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바리스는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현재 텔 엘-다바 유적지에 위치해 있다. 기원전 20세기경 이집트 제12왕조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가나안인들의 유입으로 성장했다. 힉소스 시대에는 힉소스의 수도가 되었으며, 힉소스 이후 시대에는 람세스 2세에 의해 건설된 피-람세스에 의해 대체되어 버려졌다. 아바리스는 힉소스 이전, 힉소스 시대, 힉소스 이후 시대로 구분되며, 미노아 문명과의 교류 흔적도 발견되었다. 1885년부터 발굴이 시작되어, 도시의 규모와 무역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밝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발굴 - 아다브
아다브는 기원전 3천년기부터 존재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로 현재 이라크 비스마야 유적지에 해당하며, 수메르 왕 목록과 에블라 토판에 등장하는 등 고대 근동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20세기 초부터 발굴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힉소스 - 린드 수학 파피루스
린드 수학 파피루스는 아멘엠하트 3세 시대 문서를 베껴 쓴 고대 이집트의 수학 문서로, 다양한 수학 문제와 해법을 통해 당시 이집트인들의 수학적 사고방식과 계산 능력을 보여주며, 현재 대부분은 대영 박물관에, 일부는 브루클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힉소스 - 이집트 제16왕조
이집트 제16왕조는 고대 이집트 제2중간기에 존재했으며, 힉소스 제15왕조에 종속되었거나 테베를 중심으로 독립적인 왕조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통치자 목록과 연대에 대한 학설이 분분하며, 힉소스와의 전쟁과 기근 속에서 존속하다가 멸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집트의 옛 수도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이집트의 옛 수도 - 타니스
타니스는 이집트 제20왕조 말기에 건설되어 제21왕조의 북쪽 수도가 되었고, 아문 신을 위한 대사원 건설, 왕가 묘지 조성 등 활발한 건축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프수센네스 1세 등 파라오들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굴된 고대 도시이다.
아바리스 | |
---|---|
고고학 유적지 정보 | |
이름 | 아바리스 |
![]() | |
지도 유형 | 이집트 |
좌표 | 30°47′14.7″N 31°49′16.9″E |
위치 | 샤르키아 주, 이집트 |
지역 | 하 이집트 |
유형 | 정착지 |
2. 어원
아바리스(Avaris)라는 명칭은 고대 이집트어 '*Ḥaʔət-Waʕrəʔ*'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지역의 집"이라는 뜻을 지닌다. 이는 행정 구역의 수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늘날에는 파이윰 입구에 있는 유적지를 가리키는 ''하와라''라는 이름이 남아 있다.[8]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이 도시의 이름을 "아티리아"라고 언급했다.[8]
아바리스는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건설된 도시로,[12] 힉소스 시대에는 힉소스의 수도였으며,[14] 이집트 제18왕조 시대에는 수도가 테베로 옮겨지면서 잠시 버려졌지만 세트 신전 등은 계속 사용되었다.[15] 이후 람세스 2세가 피-람세스를 건설하면서 피-람세스에 통합되었고,[18] 람세스 시대에 완전히 버려졌다.[19][20] '아바리스'라는 이름은 기원전 13세기 후반 파피루스 살리에 1에 언급되었고,[25] 마네토와 요세푸스의 기록에도 등장한다.[26]
3. 역사
3. 1. 힉소스 이전
이 지역은 원래 나일강 동쪽 지류의 삼각주에 아멘엠하트 1세가 건설하였다.[12] 아시아와 가까워 아시아 이민자들이 많이 찾는 도시가 되었고, 이들 대부분은 이집트식 도자기를 사용하며 문화적으로 이집트화되었지만, 레반트 기원의 무기를 포함한 다양한 아시아식 매장지에서 볼 수 있듯이, 그들 자신의 문화의 많은 측면을 유지했다. 이집트 제13왕조 동안의 전염병으로 인해 한 궁전 지역이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13]
3. 2. 힉소스 시대
기원전 18세기에 힉소스는 하 이집트를 정복하고 아바리스를 수도로 삼았다.[14] 이집트 제17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카모세는 아바리스를 포위했지만 힉소스족을 몰아내지 못했다.[14] 몇 십 년 후, 아흐모세 1세가 아바리스를 점령하고 힉소스족을 몰아냈다.[14] 힉소스는 이집트를 침략한 외세로, 민족의 자주성을 훼손하고 수탈을 자행했다. 힉소스 시대의 아바리스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번영하였다. 힉소스는 이집트 신 세트를 가나안 신 하닷과 동일시하며 숭배했다. 투트모스 시대 또는 신왕국 시대에 속하는 가나안 스타일의 유물들은 이집트인에 의한 재정복 이후에도 도시의 셈족 인구 상당수가 그곳에 계속 거주했음을 보여준다.[14]
3. 3. 힉소스 이후
기원전 18세기에 힉소스족은 하 이집트를 정복하고 아바리스를 그들의 수도로 삼았다. 이집트 제17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였던 카모세는 아바리스를 포위했지만, 힉소스족을 완전히 몰아내지는 못했다.[14] 몇 십 년 후, 아흐모세 1세가 아바리스를 점령하고 힉소스족을 몰아냈다.[14] 투트모스 시대 또는 신왕국 시대에 속하는 가나안 스타일의 유물들은 이집트인에 의한 재정복 이후에도 도시의 셈족 인구 상당수가 그곳에 계속 거주했음을 시사한다.[14]
제18왕조의 파라오들은 수도를 테베에 세웠고 아바리스의 궁전 단지는 잠시 버려졌지만, 세트 신전과 G6 지역과 같은 지역은 지속적으로 점령되었다.[15] 아멘호테프 2세 이후부터 제18왕조 말까지는 아바리스 지역이 중단된 시기를 거친 것으로 보인다.[16][17]
람세스 2세가 북쪽으로 2km 정도 떨어진 곳에 피-람세스 도시를 건설하면서 아바리스는 피-람세스에 의해 대체되었고,[18] 람세스 시대 동안 최종적으로 버려졌다.[19][20] 아바리스의 이전 지역 상당수는 피-람세스의 주민들에 의해 묘지와 매장지로 사용되었고,[21] 그 일부는 주요 해군 기지로 사용되었으며,[22] "아바리스 항구"라는 지명은 람세스 시대 동안 아바리스의 항구에 계속 사용되었다.[23][24]
"아바리스"라는 이름은 기원전 13세기 후반의 파피루스 살리에 1에도 언급되어 있다.[25] 또한 '아바리스'라는 지명은 마네토가 기원전 3세기에 언급했으며, 요세푸스가 그의 저서 ''아피온 반박'' 1.14에서 인용했다.[26]
4. 도시 연표
아바리스의 역사는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밝혀진 지층 연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지층 | 시기 | 주요 내용 |
---|---|---|
M-N | 기원전 1930년경 ~ 기원전 1700년경 | 아멘엠헤트 1세가 후트와레트 정착지 계획, 가나안인 이주, 무역 식민지로 성장, 레트제누 스카라베 발견[27][28] |
G | 기원전 1780년경 | 세트 신전 건설 (세트=가나안 신 하닷)[27] |
F | 기원전 1700년경 | 아세라와 하토르 신전 구역 건설, 사회 계층화 시작[27] |
E | 기원전 1650년 ~ 기원전 1550년경 | 힉소스 도착, 도시 성장 (250ha), 거대 요새 건설[27] |
제12왕조 시대와 힉소스 시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4. 1. 제12왕조 시대 (지층 M-N)
기원전 1930년경, 아멘엠헤트 1세는 제19 노메에 위치한 '후트와레트'(Hutwaret)라는 정착지를 계획했다. 이곳은 기원전 1830년경까지 작은 이집트 마을이었으나, 가나안인 (레반트 중기 청동기 IIA)의 이주로 인해 성장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1800년경에는 이집트의 통제를 받는 훨씬 더 큰 무역 식민지가 되었다. 그 후 100년 동안 이주가 증가하면서 도시의 규모가 커졌다.[27] "레트제누"(Retjenu)라는 이름이 새겨진 스카라베가 아바리스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집트 제12왕조(기원전 1991년-기원전 1802년) 시기에 해당한다.[28]4. 2. 힉소스 시대 (지층 G, F, E)
기원전 1780년경 세트 신전이 건설되었다. 아바리스에 살던 가나안인들은 이집트 신 세트를 가나안 신 하닷으로 여겼는데, 둘 다 날씨의 신이었다.[27]기원전 1700년경, 도시 동부에 가나안 아세라와 이집트 하토르 신전 구역이 건설되었다. 같은 해부터 사회 계층화가 시작되었고 엘리트 계층이 등장했다.[27]
기원전 1650년에 힉소스가 도착하고 도시가 250ha로 성장했다. 아바리스는 기원전 1670년부터 1557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1550년경에는 거대한 요새가 건설되었다.[27]
5. 미노아 문명과의 관계
아바리스는 레반트 지역에서 드물게 미노아 문명의 기록을 가지고 있는 곳으로, 이스라엘의 텔 카브리, 시리아의 알랄라크와 함께 언급된다. 오스트리아 고고학자이자 텔 다바의 발굴자인 만프레드 비에탁은 아바리스 통치자들과의 긴밀한 접촉이 있었고, 프레스코가 있는 대형 건물이 미노아인들이 이집트에서 의례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해 주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프랑스 고고학자 이브 두후는 나일 삼각주의 섬에 미노아 '식민지'가 존재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29]
6. 발굴
1885년, 스위스의 에두아르 나빌이 텔 엘다바 주변 지역에서 최초로 발굴을 시작했다. 1941년에서 1942년 사이에는 이집트 출신의 이집트학자 라비브 하바치가 이 유적이 아바리스와 동일할 수 있다는 가설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1966년에서 1969년 사이, 그리고 1975년부터 이 유적은 오스트리아 고고학 연구소에 의해 발굴되었다.[9] 2010년, 과학자들은 레이더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여 거리, 집, 항구, 도시를 통과하는 나일강의 지류를 포함한 도시의 윤곽을 식별할 수 있었다.[10]
참조
[1]
웹사이트
The Hyksos
https://www.arce.org[...]
American Research Center in Egypt
[2]
서적
The Politics of Trade: Egypt and Lower Nubia in the 4th Millennium BC
https://books.google[...]
BRILL
2011
[3]
간행물
The Rulers of Foreign Lands - Archaeology Magazine
https://www.archaeol[...]
[4]
서적
A Companion to the Archae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
[5]
서적
The Hyksos: new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Muse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6]
서적
Atlas of Ancient Egypt
[7]
서적
The rise of the Greeks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Books
[8]
문서
[9]
웹사이트
Tell el-Dab'a - History
http://www.auaris.at[...]
Tell el-Dab'a-Homepage
2010-06-21
[10]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city located in Nile Delta by radar
http://news.bbc.co.u[...]
2010-06-21
[11]
서적
The Hyksos Period in Egypt
https://books.google[...]
Shire
2016-02-03
[12]
문서
Amorites in the Eastern Nile Delta: The Identity of Asiatics at Avaris during the Early Middle Kingdom
2019
[13]
문서
A History of Ancient Egypt
2021
[14]
문서
"The Aftermath of the Hyksos in Avaris." Culture Contacts and the Making of Cultures: Papers in Homage to Itamar Even Zohar
Tel Aviv University- Unit of Culture Research
2011
[15]
문서
The Topography of New Kingdom Avaris and Per-Ramesses
[16]
웹사이트
Manfred Bietak, "A THUTMOSID PALACE PRECINCT AT PERU-NEFER/TELL EL-Dab'a," in: M. Bietak & S. Prell (Eds.), Palaces in Ancient Egypt and the Ancient Near East vol. I: Egypt, Contributions to the Archaeology of Egypt, Nubia and the Levant V, Vienna 2018, 231-257
https://www.academia[...]
[17]
웹사이트
The harbour of Tell el-Dabʿa
https://www.oeaw.ac.[...]
[18]
문서
A History of Ancient Egypt
2021
[19]
웹사이트
Manfred Bietak, The Palatial Precinct at the Nile Branch (Area H)
https://www.auaris.a[...]
[20]
문서
Report on the excavations of a Hyksos Palace of Tell el Dabᶜa/Avaris.
2013
[21]
웹사이트
Avaris/Tell el-Dab’a
https://www.academia[...]
[22]
문서
"From Where Came the Hyksos and Where Did they go". In M. Marée (ed.),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Thirteenth - Seventeenth Dynasties): Current Research, Future Prospects''
Peeters
2010
[23]
문서
Contact Points: Avaris and Pi-Ramesse
[24]
문서
Beyond the Nile: Egypt and the Classical World
[25]
문서
ANET
[26]
서적
Hyksos
[27]
웹사이트
Tell-el-Daba - History
http://www.auaris.at[...]
2019-11-30
[28]
간행물
The Toponym Retjenu on a Scarab from Tell el-Dabʿa
1998
[29]
서적
Des minoens en Egypte? "Keftiou" et "les îles au milieu du Grand vert"
Univ.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