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 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펜 효과는 고소득 국가일수록 물가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며, 구매력 평가설의 한계를 보여준다. 1940년 이전에는 구매력 평가설이 지지를 받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팀은 고소득 국가의 상품 가격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폴 새뮤얼슨은 펜 세계 테이블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이 현상을 펜 효과라고 명명했다. 펜 효과는 주로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로 설명되며, 소득 수준의 국제 비교 시 구매력 평가(PPP) 조정을 통해 실제 소득 격차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학의 효과 -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 효과는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가 사용자의 수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으로, 긍정적 및 부정적 외부 효과, 임계 질량, 시장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 경제학의 효과 - 발라사-새뮤얼슨 효과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국가 간 생산성 차이가 상대 가격과 실질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경제 모델로, 무역재와 비무역재 간 생산성 격차가 물가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생산성이 높은 국가에서 비무역재 가격이 높아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한다.
펜 효과 | |
---|---|
펜 효과 정보 | |
정의 | 어떤 대상에 대해 우호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이 그 대상과 관련된 다른 대상에 대해서도 유사한 감정을 가지게 되는 현상 |
관련 분야 | 마케팅, 심리학, 경제학 |
효과 | 상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강화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 |
발생 메커니즘 | |
조건 반사 | 특정 대상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다른 대상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로 이어짐 |
인지적 일관성 | 기존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를 선호하는 경향 |
감정 전이 | 한 대상에 대한 감정이 다른 대상으로 전이됨 |
마케팅 활용 사례 | |
유명인 광고 | 유명인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상품에 전이 |
브랜드 확장 | 성공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다른 상품군으로 확장 |
사회 공헌 활동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이미지 구축 |
주의 사항 | |
과도한 일반화 | 모든 연관 대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님 |
부정적인 연관 |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대상과의 연관은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음 |
참고 자료 | |
관련 연구 | (영어) The “Pen-Effect” A Positive Persuasion Phenomenon (일본어) 対人魅力研究におけるペン効果再考 ―先行研究の検討から効果の生起メカニズムの考察へ― |
관련 용어 | 후광 효과, 연상 작용 |
2. 역사
고전 경제학은 금[1]과 같은 공통 통화로 상품을 구매할 때 전 세계적으로 가격이 거의 동일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를 구매력 평가설(PPP)이라 하며, 여러 국가 간 실질 환율(RER)이 1에 가까워야 한다고 예측했다. 이 이론에서는 시간에 따른 변동이 있더라도 작고 비체계적일 것이라고 보았다.
1940년 이전에는 PPP 가설이 계량경제학적 지지를 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팀은 소득이 높은 국가일수록 상품 가격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64년에는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라는 이론적 해석이 제시되었고, 이후 연구에서도 펜 효과가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폴 새뮤얼슨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팀이 발견한, 소득 수준이 높은 국가에서 물가 수준이 체계적으로 높다는 "기본적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펜 효과"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994년). 그는 펜 효과가 실제 역사에서 중요한 현상이지만, 삶의 불가피한 사실은 아니라고 언급했다.[1]
구매력 평가설에 따르면 통화 단위를 통일하면 재화 가격은 전 세계 어디서나 같아야 하지만,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 그룹은 1950년대 이후 고소득 국가에서 물가 수준이 체계적으로 높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1964년에 제시된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무역재 부문의 생산성 상승이 비무역재 부문의 가격 수준을 상승시켜 구매력 평가에서 벗어나게 만든다고 설명한다. 이후 연구에서는 펜 효과가 발생하는 다양한 경로에 대해 논의했다.
2. 1. 초기 연구와 구매력 평가설의 한계
고전 경제학에서는 상품 바구니(예: 금)[1]를 공통 통화로 지불할 때 전 세계적으로 가격이 거의 동일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구매력 평가설(PPP)이라고 하며, 여러 국가 간의 실질 환율(RER)이 1에 가까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시간에 따른 변동은 작고 비체계적일 것으로 예측했다.1940년 이전에는 PPP 가설이 계량경제학적 지지를 받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팀은 시장 환율로 비교했을 때 소득이 높은 국가의 상품 가격(비교 가능한 물가지수로 측정)이 일관되게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64년에는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라는 현대적인 이론적 해석이 나왔고, 이후 연구에서도 펜 효과가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후 분석에서는 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과 예상과 달리 발견되지 않는 역사적 사례도 제시되었다. 1994년까지 PPP 편차는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로 알려졌지만, 폴 새뮤얼슨은 자신의 이론이 [https://web.archive.org/web/20070213035132/http://pwt.econ.upenn.edu/icp.html 펜 세계 테이블] 데이터 수집가들에게 빚졌음을 인정하며, 그들이 발견한 "기본적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펜 효과"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는 '''펜 효과'''가 실제 역사에서 중요한 현상이지만, 삶의 불가피한 사실은 아니라고 썼다.[1]
구매력 평가설에 따르면, 재화 바스켓의 비용은 통화 단위를 통일하면 전 세계 어디에서나 같아야 한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 그룹은 고소득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물가 수준이 높다는 점을 들어, 각국 통화의 구매력을 조정하면 저소득 국가의 소득 수준이 통화 전환 후 1인당 소득이 시사하는 만큼 낮지 않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1964년에 발라사-새뮤얼슨 효과가 이론적 해석으로 제시되었다.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무역재 부문의 생산성 상승이 비무역재 부문의 가격 수준을 상승시켜 구매력 평가로부터의 괴리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더욱이, 그 후의 연구에서 펜 효과가 발생하는 다양한 채널에 대해 논의되었다.
2. 2. 발라사-새뮤얼슨 효과 (1964년)
고전 경제학은 금[1]과 같은 공통 통화로 지불할 때 상품 바구니가 전 세계적으로 거의 동일한 비용이 든다고 예측했다. 이는 구매력 평가설(PPP) 가설이라고 불리며, 여러 국가 간의 실질 환율(RER)이 1에 가까워야 한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 이론에서는 시간에 따른 변동을 예상했지만 작고 비체계적일 것으로 예측했다.1940년 이전에는 PPP 가설이 계량경제학적 지지를 받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팀의 연구에서 현대적인 관계가 문서화되었다. 시장 환율로 비교했을 때 소득이 높은 국가는 국내 생산 상품의 가격(비교 가능한 물가지수로 측정)이 일관되게 더 높았다.
1964년에 현대적인 이론적 해석이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로 정립되었으며, 이후의 연구에서 원래의 펜 효과를 일관되게 확인했다. 그러나 이후의 분석에서는 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메커니즘과 예상되지만 발견되지 않는 역사적 사례가 제시되었다. 1994년까지 PPP 편차는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로 알려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폴 새뮤얼슨은 "발라사-새뮤얼슨 30년 후의 측면"의 진행 상황을 검토하면서 그의 이론이 [https://web.archive.org/web/20070213035132/http://pwt.econ.upenn.edu/icp.html 펜 세계 테이블] 데이터 수집가들에게 빚진 바를 인정하며, 그들이 발견한 "기본적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펜 효과"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 '''펜 효과'''는 실제 역사에서 중요한 현상이지만, 삶의 불가피한 사실은 아니다.
구매력 평가설에 따르면, 재화 바스켓의 비용은 통화 단위를 통일하면 전 세계 어디에서나 같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 그룹은 고소득 국가에서는 체계적으로 물가 수준이 높다는 점을 들어, 각국의 통화의 구매력을 조정하면, 저소득 국가의 소득 수준은 통화 전환 후 1인당 소득이 시사하는 만큼 낮지 않다는 실증적 사실을 제시했다.
1964년에 이론적 해석으로 발라사-새뮤얼슨 효과가 제시되었다.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무역재 부문의 생산성 상승이 비무역재 부문의 가격 수준을 상승시켜 구매력 평가로부터의 괴리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더욱이, 그 후의 연구에서 펜 효과가 발생하는 다양한 채널에 대해 논의되었다.
2. 3. 펜 효과 용어의 등장
고전 경제학에서는 상품 바구니(예: 금)[1])와 같은 공통 통화로 지불할 때 전 세계적으로 가격이 거의 동일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구매력 평가설(PPP) 가설이라고 불리며, 여러 국가 간의 실질 환율(RER)이 1에 가까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이론은 시간에 따른 변동을 예상했지만, 그 변동이 작고 비체계적일 것이라고 예측했다.1940년 이전에는 PPP 가설이 계량경제학적 지지를 받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팀은 시장 환율로 비교했을 때 소득이 높은 국가에서 국내 생산 상품의 가격(비교 가능한 물가지수로 측정)이 일관되게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1964년,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라는 현대적인 이론적 해석이 등장했고, 이후의 연구에서 원래의 펜 효과를 일관되게 확인했다. 그러나 이후의 분석에서는 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메커니즘과 예상되지만 발견되지 않는 역사적 사례가 제시되었다. 1994년까지 PPP 편차는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로 알려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폴 새뮤얼슨은 "발라사-새뮤얼슨 30년 후의 측면"의 진행 상황을 검토하면서 그의 이론이 [https://web.archive.org/web/20070213035132/http://pwt.econ.upenn.edu/icp.html 펜 세계 테이블] 데이터 수집가들에게 빚진 바를 인정하며, 그들이 발견한 "기본적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펜 효과"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 '''펜 효과'''는 실제 역사에서 중요한 현상이지만, 삶의 불가피한 사실은 아니다.
구매력 평가설에 따르면, 재화 바스켓의 비용은 통화 단위를 통일하면 전 세계 어디에서나 같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 그룹은 고소득 국가에서는 체계적으로 물가 수준이 높다는 점을 들어, 각국의 통화의 구매력을 조정하면, 저소득 국가의 소득 수준은 통화 전환 후 1인당 소득이 시사하는 만큼 낮지 않다는 실증적 사실을 제시했다.
1964년에 이론적 해석으로 발라사-새뮤얼슨 효과가 제시되었다.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무역재 부문의 생산성 상승이 비무역재 부문의 가격 수준을 상승시켜 구매력 평가로부터의 괴리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더욱이, 그 후의 연구에서 펜 효과가 발생하는 다양한 채널에 대해 논의되었다.
3. 펜 효과의 이해
구매력 평가설(purchasing power parity) 가설에 따르면 발라사-사무엘슨 효과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빅맥을 상품으로 취급하는 단순한 개방 경제 모델은 국제 가격 경쟁으로 인해 노르웨이, 이집트, 미국의 햄버거 가격이 수렴될 것이라고 암시한다. 그러나 펜 효과는 달러 소득이 높은 곳에서는 일반적인 물가가 일관되게 높게 유지된다고 주장한다.
'물가 수준'을 측정하려면 햄버거 외의 상품도 살펴봐야 하지만, 대부분의 상품은 소비자 물가 지수(CPI)에서 동일한 패턴을 보인다. 즉, 소득이 높은 국가에서는 동일한 상품의 가격이 더 비싼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서비스, 빅맥과 같이 부패하기 쉬운 상품, 주택은 소비자가 사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구매할 수 없다. 이러한 품목들은 전형적인 소비자 쇼핑 목록을 형성하며, 따라서 소비자 물가 수준은 햄버거 가격과 마찬가지로 국가마다 다를 수 있다.
펜 효과에 따르면, 저소득 국가에서는 물가 수준이 낮기 때문에, 달러 기준 1인당 GDP로 측정한 소득 수준이 시사하는 것보다 실제로는 덜 빈곤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떤 고소득 국가의 1인당 연간 소득이 400만엔이고, 어떤 저소득 국가의 1인당 연간 소득이 40만엔이라고 가정할 때, 고소득 국가는 저소득 국가보다 10배 소득 수준이 높다. 그러나 고소득 국가에서 1회 식사 비용이 1000JPY이고, 저소득 국가에서는 100JPY이라면,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 모두 연간 소득으로 4000회 분의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화폐 구매력을 고려하면 식사 횟수로 측정한 소득 수준은 두 국가 간에 동일해진다. 따라서 400만엔 / 40만엔 = 10배와 같이 단순하게 소득 수준을 비교할 수 없다.
3. 1. 빅맥 지수와 펜 효과
빅맥 지수대부분의 상품은 부유한 국가보다 가난한(저소득) 국가에서 더 저렴하다. "선진국" 출신이 "개발도상국"에서 휴가를 보낼 경우, 자국에서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1월 기준 빅맥의 가격은 노르웨이에서 7.84USD였고, 이집트에서는 2.39USD였다. 이는 두 제품이 본질적으로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당시 USD 환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펜 효과를 설명하는 것으로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발라사-새뮤얼슨 효과가 있다. 고소득 국가보다 저소득 국가에서 물가 수준이 낮은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2013년 1월의 데이터에 따르면, 빅맥은 노르웨이에서는 7.84USD였고, 이집트에서는 2.39USD였다.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르면, 같은 재화라면 어느 국가에서든 같은 통화로 측정한 가격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무역 장벽의 존재 등으로 인해 시장이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또한, 빅맥은 비(非)무역재이므로, 국가 간에 가격 차이가 존재해도 가격 차이를 수렴시키는 재정 거래를 할 수 없다.
3. 2. 일물일가의 법칙과 시장의 불완전성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르면 동일한 시장에서 동일한 품목에 대해 서로 다른 두 가지 판매 가격이 유지될 수 없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들이 더 낮은 가격으로만 구매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법칙을 거꾸로 적용하면, 동일한 상품의 가격이 다르다는 사실로부터 서로 다른 국가들이 효율적인 공동 시장을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1]예를 들어 오슬로에 있는 맥도날드 고객이 동일한 카이로 레스토랑에서 4분의 1 가격으로 식사를 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고, 가격 경쟁을 통해 전 세계 빅맥 가격이 균등해질 것이다. 물론, 누군가는 현지에서만 식사를 할 수 있으므로 지역별 가격 차이가 지속될 수 있다. 오슬로와 카이로 지점은 경쟁 관계가 아니다. 카이로 맥도날드가 햄버거를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하더라도 오슬로의 가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오슬로에서 저녁을 먹는 사람이 카이로에서 식사할 가능성은 낮으며, 테이크 아웃을 주문하여 이집트 식사를 노르웨이로 수입할 수도 없다.[1]
2013년 1월 데이터를 보면, 빅맥은 노르웨이에서는 7.84USD였고, 이집트에서는 2.39USD였다.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르면, 같은 재화라면 어느 국가에서든 같은 통화로 측정한 가격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무역 장벽의 존재 등으로 인해 시장이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또한, 빅맥은 비(非)무역재이므로, 국가 간에 가격 차이가 존재해도 가격 차이를 수렴시키는 재정 거래를 할 수 없다.[1]
3. 3. 비(非)무역재와 펜 효과
대부분의 상품은 부유한 국가보다 가난한(저소득) 국가에서 더 저렴하다. "선진국" 출신이 "개발도상국"에서 휴가를 보낼 경우, 자국에서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1월 기준 빅맥의 가격은 노르웨이에서 7.84USD였고, 이집트에서는 2.39USD였다. 이는 두 제품이 본질적으로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당시 USD 환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펜 효과를 설명하는 것 중 하나이다. 고소득 국가보다 저소득 국가에서 물가 수준이 낮은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2013년 1월의 데이터에 따르면, 빅맥은 노르웨이에서는 7.84USD였고, 이집트에서는 2.39USD였다.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르면, 같은 재화라면 어느 국가에서든 같은 통화로 측정한 가격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무역 장벽의 존재 등으로 인해 시장이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또한, 빅맥은 비(非)무역재이므로, 국가 간에 가격 차이가 존재해도 가격 차이를 수렴시키는 재정 거래를 할 수 없다.
4. 펜 효과의 설명: 발라사-새뮤얼슨 효과
구매력 평가설에 따르면, 통화 단위를 통일하면 재화 바스켓의 비용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같아야 한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 그룹은 고소득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물가 수준이 높다는 점을 들어, 각국 통화의 구매력을 조정하면 저소득 국가의 소득 수준이 통화 전환 후 1인당 소득이 시사하는 것만큼 낮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64년에는 이 현상에 대한 이론적 해석으로 발라사-사뮤엘슨 효과가 제시되었다.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무역재 부문의 생산성 상승이 비무역재 부문의 가격 수준을 상승시켜 구매력 평가로부터 괴리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이후 연구에서는 펜 효과가 발생하는 다양한 경로에 대해 논의되었다.
4. 1. 무역재와 비무역재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펜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고소득 국가보다 저소득 국가에서 물가 수준이 낮은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1월 빅맥 지수를 보면, 노르웨이에서는 빅맥 가격이 7.84USD였던 반면, 이집트에서는 2.39USD였다.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르면, 동일한 상품은 어느 국가에서든 같은 통화로 환산했을 때 가격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데, 이는 무역 장벽 등으로 인해 시장이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한, 빅맥과 같이 국가 간 거래가 어려운 비무역재는 국가 간 가격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이를 해소하는 재정 거래가 불가능하다.
4. 2. 생산성 격차와 물가 수준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발라사-새뮤얼슨 효과는 펜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고소득 국가보다 저소득 국가에서 물가 수준이 낮은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1월 데이터를 보면 빅맥 가격은 노르웨이에서 7.84USD였던 반면, 이집트에서는 2.39USD였다.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르면 동일한 상품은 어느 나라에서든 같은 통화로 측정했을 때 가격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데, 이는 무역 장벽 등으로 인해 시장이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한, 빅맥은 국가 간 거래가 불가능한 비무역재이므로, 가격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이를 이용한 재정 거래를 통해 가격 차이를 줄일 수 없다.5. 펜 효과의 함의
펜 효과는 저소득 국가에서 물가 수준이 낮기 때문에, 달러 기준 1인당 GDP로 측정한 소득 수준이 시사하는 것보다 실제로는 덜 빈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5. 1. 소득 수준의 국제 비교
구매력 평가(PPP)의 차이 덕분에 인도의 시골 사람들은 부유한 국가의 절대적인 생계 수준 이하의 소득으로도 생존할 수 있다. 명목 소득 수준이 주어지면,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펜 효과는 이롭다. 만약 이 효과가 없었다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은 소득이 생존 한계 이하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효과는 국제 환율로 측정된 명목 소득 수준의 격차가 환상임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환율은 소비의 작은 부분인 거래되는 상품에만 적용되기 때문이다.만약 실제 소득 격차(현지 물가를 고려하여)가 시장 환율에 의해 과장된다면,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 간의 생활 수준의 실제 차이는 시장 환율로 변환된 1인당 GDP 수치보다 적다. 더 의미 있는 비교를 위해, 경제학자들은 국가의 평균 소득을 소비자 물가 지수로 나눈다.
따라서 소득 수준의 국제 비교를 하는 실증 연구에서는 단순한 1인당 소득이 아닌, 구매력 평가 조정 1인당 소득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5. 2. 개발도상국의 빈곤 문제
구매력 평가의 차이는 인도의 시골 사람들이 부유한 국가의 절대적인 생계 수준 이하의 소득으로 생존할 수 있게 해준다. 명목 소득 수준이 주어졌다고 가정하면,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펜 효과는 이롭다. 만약 이 효과가 적용되지 않았다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은 소득이 생존 한계 이하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효과는 국제 환율로 측정된 명목 소득 수준의 격차가 환상임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환율은 소비의 작은 부분인 거래되는 상품에만 적용되기 때문이다.만약 실제 소득 격차(현지 물가를 고려하여)가 시장 환율에 의해 과장된다면,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 간의 생활 수준의 실제 차이는 시장 환율로 변환된 1인당 GDP 수치보다 적다. 더 의미 있는 비교를 위해, 경제학자들은 국가의 평균 소득을 소비자 물가 지수로 나눈다. 소득 수준의 국제 비교를 하는 실증 연구에서는 단순한 1인당 소득이 아닌, 구매력 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 조정 1인당 소득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5. 3. 한국의 경제 발전과 펜 효과
실증 연구에서는 소득 수준을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 단순한 1인당 소득 대신 구매력 평가(PPP) 조정 1인당 소득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참조
[1]
간행물
The Balassa-Samuelson and the Penn Effect: Are They Really the Same?
https://www.nccr-fin[...]
National Centre of Competence in Research Financial Valuation and Risk Management, Working Paper No. 700
2011
[2]
서적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ational Products and the Purchasing Power of Currencies: A Study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and Italy
https://doi.org/10.2[...]
Paris,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 London, H.M.S.O.
1954
[3]
서적
Comparative National Products and Price Levels
Paris: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
1958
[4]
논문
Real GDP Per Capita for More Than One Hundred Countries
https://doi.org/10.2[...]
1978
[5]
논문
The Purchasing-Power-Parity Doctrine: A Reappraisal
https://www.jstor.or[...]
1964
[6]
논문
Theoretical notes on Trade Problems
https://doi.org/10.2[...]
1964
[7]
논문
The Balassa–Samuelson effect and pricing-to-market: The role of strategic complementarity
https://doi.org/10.1[...]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