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의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의선은 평양역에서 신의주청년역을 잇는 총 225.1km 길이의 철도 노선이다. 31개의 역이 있으며, 표준궤를 사용하고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다. 평양-간리, 어파-숙천, 남신의주-신의주청년 구간은 복선으로 운영된다. 과거 경의선으로 개통되었으며, 김정일이 중국 방문 시 이용하기도 했다. 2004년 룡천역 열차폭발 사고가 발생했고,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중국과의 국제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2013년에는 중국 자본을 통해 고속철도 신설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시의 철도 교통 - 평남선
평남선은 평양역과 평남온천역을 잇는 총 89.3km의 북한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개통되어 해방 후 평안선과 통합되었으며 남포항을 통한 화물 및 여객 운송을 담당하고, 러시아의 지원으로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었으나 대북 제재와 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평양시의 철도 교통 - 평부선
평부선은 평양과 개성을 잇는 187.3km의 철도 노선으로, 남북 연결의 상징적 역할을 수행했으나 남북 관계에 따라 운행이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간선 철도이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평안북도의 철도 교통 - 평덕선
평덕선은 대동강역에서 구장역까지 189.7km 구간을 잇는 북한의 철도 노선으로, 평양, 북창, 덕천 등 주요 산업 지역을 연결하며, 석탄 수송을 위한 화물 운송이 주를 이룬다. - 평안북도의 철도 교통 - 평북선
평북선은 평안북도 정주시 정주청년역에서 청수역까지 120.5km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39년 수풍댐 건설을 위해 사유 철도로 개통되어 북한 국유화 후 주요 산업 시설에 서비스와 장거리 및 통근 열차를 제공한다.
평의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중간 정도의 철도 지역 철도 여객/화물 |
노선 위치 | 평양 평안남도 평안북도 |
기점 | 평양 |
종점 | 신의주청년 |
역 수 | 33개 |
개통일 | 1905년 4월 28일 (화물) 1908년 4월 1일 (여객) |
소유 | 임시 군용 철도 (1905–1906) 국유 철도 (1906–1909) 한국 철도 (1909–1910) 조선총독부 철도 (1910–1917) 남만주 철도 (1917–1925) 조선총독부 철도 (1925–194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 (1945년 이후) |
노선 길이 | 225km |
선로 수 | 복선 (평양–간리, 어파–숙천, 남신의주–신의주청년) 단선 |
궤간 | 1,435mm |
전철화 | DC 3000V 가선 |
속도 | 100km/h (명목상) 40km/h (실제) |
차량기지 | 평양, 서평양, 정주, 신의주청년 (기관차); 평양, 강안 (차량) |
최대 경사 | 11‰ |
최소 곡선 반지름 | 300m |
지도 상태 | 축소됨 |
![]() | |
노선 정보 (일본어) | |
노선 이름 | 평의선 |
기점 | 평양역 |
종점 | 신의주청년역 |
역 수 | 31개 |
개업 | 1905년 11월 5일 |
운영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노선 거리 | 224km (추정치) |
궤간 | 1,435mm |
선로 수 | 단선,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3000V |
노선 정보 (조선어) | |
노선 종류 | 간선 철도 |
나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평양역 (평양직할시 중구역) |
종점 | 신의주청년역 (평안북도 신의주시) |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
운영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영업 거리 | 225.1km |
궤간 | 1435mm |
선로 | 평양 - 간리, 숙천 - 어파, 남신의주 - 신의주청년 복선, 나머지는 단선. |
전철화 | 전철 |
2. 노선 정보
- 구간과 거리: 평양역~신의주청년역 225.1km
- 역 수: 31개(양단역 포함)
- 궤도 간격: 1435mm(표준궤)
- 전철화 구간: 전 구간(직류 3000V)
- 복선 구간: 평양역—간리역, 어파역—숙천역, 남신의주역—신의주청년역(합계 35.1km)
- 폐역 정보
- 니서역(尼西驛): 숙천역과 문덕역 사이에 존재하였음.
- 수정역(壽亭驛): 평양역 기점 195.5km 지점에 존재하였음.[16]
- 당령역(堂嶺驛): 평양역 기점 201.7km 지점에 존재하였음.[16]
- 입암역(立巖驛): 평양역 기점 213.1km 지점에 존재하였음.[16]
- 노선 총 길이: 225.1km[1] (전체 국가 철도망의 5.3%[2])
- 노선 특징: 대부분 단선. 평양-간리(17.9km), 숙천–어파 (10.6km), 신의주-남신의주 (5.2km) 구간은 복선.
- 주 경사도: 11‰, 최소 곡선 반경: 300m, 역 간 평균 거리: 7.5km[2]
- 관할: 평양-서감 구간(평양 철도국), 서감-신의주 구간(개천 철도국)[2]
- 교량 및 터널: 총 9083m 길이의 교량 177개, 총 2383m 길이의 터널 5개[2] (북한 최장 철교(길이 1200m 이상) 포함)
- 기관차 및 여객 열차 시설: 평양, 서평양, 정주, 신의주 청년역(기관차 차고), 평양, 신의주 강안역(여객 열차 유지보수 시설)[2]
- 기타: 염주-남신의주 간 경로는 한국 전쟁 이후 양시선 노선(룡천 경유)으로 변경, 이전 백마 경유 노선은 백마선으로 분리. 평양 시내 노선 일부 변경으로 일제강점기보다 20.9km 단축.[14]
3. 역사
1905년 11월 5일 경의선으로 개통된 평의선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만주와 중국 방면으로의 연락을 담당하는 중요 간선이었다. 그러나 군사 분계선으로 노선이 분단되면서 북한 측 노선은 평양역을 경계로 북쪽을 평의선, 남쪽을 평부선으로 개칭하였다.
평양과 베이징, 모스크바 간 국제 열차가 운행되며, 외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다. 김일성과 김정일 전용 열차도 다니는 주요 간선 철도 중 하나이지만,[14] 최근에는 상황이 좋지 않아 최우등 열차도 표정 속도가 시속 30~40 km 정도이며, 일제강점기보다 평양-신의주 간 소요 시간이 늘어났다.[14]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복선화 공사가 실시되었지만,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후 거의 전 구간이 단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북한에서는 석유 외 자원이 많이 산출되어 수력 발전과 화력 발전(석탄)을 통해 철도 전철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직류 3,000 V로 전철화가 이루어져 있다.
- 1948년 9월 9일 이후: 평양역부터 신의주역 구간을 평의선으로 변경하였다.
- 1964년: 염주역에서 남신의주역 옛 구간을 공식적으로 백마선으로 분리하였다.
- 2004년 4월 22일: 룡천역에서 열차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
3. 1. 일제강점기
1905년 11월 5일, 경의선이 개통되었다.[16] 원래 경의선은 러일 전쟁 중 일본군의 이동을 지원하고 대한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 제국에 의해 설립된 임시군용철도국에 의해 개통되었다. 경성에서 신의주까지 노선 전체의 화물 운송은 1906년 4월에 시작되었고,[3] 그해 9월 1일, 철도국은 군대로부터 경의선의 통제권을 인수하여 경부선과 합병하여 조선총독부 철도를 설립하여 경의선의 소유와 운영을 인수했다.[4]1939년 ~ 1940년 : 남시역(염주역)과 신의주역 구간이 사설철도로 개통되었다.
- 1939년 10월 31일 - 다사도 철도 주식회사에 의해 신의주-다사도항 간 개통.
- 1940년 10월 29일 - 동사에 의해 남시-용천 간 개통. 결과적으로는 경의선의 우회로 형태가 되었다.
1943년 4월 1일 : 남시역과 신의주역 구간을 국유화하고 양시선으로서 영업을 개시하였다.[16]
- 1943년 4월 1일 - 남시-신의주 간이 조선총독부 철도 소속 양시선이 됨.
- 1943년 10월 16일 - 남신의주역이 경의선과의 환승역이 되어 양시선의 구간은 남시-남신의주역 간으로 변경.
- 1944년 4월 30일 - 수정역, 당령역을 폐지.
3. 2. 해방 이후
태평양 전쟁 종전과 그에 따른 한반도 분단 이후, 경의선은 토성과 사리원 사이의 38선에서 분단되었다.[1] 1945년 8월 25일, 소련군은 사리원 북쪽의 경의선에서 열차 운행을 시작했으며,[1][5] 1946년 8월 10일,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는 소련 점령 지역의 모든 철도를 국유화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을 설립했다.[1] 1948년 9월 9일 이후, 경의선은 분할되어 평양-신의주 구간은 평의선(두 종착역인 '''평'''양과 신'''의'''주의 이름을 따서)이 되었다.분단에도 불구하고, 열차는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전까지 경의선을 따라 계속 운행되었다. 1950년 12월 31일, 한포에서 문산으로 향하던 마테이 10 기관차와 25량의 객차로 구성된 여객 열차가 미국 육군의 명령으로 장단에서 정차 및 파괴되었다. 이 기관차는 현재 임진각에 전시되어 있다.[1] 이로써 문산-개성 구간이 폐쇄되어 남북 철도 연결이 끊어졌다.
일본 제국 육군은 1937년 4월부터 1943년 5월 사이에 압록강에 두 번째 다리를 건설했다. 이 새로운 다리와 원래 다리 모두 1950년 11월부터 1951년 2월 사이에 미국 공군 폭격기의 공격을 여러 차례 받았지만, 반복적으로 수리되었다. 한국 전쟁 종전 후, 1911년에 건설된 다리는 파괴된 채로 남겨졌고, 새로운 다리만 수리되어 다시 사용되었다. 1990년에 다리는 현재 이름인 조중우의교로 명명되었다.[6] 한국 전쟁 동안 노선 전체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2]
일제강점기에는 경의선으로, 경부선과 함께 경성부 (현: 서울특별시)를 기점으로 조선에서 만주·중국 방면으로의 연락을 담당하는 중요 간선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군사 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노선이 분단됨에 따라, 북한 측 노선을 평양역을 경계로 북쪽을 '''평의선''', 북한의 행정 구역상 남단인 개성까지를 '''평부선'''(부(釜)는 부산광역시를 가리킴)으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평양-베이징·모스크바 간 국제 열차도 운행되고 있으며, 외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며, 김일성·김정일 전용 열차도 다니는 주요 간선 철도 중 하나이다.[14] 최근에는 상황이 좋지 않아 최우등 열차도 표정 속도가 시속 30~40 km 정도이며, 일제강점기보다 평양-신의주 간의 소요 시간이 늘어났다.[14]
또한, 경의선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복선화 공사가 실시되었지만,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후 거의 전 구간이 단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북한에서는 석유 외의 자원이 많이 산출되기 때문에, 수력 발전·화력 발전(석탄)을 이용하여 철도 전철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두 노선 모두 현재는 직류 3,000 V로 전철화가 이루어져 있다.
- 1954년 6월 3일 - 평양-베이징 간을 직통하는 국제 열차의 운행이 시작됨.
- 1964년 - 양시선이 평의선에 통합되어 염주-남신의주 간의 구 구간을 백마선으로 분리.
- 2004년 4월 22일 - 룡천역 부근에서 열차 폭발 사고가 발생함.
- 2020년 3월 31일 - 코로나19(COVID-19) 유행에 따른 방역 조치로, 중국과의 국제 열차 등을 운행 중단.[15]
3. 3. 룡천역 열차폭발 사고
2004년 4월 22일, 룡천역에서 질산암모늄 비료를 운반하던 열차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1][12] 이 사고는 북한에서 발생한 최악의 철도 사고였다.4. 역 목록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평양 | P'yŏngyang | 平壤 | 평부선, 평남선 | 평양직할시 | 중구역 |
서평양 | Sŏp'yŏngyang | 西平壤 | 서성구역 | ||
서포 | Sŏp'o | 西浦 | 룡성선 | 형제산구역 | |
간리 | Kalli | 間里 | 평라선, 시정선 | ||
순안 | Sunan | 順安 | 순안구역 | ||
석암 | Sŏgam | 石岩 | |||
어파 | Ŏp'a | 漁波 | 평안남도 | 평원군 | |
숙천 | Sukch'ŏn | 肅川 | 숙천군 | ||
문덕 | Mundŏk | 文德 | 안주탄광선 | 문덕군 | |
대교 | Taegyo | 大橋 | 안주시 | ||
신안주청년 | Sinanju Ch'ŏngnyŏn | 新安州靑年 | 개천선 | ||
청천강 | Chŏngchŏn'gang | 淸川江 | 구봉산선 | 평안북도 | 박천군 |
맹중리 | Maengjung-ri | 孟中里 | 박천선, 남흥선 | ||
운전 | Unjŏn | 雲田 | 운전군 | ||
운암 | Unam | 雲岩 | |||
고읍 | Koŭp | 古邑 | 정주시 | ||
정주청년 | Chŏngju Ch'ŏngnyŏn | 定州靑年 | 평북선 | ||
하단 | Hadan | 下端 | |||
곽산 | Kwaksan | 郭山 | 곽산군 | ||
로하 | Roha | 路下 | 선천군 | ||
선천 | Sŏnch'ŏn | 宣川 | |||
청강 | Ch'ŏnggang | 淸江 | 동림군 | ||
동림 | Tongrim | 東林 | 철산선 | ||
염주 | Yŏmju | 鹽州 | 백마선 | 염주군 | |
내중 | Naejung | 內中 | |||
룡주 | Ryongju | 龍州 | 룡천군 | ||
룡천 | Ryongch'ŏn | 龍川 | 다사도선 | ||
락원 | Ragwŏn | 樂元 | 신의주시 | ||
남신의주 | Namsinŭiju | 南新義州 | 백마선, 덕현선 | ||
신의주청년 | Sinŭiju Ch'ongnyŏn | 新義州靑年 | 강안선 | ||
조중우의교 | |||||
단둥 | Dāndōng | 丹東 | 중국철도총공사 선단 철로, 단다 철로, 선단 고속철도, 단다 고속철도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시 전싱구 |
5. 운행
평의선은 일제강점기에는 경의선으로 불렸으며, 경부선과 함께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만주 및 중국 방면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간선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군사 분계선으로 인해 노선이 분단되면서, 북한은 평양역 북쪽을 평의선, 남쪽을 평부선으로 변경했다.
과거 이 노선에서는 100km/h의 속도까지 낼 수 있었지만,[2] 최근에는 선로 사정이 좋지 않아 여객 열차의 평균 속도가 40km/h 정도로 떨어졌다.[2] 또한, 가선 전압 저하나 정전 등으로 인해 실제 운행 시각이 지연되는 경우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양발 중국행 국제 열차는 시간적 여유를 두고 운행하여 큰 차질은 없는 편이다.
2014년 10월 기준 평양- 신의주 간 급행 51·52 열차의 운행 시각은 다음과 같다.
52 열차 | 역명 | 51 열차 | ||||
---|---|---|---|---|---|---|
도착 | 정차 시간 (분) | 출발 | 도착 | 정차 시간 (분) | 출발 | |
11:10 | 128 | 13:08 | 신의주청년 | 15:21 | 112 | 17:13 |
청강 | 14:09 | 6 | 14:15 | |||
15:05 | 8 | 15:13 | 정주청년 | 13:09 | 7 | 13:16 |
17:45 | - | - | 평양 | - | - | 10:40 |
5. 1. 국제열차 운행
평의선은 북한의 주요 경제 동맥 중 하나로, 동림, 문덕, 정주, 신의주 등 주요 공업지구와 덕현(철광석), 룡암포(기계 제조), 백마(화학) 등 여러 산업 중심지를 통과한다.[2] 신의주역은 북한에서 수출입 화물량이 가장 많은 철도역으로, 1983년 기준 수출 화물의 59.1%, 수입 화물의 38.5%를 처리했다.[2] 이는 중국과의 화물뿐만 아니라 소련 및 유럽 사회주의 국가와의 화물도 운송했기 때문이다.[2]유럽 공산주의 붕괴와 러시아와의 화물 운송 경로 변화로 유럽과의 교통량은 줄었지만, 신의주는 여전히 중요한 철도 국경역이다. 1996년 기준 평양-신의주 간 소요 시간은 4시간 30분이었으나,[1] 최근 여객 열차 평균 속도는 40km/h로 떨어졌다.[2]
이 노선에서 운행하는 여객 열차는 다음과 같다:[1]
열차 종류 | 운행 구간 | 비고 |
---|---|---|
국제 특급 열차 5/6 | 평양역 - 중국 베이징 | 평양-신의주 간 운행 |
특급 열차 19/20 | 평양 - 희천청년역 | 평양-신안주 간 운행 |
준특급 열차 115/116 | 평양 - 청수역 | 평양-정주 간 운행 |
준특급 열차 124-125/126-127 | 신의주청년역 - 청진청년역 | 신의주-평양 간 운행 |
준특급 열차 142-143/144-145 | 신의주청년 - 개성역 | 신의주-평양 간 운행 |
준특급 열차 146-147/148-149 | 신의주청년 - 남포 | 신의주-평양 간 운행 |
지방 열차 200/201 | 서평양역 - 청수 | 서평양-정주 간 운행 |
지방 열차 222-223/224 | 갈리역 - 개성 | 갈리-평양 간 운행 |
지방 열차 249/250 | 평양 - 소감역 | |
지방 열차 250-251/252-253 | 신의주청년 - 희천청년 | 신의주-신안주 간 운행 |
완행 열차 302-303/304-305 | 순안역 - 강동 | 순안-평양 간 운행 |
완행 열차 418/419 | 신의주청년 - 염주역 (백마선 경유) | 신의주-남신의주역 간 운행 |
일제강점기에는 경의선이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만주와 중국 방면 연락을 담당하는 중요 간선이었다. 그러나 군사 분계선으로 노선이 분단된 후, 북한은 평양역 북쪽을 평의선, 남쪽을 평부선으로 개칭했다.
평양-베이징, 모스크바 간 국제 열차는 외국인이 이용 가능한 유일한 노선이며, 김일성, 김정일 전용 열차도 다녔다.[14] 그러나 최근에는 상황이 좋지 않아 최우등 열차도 표정 속도가 시속 30~40km 정도이다.[14]
경의선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복선화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후 대부분 단선으로 운행된다. 북한은 수력 발전과 화력 발전(석탄)을 이용해 철도 전철화를 추진하여, 현재 두 노선 모두 직류 3,000V로 전철화되었다.
6. 개량 계획
아직 별다른 개량 계획은 없다. 2013년에 중국의 자본을 통해 고속철도를 평부선 구간과 함께 신설하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주요 경유지는 신의주 - 정주 - 신안주 - 평양 - 사리원 - 해주 - 개성이다. 그 건설은 북한이 함경남도 허천군 상농금동광산, 황해남도 강령군 부포광산, 함경북도 온성군 동금광산, 평안북도 정주군 희토류 광산, 함경남도 이원군 활석광산, 황해남도 은율군 자철광산,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철광 일부를 중국에 건설 자금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17]
2013년 12월 8일, 북한과 중국 기업 컨소시엄 간에 개성, 평양, 신의주를 잇는 고속철도 건설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건설-운영-양도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5년이 소요될 건설 자금은 컨소시엄이 조달하고, 이후 30년간 노선을 운영한 뒤 철도성이 운영권을 넘겨받아 소유권을 완전히 갖게 된다. 이 철도는 약 400km의 복선으로 건설될 예정이며, 최고 운행 속도는 200km/h 이상이다.[13]
참조
[1]
서적
將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2]
웹사이트
North Korea Geographic Information: Transportation Geography - P'yŏngŭi Line (in Korean)
http://terms.naver.c[...]
[3]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s://web.archive.[...]
Korail
2010-12-04
[4]
서적
將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Shinchosha
[5]
웹사이트
100 Years of Rail Travel - The 38th Parallel (in Japanese)
https://web.archive.[...]
2017-02-01
[6]
뉴스
丹東 압록강철교는 북한의 생명길 (in Korean)
http://news.mk.co.kr[...]
[7]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31) 戦後のデロイ(1964年)』
http://ameblo.jp/gon[...]
[8]
서적
한국의 전통 사회 운송 기구
[9]
웹사이트
North Korea's Namhung Youth Chemical Complex: Seven Years of Construction Pays Off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at SAIS
2014-04-10
[10]
웹사이트
North Korea completes second missile site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2-17
[11]
뉴스
Rumours linger over N Korea blast
http://news.bbc.co.u[...]
BBC
2004-04-24
[12]
뉴스
KCNA Report on Explosion at Ryongchon Railway Station
http://www.globalsec[...]
Korean Central News Agency (KCNA)
2004-04-24
[13]
웹사이트
NK Briefs
https://web.archive.[...]
Ifes.kyungnam.ac.kr
[14]
웹사이트
平壌市の地図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중朝の航空、鉄道全て停止 北朝鮮が新型肺炎対策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1-31
[1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1943-03-19
[17]
뉴스
북, 광산 7곳 중에 넘긴다
http://news.mk.co.kr[...]
매경뉴스
2013-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