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초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초는 1828년 사천성 펑제현에서 태어난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다. 삼용영에 참여하여 증국번의 눈에 띄어 부장으로 승진했으며, 정자영을 조직하여 태평천국군을 격퇴하는 등 혁혁한 공을 세웠다. 염군 진압에 참여했으나 이홍장의 늦장 구원으로 탄핵을 받아 벼슬을 그만두기도 했다. 이후 호남제독을 거쳐 청불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사후 태자소보로 추증되었다. 그는 500번의 전투에 참여하여 108번의 부상을 입었으며,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묘소가 파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6년 사망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6년 사망 - 레오폴트 폰 랑케
    레오폴트 폰 랑케는 19세기 독일의 역사가이자 실증주의 역사학의 선구자로, 사료 비판을 통한 객관적인 역사 서술을 강조했으며, 베를린 대학교 교수로서 세미나 시스템을 통해 사료 분석 및 해석 방법을 가르치고 다양한 역사서를 저술하여 역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충칭시 출신 - 린모
    린모는 중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며, 2021년 서바이벌 프로그램 《창조영 2021》에서 최종 6위를 차지하여 다국적 보이그룹 INTO1의 멤버로 데뷔했다.
  • 충칭시 출신 - 류보청
    류보청은 신해혁명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까지 혁명에 헌신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고, 팔로군 사령관으로서 항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국공 내전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중국의 군인이다.
  • 1828년 출생 - 헨리크 입센
    노르웨이 극작가이자 시인인 헨리크 입센은 부유한 상인 가정 출신이었으나 사업 실패를 겪으며 성장했고, 사실주의와 상징주의를 융합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인형의 집》, 《유령》, 《민중의 적》, 《페르귄트》 등 사회적, 심리적 문제를 다룬 혁신적인 희곡으로 현대 연극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28년 출생 - 이폴리트 텐
    이폴리트 텐은 19세기 프랑스 사상가로, 감각론에 기반하여 종족, 환경, 시대의 요소를 통해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영국 문학사》 등의 저서를 통해 실증주의적 사상을 펼쳤다.
포초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포초 초상화
초상화
이름포초
출생1828년
사망1886년
출생지후베이성 우시 현
사망지펑제 현
소속청나라
복무 기간1852년–1886년
최종 계급원수, 1864년
지휘상군 뇌자영 지휘관
참전 전투상주 전투, 1863년-1864년
인론 강 전투, 1867년
훈장황마괘

2. 생애

사천성 펑제현 출신으로 1828년에 태어났다. 1852년 광서제독 향영이 호북성 이창에서 조직한 삼용영(川勇營)에 참여했다. 용맹함으로 증국번의 눈에 들어 부장으로 승진, 다룬가(多隆阿)와 함께 ‘북다남초’(北多南超)라는 칭송을 받았다. 1856년 호림익으로부터 독립 부대 지휘권을 인정받아 창사에서 1만 5천 명 규모의 '정자영'(霆字營)을 조직했다. 1860년 기문의 상군 사령부를 수비하며 태평천국군의 포위를 격퇴했다. 1862년 절강제독에 올랐다.

1852년, 후베이성에서 녹영에 입대하여 강남대영으로 전출되었다. 1853년, 증국번상군으로 편입시켜 동정호를 방어하기 위해 대대장으로 승진시켰다. 그는 상군에서 매우 빠르게 진급하여 1856년에는 15,000명의 보병을 지휘하는 소장이 되었고, 기문현(상군의 본부 위치)을 방어하며 침략해오는 태평천국군에게 수많은 패배를 안겨주었다.

1864년 강소, 절강에서 패한 태평천국군을 강서에서 소탕, 난징 공략 후 일등경차도위를 제수받았다. 태평천국 잔당 왕해양, 담체원을 광동에서 물리쳤다.

1866년부터 염군 진압에 참여, 후베이, 허난, 산시 경계를 전전했다. 1867년 1월 윤륭하 전투에서 유명전을 지원하여 염군을 격파하고, 임주와 뢰문광을 물리쳤다. 이홍장 늦장 구원으로 탄핵을 받자 분개하여 벼슬을 그만두고 정자영을 해산했다.

11년 후 복직, 1880년 호남제독으로 러시아 방어를 맡았으나, 2년 만에 병으로 사직했다. 청불 전쟁 발발 시 군대를 이끌고 운남을 방어했으나, 화의 성립 후 귀향했다.

사후 태자소보(太子少保) 추증, 충장(忠壯)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의 경력 동안 500번의 전투에 참여했고, 몸에 108번의 부상을 입었다. 문화 대혁명 때 「무산 계급의 배신자」라고 비판받아 묘소가 파괴되었다.

2. 1. 상군 시절

1852년, 후베이성에서 녹영에 입대하여 강남대영으로 전출되었다. 1853년, 증국번상군으로 편입시켜 동정호를 방어하기 위해 대대장으로 승진시켰다. 그는 상군에서 매우 빠르게 진급하여 1856년에는 15,000명의 보병을 지휘하는 소장이 되었고, 기문현(상군의 본부 위치)을 방어하며 침략해오는 태평천국군에게 수많은 패배를 안겨주었다.

2. 2. 은퇴와 복귀

3. 전공 및 수상

포초는 500회 이상의 전투에 참여하여 몸에 108곳 이상의 상처를 입었다. 1855년과 1860년, 두 차례에 걸쳐 '로열 바투루'(만주어: ᠪᠠᡨᡠᡵᡠ, 용감한 자) 칭호를 받았다. 1860년에는 기문현을 지키고 증국번을 성공적으로 구출한 공로가 있었다. 1862년 '''황마괘'''를 하사받았으며, 1864년에는 세습 1등급 '''자작''' 의용 (勇毅一等子爵) 칭호를 받았다. 사후 부 삼공, 태자 사부 (太子少保)에 추증되었다.

4. 일화

포초는 500회 이상 전장에 출전했고, 몸에는 108개 이상의 상처가 있었다고 한다. 포초가 태평천국군에 포위되었을 때, 글을 몰랐으나 자신의 이름(鮑) 한 글자를 동그라미 친 편지를 증국번에게 보내 구원을 요청했다. 증국번은 이를 보고 웃으며 원군을 보내 그를 구출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 '무산 계급의 배신자'로 비판받아 펑제 현 북쪽에 있던 묘소가 홍위병에 의해 파괴되었다.

5.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