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앵트누아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앵트누아르는 콩고 공화국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대서양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쿠일루 주의 주도이다. 1484년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검은 바위 덩어리를 보고 '폰타 네그라'라고 부른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1883년 프랑스가 로앙고인과 조약을 체결하면서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었으며, 1923년 콩고-해양 철도의 종착역으로 선정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석유 발견 이후 콩고의 주요 석유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6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이며, 콩고-오세안 철도, 아고스티뉴 네토 국제공항 등의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공화국의 도시 - 브라자빌
    브라자빌은 콩고 공화국의 수도로, 콩고강 북쪽에 위치하며, 프랑스령 콩고의 수도, 자유 프랑스의 수도, 브라자빌 회의 개최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콩고강 유역의 산업, 무역, 항구 중심지이다.
  • 콩고 공화국의 도시 - 오완도
    오완도는 1903년 건설되어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된 지명으로 1955년 가톨릭교구가 설립되었으며, 해상 교통이 중요하고 육상 교통으로 버스 노선이 운영 중이고 공항은 없으나 연륙교 건설이 추진 중이다.
  • 콩고 공화국의 주 - 브라자빌
    브라자빌은 콩고 공화국의 수도로, 콩고강 북쪽에 위치하며, 프랑스령 콩고의 수도, 자유 프랑스의 수도, 브라자빌 회의 개최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콩고강 유역의 산업, 무역, 항구 중심지이다.
  • 콩고 공화국의 주 - 니아리주
    콩고 공화국 서부에 위치한 니아리 주는 레쿰 현, 부엔자 현, 콩고 민주 공화국, 앙골라 카빈다 주, 쿠일루 현, 가봉과 접경하며 14개의 구와 돌리시, 모센조 2개의 코뮌으로 구성되고 돌리시와 모센조가 주요 도시이다.
  • 행정 구역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행정 구역 - 마셜 제도
    마셜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1986년 미국 신탁통치령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영어와 마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코프라, 수산물,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미국과 자유 연합 조약을 체결하여 국방을 미국에 의존한다.
푸앵트누아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포앵트누아르 시내
포앵트누아르
기본 정보
공식 명칭포앵트누아르
기타 명칭Njinji (은진지)
별칭"별칭" 값 없음
지방 자치 종류데파르트망(Department)
좌우명Labor improbus omnia vincit
건립1883년
시장장 프랑수아 캉도(PCT)
행정 구역
국가[[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the Congo.svg|25px]] 콩고 공화국
데파르트망포앵트누아르 데파르트망
코뮌포앵트누아르 코뮌
지리
해발 고도14m
총 면적2,134km2
인구
총 인구 (2023년)1,420,612명
공용어프랑스어
국가 언어키투바어
경제
인간 개발 지수 (HDI) (2021년)0.614 · 중간 · 12개 중 2위
기타 정보
지역 번호242

2. 역사

1484년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곶에서 검은 바위 덩어리를 보고 '폰타 네그라(폰타 네그라/Ponta Negrapt)라고 부르면서 푸앵트누아르("검은 곶")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11] 푸앵트누아르는 해상 기준점이 되었고, 1883년 프랑스가 현지인인 로앙고인과 조약을 체결하면서 작은 어촌이 되었다.

1910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frique équatoriale française, AEF)가 설립되었고, 프랑스 기업들은 중콩고 (오늘날의 콩고 브라자빌)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11] 콩고강우방기강의 강 항해 종착역인 브라자빌과 대서양 연안을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할 필요성이 곧 제기되었다. 급류로 인해 브라자빌을 지나 콩고강에서 항해가 불가능하고, 연안 철도 종착역 부지는 심해 항구 건설을 허용해야 했기 때문에, 당국은 원래 구상했던 리브르빌 대신 폰타 네그라 부지를 선택했다. 1923년에는 콩고-해양 철도(CFCO)의 종착역으로 선정되었다.[11]

USS ''Samuel B. Roberts'' 푸앵트누아르 항구 방문


1927년에는 약 3,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도시에 식수가 공급되었다. 공항은 1932년에 건설되었다. 1934년 라파엘 안토네티 주지사는 콩고-해양 철도의 개통을 기념했다. 최초의 병원은 1936년에 건설되었다. 같은 해, 파리에 본사를 둔 서아프리카 은행이 이 도시에 첫 번째 지점을 열었다. 1942년, 푸앵트누아르 항구는 첫 번째 선박을 맞이했고, 이로 인해 이 도시는 AEF의 항구가 되었다.

1950년, 푸앵트누아르는 20,000명의 주민을 보유하게 되었고, 브라자빌이 AEF의 수도가 되는 동안 중콩고의 수도가 되었다. 1957년, 중콩고는 독립하지 않았음에도 콩고 공화국이 되었다. 1958년 입법 선거 기간에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아프리카 이익 옹호를 위한 민주 연합(Union démocratique pour la défense des interets africains, UDDIA) 지도자들은 푸앵트누아르가 정치적 반대 세력의 영향을 받게 되자 수도를 브라자빌로 이전했다.

푸앵트누아르는 계속 성장했으며, 1960년 콩고가 독립했을 때 가장 현대적인 도시였다. 이후 1980년경 유전 발견으로 사람들이 다시 모여들고 엘프 아키텐 시설이 들어섰다. 인구는 1982년에 두 배로 증가했고, 1994년에는 36만 명에 달했다.

1997년과 1999년의 내전으로 주변 지역 (레쿠무 주, 니아리 주, 부엔자, 풀 주)에서 푸앵트누아르로 난민이 유입되면서 인구가 1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최근 콩고 공화국 정치에서는 퐁트 인디엔느에 새로운 대량 자원 항구를 건설할 것을 제안했는데, 이곳은 푸앵트누아르 항구에서 30km 북쪽에 위치해 있다. 2012년 12월 18일에는 콩고 정부 부처 10곳과 초청받은 광산 회사들이 모여 미래 개발 기회를 논의하는 회의가 열렸다.

1883년, 프랑스가 지배한다.

1921년경, 확장한다.

1934년, 브라자빌과 연결하는 콩고-오세안 철도가 개통되어 이후 급속도로 발전한다.

2003년2월 6일, 현의 지위가 주어져 쿠일 현에서 독립하여 푸앵트누아르 현이 발족한다[30]

2. 1. 초기 역사

1484년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곶에서 검은 바위 덩어리를 보고 '폰타 네그라(Ponta Negra)'라고 부르면서 푸앵트누아르("검은 곶")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11] 푸앵트누아르는 해상 기준점이 되었고, 1883년 프랑스가 현지인인 로앙고인과 조약을 체결하면서 작은 어촌이 되었다.[11]

1910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frique équatoriale française, AEF)가 설립된 후, 프랑스 기업들은 중콩고 (오늘날의 콩고 브라자빌)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11] 콩고강우방기강의 강 항해 종착역인 브라자빌과 대서양 연안을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는데, 급류로 인해 브라자빌을 지나 콩고강에서 항해가 불가능하고, 연안 철도 종착역 부지는 심해 항구 건설을 허용해야 했기 때문에, 당국은 원래 구상했던 리브르빌 대신 폰타 네그라 부지를 선택했다.[11] 1923년에는 콩고-해양 철도 (CFCO)의 종착역으로 선정되었다.[11]

1927년에는 약 3,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도시에 식수가 공급되었고, 1932년에는 공항이 건설되었다.[11] 1934년 라파엘 안토네티 주지사는 콩고-해양 철도의 개통을 기념했다.[11] 1936년에는 최초의 병원이 건설되었고, 같은 해 서아프리카 은행이 이 도시에 첫 번째 지점을 열었다.[11] 1942년, 푸앵트누아르 항구는 첫 번째 선박을 맞이했고, 이로 인해 이 도시는 AEF의 항구가 되었다.[11]

1950년, 푸앵트누아르는 20,000명의 주민을 보유하게 되었고, 브라자빌이 AEF의 수도가 되는 동안 중콩고의 수도가 되었다.[11] 1957년, 중콩고는 독립하지 않았음에도 콩고 공화국이 되었다. 1958년 입법 선거 기간에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아프리카 이익 옹호를 위한 민주 연합(Union démocratique pour la défense des interets africains, UDDIA) 지도자들은 푸앵트누아르가 정치적 반대 세력의 영향을 받게 되자 수도를 브라자빌로 이전했다.[11]

1960년 콩고가 독립했을 때 푸앵트누아르는 가장 현대적인 도시였다. 1980년경 유전 발견으로 엘프 아키텐 시설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1994년에는 36만 명에 달했다.[11] 1997년과 1999년의 내전으로 주변 지역에서 난민이 유입되면서 인구가 1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다.[11]

2. 2.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

1883년 프랑스는 현지인인 로앙고인과 조약을 체결한 후 푸앵트누아르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11] 1910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EF)가 설립되면서 프랑스 기업들은 중콩고 (오늘날의 콩고 브라자빌)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11]

콩고강우방기강의 강 항해 종착역인 브라자빌과 대서양 연안을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급류로 인해 브라자빌을 지나 콩고강에서 항해가 불가능하고 연안 철도 종착역 부지는 심해 항구 건설을 허용해야 했기 때문에, 당국은 리브르빌 대신 폰타 네그라 부지를 선택했다.[11] 1923년, 푸앵트누아르는 콩고-해양 철도(CFCO)의 종착역으로 선정되었다.[11] 1934년 라파엘 안토네티 주지사는 콩고-해양 철도 개통을 기념했다.[11]

1927년에는 약 3,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도시에 식수가 공급되었고,[11] 1932년에는 공항이 건설되었다.[11] 1936년에는 최초의 병원이 건설되었으며, 같은 해 서아프리카 은행이 이 도시에 첫 번째 지점을 열었다.[11] 1942년, 푸앵트누아르 항구는 첫 번째 선박을 맞이하여 AEF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11]

2. 3. 독립 이후

1950년, 푸앵트누아르는 20,000명의 주민을 보유하게 되었고, 브라자빌이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AEF)의 수도가 되는 동안 중콩고의 수도가 되었다.[11] 1957년, 중콩고는 콩고 공화국이 되었으나, 독립은 이루지 못했다. 1958년 입법 선거 기간에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아프리카 이익 옹호를 위한 민주 연합(UDDIA) 지도자들은 푸앵트누아르가 정치적 반대 세력의 영향을 받게 되자 수도를 브라자빌로 이전했다.[11]

푸앵트누아르는 계속 성장했으며, 1960년 콩고가 독립했을 때 가장 현대적인 도시였다. 1980년경 유전 발견으로 사람들이 다시 모여들고 엘프 아키텐 시설이 들어섰다. 인구는 1982년에 두 배로 증가했고, 1994년에는 36만 명에 달했다.[11]

1997년1999년의 내전으로 주변 지역 (레쿠무 주, 니아리 주, 부엔자, 풀 주)에서 푸앵트누아르로 난민이 유입되면서 인구가 1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2003년2월 6일, 푸앵트누아르는 현의 지위를 얻어 쿠일루 현에서 독립하여 푸앵트누아르 현이 되었다.[30]

3. 지리

3. 1. 기후

푸앵트누아르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사바나 기후를 보인다.[24][31][33] 10월부터 4월까지 우기가 지속되며, 나머지 5개월은 건기를 형성한다. 연간 강수량은 약 1,000mm이다. 건기에는 기온이 다소 낮아져 평균 기온이 약 24°C이다. 우기 동안의 평균 기온은 약 28°C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30.630.931.531.329.727.525.825.726.828.629.329.7
평균 기온 (°C)27.527.627.927.726.824.422.923.124.326.226.826.9
평균 최저 기온 (°C)24.324.324.424.223.821.420.020.421.823.824.124.0
강수량 (mm)151.8183.6154.092.745.72.21.75.717.196.6126.1153.9


4. 행정 구역

푸앵트누아르는 6개의 도시 구역(''arrondissements'')으로 나뉜다.[9]


  • 룸바: 가장 오래된 지역으로, 행정 및 상업 중심지이다.
  • 므붐부
  • 티에-티에
  • 로안질리
  • 몽고-므푸쿠
  • 응고요


푸앵트누아르는 2011년부터 이전에는 쿠일루 구역의 일부였던 치암바-응자시 지구를 포함하는 구역이기도 하다.[10]

5. 경제

푸앵트누아르는 콩고 공화국중앙아프리카 주요 산유국 중 하나가 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석유 산업의 중심지이다. 1980년경 콩고에서 석유가 발견된 이후, 프랑스 회사인 엘프 아키텐이 석유 개발을 주도했다.

푸앵트누아르 항구에서 수출되는 목재


푸앵트누아르는 석유 산업 외에도 어업으로도 유명하지만, 현지 해역은 과도한 어획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거에는 칼륨 채굴장이 있어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 부두가 건설되기도 했다. 푸앵트누아르에는 대규모 항만이 있어 콩고뿐만 아니라 중앙아프리카, 콩고 민주 공화국 등 내륙 국가들의 물품 집산지 역할을 하고 있다.

6. 교육

푸앵트누아르에는 초등학생 및 중고등학생을 위한 프랑스 국제 학교인 샤를마뉴 프랑스 고등학교(Lycée Français Charlemagne)가 있다.[14] 또한 0세에서 18세까지의 어린이를 위한 영국 국제 학교인 코니 아카데미(Connie's Academy)도 운영되고 있다.[14]

이 도시에는 리토랄 고등 기술 학교(École Supérieure de Technologie du Littoral)(기술), 고등 상업 및 경영 학교(École supérieure de commerce et de gestion)(경영), UCAC-ICAM 연구소(Institut UCAC-ICAM)(공학) 및 자동차 정비 교육 훈련 센터(Centre d’éducation, de formation et d’apprentissage en mécanique auto)(자동차 공학)가 있다.[15] 중앙 아프리카 고등 기술 연구소도 이 도시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16]

콩고 정부의 분권화 정책으로 푸앵트누아르에는 로앙고 대학교[17], 아프리카 개발 학교[18], 콩고 상업 및 산업 고등 학교[19] 등 여러 대학교가 생겨났다. 로앙고 대학교는 법학, 경영학, 상업 프로그램을 제공하며,[17] 아프리카 개발 학교는 과학 및 기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18] 콩고 상업 및 산업 고등 학교는 에콜 쉬프 드 파리(Ecole SupdeV Paris)와 협력하여 학사 과정을 제공한다.[19]

7. 교통

푸앵트누아르역


아고스티뉴 네토 국제공항(푸앵트누아르 공항)은 콩고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다.[20] 2023년 8월 기준으로 아비장, 아디스아바바, 브라자빌, 코토누, 두알라, 이스탄불, 리브르빌, 루안다 및 파리로 직항편이 운행된다.[20] 2015년 5월 기준으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국제공항, 보레 국제공항, 마야마야 공항, 무함마드 5세 국제공항, 카제폰 공항, 두알라 국제공항, 은질리 국제공항, 말라보 국제공항, 로메 공항, 포트-젠틸 국제공항, O. R. 탐보 국제공항, 이스탄불 공항 등 각 도시의 공항과의 직항편이 운행되고 있다.

콩고-오세안 철도는 브라자빌과 연결되며, 푸앵트누아르는 이 철도의 종착역이다.[21] 푸앵트누아르 역이 있으며, 도시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티에-티에 기차역과 응곤지 기차역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2014년 기준으로 ''라 가젤'' 열차가 브라자빌 및 중간 목적지까지 격일로 운행되었다.[21]

1921년부터 1934년 사이에 프랑스에 의해 건설된 콩고-오세안 철도는 2010년 6월 22일 푸앵트누아르에서 출발한 열차의 탈선 사고로 많은 승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22]

콩고-오세안 철도의 시발역이 푸앵트누아르에 있으며, 수도 브라자빌과 가봉과의 국경에 있는 무빈다를 연결한다.[32]

푸앵트누아르는 도시 전체를 운행하는 택시 버스 운송망을 갖추고 있다.[20]

푸앵트누아르 대중교통

7. 1. 항공

아고스티뉴 네토 국제공항(푸앵트누아르 공항)은 콩고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공항이다.[20] 2023년 8월 기준으로 아비장, 아디스아바바, 브라자빌, 코토누, 두알라, 이스탄불, 리브르빌, 루안다 및 파리로 직항편이 운행된다.[20] 2015년 5월 기준으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국제공항, 보레 국제공항, 마야마야 공항, 무함마드 5세 국제공항, 카제폰 공항, 두알라 국제공항, 은질리 국제공항, 말라보 국제공항, 로메 공항, 포트-젠틸 국제공항, O. R. 탐보 국제공항, 이스탄불 공항 등 각 도시의 공항과의 직항편이 운행되고 있다.

7. 2. 철도



콩고-오세안 철도는 브라자빌과 연결되며, 푸앵트누아르는 이 철도의 종착역이다.[21] 푸앵트누아르 역이 있으며, 도시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티에-티에 기차역과 응곤지 기차역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2014년 기준으로 ''라 가젤'' 열차가 브라자빌 및 중간 목적지까지 격일로 운행되었다.[21]

1921년부터 1934년 사이에 프랑스에 의해 건설된 콩고-오세안 철도는 2010년 6월 22일 푸앵트누아르에서 출발한 열차의 탈선 사고로 많은 승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22]

콩고-오세안 철도의 시발역이 푸앵트누아르에 있으며, 수도 브라자빌과 가봉과의 국경에 있는 무빈다를 연결한다.[32]

7. 3. 도로 교통

푸앵트누아르는 도시 전체를 운행하는 택시 버스 운송망을 갖추고 있다.[20]

8. 종교

푸앵트누아르의 예배 장소 중에는 기독교 교회와 사찰이 주를 이룬다.[23] 예를 들어, 푸앵트누아르 로마 가톨릭 교구(가톨릭교회), 콩고 복음주의 교회(개혁교회 세계 연맹) 및 하나님의 성회 등이 있다.[23]

9. 자매 도시

푸앵트누아르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다롄(중국)
  • 뉴올리언스(미국)
  • 쑤저우(중국)
  • 르아브르

10. 유명 인물

델빈 은딩가는 푸앵트누아르 출신의 축구 선수이다. 주니어 에투는 이스라엘 농구 프리미어리그의 하포엘 베르셰바에서 활동하는 농구 선수이다. 기슬렌 사투는 페미니스트 작가이며, 알랭 마방쿠는 1966년에 출생한 작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RESULTATS PRELIMINAIRES https://ins-congo.cg[...] 2024-01-08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v7.0) https://globaldatala[...] 2023-08-23
[3] 웹사이트 Toponymie sur la ville de Pointe Noire https://horizon.docu[...] 2020-12-15
[4] 웹사이트 Pointe-Noire : il était une fois Ndji-Ndji https://www.jeuneafr[...] 2021-01-12
[5] 서적 Kutaangë i Kusonikë Civili : Lire et écrire le Civili SIL-Congo (Société internationale de linguistique, antenne Congo)
[6] 웹사이트 Constitution du 20 janvier 2002 https://www.sgg.cg/J[...] Secrétariat Général du Gouvernement, Journal Officiel 2002-02-01
[7] 웹사이트 Congo (Rep.): Departments, Major Cities & Urban Localiti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4-01-16
[8] 뉴스 Début des années 50 – Un petit historique de Pointe-Noire http://dmcarc.com/de[...] 2017-12-05
[9] 웹사이트 Annuaire Statistique du Congo 2018, chapitre 3 : organisation administrative https://ins-congo.cg[...]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2023-08-18
[10] 웹사이트 JO n° 21-2011 https://www.sgg.cg/J[...] Secrétariat Général du Gouvernement - Journal Officiel 2023-09-02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epublic of the Congo Scarecrow Press, USA
[12] book Reconsidering informality: perspectives from urban Africa Nordic Africa Institute, 2004
[13] 웹사이트 In Pictures: The rise of shark fishing off the Congolese coast https://www.aljazeer[...] 2023-07-05
[14] 웹사이트 Connie's Academy http://www.conniesac[...] Connie's Academy 2023-08-23
[15] 뉴스 News of Bolloré Africa Logistics, Partnering schools in Congo Brazzaville: Congo Terminal commits to sandwich course education schemes. http://www.bollore-a[...] Bolloré Africa Logistics 2014-08-07
[16]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universities, institutes, campuses in Pointe-Noire, Pointe-Noire http://www.pagesclai[...] 2016-05-24
[17] 웹사이트 Universite-Loango https://universite-l[...] 2024-02-04
[18] 웹사이트 EAD (École Africaine de Developpement) {{!}} Le Pratique du Congo https://www.lepratiq[...] 2024-02-04
[19] 웹사이트 ESCIC https://www.escic-cg[...]
[20] 웹사이트 Pointe Noire routes and destinations https://www.flightra[...] 2023-08-23
[21] 웹사이트 Republic of Congo travel https://www.lonelypl[...] 2023-07-05
[22] 웹사이트 Scores dead in Congo train crash https://www.aljazeer[...] 2023-08-23
[23]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USA
[24]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04
[25] 웹사이트 大连市友好城市及友好合作关系城市一览 http://www.wb.dl.gov[...] Dalian 2020-11-04
[26] 웹사이트 New Orleans becomes sister city with namesake https://www.kplctv.c[...] KPLC News 2020-11-04
[27] 웹사이트 苏州友好城市一览表 https://m.suzhouhui.[...] Suzhou Hui 2020-11-04
[28] 웹사이트 Administration du territoire : Jean François Kando visite Tchiamba-Nzassi https://www.adiac-co[...] adiac congo.com 2021-11-06
[29]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2024-02-21
[30] 웹사이트 Departments of the Republic of Congo (Congo Brazzaville) http://statoids.com/[...] Statoids.com 2021-11-06
[31]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Pointe-Noire, Republic of Congo https://www.weatherb[...] Weatherbase 2011-11-26
[32] 간행물 世界の鉄道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5-10-02
[33] 웹인용 Normales et records pour la période 2000-2016 à Pointe-Noire http://www.infoclima[...] Infoclimat 2014-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