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풀린매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린매듭은 매듭 이론에서 특정 매듭이 풀린매듭인지 판별하는 알고리즘 문제이다. 이 문제는 NP와 co-NP에 속하며, 매듭 불변량 연구의 동기가 되었다. 매듭 플뢰어 호몰로지, 호바노프 호몰로지는 풀린매듭을 탐지할 수 있지만 효율적인 계산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존스 다항식 또는 유한 유형 불변량이 풀린매듭을 탐지할 수 있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풀린매듭의 알렉산더-콘웨이 다항식과 존스 다항식은 간단하며, 자명한 매듭은 매듭 합성에서 항등원 역할을 한다. 또한, 최소 교차수, 매듭 해소수, 종수가 0인 유일한 매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듭 이론 - 꼬임군 (위상수학)
    꼬임군은 n개의 가닥 꼬기 연산을 연구하는 수학적 구조로, 꼬임들의 연결을 통해 군 연산을 수행하며 매듭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매듭 이론 - 천-사이먼스 이론
    천-사이먼스 이론은 천싱선과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가 정의한 3차 천-사이먼스 형식을 기반으로 3차원 다양체에서 정의되는 위상 양자장론으로, 양자장론, 매듭 이론, 끈 이론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있으며 존스 다항식,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분수 양자 홀 효과 설명 등에 활용된다.
풀린매듭

2. 풀린매듭 문제

특정 매듭이 풀린매듭인지 판별하는 알고리즘 문제인 풀린매듭 문제는 매듭 불변량 연구의 주요 동기가 되었다. 이는 매듭 다이어그램과 같은 표현에서 매듭을 인식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NP와 co-NP 모두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듭 플뢰어 호몰로지와 호바노프 호몰로지/Khonanov homology영어는 풀린매듭을 탐지할 수 있지만, 효율적인 계산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존스 다항식 또는 유한 유형 불변량이 풀린매듭을 탐지할 수 있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3. 예시

엉킨 끈을 풀기 시작했다는 사실이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더라도 그것을 푸는 방법을 찾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시슬스웨이트와 오치아이는 다이어그램의 교차수를 일시적으로 늘려야 하므로 단순화할 수 있는 분명한 방법이 없는 많은 풀린매듭의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제공했다.[4][1]

밧줄은 일반적으로 닫힌 고리의 형태가 아니지만 때로는 끝이 함께 결합되는 것을 상상하여 매듭을 만드는 표준적인 방법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많은 유용한 실용적인 매듭은 꽁꽁 묶일 수 있는 매듭을 포함하여 실제로는 풀린매듭이다.[4]

모든 매듭은 끝점에서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된 강체 선분의 모음인 연결로 나타낼 수 있다. 막대 수는 매듭을 연결로 나타내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선분 수이며, 붙은 풀린매듭 은 평평한 볼록 다각형으로 재구성할 수 없는 특정 매듭이 없는 연결이다.[5][2] 교차 수와 마찬가지로 연결은 단순화되기 전에 선분을 세분화하여 더 복잡하게 만들어야 할 수 있다.

4. 불변량

풀린매듭의 알렉산더-콘웨이 다항식과 존스 다항식은 간단하다.

: \Delta(t) = 1,\quad \nabla(z) = 1,\quad V(q) = 1.

10개 이하의 교차를 갖는 다른 매듭은 자명한 알렉산더 다항식을 갖지 않지만, 11개의 교차를 갖는 기노시타-테라사카 매듭과 콘웨이 매듭은 풀린매듭과 동일한 알렉산더 다항식 및 콘웨이 다항식을 갖는다. 임의의 비자명 매듭이 풀린매듭과 동일한 존스 다항식을 갖는지는 미해결 문제이다.

5. 자명한 매듭의 특징

자명한 매듭은 매듭 합성에서 항등원 역할을 한다. 또한, 소수 매듭도 합성 매듭도 아닌 유일한 매듭이다.[3] 최소 교차수 · 매듭 해소수 · 종수가 0인 유일한 매듭이다. 또한, 교차 지수 · 땋임 지수가 1인 유일한 매듭이다.[3]

자명한 매듭은 교대 매듭이며, 양손형 매듭이고, 가역이다.[3] (''p'', ±1)형, (±1, ''q'')형의 토러스 매듭이다.[3]

존스 다항식 · 알렉산더 다항식 · 컴웨이 다항식 · 홈프리 다항식과 같은 다항식 불변량은, 자명한 매듭에 대한 다항식을 기준으로 정한 후 스케인 관계식을 사용하여 귀납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3] 알렉산더-콘웨이 다항식과 존스 다항식은 자명한 매듭의 경우 <math>\Delta(t) = 1,\quad \nabla(z) = 1,\quad V(q) = 1</math>이다. 10개 이하의 교차를 갖는 다른 매듭은 자명한 알렉산더 다항식을 갖지 않지만, 기노시타-테라사카 매듭과 콘웨이 매듭 (둘 다 11개의 교차를 갖는다)은 자명한 매듭과 동일한 알렉산더와 콘웨이 다항식을 갖는다. 비자명한 매듭이 자명한 매듭과 동일한 존스 다항식을 갖는지 여부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자명한 매듭은 매듭군이 무한 순환군인 유일한 매듭이며, 그 매듭 여집합은 위상동형적으로 원환체와 같다.[3]

참조

[1] 웹사이트 Knotty topics http://www.volkersch[...] 2007-04-23
[2] 논문 A new class of stuck unknots in Pol-6 http://www.emis.de/j[...] 2001
[3] 문서 ある結び目とその結び目の鏡像が[[結び目理論#結び目の同値性|同値]]のとき、その結び目を'''両手型結び目'''という。例えば[[8の字結び目]]は両手型結び目であるが、[[三葉結び目]]はそうではない。
[4] 웹인용 Knotty topics http://www.volkersch[...] 2007-04-23
[5] 저널 인용 A new class of stuck unknots in Pol-6 http://www.emis.de/j[...]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