서 발도파를 파문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한층 더 나아가 발도파를 공식적으로 이단자로 규정했다.[63][64] 1211년, 80명 이상의 발도파가 스트라스부르에서 이단으로 화형에 처해졌는데, 이 사건은 수 세기에 걸친 박해의 시작을 알렸고, 이 운동을 거의 파괴할 뻔했다.[65] 발도파는 1304년부터 1307년까지 헝가리 수도인 부다를 잠시 통치하기도 했다. 발도파는 이에 대응하여 교황 베네딕토 11세를 파문했다.[66]

1230/1240년대부터 종교재판을 통해 박해가 시작되었다. 이 당시의 박해는 대부분 지역적이고 단발적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또한 지방 권세자들에 의해 종교재판의 후속조치가 발도파들에게 자행되었다. 새로운 시대가 도래할 때까지 이러한 발도파를 뿌리뽑아버리려는 현상은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그리고 보헤미아에서 수차례에 걸쳐 반복되고 또 반복되었다. 1487년 교황 인노첸시오 8세는 발도파를 근절하기 위한 교황 칙서[67] Id Nostri Cordis를 발표했다. 크레모나의 대주교인 알베르토 데' 카피타네이는 이 교황 칙서에 따라 군사 원정을 조직하여 이 칙령을 수행했고, 도피네와 피에몬테 지방에서 군사적 공세를 시작했다.[68] 사보이아 공작 샤를 1세는 결국 자신의 영토가 더 이상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개입하여 발도파에게 평화를 약속했지만, 그 전에 이 공세로 인해 지역이 황폐화되었고 많은 발도파가 프로방스 또는 이탈리아 남부로 도망갔다. 1491년 인노첸시오 8세가 모리엔나 주교와 함께 사도로 임명한 신학자 안젤로 카를레티 디 키바소는 가톨릭교와 발도파 간의 평화로운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관여했다.[69]

1698년 많은 수의 발도파들과 위그노들이 피몽(Piemont)으로부터 독일로 옮겨왔고, 헤쎈의 Darmstadt, Homburg, 나싸우의 Dillenburg, 바덴의 Durlach 그리고 뷔템베르크의 Herzogtum에 정착했다. 그들은 Rohrbach, Wembach, Hahn(현재는 Ober-Ramstadt에 편입), Walldorf(현재는 Mörfelden-Walldorf에 편입), Dornholzhausen(현재는 Bad Homburg 언덕 위), Charlottenberg(현재는 Diez와 관련된 작은 마을), Neureut(현재는 Karlsruhe에 편입) 그리고 뷔템베르크의 Herzogtum 부근에 넓게 퍼져 다른 이들과 함께 발도파 공동체를 형성했다.

오늘날 Pforzheim과 Stuttgart 사이에 있는 Pinache, Perouse, Corres, Sengach, Serres 등과 같은 과거 발도파 거류지의 지역이름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Karlsruhe의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며, 오늘날 Oberderdingen에 속한 크고 작은 마을들과 오늘날 Knittlingen의 몇몇 동네들에도 남아있다.

13세기와 14세기 오스트리아에도 발도파 공동체들이 있었다. 15세기에는 오스트리아 발도파의 흔적이 사라져 버린다. 그 원인은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추측하기로는 오스트리아 발도파들 역시 후스파에 흡수되었거나, Petrus Zwicker에 의한 이단재판의 결과로 여겨진다.

2. 3. 종교개혁 이후

계속되는 박해 속에서 발도파의 선교사역은 난관에 부딪혔다. 13세기 전반까지 프랑스 남부, 이탈리아 북부, 오스트리아에서 유지했던 가정성경학교와 가정신앙모임은 박해로 인해 포기해야 했다. 발도파 설교자들은 비밀리에 활동해야 했고, 선교는 더 이상 불가능했으며, 기존 신앙공동체에 집중하였다.

독일어권에서는 14세기에 발도파에게 신앙고백의 의미가 강화되었다. 15세기 초 얀 후스의 가르침은 독일어권 발도파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많은 수가 후스파 공동체인 "보헤미아 형제단"과 합쳐졌다. 17세기에 발도파가 다시 등장할 때까지, 독일어권에서의 발도파에 관한 기록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유럽에서 발도파 공동체들은 16세기 종교개혁과 접촉할 때까지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걸쳐있는 알프스 산골짜기에 자리 잡았다. 1532년 발도파는 알프스 발도파의 계곡에서 독자적인 "개혁교회"를 세웠다. 1560년 이단으로 여겨지던 때, 칼뱅의 방식을 따라 작성한 " Confessio gallicana''를 사보이(Savoy)의 공작에게 제출하였다. 이 신앙고백서는 1655년에 있었던 "다름슈타트 양식"에서 발도파의 공식적인 신앙고백서로 인정되었다.

1848년 2월 17일 피몽-사르디니아(Piemont-Sardinien)의 왕 카를로 알베르토 1세의 칙서에 의해 이탈리아의 발도파들은 믿음의 자유를 얻게 되었다. 이 칙서에 의하면, 발도파는 시민으로서의 동등권과 더불어 자유로운 직장 선택권과 토지 취득권을 보장받게 되었다.

종교개혁 소식이 발도파 계곡에 전해지자 타볼라 발데제는 개신교와 교류하기로 결정했다.[71] 1526년 키소네 계곡의 마을 라우스에서 열린 회의에서 새로운 운동을 조사하기 위해 사절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71] 1532년, 그들은 독일과 스위스의 개신교도들과 만났고, 궁극적으로 자신들의 신념을 개혁교회의 신념에 맞게 조정했다.[71]

스위스와 프랑스의 개혁교회는 윌리엄 파렐과 앤서니 소니에를 1532년 10월 12일에 소집된 샹포란 회의에 참석하도록 보냈다.[71] 파렐은 그들에게 종교개혁에 동참하고 은밀함에서 벗어나 공개적으로 활동할 것을 권유했다.[71] 개혁교리들을 담은 신앙고백이 작성되었고, 발도파는 프랑스어로 공개 예배를 드리기로 결정했다.[71]

피에르 로베르 올리베탄이 장 칼뱅의 도움을 받아 번역하고, 1535년 뇌샤텔에서 출판된 프랑스어 성경은 발도파 방언으로 된 신약성경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했다.[71] 발도파의 교회들은 이 출판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1,500 금화를 모금했다.[71]

1545년 메린돌 발도파 학살


피에몬테 외부 지역에서 발도파는 보헤미아, 프랑스, 독일의 지역 개신교 교회와 연합했다.[71]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는 1545년 1월 1일에 "메린돌 칙령"을 발표하고 프로방스의 발도파에 대항하여 군대를 소집했다.[71] 1545년 학살의 지도자는 장 마니에 드 오페드, 프로방스 의회의 초대 의장이자 군 사령관 앙투안 에스칼랭 데 에마르였다.[71] 메린돌 학살로 인한 사망자는 추정에 따라 수백 명에서 수천 명에 이르렀으며, 여러 마을이 파괴되었다.[71]

1561년 6월 5일 조약은 발레의 개신교도에게 사면을 부여하여 양심의 자유와 예배의 자유를 포함했다.[71] 수감자들은 석방되었고 도망자들은 귀향이 허용되었지만, 이 조약에도 불구하고 발도파는 1562년부터 1598년까지 프랑스 종교 전쟁 동안 다른 프랑스 개신교도들과 함께 고통을 겪었다.[71]

1631년 이른 시기에 개신교 학자들은 발도파를 종교 개혁의 초기 선구자로 간주하기 시작했다.[71]

발도파 교회는 1598년 낭트 칙령을 통해 프랑스 왕 앙리 4세 하에서 어느 정도의 권리와 자유를 부여받았지만, 17세기에 박해가 다시 증가하여 1655년 사보이 공작에 의해 발도파에 대한 전멸 시도가 있었다.[71] 이로 인해 발도파가 유럽의 다른 지역과 서반구로 이주하고 흩어지게 되었다.[71]

1655년 1월, 사보이 공작 샤를 에마뉘엘 2세는 왈도파에게 미사에 참석하거나 고향의 상부 계곡으로 이주하라고 명령했으며, 토지를 매각할 수 있는 20일의 시간을 주었다.[72] 대부분의 인구는 상부 계곡으로 이주하였다.[72] 4월 중순, 공작은 왈도파에게 가톨릭으로 개종하도록 강요하려는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자, 왈도파 봉기에 대한 허위 보고를 위장하여 상부 계곡에 군대를 보냈다.[72] 그는 지역 주민에게 군대를 그들의 집에 주둔하도록 요구했고, 지역 주민은 이에 순종했다.[72] 그러나 주둔 명령은 군대가 주민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략이었다.[72] 1655년 4월 24일 오전 4시에 대량 학살 신호가 울렸다.[72]

1655년 라 토레에서 일어난 학살을 묘사한 판화, 사무엘 모어랜드의 1658년 런던 출판물, ''피에몬테 계곡의 복음주의 교회 역사''에서


공작의 군대는 약탈, 강간, 고문, 살인 등 도발적인 캠페인을 벌였다고 보고되었다.[73] 피터 리제(Peter Liegé)의 보고서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은 어머니의 품에서 떼어내 발로 붙잡아 머리를 바위에 내리쳤고, 병들고 늙은이들은 그들의 거처에서 산 채로 불태워졌다.[73] 어떤 사람들은 산 채로 껍질이 벗겨졌고, 어떤 사람들은 산 채로 구워졌고, 어떤 사람들은 내장이 제거되었다.[73]

이 학살은 피에몬테 부활절로 알려지게 되었다.[73] 약 1,700명의 왈도파가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학살은 너무 잔혹하여 유럽 전역에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73] 북유럽의 개신교 통치자들은 남아있는 왈도파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73] 올리버 크롬웰은 왈도파를 대신하여 탄원하기 시작했으며, 편지를 쓰고, 기금을 모금하고, 잉글랜드에서 일반 단식을 요청하고, 구조를 위해 군대를 보낼 것을 위협했다.[74] 이 학살은 존 밀턴의 왈도파에 관한 시인 "피에몬테의 최근 학살에 관하여"를 촉발했다.[74] 스위스와 네덜란드의 칼뱅주의자들은 많은 생존자들을 북쪽으로 스위스, 심지어 네덜란드 공화국까지 데려오기 위해 "지하 철도"를 세웠다.[75] 암스테르담 시의 의원들은 1656년 크리스마스 날, 약 167명의 왈도파를 신세계 (델라웨어)의 시티 식민지로 데려가기 위해 세 척의 배를 전세냈다.[75] 프랑스와 피에몬테에 남아있던 사람들은 농부 조슈아 자나벨이 이끄는 게릴라 저항 운동을 결성하여 1660년대까지 지속되었다.[76]

이탈리아 피렌체의 왈도파 교회


1685년,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1598년 낭트 칙령을 폐지했는데, 이 칙령은 프랑스 내 프로테스탄트 신민들에게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었다.[76] 도피네의 키소네 및 수사 계곡에 파견된 프랑스군은 8,000명의 발도파(Vaudois)를 강제로 카톨릭으로 개종시키고, 3,000명을 독일로 떠나게 했다.[76]

피에몬테에서는 루이의 사촌인 새로 즉위한 사르데냐 공작 빅토르 아메데우스 2세가 그의 삼촌을 따라 피에몬테의 프로테스탄트 보호를 철회했다.[76] 1686년 1월 31일 칙령을 발표하여 모든 발도파 교회를 파괴하고 계곡의 모든 주민이 15일 이내에 공개적으로 종교적 과오를 발표하지 않으면 사형과 추방에 처한다고 선언했다.[76] 그러나 발도파는 저항했다. 15일이 지난 후, 약 2,500명의 발도파에 맞서 9,000명의 프랑스군과 피에몬테 군대가 계곡을 침공했지만, 모든 마을이 프랑스군과 피에몬테 군을 막아낼 방어 부대를 조직했음을 알게 되었다.[76]

4월 9일, 사보이 공작은 새로운 칙령을 발표하여 발도파에게 8일 이내에 무기를 내려놓고 4월 21일부터 23일 사이에 망명할 것을 명령했다.[76]

이전의 숙청에서 피에몬테에서 추방되었던 발도파 목사 앙리 아르노 (1641–1721)는 네덜란드에서 돌아왔다.[76] 4월 18일, 그는 로카피아타에서 열린 회의에서 격정적인 연설을 하여 무장 저항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를 얻었다.[76] 4월 20일 휴전이 만료되자 발도파는 전투 준비를 마쳤다.[76]

그들은 다음 6주 동안 용감하게 싸웠지만, 6월 8일 공작이 토리노로 물러났을 때 전쟁은 결정된 것처럼 보였다.[76] 2,000명의 발도파가 살해되었고, 다른 2,000명은 트리엔트 공의회의 카톨릭 신학을 "받아들였다."[76] 다른 8,000명이 투옥되었는데, 그 중 절반 이상이 고의적인 기아, 또는 6개월 이내의 질병으로 사망했다.[76]

그러나 약 200~300명의 발도파가 언덕으로 도망쳐 발도파의 땅을 차지하기 위해 도착한 카톨릭 정착민들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이기 시작했다.[76] 이 "무적자들"은 공작이 마침내 굴복하고 협상에 동의할 때까지 공격을 계속했다.[76] "무적자들"은 투옥된 발도파가 감옥에서 풀려나 제네바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76] 그러나 1687년 1월 3일 공작은 그 허가를 하면서 발도파가 즉시 떠나거나 카톨릭으로 개종할 것을 요구했다.[76] 이 칙령으로 인해 약 2,800명의 발도파가 피에몬테를 떠나 제네바로 갔는데, 그 중 2,490명만이 여정을 살아남았다.[76]

아르노와 다른 사람들은 이제 연합 유럽 열강의 도움을 구했다.[76] 그는 제네바에서 오렌지공 윌리엄에게 직접 호소했고, 르미타주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잉글랜드와 다른 나라로 보내어 지원을 요청했다.[76] 아우크스부르크 동맹은 1686년 오렌지 공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그는 아르노에게 지원을 약속했다.[76] 1689년 8월, 아우크스부르크 동맹과 프랑스 간의 전쟁 가운데 아르노는 네덜란드에서 제공한 현대식 무기로 무장한 1,000명의 스위스 망명자들을 피에몬테로 이끌었다.[76] 이 부대의 3분의 1 이상이 130마일에 달하는 여정에서 사망했다.[76] 그들은 피에몬테에서 성공적으로 그들의 존재를 재건하고 카톨릭 정착민들을 몰아냈지만, 프랑스군과 피에몬테 군의 포위를 계속 받았다.[76]

1689년 5월 2일, 발도파 군대는 300명만 남았고, 발실리아라고 불리는 높은 봉우리에 포위되었으며, 4,000명의 프랑스군이 대포를 가지고 있었다.[76] 프랑스 사령관은 다음 날 아침에 그의 임무를 완수할 것이라고 확신하여 발도파 군대가 이미 파괴되었다는 메시지를 파리로 보냈다.[76] 그러나 프랑스 군이 다음 날 아침에 깨어났을 때, 발실리아에 익숙한 일원의 안내를 받은 발도파가 밤에 이미 봉우리에서 내려와서 이제 수 마일이나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76]

프랑스군은 추격했지만, 며칠 후 공작이 프랑스에서 아우크스부르크 동맹으로 정치적 동맹을 갑자기 변경하면서 프랑스의 발도파 추격이 끝났다.[76] 공작은 발도파를 방어하기로 동의하고, 프랑스에 맞서 피에몬테 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모든 발도파 망명자들에게 귀향할 것을 요청했는데, 이는 "영광스러운 귀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76]

종교 개혁이 시작되자 발도파는 스위스의 개혁파 교회에 사절을 보내 교리의 불일치는 있었지만 1560년대까지 독자적인 신앙 스타일과 실천을 포기하고 개혁파 교회에 합류했다.[150] 그 때문에 알프스 계곡의 신도들은 대대적인 박해를 받아 생존자는 스위스로 도망쳤다.[150]

피에몬테의 계곡 지대에 살았던 발도파 신자들도 1655년 4월 부활절 전후 교황청의 승인 하에 사보이아 가문의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와 프랑스 왕국 연합군에 의해 학살되었다.[150] 잉글랜드의 올리버 크롬웰이 프로테스탄트 제국에 외교적 압력을 가해 멸망을 면했다.[150] 존 밀턴은 이 학살을 추억하는 시 『피에몬테 학살』을 썼다.[151] 밀턴은 발도파를 프로테스탄트의 선구자로 인정하여 "우리의 조상들이 나무나 돌(의 우상)을 숭배했을 때, 옛 진리를 지켰다"고 말했다.[151] 또한 청교도는 당시부터 발도파를 복음주의 교회로 인정했다.[151]

1685년, 프랑스에서 낭트 칙령이 폐지되어 다시 프랑스에 의한 프로테스탄트 탄압 정책이 실행된다.[151] 이듬해 1686년, 프랑스-사보이아 연합군은 다시 피에몬테의 발도파 계곡 지대에 침공했다.[151] 계곡 지대 주민들은 게릴라전으로 저항했지만, 많은 수가 학살당하고, 이듬해 살아남은 주민들은 스위스 등으로 추방되었다.[151] 그러나 1688년, 잉글랜드에서 명예 혁명이 일어나 프로테스탄트가 국왕에 즉위하자 정세가 바뀌어 영국과 네덜란드의 지원 하에 발도파는 존속했고, 1689년 알프스의 험준한 산맥 지대를 여행하여 원래 주민들이 계곡으로 귀환했다.[151] 이 사건은 발도파에서는 "영광의 귀환"으로 민족적 기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151] 그 후에도 영국, 네덜란드, 스위스 등 국가와 프로테스탄트 조직의 지원 하에 부흥하여, 사보이아 공작의 충실한 신민으로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프랑스와 용감하게 싸웠다.[151] 영국과 네덜란드가 후견인 겸 보증인으로 있는 피에몬테의 계곡 지대의 발도파는 원조나 자금을 끌어내기 위해 사보이아 공작에게 이용되었다.[151]

18세기 후반에도 영국으로부터의 자금 원조는 계속되었지만, 자코바이트의 위협이 사라진 탓에 유럽 대륙의 동포에 대한 관심을 잃어갔다.[151] 계곡에서는 조용한 생활이 이어졌지만, 1789년의 프랑스 혁명과 뒤이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사보이아 가문은 피에몬테에서 추방되었다.[151]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발도파에 호의적이었고 종교적 차별은 철폐되어 주민들은 계곡 밖에서도 일할 수 있게 되었지만, 외국 군대의 주둔이 길어지면서 물가가 폭등하고 프로테스탄트 제국으로부터의 원조도 적령이라는 이유로 중단되었다.[151] 1814년 나폴레옹의 유배로 사보이아 가문이 왕정 복고를 하자 이전의 억압 체제로 돌아가 계곡 밖에 있던 주민도 돌아와 계곡은 궁핍해졌다.[151] 다시 프로테스탄트 제국에 원조를 요청하여 영국에서는 관심을 가진 유명 인사들의 소개로 발도파를 지원하게 되었다.[151]

1848년에는 사보이아 가문의 카를로 알베르토 국왕에 의해 가톨릭과 같은 시민권이 주어졌다.[151] 1893년에는 움베르토 1세가 계곡을 방문하여 교회를 칭찬했다.[151] 이를 계기로 왕가의 아이들의 유모는 발도파에서 선택되게 되었다.[151]

3. 신념과 실천

초기 발도파는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모든 재물을 팔아 가난한 자들을 구제하고, 간소한 복장으로 순회하며 복음을 전했다.[154] 이들은 "리용의 빈민"이라고도 불렸으며, 모국어로 성경을 가르치고 설교했다. 또한, 교황 제도의 폐해를 비판하며 공개적으로 복음을 선포하여 1184년 교황 루치오 3세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되었다.[154]

발도파는 성경적 해석에 근거한 입장을 고수하며, 롬바르디아 빈민공동체와 함께 성장했다. 이들은 개인적 성경 연구, 회개, 평신도 설교, 자발적 빈곤, 성인 공경 거부, 연옥 거부, 맹세 거부, 교회 규정 거부, 세속적 재판권 거부 등을 주장했다.[154] 특히, 연옥을 "적그리스도의 발명품"으로 간주하고 거부했다.[14] 또한, 성유물, 순례, 성수 등을 비판하고 가톨릭 교회를 "바빌론의 음녀"로 비난했다.[17][18]

발도파는 가톨릭 교회와 일부 교리에서 갈등을 빚었지만, 삼위일체를 받아들였다.[32][29] 초기에는 성찬을 옹호했으나,[24] 후에는 빵과 포도주에 대한 상징적인 관점을 발전시키기도 했다.[33][34]

라이네리우스 사초는 발도파가 교황을 오류의 머리로, 수도사를 바리새인으로 여기며, 성직자 대신 하나님께 순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기록했다.[27]

발도파는 카타리파와 연관되기도 했지만, 영지주의적 견해나 신비주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달랐다.[35] 이들은 자신들을 "교회 안의 교회"로 여겼다.[36]

후대에 발도파는 기욤 파렐의 영향으로 칼뱅주의의 많은 교리를 받아들였다. 1532년 Cianforan 회의에서 개혁 신학을 공식적으로 채택하고, 세속 법원 거부와 같은 이전 입장을 수정했다.[37]

4. 현대의 발도파

현대의 발도파 교회는 울리히 츠빙글리와 존 칼빈에 의해 처음 형성된 개혁 신앙 전통의 개신교 교회로 스스로를 정의한다.[46] 1655년에 발표된 신앙 고백서를 교리적 기준으로 인정하며, 세례와 주의 만찬, 단 두 가지 의식만을 인정한다.[46] 교회의 최고 권한은 연례 시노드에서 행사되며, 개별 교회의 운영은 목사가 의장을 맡는 치리회에서 관리한다.[46]

프랑스 혁명 이후, 피에몬테의 발도파 교도들은 양심의 자유를 보장받았고, 1848년 사르데냐 왕국의 카를 알베르토 왕은 그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했다.[78] 1848년에 이뤄진 종교적 권리와 시민으로서의 자유를 인정받은 후, 거의 700년간 계속되어 온 박해와 탄압은 끝이 났다. 발효된 칙령은 발도파에게 직업선택의 자유권과 토지소유권을 보장해 주었다. 오늘날 이탈리아의 발도파공동체들은 매년 2월 17일 칙령발효를 기념하고 있다.

1698년 많은 발도파들과 위그노들이 피몽(Piemont)으로부터 독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뷔템베르크의 영주 Eberhard Ludwig 공작은 이주해온 발도파들을 그의 영지인 Herzogtum에 정착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발도파들은 그곳에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종자인 감자를 파종했다. 그렇기 때문에 남부독일에서 발도파의 주거지는 감자의 확산과 연관되어 있다. 개혁교회 발도파들의 신앙의 자유에 대한 권리는 곧바로 보장되었다. 예배는 19세기 초반까지 불어 방언으로 드려졌다. 뷔템베르그의 거주민으로서 자유가 보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19세기에 안타깝게도 루터교 국가교회에 귀속되었다.

종교의 자유를 누리게 된 발도파 교도들은 자신들의 계곡 밖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통일 무렵, 발도파 교도들은 반도 전역에 신도들을 거느리게 되었는데, 일부는 전도를 통해, 다른 일부는 이주를 통해 생겨났다.[78] 1880년과 1914년 사이, 이탈리아에서 해외이주의 물결의 결과 오늘날 약 13,300명의 발도파들이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 살고 있다. 이탈리아 밖 전세계에 약50,000명의 교인들이 발도파교회의 약 50,000명의 교인들이 살고 있으며, 그 중에 400여명은 스위스에서 "Chiesa Evangelica di lingua italiana" 6개 공동체를 이루었다.

1848년부터 발도파들은 이탈리아 전역에 Turin지역(Provinz)의 Prali에 있는 "Agape(독일가톨릭의 Caritas)"같은 노인복지관, 아동복지관, 학교 그리고 만남의 장소 등의 다양한 사회복지기관들을 설립했다. 발도파가 가장 많이 모여있고 가장 큰 공동체가 세워진 지정학적인 중심지는 Turin지역의 서쪽지역에 해당하는 "발도파의 산골짜기"라 불려왔던 " Cottischen Alpen"에서 찾을 수 있다. 신학분야에서 신학의 중심지는 로마와 타볼라로 옮겨졌는데, 그곳에서 민주적인 방법으로 교회행정기구, 대표, 자치회를 선출한다. 1855년 Torre Pellice에서는 „Facoltà Valdese di Teologia“ (발도파를 연구하는 신학분과)가 생겨났다. 1922년에 이들은 로마(Piazza Cavour부근의 Via Pietro Cossa 42번지)로 옮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가 북부 이탈리아를 점령했을 때, 이탈리아 발도파는 유대인을 구출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동했다.[126][127] 많은 피몽(Piemont)의 발도파들은 무솔리니의 독재와 이탈리아 북부에 자리 잡았던 독일 나찌의 군대에 저항하던 "Partito d'Azione"의 빨치산 세력과 연관되어 있었다. 당시 파시스트 관청에는 " I valdesi sono tutti ribelli(발도파는 모두 반역자다)"고 쓰여있었다고 한다. 1948년의 이탈리아 헌법에 따라 모든 종교(기독교 종파)는 법 앞에 동등하며 자유로운 종교활동을 보장받고 있다.

1975년, 발도파 교회는 이탈리아 감리교 복음 교회와 합류하여 발도파 및 감리교 교회 연합을 결성했다. 이 교회는 50,000명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다. 여성 안수와 2010년부터는 기독교 교회에서의 동성 결혼 축복이 허용된다.[130][131]

2005년도에는 이탈리아 북부 Turin 부근의 Pinerolo란 마을에 가톨릭 종교재판을 통한 발도파의 박해를 기억하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기념비는 오스트리아의 조각가 Gerald Brandstötter가 청동에 둥그런 플라스틱을 첨가하여 불꽃의 모양과 종교재판에 의해 화형당한 발도파들을 형상화하였다.

이탈리아 로마의 발도파 교회 입구


2015년, 교황 프란치스코는 토리노의 발도파 사원을 역사적으로 방문한 후, 가톨릭 교회를 대표하여 발도파 기독교인들에게 그들의 박해에 대해 사과했다.[82]

5. 한국과의 연관성

5. 1. 한국 개신교에 대한 영향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Waldensians https://www.museepro[...]
[2] 웹사이트 Waldenses https://www.britanni[...] 2019-01-28
[3] 웹사이트 Waldens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9-01-28
[4] 서적 Waldenses: Rejection of the Holy Church in Medieval Europe Oxford 2000
[5] 문서 Cameron 2000, pp. 264–284
[6] 웹사이트 Patto di integrazione globale tra le chiese metodiste e valdesi https://web.archive.[...] Chiesa Evangelica Valdese – Unione delle chiese Metodiste e Valdesi 2014-03-23
[7] 웹사이트 Per un patto tra la Chiesa Assemblee di Dio e la Chiesa valdese https://web.archive.[...] 2014-03-23
[8] 웹사이트 Quienes somos – IEVRP https://iglesia-vald[...] 2019-04-09
[9] 웹사이트 South America http://www.waldensia[...] 2019-04-09
[10] 웹사이트 American Waldensian Society http://www.waldensia[...] 2014-02-26
[11] 서적 The Knights Templar & the Protestant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Xulon Press 2011-10
[12] 간행물 "Waldensian and Catholic Theologies of History in the XII–XIV Centuries: Part I" 2014
[13]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Accusations against the Waldensians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4-02-26
[14] 서적 History of the Evangelical Churches of the Valleys of Piedmont https://books.google[...] Henry Hills
[15] 간행물 The Use and Abuse of Church History https://opc.org/OS/h[...] 1996-04
[16]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 The Middle Ages. A.D. 1049–1294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2-08-07
[17] 문서 Inquisitor Reyenerious, A. D. 1250, and extracted by Allix (Chap. 22)
[18] 서적 The history of the Evangelical churches of the valleys of Piemont : containing a most exact ge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place, and a faithfull account of the doctrine, life, and persecutions of the ancient inhabitants; Together, with a most naked and punctual relation of the late bloudy massacre, 1655; And a narrative of all the following transactions, to the year of Our Lord, 1658 .. http://archive.org/d[...] London : Printed by Henry Hills for Adoniram Byfield 1658
[19] 서적 Historical Studies https://archive.org/[...]
[20] 문서 "La Nobla Leyczon considérée au point de vue de la doctrine, de la morale et de l'histoire" 1885-12
[21] 서적 The Voice of the Church on the Coming and Kingdom of the Redeemer; Or, a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Reign of Christ on Earth. Revised and Edited with a Preface by H. L. Hastings.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1856
[22] 문서 La noble leçon, texte original d'après le manuscrit de Cambridge 1888
[23] 문서 La noble leçon, texte original d'après le manuscrit de Cambridge 1888
[24] 웹사이트 The Eucharist and the Negotiation of Orthodoxy in the High Middle Ages https://www.medieval[...] Medievalists 2023-05-21
[25] 서적 The Theologies of the Eucharist in the Early Scholastic Period: A Study of the Salvific Function of the Sacrament According to the Theologians, C. 1080-c. 1220 Clarendon Press 1984
[26] 서적 Preachers by Night: The Waldensian Barbes (15th-16th Centuries) BRILL 2007
[27] 서적 Medieval Worlds: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17
[28]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From the Birth of Christ to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Delmarva Publications, Inc.
[29] 웹사이트 Waldenses: Description, History, & Beliefs https://www.britanni[...] 2023-01-22
[3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 The Middle Ages. A.D. 1049–1294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2-07-29
[31] 웹사이트 Waldenses {{!}} Description, History, & Belief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1-22
[3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 The Middle Ages. A.D. 1049–1294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2-07-29
[33] 웹사이트 Waldenses {{!}} Description, History, & Belief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10
[34] 서적 Preachers by Night – The Waldensian Barbes (15th – 16th Centuries) Brill 2007
[3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 The Middle Ages. A.D. 1049–1294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2-08-07
[36]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 The Middle Ages. A.D. 1049–1294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3-11-11
[37] 웹사이트 Waldenses {{!}} Description, History, & Belief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1-24
[38] 문서 "''Liber visionum et miraculorum'', Anonymous Chronicles of Lyon"
[39] 서적 Les Vaudois, l’étonnante aventure d’un peuple-église Claudiana
[40]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S-Z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23-08-11
[41] 서적 Histoire générale des Eglises evangeliques des vallees de Piemont; ou vaudoises. divisée en deux livres,...par Jean Leger, Pasteur & Moderateur des Eglises des Vallées, & depuis la violence de la Persecution, appelé à l'Eglise Wallonne de Leyde. Le tout enrichi de Tailles douces https://books.google[...] chez Jean Le Carpentier 1669
[42] 서적 Waldensian Researches During a Second Visit to the Vaudois of Piemont: With an Introductory Inquiry Into the Antiquity and Purity of the Waldensian Church ... https://books.google[...] C. J. G. & F. Rivington 1831
[43] 서적 Lucae Tudensis Episcopi scriptores aliquot succedanei contra sectam Waldensium: nunc primum in lucem editi cum prolegomenis et notis ... https://books.google[...] excudebat Andreas Angermarius 1613
[44] 서적 Histoire de la glorieuse rentrée des Vaudois https://books.google[...] 1710
[45] 논문 Old Waldensian: Some linguistic and editorial observations 1984
[46] 백과사전 Waldenses http://www.newadvent[...] 1912-10-01
[47] 서적 The Coming of the Friars Routledge
[48] 서적 History of the Waldenses of Italy, from their origin to the Reformation AMS Press
[49] 학술지 Goodbye to Waldensianism? 2006-08
[50]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Universal Knowledge Foundation
[51] 서적 Opera omnia antehac ab ipsomet auctore accurate recognita, opusculis multis, notis, et paralipomenis pluribus, propriis locis in hac editione insertis aucta et illustrata nunc selecto ordine ad certos titul: Lutherus academicus, et Waldenses sumptibus Joannis Conradi Peez. https://books.google[...]
[52] 서적 Opera omnia, antehac ab ipsomet auctore accurate recognita, opusculis multis, notis, et paralipomenis pluribus, propriis locis in hac editione insertis, aucta et illustrata, nunc selecto ordine ad certos titulos revocata https://books.google[...] 1738
[53] 학술지 Decoding Ancient Waldenses Names: New Discoveries https://digitalcommo[...] 2016-Autumn
[54] 서적 Melchioris Haiminsfeldii Goldasti Rationale Constitutionum Imperialium, Autoschediasthen Sive Extemporale: In quo cum ipsis Constitutionibus argumenta dicuntur, tum Sacri Romani Imperii iura aduersus Caesaris Baronii Cardinalis Romani Annales elenchos praescribuntur (p. 78) https://books.google[...] 1607
[55] 서적 Directorium Inquisitorum https://books.google[...] sumptibus Simeonis Vasalini 1595
[56] 서적 Venerabilis patris Monetae Cremonensis ordinis praedicatorum S.P. dominico aequalis Adversus Catharos et Valdenses libri quinque : quos ex manuscriptis codd. Vaticano, Bononiensi, ac Neapolitano http://archive.org/d[...] Romae : Ex typographia Palladis : Excudebant Nicolaus, et Marcus Palearini 1743
[57] 서적 Compendieuses Kirchen- und Ketzer-Lexicon: In welchem Alle Ketzereyen und Secten, und deren Urheber und Stiffter, von derer Apostel Zeiten her, wie auch die meisten geistlichen Orden angezeiget und beschrieben, darnebst auch viele zur Kirchen-Historie dienende Termini und Sachen angeführet und erklähret werden https://books.google[...] Fulde 1756
[58] 서적 Waldensian prose tracts. IE TCD MS 260 https://digitalcolle[...] Dominique Vigneaux d’’Angrogne
[59] 서적 History of the Waldenses: With an Introductory Sketch of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es in the South of France and North of Italy, Till These Churches Submitted to the Pope, when the Waldenses Continued as Formerly Independent of the Papal See https://books.google[...] A. Black 1832
[60] 백과사전 Waldenses https://www.newadven[...] 2021-11-05
[61] 서적 Sketches of the Waldenses https://books.google[...] Religious Tract Society 2022-03-02
[62] 학술지 Piedmontese Children Forced from their parents https://archive.org/[...] Wesleyan Missionary Society 2016-02-29
[63] 서적 The Waldensian Dissent: Persecution and Survival c. 1170 – c. 157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64]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Penguin 2018-02-17
[65] 백과사전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66] 서적 Veretek, utak, katonák. Gazdaságtörténeti tanulmányok a magyar középkorról MTA Bölcsészettudományi Kutatóközpont
[67] 서적 Id nostri cordis 1669
[68] 서적 Annales ecclesiastici https://books.google[...] Mascardus 1663
[69] 백과사전 Bl. Angelo Carletti di Chivasso http://www.newadvent[...] 2016-04-30
[70] 서적 History of the Waldenses https://books.google[...] Dalcassian Publishing Company
[71] 서적 Francis 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서적 Cross and crown: or, The sufferings and triumphs of the heroic men and women who were persecuted for the religion of Jesus Christ https://archive.org/[...] National Pub. Co. 2018-11-16
[73] 서적 History of the Waldenses https://books.google[...] Hartland
[74] 웹사이트 Milton: Sonnet 18 http://www.dartmouth[...] Dartmouth.edu 2014-02-26
[75] 간행물 History of Delaware, 1609–1888 https://archive.org/[...] L. J. Richards & Co., Philadelphia
[76] 웹사이트 Janavel http://www.regard.eu[...] Regard.eu.org 2014-02-26
[77] 서적 The Waldensian Story: A Study in Faith, Intolerance and Survival Book Guild
[78] 간행물 L'Evangelo e il berretto frigio Claudiana, Turin
[79] 간행물 Waldenses in the New World Duke University Press
[80] 간행물 "Per Una Storia dell'Industria Dolciaria Torinese: il Caso Caffarel"
[81] 서적 The Romaunt Version of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with an Introductory History of the Version of the New Testament, Anciently in Use Among the Old Waldenses... https://books.google[...] J. Murray 1848
[82] 웹사이트 Francis asks forgiveness for Waldensian persecutions, killings https://www.ncronlin[...] 2021-02-14
[8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adical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05-03
[84] 서적 Finding the Middle Way: The Utraquists' Liberal Challenge to Rome and Luther https://books.google[...]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03-07-29
[85] 서적 Pacifism in Europe to 1914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3-08
[86] 서적 Religion on the Move!: New Dynamics of Religious Expansion in a Globalizing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23-03-10
[87] 서적 Certain Sainthood: Canonization and the Origins of Papal Infallibility in the Medieval Church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3-03-10
[88] 서적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The Decline of Western Christendom and the Rise of Majority Worl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2023-03-10
[89] 백과사전 Waldens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9-01-28
[90] 서적 A History of the Vaudois Church from Its Origin: And of the Vaudois of Piedmont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Religious Tract Society 2019-02-25
[91] 서적 A History of the Vaudois Church from Its Origin https://archive.org/[...] Religious Tract Society 1859
[92] 백과사전 Waldens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9-01-28
[93] 서적 Baptist Theology: A Four-century Study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19-02-25
[94] 서적 Historical Studies https://archive.org/[...]
[95] 서적 A General History of the Baptist Denomination in Americ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Lincoln & Edmands, no. 53, Cornhill 1813
[96] 서적 Spicilegium sive collectio veterum aliquot scriptorum qui in Galliae bibliothecis delituerant. Olim editum opera ac studio d. Lucae d'Achery, .. http://archive.org/d[...] 1723
[97] 서적 Martyrs Mirror Herald Press
[98] 간행물 Geschiedkundig onderzoek naar den Waldenzischen oorsprong van de Nederlandsche Doopsgezinden https://books.google[...] Frederik Muller
[99] 웹사이트 Geschiedkundig onderzoek
[100] 서적 'The Western Baptist Review "Were the Waldenses Baptists or Pedo-Baptists?' https://books.google[...] A. G. Hodges and Company, printers. 1847
[101] 웹사이트 Lateran 4 – 1215 http://www.ewtn.com/[...] Ewtn.com 2014-02-26
[102] 간행물 The Middle Ages
[103] 간행물 A Concise History of Baptists Bogard Press
[104] 간행물 A History of the Baptists Baptist Heritage Press
[105] 웹사이트 Waldenses Were Independent Baptists http://libcfl.com/ar[...] Landmark Independent Baptist Church 2014-02-26
[106] 웹사이트 waldenses confessions of faith http://baptistdocume[...] Baptistdocuments.tripod.com 2014-02-26
[107] 서적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http://www.doctrine.[...]
[108] 서적 The Great Controversy http://www.whiteesta[...] 1870
[109] 서적 Beitrage zur Sektengeschichte Des Mittelalters https://archive.org/[...] 1890
[110] 서적 History of the Sabbath http://dedication.ww[...] 1873
[111] 서적 History of the Sabbath http://dedication.ww[...] 1873
[112] 서적 The Waldensian dissent: persecution and survival, c. 1170 – c. 157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13] 문서 The first historian on the Waldensians, Gerolamo Miolo in his Historia breve et vera de gl'affari de i valdesi delle Valli (1587), explicitly stated that "Thus began the appellation of Poors of Lyon, also called Waldensians, Lyonists, insabbati, because they did not observe either the Sabbath nor any feasts."
[114] 간행물 Seeking Primitive Christianity in the Waldensian Valleys: Protestants, Mormons, Adventists and Jehovah's Witnesses in Ita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5
[11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www.landmarkb[...] 1832
[116] citation History of the Ancient Christians http://media.sabda.o[...] 1847
[117] 문서 "La 'Confesion de fé' de los Valdenses llamada del ano 1120" 1935-08
[118] 문서 "La 'Confesion de fé' de los Valdenses llamada del ano 1120" 1935-08
[119] 문서 "Mémoires de George Morel : l'importanza del codice valdese c-5-18 (Ms. 259) del Trinity College di Dublino per la storia dell'adesione dei Valdesi alla Riforma" 1972-12
[120] 문서 Algemeine Geschichte der Waldenser oder der evangelischen Kirchen in den Thälern von Piemont https://books.google[...] 1750
[121] 문서 Rückblicke auf die Geschichte der Reformation, oder, Luther in Leben und That: zur Erinnerung an die dreihundertjährige Augsburgische Confessions https://books.google[...] 1830
[122] 문서 Geschichte der Waldenser 1850
[123] 서적 Italienische Waldenser und das protestantische Deutschland 1655 bis 1989 Vandenhoeck & Ruprecht, Göttingen 1994
[124] 서적 Der Armutsbegriff der Waldenser: eine sozialphilosophische Annäherung Frankfurt am Main: Lang 2010
[125] 웹사이트 Chiesa Evangelica Pentecostale 'L'Eterno Nostra Giustizia' http://www.grotte.in[...] Grotte.info 2012-12-26
[126] 서적 Christianity Outside the Box: Learning from Those Who Rocked the Boat Wipf & Stock Publishers 2012
[127] 서적 Italy: Be Fluent in Italian Life and Culture Thorogood Publishing 2010
[128] 웹사이트 Gustavus Adolphus Union website http://glauben-verbi[...]
[129] 웹사이트 otto per mille della dichiarazione irpef alla chiesa valdese http://www.ottopermi[...] 2016-03-15
[130] 웹사이트 Italian Protestants approve same-sex blessings https://www.pcusa.or[...] 2016-05-26
[131] 웹사이트 Coppie gay, storica apertura della Chiesa valdese. Ma si aspetta ancora una legge http://www.ilfattoqu[...] 2016-04-30
[132] 웹사이트 South America http://www.waldensia[...] American Waldensian Society 2016-07-06
[133] 서적 El templo y la escuela: los valdenses en el Uruguay Cal y Canto 1994
[134] 웹사이트 Valdenses no Brasil https://ensaiosenota[...] 2023-05-20
[135] 문서 Morris's Memorial History of Staten Island, New York 1898
[136] citation Regions: Europe: Countries: Italy http://globalmormoni[...] Brigham Young University 2011-12-22
[137] 웹사이트 Waldenses Settle in Burke County https://www.ncdcr.go[...] N.C. Department of Natural & Cultural Resources 2019-05-29
[138] citation 'Like the Rose in the Wilderness': The Mormon Mission in the Kingdom of Sardinia http://mormonhistori[...] Mormon Historic Sites Foundation 2000
[139] citation Il Libro di Mormon: Anticipating Growth beyond Italy's Waldensian Valleys http://maxwellinstit[...] Maxwell Institute For Religious Scholarship, Brigham Young University 2011-12-22
[140] thesis The Mormon Waldensians http://files.lib.byu[...] Department of History, Brigham Young University; Harold B. Lee Library Digital Collections
[141] 간행물 To A Home in the Land of the Free http://www.ctlibrary[...] 2011-12-22
[142] 웹사이트 Who We Are http://www.waldensia[...] Waldensian.org 2014-02-26
[143] 웹사이트 Medieval New York: Waldensians in New York City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4-02-26
[144] 뉴스 Outdoor Drama At Valdese Has Long Run https://www.newspape[...] 1973-06-03
[145] 웹사이트 Deutsche Waldenservereinigung https://www.waldense[...] 2023-05-20
[146] 웹사이트 Deutsche Waldenserorte http://www.waldenser[...] 2016-04-30
[147] 웹사이트 Waldenserort Nordhausen http://www.waldenser[...] 2016-04-30
[148] 웹사이트 Waldenserkirche http://www.waldenser[...] 2016-04-30
[149]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教文館 昭和52年
[150] 뉴스 イタリア便り ローマ法王のざんげ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10-21
[151] 문서 History of the Evangelical Churches in the Valleys of Piedmont https://tspace.libra[...] 1658年
[152] 서적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08-20
[153] 서적 Der Glaube der Kirche in den Urkunden der Lehrverkündigung Pustet, Regensburg 1965
[154] 서적 교회용어사전: 교파 및 역사 생명의말씀사
[155] 간행물 Waldenser Magaz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