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람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람세스는 이집트 신왕국의 수도로, 람세스 2세 치세에 건설되었다. 나일 삼각주 지역에 위치했으며, 아시아와의 교역 및 군사적 활동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람세스 2세는 이곳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수도를 옮김으로써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군사적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 3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대도시로 번영했으나, 나일강 지류의 변화와 이집트 제20왕조의 쇠퇴로 인해 쇠퇴했다. 이후 타니스로 수도가 이전되면서 유물 채석장으로 사용되었다. 구약성경 출애굽기에 등장하는 라암세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옛 수도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이집트의 옛 수도 - 타니스
    타니스는 이집트 제20왕조 말기에 건설되어 제21왕조의 북쪽 수도가 되었고, 아문 신을 위한 대사원 건설, 왕가 묘지 조성 등 활발한 건축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프수센네스 1세 등 파라오들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굴된 고대 도시이다.
  • 민수기 - 아각
    아각은 아말렉 왕의 칭호이자 고대 이스라엘과 아말렉 민족 간 갈등을 상징하는 성경 속 인물로, 사울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가 사무엘에게 죽임 당했으며, 에스델기에 등장하는 하만과 관련된 원한의 배경이 되었다.
  • 민수기 - 만나
    만나는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40년 동안 먹었던 음식으로, 꿀을 넣은 센베이처럼 달콤하고 이슬처럼 생겼으며, 안식일에는 내리지 않아 그 전날 두 배를 모으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 람세스 2세 - KV5
    KV5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있는 고대 무덤으로, 켄트 R. 위크스가 이끄는 테베 매핑 프로젝트를 통해 130개 이상의 방과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현재까지 발굴된 왕가의 계곡 무덤 중 최대 규모이다.
  • 람세스 2세 - 카데시 전투
    카데시 전투는 기원전 1274년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의 무와탈리 2세 간에 벌어진 전투로, 전략적으로는 무승부로 끝났으며, 이후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으로 분쟁이 종식되었다.
피람세스
개요
이름페르-람세스
원어명Pi-Ramesses
위치이집트 샤르키야 주 칸티르
지역하이집트
유형정착지
면적18 km²
역사
건설람세스 2세
건설 시기기원전 13세기
버려진 시기기원전 1060년 경
시대이집트 신왕국 ~ 이집트 제3중간기
건축 양식고대 이집트 건축
관리
관리 주체考古省
기타 정보
고고학적 발굴발굴 진행 중

2. 역사적 배경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고대 이집트 제국의 영토는 나일강 유역을 넘어 아시아요르단시리아에까지 이르렀다. 특히 이집트 제19왕조는 적대국이었던 히타이트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면서 아시아와의 교역이 활발해졌고, 이에 따라 나일 삼각주 지대가 경제·상업 활동의 중심이 되었다. 전통적인 수도 테베는 나일강 상류에 위치하여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웠다.[18]

람세스 2세는 나일 삼각주 지대에 새로운 수도 "페르 람세스"를 건설했다. 페르 람세스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했으며, 아시아에 있는 이집트 왕국의 속국과 히타이트 제국 간의 외교 및 아시아로의 군사적 행동을 용이하게 했다. 이전의 수도 테베는 상 이집트에 존재하여 아시아로의 군사적 행동에 신속성이 부족했다.[19]

왕도를 페르 람세스로 옮김으로써, 정보와 외교관은 훨씬 신속하게 람세스 2세에게 도달했고, 군의 주요 부대도 시내에 수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요르단 지역으로부터의 히타이트 또는 유목민의 침략에 대처하기 위해 이전보다 훨씬 신속하게 군을 동원하는 것이 가능해졌다.[20]

3. 람세스 2세의 건설

람세스 2세는 나일 삼각주 지역에 새로운 수도 페르 람세스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람세스의 집'이라는 뜻으로, 람세스 2세가 자신을 신격화하여 건설한 도시였다.[19] 페르 람세스에는 람세스 2세를 기리는 신전들이 많이 건설되었다.

피람세스는 나일강의 펠루시악 지류 강둑에 건설되었으며, 30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 도시는 약 18km2 또는 약 6km 길이, 3km 너비로 펼쳐져 있었다. 지표 투과 레이더로 나타난 도시의 배치는 거대한 중앙 사원, 서쪽 강을 따라 있는 대저택 단지, 격자형 거리 패턴, 동쪽의 무질서한 집과 작업장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람세스의 궁전은 현대의 칸티르 마을 아래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0]

발굴된 마구간에서는 460개의 말 묶는 지점에 인접한 작은 저수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마구간 바닥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화장실 역할을 했다.[10]

이집트 제20왕조 동안 이집트의 해외 권위가 쇠퇴하면서 페르 람세스는 왕실 거주지로서 중요성이 감소하였다.[8] 나일강의 펠루시악 지류가 기원전 1060년경에 토사가 쌓이기 시작하여, 강이 새로운 서쪽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서 도시에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된 것도 쇠퇴의 원인이었다.[9] 이집트 제21왕조는 도시를 새로운 지류로 옮겨 피람세스 북서쪽 100km에 있는 디자넷(타니스)을 하 이집트의 새로운 수도로 건설했다. 제21왕조의 파라오들은 페르 람세스의 사원, 오벨리스크, 석비, 조각상, 스핑크스 등을 새로운 장소로 옮겼다.[10]

페르 람세스는 람세스 2세 사후 1세기 이상 번영했으며, 이집트 제20왕조 역대 파라오의 수도였다. 그러나 나일강의 흐름 변화 등으로 쇠퇴하여 이집트 제3중간기이집트 제21왕조 시대가 되자 왕도로서의 기능이 폐기되었다. 남겨진 건조물의 잔해는 타니스 건설 자재로 유용되었다.[21] 현대에는 페르 람세스가 타니스가 아니라, 현대의 칸티르(Qantir)에 해당하는 장소에 있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3. 1. 건설 목적

람세스 2세는 이 지역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가족 관계가 수도를 북쪽으로 옮기도록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하지만 지정학적인 이유가 더 중요했는데, 피-람세스는 아시아에 있는 이집트의 속국들과 적대적인 히타이트 제국과의 국경에 훨씬 더 가까웠기 때문이다. 정보와 외교관은 파라오에게 훨씬 더 빨리 도달할 수 있었고, 군대의 주력 부대 또한 도시에 주둔하여 히타이트나 요르단강 너머에서 온 샤수 유목민들의 침입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었다.[7]

이집트 신왕국 시대 고대 이집트 제국의 영토는 이집트나일강 유역을 넘어 멀리 아시아요르단시리아에까지 이르렀고, 특히 이집트 제19왕조에서는 히타이트 제국과 평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아시아와의 교역이 활발해졌다. 따라서 이 시대의 경제·상업 활동은 외국과의 무역을 포함하여 나일강 하구의 삼각주 지대가 중심이 되었다.

그 때문에 전통적인 수도인 테베와 같이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간 지역에서 정치 활동을 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았다. 그래서 이집트 제19왕조 제3대 파라오인 람세스 2세는 과감하게 나일 삼각주 지대의 조부 람세스 1세의 출신지 아바리스(Avaris)에 가까운 토지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이것이 "페르 람세스"이다.

페르 람세스는 지정학적으로도 중요했으며, 아시아에 있는 이집트 왕국의 속국과 히타이트 제국 간의 외교 및 아시아로의 군사적 행동을 용이하게 했다. 이전의 수도 테베는 상 이집트에 존재하여 아시아로의 군사적 행동에 신속성이 부족했다.

왕도를 페르 람세스로 옮김으로써, 정보와 외교관은 훨씬 신속하게 람세스 2세에게 도달했고, 군의 주요 부대도 시내에 수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요르단 지역으로부터의 히타이트 또는 유목민의 침략에 대처하기 위해 이전보다 훨씬 신속하게 군을 동원하는 것이 가능해졌다.[20]

4. 도시의 번영과 쇠퇴

람세스 2세가 건설한 페르 람세스는 나일강의 펠루시악 지류 강둑에 위치했으며, 30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최대 도시 중 하나였다.[10] 이 도시는 약 18km2의 면적에 6km 길이와 3km 너비로 펼쳐져 있었다.[10] 도시 구조는 거대한 중앙 사원, 서쪽 강가의 대저택, 격자형 거리, 동쪽의 집과 작업장 등으로 구성되었다.[10] 람세스 2세의 궁전은 현대의 칸티르 마을 아래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페르 람세스는 람세스 2세 사후 1세기 이상 번영했지만, 기원전 1060년경 나일강의 펠루시악 지류가 토사로 막히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9] 강이 새로운 방향(타니틱 지류)으로 흐르면서 도시에 물 공급이 어려워졌다.[9] 이집트 제21왕조는 수도를 페르 람세스 북서쪽 100km 지점인 타니스(디자넷)로 이전했다.[10] 이 과정에서 페르 람세스의 사원, 오벨리스크, 조각상 등은 타니스로 옮겨졌고, 건물들은 해체되어 재사용되었다.[10] 가장 큰 오벨리스크와 조각상은 무게가 200톤이 넘었으며, 이들은 통째로 운반되었다.[10]

5. 발굴

1884년, 플린더스 페트리는 이집트에서 발굴을 시작했는데, 그의 첫 번째 발굴은 타니스에서 이루어졌다.[2] 1930년대 후반, 피에르 몽테가 타니스의 유적을 탐사했다. 타니스에서 발견된 람세스 시대 석조물 파편은 고고학자들이 이곳을 피-람세스로 생각하게 만들었지만, 결국 이 유물들은 그 장소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3]

1960년대, 만프레트 비에탁은 피-람세스가 당시 가장 동쪽에 위치한 나일강 지류에 있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고대 델타의 모든 지류를 세심하게 지도화했으며, 람세스 통치 기간 동안 펠루시악 지류가 가장 동쪽에 있었고, 타니스 지류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래서 람세스 시대의 도자기가 가장 많이 발견된 텔 엘-다바와 칸티르에서 발굴이 시작되었다. 텔 엘-다바는 힉소스의 수도 아바리스로 밝혀졌고, 칸티르는 람세스 시대의 수도 피-람세스 유적지로 확인되었다.[4] 칸티르/피-람세스는 타니스의 남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으며, 아바리스 유적지인 텔 엘-다바는 칸티르의 남쪽으로 약 2km 떨어져 있다.[3]

2017년, 뢰머 펠리차우스 박물관의 고고학자들은 박격포 바닥에서 아이들의 발자국[5]과 궁전이나 사원의 장식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프레스코 벽 조각을 발견했다.[6]

6. 성경과의 관계

구약성경 출애굽기에는 히브리인들이 강제 노동으로 건설한 도시 '라암세스'가 언급된다.[11][12] 이 '라암세스'는 람세스 2세의 페르 람세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13] 람세스 2세는 군사적 잠재력 때문에 이집트의 수도를 파이-람세스로 옮겼으며, 그 결과 창고, 부두 및 군사 시설을 건설했는데, 이는 출애굽기 1:11에서 그 장소를 "보물 도시"라고 부르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16]

『이집트의 이스라엘인』(에드워드 포인터・1867년 그림)


하지만 이집트 측 기록에는 모세의 이름이나 히브리인 탈출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19] 고대 이집트에 유대인이 정착하거나 노예가 되었거나 심지어 존재했다는 역사적 증거는 없으며, 유대인이 이집트에서 탈출했다는 증거도 없다.

참조

[1] 서적 Ramesses: Egypt's Greatest Pharaoh Penguin 2001-10-30
[2]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Vol. 2 https://archive.org/[...] 1925
[3] 서적 The Land that I Will Show You: Essays on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Honor of J. Maxwell Miller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1-01-01
[4] 간행물 Nile Delta: a review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geological history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1989
[5] 뉴스 New Discovery Shows Children Have Always Played in the Mud https://web.archive.[...] New Historian 2017-02-27
[6] 뉴스 Children’s footprints and painted murals preserved at site linked to Biblical exodus https://www.theartne[...] The Art Newspaper 2017-02-14
[7] 서적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Ancient Egypt Penguin, Harmondsworth 1995
[8] 문서 Kitchen, pp.255–256
[9] 웹사이트 遗失的法老城市16_在线英语听力室_免费在线英语听力学习网站 http://www.tingroom.[...]
[10]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11] 웹사이트 Ramses II, king of Egypt https://www.britanni[...] 2021-12-02
[12] 웹사이트 Raamses or Rameses https://biblehub.com[...]
[13] 논문 Pithom and Rameses (Exodus 1:11): Historical,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Issues (Part I) https://www.academia[...] 2022-03
[14] 문서 Saadia Gaon, Judeo Arabic Translation of Pentateuch (Tafsir), s.v. Exodus 21:37 and Numbers 33:3 ("רעמסס: "עין שמס); Rabbi Saadia Gaon's Commentaries on the Torah (ed. Yosef Qafih), 4th edition, Mossad Harav Kook: Jerusalem 1984, p. 164 (Numbers 33:3) (Hebrew)
[15] 문서 Sagrillo, Troy Leiland. 2015. “Shoshenq I and biblical Šîšaq: A philological defense of their traditional equation.” In Solomon and Shishak: Current perspectives from archaeology, epigraphy, history and chronology; proceedings of the third BICANE colloquium held at Sidney Sussex College, Cambridge 26–27 March, 2011, edited by P. J. James, P. G. van der Veen, and R. M. Porter.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International Series) 2732. Oxford: Archaeopress. 61–81.
[16] 웹사이트 Per Ramessu https://www.britanni[...] 2022-05-09
[17] 서적 Ramesses: Egypt's Greatest Pharaoh Penguin 2001-10-30
[18] 서적 『古代エジプト』笈川博一、2014年、p227
[19] 웹사이트 http://www.isis.just[...]
[20] 서적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Ancient Egypt Penguin, Harmondsworth 1995
[21]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