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신형 핵분열 무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신형 핵분열 무기는 핵분열 물질을 포신을 통해 발사하여 임계 질량을 형성시켜 핵분열을 유도하는 핵무기이다. 1945년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 보이는 대표적인 포신형 핵무기이며, 우라늄-235를 사용했다. 이 방식은 설계가 비교적 단순하지만, 핵분열 효율이 낮고 많은 핵분열 물질이 필요하며, 안전 문제와 크기 및 무게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기술적으로 진보된 국가에서는 내폭형 핵무기로 대체되었으며, 핵 확산 및 핵 테러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분열 - 반감기
반감기는 어떤 양이 원래 값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방사성 붕괴, 화학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방사성 동위원소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핵분열 - 자발 핵분열
자발 핵분열은 원자핵이 외부의 영향 없이 스스로 분열하는 현상으로, 핵력과 쿨롱 반발력 간의 경쟁으로 발생하며, 중성자 과잉 상태의 핵분열 조각과 운동 에너지를 방출하고 중성자원이나 연대 측정법에 활용된다. - 핵무기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핵무기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포신형 핵분열 무기 | |
---|---|
개요 | |
![]() | |
종류 | 핵분열 무기 |
디자인 | 포신형 |
핵분열 물질 | 고농축 우라늄 |
첫 번째 사용 |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 |
작동 방식 | |
작동 원리 | 하나의 아임계 핵분열 물질 덩어리가 다른 아임계 핵분열 물질 덩어리에 폭발적으로 발사됨 이로 인해 하나의 초임계 덩어리가 형성됨 |
발사 메커니즘 | 일반적인 대포 |
효율성 | 낮음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 신뢰성 높음 |
단점 | 효율성이 떨어짐 고농축 우라늄만 사용 가능 더 무겁고 부피가 큼 |
역사 | |
개발 | 맨해튼 계획 연합국 |
예시 | |
예시 무기 | 리틀 보이 |
기타 |
2. 작동 원리
포신형 핵무기는 포신(총열)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한쪽 끝에는 발사체 역할을 하는 우라늄-235("탄환")가, 다른 쪽 끝에는 표적 역할을 하는 우라늄-235("표적")가 위치한다. 발사 신호가 주어지면, 코다이트와 같은 재래식 폭약이 "탄환"을 포신 내에서 고속으로 가속시켜 "표적"에 충돌시킨다. 두 개의 임계 미만 우라늄 덩어리가 결합하여 임계 질량을 초과하면서 핵분열 연쇄 반응이 시작되고, 핵폭발이 일어난다. "탄환"과 "표적"은 여러 개의 링 형태로 구성되어 임계 미만 상태를 유지하고, 조립 전 테스트를 용이하게 한다.
초기 맨해튼 계획에서는 플루토늄을 사용한 포신형 핵무기 개발("Thin Man"으로 알려짐)이 진행되었으나, 원자로에서 생산된 플루토늄(Pu-239)에 포함된 Pu-240 불순물로 인해 자발적 중성자 방출 속도가 증가하여 조기 폭발 문제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포신형 폭탄은 농축 우라늄 연료로만 사용이 제한되었다.
포신형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임플로전형보다 기본 부품 제조가 용이하다. 포신은 강철 등으로 만들어지며, 핵물질은 중공 또는 오목한 것을 볼록한 것에 충돌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임플로전형에 비해 탄체가 커지고 소형화하기 어려우며, 핵반응 효율이 낮아 더 많은 핵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전성이 낮아 사고나 추락 시 핵폭발 위험이 있으며, 해수에 침수될 경우 중성자 감속으로 인해 임계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포신형 핵무기는 초기 핵무기에만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임플로전형이 주로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는 1950년대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실용화되지 않았으며, 영국이나 프랑스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일시적으로 보유했던 핵무기는 포신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신형은 미국 육군의 초기 핵포탄에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초기 임플로전형이 폭축 렌즈 형상 때문에 직경을 작게 만들기 어려웠던 반면, 포신형은 비교적 쉽게 직경을 작게 만들어 포탄 형상으로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2. 1. 리틀 보이의 작동 방식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 보이는 포신형 핵분열 무기의 작동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리틀 보이에 사용된 우라늄-235는 "탄환"과 "표적"으로 나뉘어 있었다. 약 약 39.01kg의 우라늄-235 "탄환"은 약 17.78cm 길이와 약 15.88cm 직경의 속이 빈 원통형 모양으로, 임계 미만 상태를 유지했다.[6] 약 약 25.99kg의 우라늄-235 "표적"은 스파이크 형태였으며, 탄환과 표적 모두 여러 개의 링을 쌓아 만들어졌다. 링을 사용한 이유는 더 큰 탄환이 확실하게 임계 미만 상태를 유지하고, 동일한 탄환으로 링 하나만 사용하여 임계 미만 조립체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약 16.51cm 내경의 포신은 약 179.83cm 길이였으며, 탄환은 코다이트 장약의 힘으로 표적을 향해 발사되었다. 탄환은 표적과 접촉하기 전 약 1000ft/s의 최종 속도까지 가속되었다.[6] 탄환이 약 24.89cm 거리에 있을 때 조합이 임계 상태가 되는데, 이는 일부 자유 중성자가 물질이 완전히 결합되기 전에 핵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연쇄 반응은 1μs(100 셰이크) 미만으로 일어나며, 이 시간 동안 탄환은 0.3mm만 이동한다. 초임계도가 낮을 때는 연쇄 반응이 느리지만, 여전히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나기 때문에 탄환은 그 시간 동안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이는 피즐, 즉 많은 폭발을 일으키기 전에 물질을 분해하는 예비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자유 중성자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며, 투사체의 속도가 충분히 빨라야 한다.
리틀 보이의 경우, 우라늄에 포함된 20%의 238U는 초당 70번의 자연 핵분열을 일으켰다. 전체 조립 전 초임계 상태인 1.35ms 동안 핵분열이 일어날 확률은 10%였으며, 예비 폭발 확률은 이보다 약간 낮았다.
중성자 반사체인 탄화 텅스텐(WC)은 연쇄 반응 동안 중성자 손실을 줄여 우라늄 연료의 양을 줄이는 역할을 했다.
핵 연쇄 반응을 올바른 순간에 빠르게 시작하기 위해 중성자 트리거/개시제가 사용되었다.[5][6]
3. 구조
"포신형" 방식은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 보이의 작동 방식과 유사하며, 우라늄-235를 핵분열 물질로 사용했다. 리틀 보이 설계에서 U-235 "탄환"은 약 약 39.01kg의 질량을 가졌고, 길이는 였으며, 직경은 였다. 이 탄환은 속이 빈 원통형 모양으로, 임계 미만 상태를 유지했다. 탄환은 코다이트 장약에 의해 구동되었으며, 약 약 25.99kg의 우라늄 표적 스파이크에 충돌했다. 탄환과 표적은 모두 여러 개의 링으로 구성되었다.
"링"을 사용하는 것은 두 가지 장점이 있었다. 첫째, 더 큰 탄환이 확실하게 임계 미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속이 빈 기둥은 물질이 다른 물질과 너무 많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 둘째, 동일한 탄환을 사용하지만 링 하나만 사용하여 임계 미만 조립체를 테스트할 수 있었다.
포신의 내경은 였고, 길이는 였다. 이를 통해 탄환은 표적과 접촉하기 전에 최종 속도 약 까지 가속될 수 있었다.[6] 탄환이 거리에 있을 때 조합이 임계 상태가 되었다. 이는 일부 자유 중성자가 물질이 완전히 결합되기 전에 핵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연쇄 반응은 1 μs(100 셰이크) 미만으로 일어나며, 이 시간 동안 탄환은 인치(0.3mm)만 이동한다. 초임계도가 낮을 때는 연쇄 반응이 느리지만, 여전히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나기 때문에 탄환은 그 시간 동안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리틀 보이의 경우, 우라늄에 포함된 20%의 238U는 초당 70번의 자연 핵분열을 일으켰다. 핵분열성 물질이 초임계 상태에 있을 때, 각 핵분열은 폭발 가능성이 컸다.
초기 맨해튼 계획의 포신형 노력은 플루토늄을 핵분열성 물질로 사용하는 포신형 무기를 만드는 데 집중되었으며, 극도로 긴 길이 때문에 "Thin Man"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944년 4월, 원자로에서 생산된 플루토늄(Pu-239)이 Pu-240으로 오염되어 예비 폭발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이유로, 포신형 폭탄은 농축 우라늄 연료로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n Man" 프로그램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후, 로스앨러모스는 내폭형 플루토늄 무기인 "Fat Man"을 만드는 데 노력을 집중했다. 포신형 프로그램은 완전히 우라늄 폭탄 개발로 전환되었다. 리틀 보이에는 의 80% 등급 235U가 사용되었다. 리틀 보이의 표적 임계 미만 질량은 탄화 텅스텐(WC)으로 만들어진 중성자 반사체로 둘러싸여 있었다.
포신형 방식은 핵 포병 포탄에도 적용되었는데, 더 간단한 설계로 인해 포병의 빠른 가속과 중력(g-force)을 견디도록 더 쉽게 설계할 수 있으며, 포신형 설계의 더 작은 직경은 기존 포병에서 발사할 수 있는 포탄에 비교적 쉽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포신형 핵 포병 무기인 W9는 1953년 5월 25일 네바다 핵실험장에서 시험 발사되었다. Upshot–Knothole 작전의 일환으로 발사되었고, 코드명 ''Shot GRABLE''로 불린 280mm 포탄은 10000m 거리로 발사되었으며, 지상 160m 상공에서 약 15 킬로톤의 추정 위력으로 폭발했다.
W19 역시 280mm 포신형 핵 포탄으로, W-9의 더 긴 버전이었다. W33은 더 작은 8인치(203mm) 포신형 핵 포탄으로, 1957년부터 생산되어 1992년까지 운용되었다.
4. 장점과 단점
포신형 핵분열 무기는 내폭형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효율성과 안전성 면에서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장점:''' 핵 포병 포탄의 경우, 간단한 설계 덕분에 포병의 빠른 가속과 중력을 견디도록 설계하기 쉽고, 직경이 작아 기존 포병에서 발사할 수 있는 포탄에 비교적 쉽게 장착할 수 있다.
- '''단점:''' 효율성이 낮고, 임계 질량 이상의 핵물질을 사용하므로 사고나 오작동 시 핵폭발 위험이 있다. 폭탄 추락, 해수 침수 등 감속 효과로 인해 임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크고 무거워 운반 및 운용에 제약이 따른다. 리틀 보이는 길이가 약 179.83cm에 달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기술적으로 진보된 국가들은 포신형 대신 효율성과 안전성이 높은 내폭형 핵무기를 주로 사용한다. 미국은 내폭 기술 완성 후 포신형을 대부분 폐기했고, 영국, 소련 등은 이 유형의 무기를 개발하지 않았다.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약 5개의 포신형 무기를 제작했지만,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면서 폐기했다.[7]
4. 1. 장점
포신형 핵분열 무기는 내폭형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 쉽고, 비교적 낮은 기술력으로도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핵 포병 포탄의 경우, 포신형 방식은 간단한 설계 덕분에 포병의 빠른 가속과 중력(g-force)을 견디도록 설계하기가 더 쉽다. 또한, 포신형 설계는 직경이 작아 기존 포병에서 발사할 수 있는 포탄에 비교적 쉽게 장착할 수 있다.[7]4. 2. 단점
포신형 핵분열 무기는 구조가 간단하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낮은 효율: 핵분열 물질(주로 우라늄-235)의 상당 부분이 연쇄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고 흩어지기 때문에 효율이 낮다. 리틀 보이의 경우, 우라늄-235 "탄환"의 질량은 약 약 39.01kg이고, 우라늄 표적 스파이크는 약 약 25.99kg이었지만, 실제 핵분열에 참여하는 양은 훨씬 적었다.[6]
- 많은 핵분열 물질 필요: 낮은 효율성 때문에 임계 질량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핵분열 물질이 필요하다. 이는 핵무기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핵물질 확보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 안전 문제: 포신형 핵무기는 임계 질량 이상의 핵물질을 사용하므로, 사고나 오작동으로 인해 핵물질이 결합되면 핵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탄이 추락하거나, 해수에 침수될 경우 감속 효과로 인해 임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 크기 및 무게: 포신형 핵무기는 내폭형 핵무기에 비해 크고 무거워 운반 및 운용에 제약이 있다. 리틀 보이의 경우, 길이가 약 179.83cm에 달했다.[6]
이러한 단점들로 인해, 기술적으로 진보된 국가들은 포신형 핵무기 대신 효율성과 안전성이 높은 내폭형 핵무기를 주로 사용한다. 미국은 내폭 기술이 완성되자마자 포신형 핵무기를 대부분 폐기했으며, 영국, 소련 등 다른 핵 보유국은 이러한 유형의 무기를 개발하지 않았다.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약 5개의 포신형 무기를 제작했지만,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면서 폐기했다.
5. 핵 확산 및 테러 위험
핵 확산 및 핵 테러와 관련하여, 포신형 핵무기는 비교적 단순한 설계로 인해 다른 방식만큼 정밀한 공학 기술이나 제조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우려를 낳고 있다. 충분한 고농축 우라늄만 있다면, 기술력이 낮은 국가나 단체도 비효율적이지만 강력한 포신형 핵무기를 만들 수 있다.[8]
6. 역사
맨해튼 계획 초기에는 플루토늄을 사용한 포신형 핵무기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이 무기는 긴 길이 때문에 "Thin Man"으로 불렸다. 플루토늄 포신형 폭탄 개발이 성공하면, 우라늄 포신형 폭탄은 더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1944년 4월, 원자로에서 생산된 플루토늄(Pu-239)에 Pu-240 불순물이 섞여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불순물은 자발적 중성자 방출 속도를 높여, 조기 폭발을 일으킬 수 있었다.[6] 이러한 이유로 포신형 폭탄은 농축 우라늄 연료로만 사용해야 한다고 결론 내려졌다.
"Thin Man" 프로그램이 실패로 돌아가자, 로스앨러모스 연구소는 내폭형 플루토늄 무기인 "Fat Man" 개발에 집중했다. 포신형 프로그램은 우라늄 폭탄 개발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 보이는 우라늄-235를 사용한 포신형 핵무기였다. 리틀 보이 설계에서 U-235 "탄환"은 약 약 39.01kg이었고, 길이는 약 17.78cm, 직경은 약 15.88cm였다. 속이 빈 원통형 모양은 임계 미만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탄환은 코다이트 장약에 의해 발사되었고, 우라늄 표적 스파이크는 약 약 25.99kg이었다. 탄환과 표적은 모두 여러 개의 링으로 구성되었다. 링을 사용하면 더 큰 탄환이 임계 미만 상태를 유지하고, 링 하나만 사용하여 임계 미만 조립체를 테스트할 수 있었다.
포신의 내경은 약 16.51cm였고, 길이는 약 179.83cm였다. 탄환은 표적과 접촉하기 전에 최종 속도 약 1000ft/s까지 가속되었다.[6] 탄환이 약 24.89cm 거리에 있을 때 조합이 임계 상태가 되었다. 이는 일부 자유 중성자가 물질이 완전히 결합되기 전에 핵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술적으로 진보된 국가들은 효율성과 안전성 문제로 인해 포신형 핵무기를 대부분 폐기하고 내폭형 핵무기로 대체했다. 그러나 미국은 핵 포병 포탄(W9, W19, W33 등)에 포신형 설계를 사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다. 영국, 소련 등 다른 핵 보유국들은 포신형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포신형 핵무기를 개발 및 보유했었으나, 이후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고 비핵화를 선언하였다.
7.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Rudolf Peierls's "Outline of the Development of the British Tube Alloy Project": A 1945 Account of the Earliest UK Work on Atomic Energy
2021-12-03
[2]
웹사이트
Manhattan Project: The Maud Report, 1941
https://www.osti.gov[...]
2023-07-20
[3]
웹사이트
The MAUD Report, 1941 {{!}} Historical Documents
https://www.atomicar[...]
2023-07-20
[4]
웹사이트
The MAUD Report, 1941 {{!}} Historical Documents
https://www.atomicar[...]
2023-07-20
[5]
웹사이트
The First Nuclear Weapons: Little Boy
http://nuclearweapon[...]
2015-12-30
[6]
Citation
Nuclear Weapon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nuclearweapon[...]
[7]
웹사이트
Operation Nougat
https://nuclearweapo[...]
Carey Sublette
2005
[8]
뉴스
이성주의 북핵 리포트 - 농축우라늄(HEU)이 뭐길래
http://imnews.imbc.c[...]
2007-02-21
[9]
간행물
The atomic bombing of hiroshima
http://www.cfo.doe.g[...]
U.S. Department of Energy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