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트 (쇠고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레이트는 미국식 쇠고기 부위 분류 중 하나로, 갈비 아래쪽의 제6늑골부터 제12늑골까지의 갈비살을 지칭한다. 일본식으로는 토모바라의 소토바라에 해당하며, 단맛과 감칠맛이 풍부하여 스테이크, 구이, 샤브샤브, 스키야키, 바베큐, 조림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과거 미국에서는 햄버거용 다진 고기로 사용되었으나 지방이 많아 기피되었고, 1970년대 일본의 쇠고기 수입 시 저렴한 부위로 인식되었다.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수입 자유화와 엔고 현상으로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의 대부분을 일본이 구매했으나, 2000년대 이후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도 수요가 증가하여 2010년대 후반에는 중국과 일본 간 구매 경쟁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쇠고기 -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작진이 검찰 수사를 받고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언론의 자유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 쇠고기 - 마쓰사카규
마쓰사카규는 미에현에서 사육되는 흑모와종 미경산 암소의 쇠고기로, 풍부한 근내지방과 부드러운 풍미로 유명하며, 개체 식별 관리 시스템을 통해 품질을 관리하고 타이완에서 고급 쇠고기의 대명사로 인식된다.
| 플레이트 (쇠고기)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요리 정보 | |
| 종류 | 쇠고기 스테이크 |
| 부위 | 쇠고기 |
| 영양 정보 | |
| 칼로리 | 알 수 없음 |
| 단백질 | 알 수 없음 |
| 지방 | 알 수 없음 |
| 탄수화물 | 알 수 없음 |
| 혈당 지수 | 알 수 없음 |
| 상세 정보 | |
| 부위 설명 | 짧은 가슴살에서 분리된 늑골의 끝 부분. 주로 구이나 찜 요리에 사용됨. |
| 다른 이름 | 쇼트 플레이트 (Short Plate) |
| 활용 | 구이 찜 스커트 스테이크 |
2. 명칭 및 부위
쇼트 플레이트는 미국식 분류에 따른 명칭이며, 제6늑골부터 제12늑골까지의 갈비살을 가리킨다.
2. 1. 일본식 부위
일본식 부위로 따지면 토모바라를 중앙으로 2분할한 우치바라와 소토바라 중 소토바라에 해당한다. 소토바라는 다시 프랭크(사키니쿠), 쇼트 플레이트, 인사이드 스커트로 나뉜다.3. 활용
쇼트 플레이트는 표면 지방과 근육 간 지방이 많지만, 단맛과 감칠맛이 풍부하여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1970년대 일본이 미국으로부터 쇠고기 수입을 본격화했을 때,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는 저렴한 부위였다.[2]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쇠고기 수입 자유화와 엔고 등의 영향, 규동 체인점 증가, 편의점 도시락 보급으로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의 대부분을 일본이 구매하게 되었다.[2]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규동, 샤브샤브, 스키야키가 일본 외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도 널리 보급되면서 쇼트 플레이트 수요가 높아졌고, 2010년대 후반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 구매 경쟁이 발생하게 되었다.[2]
3. 1. 주요 요리
숏 플레이트는 표면과 근육 사이에 지방이 많은 편이지만, 단맛과 감칠맛이 있어 스테이크, 구이, 샤브샤브, 스키야키, 바베큐, 조림 등에 적합하다.[1] 일본에서는 얇게 썬 숏 플레이트를 규동이나 무한 리필 구이 등에 많이 사용하며, 저렴한 쇠고기로 취급한다.[2] 미국에서는 과거 햄버거용 다진 고기 재료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지방이 너무 많아 현재는 기피하는 부위이다.[2]3. 2. 가공
쇼트 플레이트는 표면이나 근육 사이에 지방이 많은 경향이 있지만, 고기에는 단맛과 감칠맛이 있어 스테이크, 구이, 샤브샤브, 스키야키, 바베큐, 조림 등에 적합하다. 쇼트 플레이트를 세분화한 구이용 절단 규격으로 갈비 플레이트, 슈퍼 파스트라미, 갈비 플레이트 아이 등이 개발되었다.[1]4. 국제 교역
1970년대 일본이 미국으로부터 쇠고기 수입을 본격화하면서, 저렴한 부위였던 쇼트 플레이트 수입이 증가했다.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쇠고기 수입 자유화, 엔고, 규동 체인점 증가, 편의점 도시락 보급 등으로 인해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 대부분을 일본이 구매하게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규동, 샤브샤브, 스키야키가 일본 외에도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쇼트 플레이트 수요가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도 높아졌다. 2010년대 후반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 구매 경쟁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수입 소고기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일본의 수입
1970년대 일본이 미국으로부터 쇠고기 수입을 본격화하면서, 저렴한 부위였던 쇼트 플레이트 수입이 증가했다.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쇠고기 수입 자유화, 엔고, 규동 체인점 증가, 편의점 도시락 보급 등으로 인해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 대부분을 일본이 구매하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얇게 썬 쇼트 플레이트가 저렴한 쇠고기로서 규동이나 무한 리필 구이 등에 대한 수요가 높다.4. 2. 경쟁 심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규동, 샤브샤브, 스키야키가 일본 외에도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쇼트 플레이트 수요가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도 높아졌다. 2010년대 후반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미국산 쇼트 플레이트 구매 경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의 수입 소고기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Beef Plate & Flank Cuts
http://www.meatshop1[...]
2015-09-17
[2]
서적
Bon Appetit, Y'all: Recipes and Stories from Three Generations of Southern Cooking
https://books.google[...]
Potter/TenSpeed/Harmony
2011-03-23
[3]
웹사이트
Grilled Skirt Steak with Roasted Corn Salad
http://www.tabasco.c[...]
2015-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