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벤은 1970년 'Comment on écrit l'histoire'를 출간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그는 엑상프로방스에서 태어나 고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파리의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한 후 프로방스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벤은 아날학파의 연구와 미셸 푸코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로마사 교수로 재직했다. 역사 인식론, 에우에르게티즘, 정신사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2022년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 - 장 피에르 베르낭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고대 그리스 연구가인 장 피에르 베르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한 후, 고대 그리스 신화, 사회, 사상에 대한 구조주의적 분석을 통해 고전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논픽션 작가 - 샤를 모라스
샤를 모라스는 프랑스의 정치 이론가이자 작가로, 반근대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액시옹 프랑세즈를 통해 오를레앙 왕조 부활, 반유대주의, 대독 강경 노선을 선전하다가 비시 정권에 협력하여 옥중에서 사망했다. - 프랑스의 논픽션 작가 - 안톤 라이하
안톤 라이하는 프라하 출신의 프랑스 작곡가 겸 음악 이론가로, 파리 음악원 교수로서 베를리오즈, 리스트, 구노 등에게 영향을 주었고, 목관 5중주 작품과 다조성, 4분음과 같은 혁신적 아이디어를 제시한 음악 이론 저서로 알려져 있다. - 엑상프로방스 출신 - 다리우스 미요
다리우스 미요는 프랑스의 작곡가로, 6인조의 일원이었으며 재즈의 영향을 받아 다조성을 활용하여 오페라, 발레, 관현악곡 등 443개의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 엑상프로방스 출신 - 앙드레 캉프라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앙드레 캉프라는 오페라와 종교 음악 분야, 특히 오페라-발레 장르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음악은 후대에 영향을 미쳐 그의 이름을 딴 학교가 세워졌다.
폴 벤 |
---|
2. 생애
1975년, 벤은 에우엘제티즘에 대한 논문 ''Le pain et le cirque''(빵과 서커스)를 출판하였다. 이 논문에서 벤의 서사적 개념은 일반적인 사용과 다소 다르며, 아날학파와의 견해 차이가 1970년에 보였던 것보다는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6] 이 논문은 마르셀 모스의 방식에 따른 것으로, ‘전통적인’ 서사 역사보다는 인류학적 영향을 받은 3세대 아날학파의 ‘histoire des mentalités’(정신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관습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이다.[17]
1975년 레몽 아롱의 지지를 받은 덕에 콜레주 드 프랑스에 들어가게 되었다.[18] 하지만,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첫 강의 개회식에서 아롱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아 불쾌감을 샀다. 벤은 아롱이 이 사건을 배은망덕으로 받아들여, 그 이후로 자신을 박해했다고 주장했다.[19]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로마사 교수직을 유지하였다.[20]
1978년, 벤의 인식론적 에세이는 역사가로서의 미셸 푸코에 대한 새로운 에세이 ‘Foucault révolutionne l'histoire’와 함께 재발행되었다.[21] 벤은 이 에세이에서 서사적 역사를 강조하는 것에서부터 거리를 두고, 푸코의 활동이 역사적 사고 방식에서 주요한 변화를 이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벤에 따르면 푸코의 '혁명'의 본질은 인식론적 목적이 물체 자체에서보다는 발생하는 것이라는 사고 방식을 강조한 '물체'에서 '관습'으로 주의를 변화시킨 것이었다. 이 에세이를 통해 푸코에 대한 독특하면서 중요한 해석자로 떠올랐다. 고대사 역사가와 철학자 간의 관계는 푸코의 공개 강의(1978-79)에서 리버럴리즘에 관한 해석[22]뿐만 아니라 성의 역사 제2권에서 태고에 대한 푸코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23] 2008년에 벤은 1978년에 푸코를 주제로 한 에세이를 개정하여 서적을 발매하였다.[24]
보클뤼즈의 베두앙에서 거주하였다.[25]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폴 벤은 엑상프로방스에서 태어났으며, '교양이 없다'라고 묘사되던 환경에서 자랐다. 8살 때 카바용 근처의 켈트족 유적지에서 암포라 조각을 우연히 발견하면서 고고학과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자신이 자란 곳이 로마 문명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로마 문명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가족이 릴로 이사하면서, 그는 릴에 있는 고고학 박물관의 로마 유물 소장품들을 열심히 공부하였으며, 박물관에서 큐레이터의 지도를 받았다. 그는 그리스 및 로마에 대한 관심사가 인문학자의 자극이나 특정한 존경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어린 시절의 우연한 발견에서 비롯된 것이라 주장했다.
칸 (입학시험) 때문에 파리로 간 그는 생미셸가에 있는 파리 해방을 기념하는 박육조 앞에서 갑자기 정치적인 각성을 경험하고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했다. 진정한 정치적 신념을 갖지 않았던 그는 4년 뒤에 당을 떠났다.
한편 식민지 정부의 알제리인들에 대한 나쁜 대우는 그에게 나치의 잔인성과 동등한 만큼의 혐오감을 느끼게 했다. 그럼에도 이번에 그의 충격은 사회적이나 정치적이라기보다는 도덕적인 면이었다.
폴 벤은 1951-1955년간 파리의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1955-1957년까지 에콜 프랑세즈 드 롬의 회원이었으며, 그 후에 프로방스 대학교의 교수를 맡으며 액상프로방스에 정착하였다. 이때 그는 역사 인식론에 대한 도발적인 에세이인 ‘Comment on écrit l'histoire’를 출판하였다.[15] 프랑스 역사학의 주요 경향이 양적 연구가 선호되던 당시에, 벤의 에세이는 역사가 ‘진정한 이야기’가 되어야 한다고 당당히 선포하였다. 이 에세이를 통해서, 그는 과학사의 서사적 측면에 대한 관심의 초기 전형이 되었다.
2. 2. 정치적 각성과 학문적 성장
폴 벤은 엑상프로방스에서 태어났으며, "교양 없는" 환경에서 자랐다고 스스로 묘사했다. 8살 때 카바용 근처의 켈트족 유적지에서 암포라 조각을 우연히 발견하면서 고고학과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자신이 자란 곳이 로마 문명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로마 문명에 특별한 관심을 키웠다.[15]가족이 릴로 이사하면서, 릴에 있는 고고학 박물관의 로마 유물 소장품들을 열심히 공부하였으며, 박물관 큐레이터의 지도를 받았다. 그는 그리스와 로마에 대한 자신의 관심이 인문학자의 자극이나 존경심 때문이 아니라, 어린 시절의 우연한 발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칸(입학시험) 때문에 파리로 가게 된 그는 생미셸가에 있는 파리 해방을 기념하는 박육조 앞에서 갑자기 정치적으로 각성하여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했다. 그러나 진정한 정치적 신념이 없었던 그는 4년 뒤에 당을 떠났다.
한편, 식민지 정부가 알제리인들을 부당하게 대우하는 것을 보고 나치의 잔혹성과 같은 수준의 혐오감을 느꼈다. 하지만 이번에 그가 받은 충격은 사회적, 정치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도덕적인 것이었다.
폴 벤은 1951년부터 1955년까지 파리의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에콜 프랑세즈 드 롬의 회원이었으며, 그 후 프로방스 대학교 교수로 엑상프로방스에 정착하였다. 이때 그는 역사 인식론에 대한 도발적인 에세이인 ‘Comment on écrit l'histoire’(역사는 어떻게 쓰는가)를 출판했다.[15] 당시 프랑스 역사학계는 양적 연구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벤의 에세이는 역사가 ‘진정한 이야기’가 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 에세이를 통해 그는 과학사의 서사적 측면에 대한 관심의 초기 전형이 되었다.
1975년에 출판된 에우엘제티즘에 대한 논문 ''Le pain et le cirque''(빵과 서커스)는 벤의 서사적 개념이 일반적인 사용과 다르며, 당시 주도적이던 아날학파와의 견해 차이가 1970년에 보였던 것보다는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6] 이 논문은 마르셀 모스의 방식에 따른 것으로, ‘전통적인’ 서사 역사보다는 인류학적 영향을 받은 3세대 아날학파의 ‘histoire des mentalités’(정신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물을 주고 받는 관습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이다.[17]
2. 3.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 시절과 푸코와의 관계
1975년 벤은 레몽 아롱의 지지를 받아 콜레주 드 프랑스에 들어가게 되었다.[18] 그렇지만, 벤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첫 강의 개회식에서 아롱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아, 아롱은 불쾌감을 느꼈다. 벤에 따르면 아롱은 그 사건을 자신에 대한 배은망덕으로 받아들여, 그 이후로 그에게 박해를 했다고 한다.[19] 벤은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로마사 교수직 자리를 유지하였다.[20]1978년에 벤의 인식론적 에세이는 역사가로서의 미셸 푸코에 대한 새로운 에세이인 ‘Foucault révolutionne l'histoire’와 함께 재발행되었다.[21] 이 에세이에서 벤은 서사적 역사를 강조하는 것에서부터 거리를 두고, 푸코의 활동이 어떻게 역사적 사고 방식에서 주요한 변화를 이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벤에 따르면 푸코의 '혁명'의 본질은 인식론적 목적이 물체 자체에서보다는 발생하는 것이라는 사고 방식을 강조한 '물체'에서 '관습'으로 주의를 변화시킨 것이었다. 이 에세이를 통해 벤은 푸코에 대한 독특하면서 중요한 해석자로 떠올랐다. 고대사 역사가와 철학자 간의 관계는 푸코의 공개 강의(1978-79)에서 리버럴리즘에 관한 해석[22]뿐만 아니라 성의 역사 제2권에서 태고에 대한 푸코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23] 2008년에 벤은 1978년에 푸코를 주제로 한 에세이를 개정하여 서적을 발매하였다.[24]
2. 4. 말년
폴 벤은 보클뤼즈 베두앙에서 거주했으며,[25] 2022년 9월 29일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3. 학문적 업적 및 평가
폴 벤은 역사 인식론, 에우에르게티즘(자발적 기부), 정신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그의 연구는 폭넓은 주제를 다루면서도 일관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폴 벤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출판사) | 출판 연도 (번역 연도) | 비고 |
---|---|---|---|
로마 사회 | 1991 (2001) | 서문 추가 증보판 | |
로마의 성과 권력 | 2005 (2007) | 잡지 'LHistoire'' (1978-2004) 게재 논문 모음 | |
그리스-로마 제국 | 2005 (2006) | 증보 및 개정 논문 모음, 다양한 잡지(2000-2004) 게재 글 모음 | |
세네카. 소개 | 2007 | 루킬리우스에게 보낸 편지 70편 수록 | |
나의 상상의 미술관, 또는 이탈리아 회화의 걸작들 | 2010 | ||
그리고 영원 속에서 나는 지루하지 않을 것이다: 추억 | 2014 (2016) | ||
팔미라. 대체 불가능한 보물 | 2015 | ||
폼페이의 신비의 빌라 | 2016 | ||
독특한 호기심 | 2020 | 텍스트 모음 | |
로제 에레라와 공저, 『조르주 빌(1929-1967)』 | 1972 | 기념 | |
필립 아리에스와 조르주 뒤비(엮음), 『사생활의 역사』; 제1권, 폴 베인 엮음: 로마 제국부터 서기 1000년까지 | 1988 | ||
"푸코와 허무주의의 극복(또는 완성)", 공동 저서, 『철학자 미셸 푸코: 국제 회의(파리, 1988년 1월 9-11일)』 | 1989 | ||
"휴머니타스: 로마인과 그 외 사람들"; 안드레아 지아르디나(엮음), 『로마인』 | 1989 (1992) | 프랑스어 번역, 『로마인』 | |
『세네카, 선집: 대화. 루킬리우스에게 보낸 편지』 | 1993 (1998) | 폴 베인이 편집(서문, 서문, 참고 문헌, 연대기, 소개, 주석) 및 개정 번역 | |
마리-클로드 샤르와 공저, 『르네 샤르, 소르그와 기타 시』 | 1994 | 완전한 텍스트; 최종판과 초판을 바탕으로 편집, 마리-클로드 샤르와 폴 베인이 편집, 서문 및 주석 | |
프랑수아 리사라그와 프랑수아즈 프론티시-듀크루와 공저, 『여성 전용 공간의 신비』 | 1998 | ||
『종교와 정치(블루아 역사 모임, 2005)』 | 2005 | ||
루이 마랭과 공저, 『선전 왕의 표현, 이미지 우상 오라클: 권력 이미지의 가시성과 판독성』 | 2011 |
그의 저서들은 역사학, 사회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지성사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역사 서술의 객관성과 주관성 문제, 고대 사회의 권력 구조와 개인의 삶, 지식과 권력의 관계 등에 대한 그의 통찰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3. 1. 역사 인식론
폴 벤은 역사 인식론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한 학자이다. 그의 저서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역사 인식론에 대한 시론''(1971)은 이 분야의 중요한 저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 이 책은 1978년에 "푸코는 역사를 혁명한다"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증보판으로 출간되었으며, 이후 요약판이 재출간되기도 했다.[1]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역사 인식론에 대한 시론』 (오쓰 마사사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총서・우니베르시타스) | 1982 | 원제: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인식론적 에세이 (1971), 1978년 증보판, 1979년, 1996년 요약판 재출간. |
3. 2. 에우에르게티즘 연구
폴 벤은 에우에르게티즘(자발적 기부)을 연구하여, 고대 사회에서 부유층이 자발적으로 공공 기부를 하는 관행을 분석했다. 그는 1976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빵과 서커스: 정치적 다원주의의 역사 사회학''에서 이 주제를 다루었다. 이 책은 1998년 일본에서 『빵과 경기장: 그리스-로마 시대의 정치와 도시의 사회학적 역사』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1]3. 3. 정신사 연구
제목 | 번역 | 비고 |
---|---|---|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인식론적 에세이》 | 오쓰 마사사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2 | |
《빵과 서커스: 정치적 다원주의의 역사 사회학》 | 가마다 히로오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8, 신판 2015 | |
《차이의 목록: Collège de France에서의 취임 강연》 | 오쓰 마사사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3 | |
《로마의 에로틱 엘레지: 사랑, 시, 그리고 서양》 | 가마다 히로오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5 | |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의 신화를 믿었는가?: 세계를 구성하는 상상력에 대한 에세이》 | 오쓰 마사사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5 | |
《르네 샤르 그의 시에서》 | 니시나가 요시나리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9 | |
《일상과 흥미로운 것: Catherine Darbo-Peschanski와의 대담》 | 가마다 히로오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2002 | |
《우리의 세상이 기독교가 되었을 때 (312-394)》 | 니시나가 요시나리, 와타나베 요시테츠 역, 이와나미 서점, 2010 | 콘스탄티누스 1세프랑스어라는 남자 |
《미셸 푸코. 그의 사상, 그의 인물》 | 신카이 야스유키 역, 지쿠마 서방, 2010 | |
《개인에 대하여》 | 오타니 나오후미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6 |
4. 주요 저서
폴 벤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번역 제목 | 원제 (프랑스어) | 출판 정보 | 일본어 번역 |
---|---|---|---|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역사 인식론에 대한 시론』 | 'Comment on écrit lhistoire : essai dpistémologie | 파리, Éditions du Seuil, 1971 | 오쓰 마사사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2 |
『빵과 경기장: 그리스-로마 시대의 정치와 도시의 사회학적 역사』 | 'Le pain et le cirque : sociologie historique dun pluralisme politique'' | 파리, Éditions du Seuil, 1976 | 가마다 히로오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8, 신판 2015 |
『차이의 목록: 새로운 역사를 위해』 | 'Linventaire des différences : leçon inaugurale au Collège de France'' | 파리, Éditions du Seuil, 1976 | 오쓰 마사사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3 |
『고대 로마의 연애시: 사랑과 시와 서양』 | 'Lélégie érotique romaine : lamour, la poésie et lOccident'' | 파리, Éditions du Seuil, 1983 | 가마다 히로오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5 |
『그리스인들은 신화를 믿었는가: 세계를 구성하는 상상력에 관한 시론』 | 'Les Grecs ont-ils cru à leurs mythes ? : essai sur limagination constituante'' | 파리, Éditions du Seuil, 1983 | 오쓰 마사사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5 |
『시에서의 르네 샤르』 | René Char en ses poèmes | 파리, Gallimard, 1990 | 니시나가 요시나리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9 |
『일상과 흥미로운 것: Catherine Darbo-Peschanski와의 대담』 | 'Le quotidien et lintéressant : avec Catherine Darbo-Peschanski'' | 파리, Les Belles Lettres, 1995 | 『역사와 일상: 폴 벤 자서전』, 가마다 히로오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2002 |
『"우리 세상"이 기독교가 되었을 때 콘스탄티누스라는 남자』 | Quand notre monde est devenu chrétien (312-394) | 파리, Albin Michel, 2007 | 니시나가 요시나리, 와타나베 요시테츠 역, 이와나미 서점, 2010 |
『푸코 그의 사람, 그의 사상』 | Foucault, sa pensée, sa personne | 파리, Albin Michel, 2008 | 신카이 야스유키 역, 지쿠마 서방, 2010 |
『개인에 대하여』 | De la personne | 파리, 르 세유, 1985 | 오타니 나오후미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6 |
『로마 사회』 | La société romaine | 파리, Éditions du Seuil, 1991 | |
『로마의 성과 권력』 | Sexe et pouvoir à Rome | 파리, Tallandier, 2005 | |
『그리스-로마 제국』 | 'Lempire gréco-romain'' | 파리, Éditions du Seuil, 2005 | |
르네 샤르 (로랑 그레이사머와 공저) | René Char | 파리, 외무부, Culturesfrance, « Auteurs », 2007 | |
『세네카. 소개』 | Sénèque. Entretiens, Lettres à Lucilius | 파리, Tallandier, 2007 | |
『나의 상상의 미술관, 또는 이탈리아 회화의 걸작들』 | 'Mon musée imaginaire, ou les chefs-dœuvre de la peinture italienne'' | 파리, Albin Michel, 2010 | |
『그리고 영원 속에서 나는 지루하지 않을 것이다: 추억』 | 'Et dans léternité je ne mnnuierai pas : souvenirs | 파리, Albin Michel, 2014 | |
『팔미라. 대체 불가능한 보물』 | 'Palmyre. Lirremplaçable trésor'' | 파리, Albin Michel, 2015 | |
『폼페이의 신비의 빌라』 | La Villa des Mystères à Pompéi | 파리, Gallimard, 2016 | |
『독특한 호기심』 | Une insolite curiosité | 파리, Robert Laffont, 2020 | |
『조르주 빌(1929-1967)』 (로제 에레라와 공저) | Georges Ville (1929-1967) | 엑상프로방스, P. 베인, 1972 | |
『사생활의 역사』; 제1권 (필립 아리에스와 조르주 뒤비 엮음) | Histoire de la vie privée | 파리, 에디시옹 뒤 세유, 1988 | |
"푸코와 허무주의의 극복(또는 완성)" | "Foucault et le dépassement (ou l'achèvement) du nihilisme" | 『철학자 미셸 푸코: 국제 회의(파리, 1988년 1월 9-11일)』, 파리, 에디시옹 뒤 세유, 1989, p. 399-402 | 공동 저서 |
"휴머니타스: 로마인과 그 외 사람들" | "Humanitas: les Romains et les autres" | 안드레아 지아르디나(엮음), 『로마인』, 바리, 라테르차, 1989 | |
『세네카, 선집: 대화. 루킬리우스에게 보낸 편지』 | Sénèque, choix de textes : Dialogues. Lettres à Lucilius | 파리, 로베르 라퐁, 1993 | 폴 베인이 편집 및 개정 번역 |
『르네 샤르, 소르그와 기타 시』 (마리-클로드 샤르와 공저) | René Char, La Sorgue et autres poèmes | 파리, 아셰트, 1994 | |
『여성 전용 공간의 신비』 (프랑수아 리사라그와 프랑수아즈 프론티시-듀크루와 공저) | Les mystères du gynécée | 파리, 갈리마르, 1998 | |
『종교와 정치(블루아 역사 모임, 2005)』 | Religion et politique | 파리, 플레앵푀, 2005 | |
『선전 왕의 표현, 이미지 우상 오라클: 권력 이미지의 가시성과 판독성』 (루이 마랭과 공저) | 'Lexpression du roi de propagande, images idoles oracles : visibilité et lisibilité de lmage du pouvoir | 파리, 에디시옹 아르케, 2011 |
4. 1. 프랑스어 원서
4. 2. 영어 번역본
- Writing History: Essay on Epistemology영어, 옥스퍼드, The Wesleyan Edition, 1984 (한국어 번역: ''역사 쓰기: 인식론에 관한 에세이'')
- History of Private Life: From Pagan Rome to Byzantium영어, 하버드,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한국어 번역: ''사생활의 역사: 이교 로마에서 비잔티움까지'')
- Did the Greeks Believe in Their Myths?: An Essay on the Constitutive Imagination영어,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한국어 번역: ''그리스인들은 그들의 신화를 믿었는가?: 구성적 상상력에 관한 에세이'')
- Bread and Circuses: Historical Sociology and Political Pluralism영어, 런던, Penguin Books, 1992 (한국어 번역: ''빵과 서커스: 역사 사회학과 정치적 다원주의'')
- The Roman Empire영어, 하버드, The Belknap Press, 1997 (한국어 번역: ''로마 제국'')
- Foucault: His Thought, His Character영어, 케임브리지, Polity Press, 2003 (한국어 번역: ''푸코: 그의 사상, 그의 인물'')
- When Our World Became Christian: 312 - 394영어, 케임브리지, Polity Press, 2010 (한국어 번역: ''우리의 세계가 기독교가 되었을 때: 312 - 394'')
- Palmyra: An Irreplaceable Treasure영어,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한국어 번역: ''팔미라: 대체 불가능한 보물'')
5. 서훈 및 수상
연도 | 훈장 및 상 |
---|---|
1972년 | 아카데미 프랑세즈상 |
1990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
1995년 | 국가 공로 훈장 오피시에 |
2006년 | 샤토브리앙 상 |
2007년 | 프랑스 상원 역사책 상 |
2007년 | 그랑프리 고베르 |
2009년 | 로제 카유아 상 |
2014년 | 프리 페미나 에세이 |
2016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 |
2016년 | 문학 예술 훈장 코망되르 |
2017년 | 프랑스 국립 도서관 상 |
2021년 | 프랑스 상원 메달 |
참조
[1]
서적
Comment on écrit l'histoire : essai d'épistémologie
Le Seuil
[2]
서적
Le pain et le cirque
Le Seuil
[3]
웹사이트
1976: Paul Veyne met au jour la logique des bienfaits
http://40ans.ehess.f[...]
2016-01-01
[4]
간행물
Entretien avec Paul Veyne
https://journals.ope[...]
2005-01-01
[5]
웹사이트
Paul Veyne
https://www.lexpress[...]
2005-12-01
[6]
웹사이트
Paul Veyne
https://www.babelio.[...]
[7]
서적
Comment on écrit l'histoire, suivi par "Foucault révolutionne l'histoire"
Le Seuil
[8]
서적
One Hundred Years of Homosexuality
Routledge
[9]
서적
The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78-1979)
Palgrave Macmillan
[10]
서적
Foucault. Sa pensée, sa personne
Albin Michel
[11]
웹사이트
Paul Veyne : "Quelle a été ma vie?"
https://www.lesinroc[...]
2014-10-26
[12]
뉴스
L'historien Paul Veyne, spécialiste de l'Antiquité grecque et romaine, est mort
https://www.lemonde.[...]
2022-09-29
[13]
간행물
critique de livre: ''Comment on écrit l'histoire'' par Paul Veyne
http://www.persee.fr[...]
[14]
뉴스
L’historien Paul Veyne, spécialiste de l’Antiquité grecque et romaine, est mort
https://www.lemonde.[...]
2022-10-25
[15]
서적
Comment on écrit l'histoire : essai d'épistémologie
Le Seuil
[16]
서적
Le pain et le cirque
Le Seuil
[17]
웹인용
1976: Paul Veyne met au jour la logique des bienfaits
http://40ans.ehess.f[...]
2016-01-01
[18]
웹인용
Entretien avec Paul Veyne
https://journals.ope[...]
2005-01-01
[19]
웹인용
Paul Veyne
https://www.lexpress[...]
2005-12-01
[20]
웹인용
Paul Veyne
https://www.babelio.[...]
[21]
서적
Comment on écrit l'histoire, suivi par "Foucault révolutionne l'histoire"
Le Seuil
[22]
서적
The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78-1979)
Palgrave Macmillan
[23]
서적
One Hundred Years of Homosexuality
Routledge
[24]
서적
Foucault. Sa pensée, sa personne
Albin Michel
[25]
웹인용
Paul Veyne : "Quelle a été ma vie?"
https://www.lesinroc[...]
2014-10-26
[26]
저널인용
critique de livre: ''Comment on écrit l'histoire'' par Paul Veyne
http://www.perse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