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르겔란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르겔란더는 1799년 현재 리투아니아의 클라이페다에서 태어난 독일의 천문학자이다. 그는 별의 위치와 밝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변광성 연구를 선구적으로 수행했으며, 324,000개 이상의 별을 수록한 '본 천체 목록'을 완성했다. 핀란드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고, 본 대학교에 천문대를 설립하는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1863년에는 천문학자들의 국제 기구 창립을 주도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본 대학교의 천문 연구소도 아르겔란더 천문 연구소로 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계 독일인 - 니코 로스베르크
    1982년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 케케 로스베르크의 아들인 니코 로스베르크는 독일과 핀란드 이중 국적의 전직 포뮬러 원 레이싱 드라이버로, 2016년 월드 챔피언십 우승 후 은퇴하여 현재는 친환경 사업가 및 방송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핀란드계 독일인 - 말릭 티아우
    2001년생 독일 출신 축구 선수 말릭 티아우는 샬케 04를 거쳐 AC 밀란에서 센터백으로 활약하며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독일 국가대표팀에도 데뷔하여 다양한 포지션 소화 능력과 적극적인 수비 스타일로 주목받고 있다.
  • 클라이페다 출신 - 기타나스 나우세다
    기타나스 나우세다는 2019년과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리투아니아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경제학자 출신 정치인으로, 우크라이나 지지 및 유럽 연합 협력 외교 정책 추진, 과거 소련 공산당 가입 경력과 정책적 입장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클라이페다 출신 - 토마스 다닐레비추스
    토마스 다닐레비추스는 FK 아틀란타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유럽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S 리보르노 칼초의 세리에 A 승격을 이끌었고,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이자 2006년과 2007년 리투아니아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한 리투아니아 축구 선수이다.
  • 19세기 천문학자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19세기 천문학자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르겔란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프리드리히 빌헬름 아우구스트 아르겔란더
원어 이름Friedrich Wilhelm August Argelander
출생1799년 3월 22일
출생지[[파일:Flagge Preußen - Provinz Ostpreußen.svg|border|25px]] 동프로이센, 메멜
사망1875년 2월 17일
사망지, 본
국적프로이센
학문 분야
분야천문학
모교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지도 교수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
알려진 업적본 소탕성표 작성 및 출판
수상왕립천문학회 골드 메달 (1863년)
근무 기관라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 본

2. 생애

프로이센 왕국메멜(현재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에서 핀란드계 아버지와 독일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 쾨니히스베르크(칼리닌그라드)에서 프리드리히 베셀에게 천문학을 배웠으며,[2] 1820년 그의 조수가 되었고 1822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23년부터 1837년까지 핀란드투르쿠헬싱키에서 천문대 책임자로 활동한 후, 독일 으로 이주했다. 그는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의 지원을 받아 본 대학교에 새로운 천문대를 설립하고, 별의 위치와 밝기를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개발, 헬리오미터를 이용한 별 거리 측정 등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3]

그는 변광성 연구의 선구자로서 체계적인 연구 방법과 식별 시스템 도입에 기여했으며,[4] 태양의 이동 방향을 계산하고 그룸브리지 1830의 높은 고유 운동을 발견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특히 아달베르트 크뤼거, 에두아르트 쇤펠트와 협력하여 32만 개 이상의 별 정보를 수록한 『본 천체 목록』(Bonner Durchmusterungdeu)을 1859년부터 1862년 사이에 완성했는데, 이는 사진 기술 도입 이전의 가장 중요한 성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863년에는 국제 천문학 기구인 천문학 협회(Astronomische Gesellschaftdeu) 창립을 주도했고, 같은 해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르겔란더는 프로이센 왕국메멜 (현재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핀란드계인 요한 고틀리프 아르겔란더였고, 어머니는 독일 (프로이센인) 도로테아 빌헬미나 그륀하겐이었다.[1] 어린 시절, 나폴레옹 전쟁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이후 프로이센 왕가가 메멜로 피신했을 때 당시 황태자였던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아르겔란더의 부모 집에서 잠시 머물면서 인연을 맺었고, 이는 평생 이어졌다.

그는 쾨니히스베르크(칼리닌그라드)에서 프리드리히 베셀에게서 수학했고,[2] 1820년 베셀의 조수가 되었다. 1822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23년부터 1837년까지는 핀란드의 천문대 책임자로 일했는데, 처음에는 투르쿠에 있다가 이후 헬싱키로 옮겨 근무했다. 이후 그는 독일으로 이주했다.

2. 2. 핀란드에서의 활동

1822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2] 아르겔란더는 1823년부터 1837년까지 핀란드에서 활동했다. 그는 핀란드천문대 책임자를 맡았으며, 처음에는 투르쿠에 있는 천문대에서 근무하다가 이후 헬싱키로 옮겨갔다.[1] 핀란드에서의 활동을 마친 후, 그는 독일으로 이주했다.

2. 3. 본 대학교에서의 연구

1837년 핀란드헬싱키를 떠나 독일으로 이주했다. 그는 어린 시절 친구였던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의 직접적인 자금 지원을 받아 본 대학교에 새로운 천문대를 설계하고 건설했다. (두 사람의 우정은 나폴레옹 전쟁 중 왕가가 메멜로 피신했을 때, 당시 황태자였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아르겔란더의 부모 집에서 잠시 머물면서 시작되었다.)

본에서 아르겔란더는 별의 위치와 밝기를 측정하는 효과적이고 단순하며 빠른 방법을 개발하여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3] 그는 또한 헬리오미터를 이용해 별의 거리를 측정하기도 했다. 그의 주요 연구 활동에는 별 목록 작성과 변광성 연구 등이 포함되며, 이는 당시 새롭게 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가능했다.[3] 또한 태양우주 공간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대략적으로 계산해냈다.

1863년에는 국제적인 천문학자 조직인 천문학 협회(Astronomische Gesellschaftdeu) 창립을 주도했다.

2. 3. 1. 본 천체 목록

핀란드투르쿠, 헬싱키에서 천문대 소장을 역임한 후, 1836년 프로이센 왕국으로 이주하였다.[1]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의 지원을 받아 본에 새로운 천문대를 건설하였고, 이곳에서 아달베르트 크뤼거, 에두아르트 쇤펠트와 함께 중요한 성표(星表) 제작에 착수했다.[1]

이 작업의 결과물이 바로 1852년부터 1859년까지 출판된 「본 천문 목록」(Bonner Durchmusterungdeu)이다.[1] 이 목록에는 총 324,198개 별의 위치와 등급이 기록되어 있으나, 관측 위치의 한계로 남반구의 별은 포함되지 않았다.[1] 「본 천문 목록」은 사진 기술이 천문 관측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제작된 마지막 주요 성표로 천문학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2. 3. 2. 변광성 연구

아르겔란더는 변광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시작한 최초의 천문학자로 평가받는다. 그가 연구를 시작할 당시에는 소수의 변광성만이 알려져 있었는데, 그는 현대적인 변광성 식별 체계를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 그는 별의 위치와 밝기를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러한 방법론은 변광성 연구에 큰 진전을 가져왔다. 아르겔란더와 그의 동료들이 수행한 변광성 연구 및 별 목록 작성 작업은 당시에 새롭게 개발된 기술을 체계적으로 활용했기에 가능했다.[3]

2. 3. 3. 고유 운동 연구

1842년, 아르겔란더는 그룸브리지 1830이 매우 높은 고유 운동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수십 년 동안 이 별의 고유 운동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동안 이 별은 '아르겔란더의 별'로 알려졌다.

2. 4. 국제 협력

1863년,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국제적인 천문학자 조직인 ''천문학회''(Astronomische Gesellschaft|아스트로노미셰 게젤샤프트de)를 설립하였다.

3. 업적 및 평가

카를 페터 마처가 그린 초상화(1837)

  • 1846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1855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 벨기에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 1863년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 1874년 푸르 르 메리트 훈장 (예술 및 과학 부문 - 민간 훈장)을 수여받았다.[7]
  • 본 대학교의 세 개 천문 연구소가 2006년에 통합되어 아르겔란더 천문 연구소(Argelander-Institut für Astronomie)로 개명되었다.
  • 의 아르겔란더 크레이터와 소행성 1551 아르겔란더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기타


  • 1846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1855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 벨기에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 1863년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 1874년 푸르 르 메리트 훈장 (예술 및 과학 부문 - 민간 훈장)을 수여받았다.[7]
  • 본 대학교의 세 개 천문 연구소가 2006년에 통합되어 ''아르겔란더 천문 연구소''(Argelander-Institut für Astronomie)로 개명되었다.
  • 의 아르겔란더 크레이터와 소행성 1551 아르겔란더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참조

[1]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Springer Publishing 2023-06-14
[2] EB1911 Argelander, Friedrich Wilhelm August
[3] 웹사이트 F. W. A. Argelander http://www.astro.uni[...] 2008-05-20
[4] 간행물 Reflections: F.W.A. Argelander - Star Charts and Variable Stars 1999-02
[5]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22
[6] 문서 Index biographique des membres et associés de l'Académie royale de Belgique (1769-2005) p16
[7] 웹사이트 Orden Pour le Mérite http://www.orden-pou[...]
[8] 문서 Tr. Research into the orbit of the great comet of the year 1811
[9] 웹사이트 (1551) Argelander = 1930 BL = 1938 DC1 = 1940 XD = 1951 XG1 = 1953 GD1 = 1957 KR = 1962 XP https://minorplanetc[...] MPC 2021-08-13
[10]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www.springerreferenc[...] Springer Publishing 2009
[11] 웹인용 F. W. A. Argelander http://www.astro.uni[...] 2008-05-20
[1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