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원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원군은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이전 여러 면과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평원면, 검산면, 공덕면, 노지면, 덕산면, 동송면, 동암면, 서해면, 숙천면, 순안면, 양화면, 용호면, 조운면, 청산면, 한천면, 해소면 등 16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각 면은 여러 리를 관할했으며, 숙천읍과 평원면 등은 특정 리들을 포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평안남도 (대한민국)
평안남도는 1896년 평안도에서 분리되어 대한민국이 이북5도위원회를 통해 명목상 행정 체계를 유지하는 도이며, 도청 소재지는 평양시이고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 평안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안주군 (대한민국)
안주군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 단위로, 여러 면과 읍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니면, 동면, 신안주면, 연호면, 용화면, 운곡면, 입석면, 안주읍 등이 속해 있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평원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 구역 |
위치 | 평안남도 |
군청 소재지 | 미상 |
면적 | 985.05km² |
군수 | 김승호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행정 구역 | |
읍 | 없음 |
면 | 16면 |
2. 행정 구역
평원군의 행정 구역은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이후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다음은 평원군에 속했던 면과 리의 목록이다.
면 | 리 숫자 | 리(里) |
---|---|---|
검산면 | 9 | 검흥, 송양, 터산, 신지, 신성, 검양, 용포, 학산, 검서 |
공덕면 | 21 | 흥운, 원, 적암, 괴전, 송매, 향암, 장재, 간, 양수, 성교, 산송, 용흥, 병상, 법흥, 상이, 퇴상, 퇴현, 퇴남, 용암, 신교, 신화 |
노지면 | 10 | 용정, 용당, 정림, 대송, 용암, 쌍암, 석소, 추흥, 문명, 대주 |
덕산면 | 14 | 삼정, 화산, 검암, 주촌, 봉도, 유촌, 귤, 덕수, 탑, 경하, 제, 원오, 대포, 호여 |
동송면 | 10 | 월봉리|月峰里한국어, 군자리|君子里한국어, 수암리|壽巖里한국어, 백석리|白石里한국어, 백운리|白雲里한국어, 송현리|松峴里한국어, 청룡리|靑龍里한국어, 운평리|雲平里한국어, 용담리|龍潭里한국어, 운룡리|雲龍里한국어 |
동암면 | 23 | 산음, 암적, 원화, 조산, 산양, 상탄, 용산, 도전, 신흥, 송석, 서석암, 동석암, 신평, 부백, 용이, 용우, 둔전, 문암, 율일, 율화, 반송, 서문, 어중 |
서해면 | 11 | 사산, 연풍, 보원, 보덕, 당오, 광천, 남포, 원흥, 중흥, 용산, 신덕 |
순안면 | 21 | 남창, 군상, 사직, 구교, 포정, 관북, 남산, 오산, 안흥, 수우, 신상, 담화, 연산, 성일, 성이, 신안, 구서, 양학, 안암, 상양, 원일 |
양화면 | 12 | 요화, 옥정, 내송, 상송, 금강, 신정, 평, 용복, 신성, 상서, 중흥, 신 |
용호면 | 16 | 연교, 운봉, 안연, 뇌송, 판교, 청운, 용강, 당우, 약전, 관성, 남양, 장평, 응오, 중항, 매전, 어당 |
조운면 | 8 | 갈산, 응암, 조운, 재정, 송천, 성덕, 순정, 태평 |
청산면 | 11 | 구원, 계산, 남흥, 운송, 보방, 금봉, 교산, 개수, 용암, 송현, 운탑 |
한천면 | 11 | 감팔, 감일, 감이, 감삼, 감사, 감오, 감육, 감칠, 인의, 예지, 신성 |
해소면 | 8 | 금학리|金鶴里한국어, 용현리|龍峴里한국어, 송정리|松井里한국어, 월현리|月現里한국어, 내덕리|內德里한국어, 종률리|種栗里한국어, 난산리|爛山里한국어, 용교리|龍橋里한국어 |
2. 1. 숙천읍(肅川邑)
숙천군의 중심지로, 군의 행정, 상업,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숙천면은 관전(官前), 사직(社稷), 관동(館東), 당하(堂下), 심정(深井), 성남(城南), 미남(嵋南), 백로(白鷺), 통덕(通德), 도덕(道德), 신흥(新興), 내동(內洞), 덕수(德水), 신남(新南), 송저(松底), 만흥(晩興)의 16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2. 2. 평원면(平原面)
은 평원군에 속해 있던 면으로, 이화리, 괴천리, 영덕리, 월평리, 대부리, 어파리, 원류리, 어은리, 부용리, 송석리, 화림리, 자일리, 월정리, 장림리의 14개 리가 있었다.리(里) 이름 | 한자 |
---|---|
이화리 | 梨花 |
괴천리 | 槐泉 |
영덕리 | 永德 |
월평리 | 月坪 |
대부리 | 大夫 |
어파리 | 漁坡 |
원류리 | 元柳 |
어은리 | 漁隱 |
부용리 | 芙蓉 |
송석리 | 松石 |
화림리 | 華林 |
자일리 | 紫逸 |
월정리 | 月晶 |
장림리 | 長林 |
2. 3. 검산면(檢山面)
검산면에는 검흥리, 송양리, 터산리, 신지리, 신성리, 검양리, 용포리, 학산리, 검서리가 있다.리(里) |
---|
검흥리 |
송양리 |
터산리 |
신지리 |
신성리 |
검양리 |
용포리 |
학산리 |
검서리 |
2. 4. 공덕면(公德面)
흥운리(興雲里), 원리, 적암리(積巖里), 괴전리(槐田里), 송매리(松梅里), 향암리(香巖里), 장재리(長財里), 간리(間里), 양수리(兩水里), 성교리(城橋里), 산송리(傘松里), 용흥리, 병상리(竝上里), 법흥리(法興里), 상이리(上二里), 퇴상리(退上里), 퇴현리(退峴里), 퇴남리(退南里), 용암리, 신교리(新郊里), 신화리(新和里)가 있다.2. 5. 노지면(鷺池面)
노지면에는 용정리(龍井里), 용당리(龍堂里), 정림리(旌林里), 대송리(大松里), 용암리(龍巖里), 쌍암리(雙巖里), 석소리(石蘇里), 추흥리(楸興里), 문명리(文明里), 대주리(大洲里)가 속해있다.리(里) |
---|
용정리(龍井里) |
용당리(龍堂里) |
정림리(旌林里) |
대송리(大松里) |
용암리(龍巖里) |
쌍암리(雙巖里) |
석소리(石蘇里) |
추흥리(楸興里) |
문명리(文明里) |
대주리(大洲里) |
2. 6. 덕산면(德山面)
德山面중국어은 평원군의 면으로, 삼정리, 화산리, 검암리, 주촌리, 봉도리, 유촌리, 귤리, 덕수리, 탑리, 경하리, 제리, 원오리, 대포리, 호여리가 있다.리(里) |
---|
삼정리(三井) |
화산리(華山) |
검암리(劒巖) |
주촌리(朱村) |
봉도리(蜂島) |
유촌리(兪村) |
귤리(橘) |
덕수리(德水) |
탑리(榻) |
경하리(坰下) |
제리(齊) |
원오리(元五) |
대포리(大浦) |
호여리(浩呂) |
2. 7. 동송면(東松面)
- 월봉리|月峰里한국어
- 군자리|君子里한국어
- 수암리|壽巖里한국어
- 백석리|白石里한국어
- 백운리|白雲里한국어
- 송현리|松峴里한국어
- 청룡리|靑龍里한국어
- 운평리|雲平里한국어
- 용담리|龍潭里한국어
- 운룡리|雲龍里한국어
2. 8. 동암면(東巖面)
산음리(山陰)·암적리(巖赤)·원화리(元和)·조산리(造山)·산양리(山陽)·상탄리(上灘)·용산리(龍山)·도전리(都田)·신흥리(新興)·송석리(松石)·서석암리(西石巖)·동석암리(東石巖)·신평리(新坪)·부백리(孚白)·용이리(龍二)·용우리(龍隅)·둔전리(屯田)·문암리(門巖)·율일리(栗一)·율화리(栗花)·반송리(盤松)·서문리(西門)·어중리(御重)2. 9. 서해면(西海面)
사산(蛇山), 연풍(延豊), 보원(補元), 보덕(補德), 당오(唐塢), 광천(廣川), 남포(南浦), 원흥(元興), 중흥(中興), 용산(龍山), 신덕(新德) 등 11개 리가 있었다.2. 10. 숙천면(肅川面)
평원군 숙천면에는 관전(官前), 사직(社稷), 관동(館東), 당하(堂下), 심정(深井), 성남(城南), 미남(嵋南), 백로(白鷺), 통덕(通德), 도덕(道德), 신흥(新興), 내동(內洞), 덕수(德水), 신남(新南), 송저(松底), 만흥(晩興) 등 16개 리가 있었다.2. 11. 순안면(順安面)
남창리(南昌里), 군상리(郡上里), 사직리(社稷里), 구교리(舊校里), 포정리(蒲井里), 관북리(館北里), 남산리(南山里), 오산리(梧山里), 안흥리(安興里), 수우리(水隅里), 신상리(新上里), 담화리(曇華里), 연산리(延山里), 성일리(星一里), 성이리(星二里), 신안리(新安里), 구서리(九瑞里), 양학리(陽鶴里), 안암리(安庵里), 상양리(上陽里), 원일리(元一里)2. 12. 양화면(兩花面)
요화리(蓼花里), 옥정리(玉井里), 내송리(內松里), 상송리(上松里), 금강리(金剛里), 신정리(新井里), 평리(坪里), 용복리(龍伏里), 신성리(新成里), 상서리(上西里), 중흥리(中興里), 신리(新里) 등 12개 리가 있다.이름 | 한자 |
---|---|
요화리 | |
옥정리 | |
내송리 | |
상송리 | |
금강리 | |
신정리 | |
평리 | |
용복리 | |
신성리 | |
상서리 | |
중흥리 | |
신리 |
2. 13. 용호면(龍湖面)
연교리, 운봉리, 안연리, 뇌송리, 판교리, 청운리, 용강리, 당우리, 약전리, 관성리, 남양리, 장평리, 응오리, 중항리, 매전리, 어당리2. 14. 조운면(朝雲面)
평원군 조운면에는 갈산리, 응암리, 조운리, 재정리, 송천리, 성덕리, 순정리, 태평리가 있었다.리(里) |
---|
갈산리 |
응암리 |
조운리 |
재정리 |
송천리 |
성덕리 |
순정리 |
태평리 |
2. 15. 청산면(靑山面)
구원리, 계산리, 남흥리, 운송리, 보방리, 금봉리, 교산리, 개수리, 용암리, 송현리, 운탑리2. 16. 한천면(漢川面)
리 숫자 | 리(里) |
---|---|
11 | 감팔리, 감일리, 감이리, 감삼리, 감사리, 감오리, 감육리, 감칠리, 인의리, 예지리, 신성리 |
2. 17. 해소면(海蘇面)
금학리한국어, 용현리한국어, 송정리한국어, 월현리한국어, 내덕리한국어, 종률리한국어, 난산리한국어, 용교리한국어3. 역사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으로 여겨졌다. 고구려 시대에는 가물현(嘉勿縣)으로 불렸으며, 고려 995년(성종 14년)에 숙주(肅州)로 승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1413년(태종 13년)에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1415년(태종 15년)에 군(郡)으로 강등되었다.
4. 지리
숙천군은 대체로 낮은 구릉성 산지와 평야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으로는 서해와 접하고 있으며, 해안 지역은 간척 사업을 통해 농경지로 개발되었다.
5. 경제
숙천군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특히 쌀 생산량이 많다. 간척지를 활용한 농업이 발달했으며,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농업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6. 교통
7. 문화
肅川郡중국어은 역사적으로 유서 깊은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다.
8. 인물
출신지 | 인물 |
---|---|
관전(官前) | 김일성의 외조부 강돈욱, 외조모 위돈신 |
검흥(檢興) | 김정숙(김일성의 처) |
공덕(公德) | 강량욱 (김일성의 외종숙, 강반석의 당숙) |
구원(舊院) | 강진석 (강반석의 부친) |
금학(金鶴) | 강형석 (강진석의 부친), 이송오 (강돈욱의 모친) |
남창(南昌) | 김일성의 외삼촌 강용석 |
산음(山陰) | 김원주 (김형직의 동생) |
삼정(三井) | 김형직의 모친 이보익 |
숙천(肅川) | 김형직의 부친 김보현 |
요화(蓼花) | 김일성의 외숙 강진건 |
용정(龍井) | 김형권 (김형직의 동생) |
이화(梨花) | 김일성의 외조부 강돈욱 |
9.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