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데시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데시 전투는 기원전 1274년,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 제국의 무와탈리 2세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이집트 신왕국의 팽창과 히타이트와의 갈등 속에서 발생했으며, 람세스 2세의 시리아 원정을 계기로 카데시에서 양측의 대규모 병력이 격돌했다. 전투는 히타이트군의 기습으로 시작되었으나, 람세스 2세의 반격과 치열한 공방전 끝에 전략적으로는 무승부로 종결되었다. 이후 16년 뒤인 기원전 1258년,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의 하투실리 3세는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분쟁을 종식시켰다. 이 조약은 세계 최초의 국제 평화 조약으로 평가받으며, 현재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그 복제품이 국제 연합 본부에 전시되어 있다.
히타이트 제국의 최성기 영토(빨강)와 이집트(녹색)과의 국경 부근]]
2. 배경
카데시 전투는 람세스 2세가 히타이트의 무와탈리 2세를 상대로 벌인 전투이다. 이 전투는 람세스 2세의 시리아 원정의 일환으로, 히타이트의 속국이었던 아무르를 이집트가 다시 점령하면서 시작되었다. 무와탈리 2세는 아무르를 되찾기 위해 군대를 남쪽으로 이동시켰다.
람세스 2세는 치세 4년에 시리아 북부를 침공하여 아무르를 점령했다. 이듬해 봄, 그는 수도 피-람세스에서 원정을 시작하여 차루 요새를 지나 가자로 이어지는 해안을 따라 진군했다.
2. 1. 이집트 신왕국의 팽창과 히타이트와의 갈등
힉소스의 제15왕조를 기원전 1550년경에 몰아낸 후, 이집트 신왕국의 통치자들은 국경을 되찾기 위해 더욱 공격적으로 변했다.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3세, 그의 아들이자 공동 섭정인 아멘호테프 2세는 메기드에서 북쪽 오론테스강까지 전투를 벌였으며, 여기에는 카데시와의 충돌도 포함되었다.
기원전 1400년에서 1300년 사이의 많은 이집트 기록들은 남부 가나안 지역인 자히의 전반적인 불안정을 반영하고 있다. 투트모세 4세와 아멘호테프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는 북부 시리아에서 미탄니에게 영토를 계속 잃었다.
이집트 제18왕조 말기 동안, 아마르나 서한은 이 지역에서 이집트의 영향력이 쇠퇴하는 이야기를 전한다. 이집트는 왕조가 거의 끝날 때까지 이 지역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17] 이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호렘헤브(기원전 1292년 사망)는 이 지역에서 원정을 벌여 이집트의 관심을 다시 이 지역으로 돌리기 시작했다.
이 과정은 이집트 제19왕조에서 계속되었다. 아버지 람세스 1세처럼 세티 1세는 군사 지휘관이었으며, 거의 한 세기 전에 이집트 제18왕조 파라오 시대의 이집트 제국을 회복시키기 위해 나섰다. 카르나크 벽에 새겨진 비문에는 그의 가나안과 고대 시리아 원정의 세부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18] 그는 2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버려진 이집트 전초 기지를 재점령하고 도시를 주둔시켰다. 그는 히타이트와 비공식적인 평화를 맺고 지중해 연안 지역을 장악했으며 가나안에서 계속 원정을 벌였다. 두 번째 원정에서 그는 카데시와 아무르 왕국을 점령했다. 그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람세스 2세가 그와 함께 원정을 벌였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람세스 2세는 그의 재위 5년에 카데시로 이끌었던 원정 1년 전에 대규모 무기 주문을 했다.[19]
어느 시점에서 두 지역 모두 히타이트의 지배하에 다시 들어갔을 수도 있다. 아무르에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논쟁의 대상이다. 히타이트학자 트레버 R. 브라이스는 아무르가 한 번 더 히타이트의 지배하에 들어갔을 수 있지만, 히타이트의 봉신 국가로 남아 있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2. 2. 람세스 2세의 시리아 원정
힉소스의 제15왕조를 기원전 1550년경에 몰아낸 후, 이집트 신왕국의 통치자들은 잃어버린 국경을 되찾기 위해 더욱 공격적으로 변했다.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2세는 메기드에서 북쪽 오론테스강까지 전투를 벌였으며, 여기에는 카데시와의 충돌도 포함되었다.[17]
이집트 제18왕조 말기 동안, 아마르나 서한은 이 지역에서 이집트의 영향력이 쇠퇴하는 이야기를 전한다. 이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호렘헤브는 이 지역에서 원정을 벌여 이집트의 관심을 다시 이 지역으로 돌리기 시작했다.[18]
이 과정은 이집트 제19왕조에서 계속되었다. 람세스 1세처럼 세티 1세는 군사 지휘관이었으며, 이집트 제국을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카르나크 벽에 새겨진 비문에는 그의 고대 시리아 원정의 세부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18] 그는 2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버려진 이집트 전초 기지를 재점령하고 도시를 주둔시켰다. 그는 히타이트와 비공식적인 평화를 맺고 지중해 연안 지역을 장악했으며 가나안에서 계속 원정을 벌였다. 두 번째 원정에서 그는 카데시와 아무르 왕국을 점령했다. 그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람세스 2세가 그와 함께 원정을 벌였다.
카데시 전투의 직접적인 선행 사건은 람세스 2세의 가나안 원정이었다. 그의 통치 4년째에 그는 아무르를 재탈환하기 위해 시리아 북쪽으로 진군하거나,[20] 자신의 봉신의 충성을 확인하고 잠재적인 전장을 탐험하기 위한 탐사 노력을 했다. 그의 통치 5년째 봄인 기원전 1274년 5월, 람세스 2세는 수도 피-람세스에서 원정을 시작했다. 군대는 호루스 군사 루트의 차루 요새를 지나 가자로 이어지는 해안을 따라 이동했다.[21]
히타이트 제국의 최성기 영토(빨강)와 이집트(녹색)과의 국경 부근
아무르의 회복은 무와탈리 2세가 이집트군과 맞서기 위해 남쪽으로 진군한 명시적인 동기였다. 람세스 2세는 치세 4년차에 시리아 지방 북부에 침공하여, 히타이트의 속국 아무르를 산하에 두었다.
3. 양측의 전력
람세스 2세는 아문, 레(pRe), 세트, 프타의 4개 부대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었다.[22] 히타이트 측에서는 무와탈리 2세가 알레포의 왕 리미샤리나아를 포함한 동맹국을 소집했다. 람세스 2세는 무와탈리가 카데시로 데려온 19개의 히타이트 동맹국 목록을 기록했는데, 이는 히타이트 학자들에게 당시 히타이트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자료이다.
3. 1. 이집트군
람세스 2세는 아문, 레(pRe), 세트, 프타의 4개 군단을 이끌었다.[22] 각 군단은 보병, 전차, 특수부대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아문, 프레, 프타, 수테크 군단에는 최소 2,000대 이상의 전차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 군단에 약 500대의 전차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할 때, 네아린의 전차를 더해야 할 수도 있다.[25]
네아린(nrrn)이라는 부대도 있었는데, 이들은 가나안 용병[23]이거나 이집트인[24]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무르에 남아 수무르 항구를 확보하도록 했다. 이 부대는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이집트 군대를 위해 싸운 샤르덴 병력도 있었는데, 이들은 이집트 용병으로 기록된 첫 번째 사례이다. 이들은 후기 청동기 시대 역사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했고, 결국 청동기 시대 말 동지중해를 휩쓴 해양 민족 중 하나로 등장했다.
3. 2. 히타이트군
무와탈리 2세는 알레포의 왕 리미샤리나아를 포함한 동맹국들을 소집했다.[22] 람세스 2세는 무와탈리가 카데시로 데려온 19개의 히타이트 동맹국 목록을 기록했는데, 이는 히타이트 학자들에게 당시 히타이트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자료이다.
4. 전투 경과
무와탈리 2세는 자신의 군대를 "올드 카데시" 뒤에 배치했다. 람세스 2세는 포로로 잡힌 두 명의 유목민에게 히타이트 군대가 아직 알레포에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정보를 얻고 속았다.[14] 이 유목민들은 파라오를 오도하기 위해 파견된 히타이트 첩자였다. 람세스는 군대에게 야영지를 건설하라고 명령하고, 대규모 적군이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 채 서둘러 카데시로 진군했다.[26]
람세스 2세는 전투에 관한 두 개의 주요 비문, "시"와 "게시판"에서 전장에 도착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mwtj n n-nb.w|그의 주군의 길egy (시에서) 이제 그의 위엄은 그의 보병, 그의 전차 부대, 그의 위엄이 사로잡은 셰르덴을 준비시켰다... 5년, 3번째 계절의 2번째 달, 9일에 그의 위엄은 실 요새를 통과했다. [그리고 가나안에 들어갔다] ... 그의 보병은 이집트의 고속도로처럼 좁은 길을 따라갔다. 며칠이 지난 후, 그의 위엄은 시더 계곡에 있는 마을인 람세스 메리-아몬에 있었다.
그의 위엄은 북쪽으로 진격했다. 그의 위엄이 카데시 산맥에 도착한 후, 그의 위엄은 전진했고... 오론테스 강의 여울을 건넜으며, 아문(아몬)의 첫 번째 사단은 "유저-마트-레 세테프-엔-레에게 승리를 안겨준다"였다. 그의 위엄은 카데시 마을에 도착했다... 아무 사단은 그의 뒤에서 행진하고 있었고; 라 사단은 그의 위엄이 있던 곳에서 1이테르 떨어진 샵투나 마을 남쪽 지역에서 여울을 건너고 있었고; 프타 사단은 아르나임 마을 남쪽에 있었고; 세트 사단은 길을 따라 행진하고 있었다. 그의 위엄은 그의 군대 지도자들 모두를 전투의 첫 번째 대열을 형성했는데, 그들은 [아직] 아무루 땅의 해안에 있었다.
[게시판에서] 5년, 3번째 계절의 3번째 달, 9일, (람세스 2세)의 위엄 아래... 주님은 북쪽으로 진격하셨고, 그의 위엄은 샵투나 마을 남쪽 부근에 도착했다.[27]
람세스 2세와 이집트 선봉대가 샵투나 남쪽, 카데시에서 약 11km 떨어진 곳에 이르렀을 때, 그는 두 명의 쇼수 유목민을 만났다. 그들은 히타이트 왕이 "알레포 땅에 있으며, 투니프 북쪽에 있다"고 말하며, 200km 떨어진 곳에 있다고 했다. 쇼수는 그가 "파라오, L.P.H.,를 (너무) 두려워하여 남쪽으로 오지 못했다"고 말했다.[28] 이집트 기록에 따르면, 이것은 히타이트가 "그의 위엄의 군대가 Hatti의 적과 전투를 벌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명령한 거짓 보고였다.[1] 그 후 이집트 정찰병이 히타이트 포로 두 명을 데리고 캠프에 도착했다. 포로들은 히타이트 군대 전체와 히타이트 왕이 실제로 가까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ḫt n(j) Ḥꜣtj|하티의 적egy (그들이 파라오 앞에 끌려갔을 때, 그의 위엄은 "너희는 누구냐?"라고 물었다. 그들은 "우리는 하티 왕의 신하입니다. 그는 우리를 당신을 염탐하라고 보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그의 위엄은 그들에게 말했다. "그는 어디 있느냐, 하티의 적은? 나는 그가 알레포 땅에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투니프의 사람들이 그의 위엄에게 대답했다. "보라, 하티 왕은 이미 그를 지원하는 많은 나라들과 함께 도착했다... 그들은 보병과 전차로 무장했다. 그들은 전쟁 무기를 준비해 두었다. 그들은 해변의 모래알보다 더 많다. 보라, 그들은 카데시의 옛 도시 뒤에서 전투를 벌일 준비를 갖추고 있다."[29]
이후 람세스 2세는 무와탈리 2세와 히타이트 군대의 위치를 알리지 않은 그의 총독들과 관리들의 잘못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왕자들을 불러 모았다.
람세스 2세는 치세 4년차에 시리아 지방 북부에 침공하여, 히타이트의 속국아무르(아무르)를 산하에 두었다. 무와탈리 2세는 즉시 아무르 탈환을 목표로 동맹 제국에서 군대를 모아 그곳으로 향했다.
4. 1. 히타이트군의 기습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 첩자로부터 히타이트군 주력이 알레포에 있다는 거짓 정보를 얻었다.[14] 이 첩자들은 파라오를 속이기 위해 무와탈리 2세가 보낸 것이었다. 람세스 2세는 이 정보를 믿고 카데시로 빠르게 진군했다.람세스 2세는 이집트군을 아문(아몬), 라, 프타, 세트(세트) 신의 이름을 딴 4개의 군단으로 나누었다. 람세스 2세가 이끄는 아문 군단이 카데시에 도착했을 때, 다른 군단들과의 거리가 멀어져 있었다.
람세스 2세는 다시 두 명의 히타이트인을 심문하여 히타이트군이 실제로는 카데시 근처에 매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29] 그러나 이미 늦은 상황이었다. 히타이트군은 2,500대의 전차를 이끌고 이집트군을 기습했다.[29]
thumb
히타이트 전차부대는 먼저 이집트군의 라 군단을 공격하여 궤멸시켰다.[30] 그 후, 아문 군단을 공격하여 이집트군을 혼란에 빠뜨렸다.[31]
구분 | 내용 |
---|---|
히타이트군 지휘관 | 무와탈리 2세 |
히타이트군 병력 | 전차 2,500대[29] |
이집트군 피해 | 라 군단 궤멸, 아문 군단 혼란 |
4. 2. 람세스 2세의 반격과 전투의 교착
thumb람세스 2세는 자신의 경호 부대, 아문 군단의 잔존 병력, 그리고 아무르에서 온 네아린 부대의 도움을 받아 히타이트 군의 공격을 막아냈다.[34] 가볍고 빠른 이집트 전차는 히타이트의 무거운 전차를 상대로 효과적으로 싸웠으며,[14] 이집트군은 반격을 가하여 히타이트 군을 오론테스 강으로 밀어냈다.[33]
히타이트 군은 이집트 캠프를 약탈하기 위해 멈췄다가 이집트 군의 반격에 밀려났다.[33] 무와탈리 2세는 예비 전차 부대와 보병을 지휘하고 있었지만, 전황은 불리했다. 히타이트 군은 여섯 번의 공격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결국 오론테스 강에 밀려나 많은 병사들이 익사했다.[35][36]
thumb
전투가 교착 상태에 빠지자, 무와탈리 2세는 람세스 2세에게 휴전을 제의했고, 람세스 2세는 이를 수락하여 양측은 철수했다.[34]
5. 전투의 결과 및 영향
카데시 전투는 고대 전차전의 전술과 한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 군의 기습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지만, 개인적인 용맹함과 이집트 전차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전세를 역전시켰다. 다만, 전투 초기에 아문 부대가 실패한 것에 분노하여 부대 전체를 처형하기도 했다.[38]
5. 1. 전략적 무승부와 영토 변화
카데시 성벽 도시를 오래 포위할 수 없었던[39] 람세스 2세는 군대를 모아 남쪽으로 진군하여 다마스쿠스를 거쳐 결국 이집트로 돌아갔다. 람세스 2세는 자신이 적들을 격파했으며, 카데시를 점령하려 하지 않았다고 선언했다. 이 전투는 람세스 2세 개인에게는 승리였다. 매복 작전에 돌입하여 패배와 죽음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왕은 흩어진 군대를 다시 모아 위기를 극복했다. 그의 새롭고 가볍고 빠른 2인용 전차는 느린 3인용 히타이트 전차를 따라잡는 데 유용함을 보여주었다.[39]하투사의 히타이트 기록은 람세스 2세가 패배하여 카데시를 떠나야 했다는 다른 결론을 제시한다. 현대 역사가들은 실질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전투가 무승부로 끝났다고 결론 내린다. 이집트인들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히타이트의 수년간의 영토 침략에 맞서 재무장했기 때문에, 이 전투는 이집트에게 전환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39]
히타이트 왕 무와탈리 2세는 이집트의 우피(아파)까지 남쪽으로 원정을 계속하여 점령하고, 그의 동생이자 훗날 하투실리 3세가 되는 하투실리의 통제 하에 두었다. 아시아에서 이집트의 세력 범위는 이제 가나안으로 제한되었지만, 이 지역은 레반트 지역의 이집트 속국들의 반란으로 한동안 위협을 받았다.
람세스 2세는 그의 통치 8년과 9년에 군사적 성공을 확장했다. 이번에는 히타이트가 통치하던 다푸르와 투니프 도시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는데, 이곳에는 거의 120년 전 투트모세 3세 시대 이후 이집트 군인이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람세스 2세의 승리는 덧없이 지나갔다. 아무르와 카데시 사이에 갇힌 좁은 영토는 방어 가능한 소유물이 아니었다. 1년 안에 히타이트의 통제 하에 다시 들어갔다. 람세스 2세는 그의 통치 10년에 다푸르를 다시 공격해야 했다. 이 지역에서 이집트와 하티 어느 쪽도 상대를 결정적으로 격파할 수 없었다.[35]
이집트의 람세스 2세는 치세 4년차에 시리아 지방 북부에 침공하여, 히타이트의 속국 아무르(아무르)를 산하에 두었다. 히타이트의 무와탈리 2세는 즉시 아무르 탈환을 목표로 동맹 제국에서 군대를 모아 그곳으로 향했다.
전투가 교착 상태에 들어가자, 무와탈리는 휴전을 제의했다. 람세스 2세는 이를 수락하여, 양군은 병력을 철수하게 되었다. 람세스 2세가 패배한 것은 아니었지만, 많은 사상자를 내고 영토도 획득하지 못했다. 또한, 아무르는 후에 다시 히타이트의 속국이 되었다.
5. 2.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체결

카데시 전투 후 약 15년이 지난 람세스 2세 통치 21년(기원전 1258년)에 히타이트의 새 왕 하투실리 3세와 공식적인 평화 조약[39]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변경 지역의 갈등이 종결되었다. 조약문은 은판에 새겨졌으며, 점토 사본은 히타이트 수도 하투사(현재 터키)에서 발견되어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조약은 역사학자들이 아는 한 최초의 국제 평화 조약이며, 커다란 복제품이 국제 연합(UN) 본부 벽에 걸려 있다. 이집트 버전은 파피루스에 남아 있다.
조약문에서 람세스 2세는 "옛날부터 이집트의 위대한 주와 히타이트의 위대한 왕에 관하여 신들은 조약에 의해 그들 사이에 전쟁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나의 형제, 히타이트의 위대한 왕 무와탈리 2세의 시대에 이집트의 위대한 주와 싸웠지만, 오늘 이 날부터 보라, 히타이트의 위대한 왕 하투실리 3세는 이집트와 히타이트를 위해 라 신과 세트 신이 만든, 영구적으로 전쟁을 일으키지 않기 위한 조약에 동의한다."라고 하였다.
하투샤에서 출토된 점토판(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소장)은 1970년부터 그 복제품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평화 협정으로 평화를 이상으로 하는 국제 연합 본부 빌딩의 벽면에 장식되어 있으며,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록되었다.[56]
5. 3. 군사적 교훈
카데시 전투는 고대 전차전의 전술과 한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람세스 2세는 히타이트 군의 기습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지만, 개인적인 용맹함과 이집트 전차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전세를 역전시켰다.무와탈리 2세는 람세스 2세에게 거짓 정보를 흘려 이집트군을 유인했고, 히타이트 전차대 2,500량은 이집트군 후속 부대인 라 군단을 궤멸시키고 아문 군단을 공격했다. 이집트군은 패배 직전이었으나, 아무르로부터 온 원군과 재결집한 전차 부대의 활약으로 히타이트군을 격퇴했다.
이 전투를 통해 이집트는 전차 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후 군사 개혁을 단행하게 되었다. 전투는 교착 상태에 빠졌고, 람세스 2세는 무와탈리 2세의 휴전 제의를 받아들여 철군했다. 비록 람세스 2세는 패배하지 않았지만, 많은 사상자를 내고 영토를 얻지 못했으며, 아무르는 다시 히타이트의 속국이 되었다.
6. 역사적 평가 및 의의
카데시 전투는 고대 근동 지역의 패권을 둘러싼 이집트와 히타이트의 경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이 전투는 군사적 측면에서는 무승부였지만, 이후 체결된 평화 조약을 통해 고대 근동 지역의 국제 관계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특히,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은 외교를 통한 분쟁 해결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 전투에 대한 증거는 고대 근동의 다른 어떤 전투보다 텍스트와 벽화 부조 형태로 많이 남아있지만, 거의 모든 증거는 이집트의 관점에서 나온 것이다. 1903년 제임스 헨리 브레스테드는 이집트 자료를 바탕으로 이 전투에 대한 최초의 학술 보고서를 작성했다.[42]
주요 정보원은 이집트 기록에 있는데, 람세스 2세의 버전이 과장되었다는 점은 인정된다. 이집트 측 기록은 '시(Poem)'와 '보고서(Bulletin)'라는 두 가지 주요 형태로, '시'는 실제 운문인지 의문이 제기되며, '보고서'는 부조와 함께 제공되는 캡션이다. 이 비문은 아비도스, 룩소르 신전, 카르나크, 아부 심벨, 라메세움의 사원에서 여러 번 반복된다.[47]
이러한 기록 외에도, 수많은 작은 캡션들이 전투의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비문 외에도, ''라이페트 파피루스''와 ''살리에 3세 파피루스''에 보존된 텍스트 기록이 있으며, 람세스가 하투실리 3세의 불만에 대한 답으로 쓴 편지에는 전투에서의 승리 주장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하투사에서 발견된 히타이트 참고 자료에는 전투에 대한 다양한 언급이 있지만, 전투를 설명하는 연대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대신, 다른 사건과 관련하여 다양하게 언급되었으며, 특히 하투실리 3세에게 이 전투는 그의 경력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전투 이후, 이집트의 영향력은 아무루와 카데시에서 영원히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43]
하투샤에서 출토된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점토판(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소장)은 1970년부터 그 복제품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평화 협정으로, 평화를 이상으로 하는 국제 연합 본부 빌딩의 벽면에 장식되어 있으며,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록되어 있다.[56]
참조
[1]
서적
Pyramids, Temples & Tombs of Ancient Egypt: An Illustrated Atlas of the Land of the Pharaohs
Hermes House
2003
[2]
웹사이트
Top 14 Decisive Ancient Battles in History
https://www.ancienth[...]
2015-02-10
[3]
문서
Qadesh 1300 BC: Clash of the warrior kings
[4]
문서
Qadesh 1300 BC: Clash of the warrior kings
[5]
서적
Battlefield. Decisive Conflicts in History
2006
[6]
문서
Qadesh 1300 BC: Clash of the warrior kings
[7]
웹사이트
Battle of Kadesh: Clash of the Chariot Armies
https://warfarehisto[...]
2019-01-10
[8]
문서
Qadesh 1300 BC: Clash of the warrior kings
[9]
웹사이트
Battle of Kadesh
https://www.historyn[...]
2006-07-31
[10]
웹사이트
Battle of Kadesh: Ramesses II, Egyptians fight Hittites to draw
http://www.burnpit.u[...]
2016-05-12
[11]
문서
Near the modern village of Al-Houz in Syria's Al-Qusayr District
Blackwell Publishing Limited
1996
[12]
문서
Around "Year 5 III Shemu day 9" of Ramesses II's reign
[13]
서적
An Encyclopedia of Battles
https://archive.org/[...]
Dover
[14]
서적
Atlas of Military History
Paragon
[15]
서적
Atlas of Military History
Paragon
[16]
서적
History's Greatest Lies
Fair Winds
[17]
서적
The Amarna Letter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18]
웹사이트
The Road to Kadesh: 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attle Reliefs of King Sety I at Karnak
https://oi.u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90
[19]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1994
[21]
서적
Qadesh 1300 BC: Clash of the Warrior Kings (Praeger Illustrate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Praeger
2005
[22]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23]
간행물
Considerations on the Battle of Kadesh
1966-12
[24]
간행물
The Narn at Kadesh Once Again
[25]
서적
Armies of the Pharaoh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USA
1999-11-01
[26]
웹사이트
The Battle of Kadesh and the World's First Peace Treaty
https://historyguild[...]
2021-01-24
[27]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Princeton
1969
[28]
간행물
The Texts of the Battle of Kadesh
1927-07
[29]
서적
Ramesses II: Egypt's Greatest Pharaoh
Penguin Books
2000
[30]
웹사이트
Egyptian Accounts of the Battle of Kadesh
http://www.reshafim.[...]
2016-12-03
[31]
문서
[32]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6
[33]
문서
[34]
웹사이트
Battle of Kadesh
http://www.historyne[...]
2006-07-31
[35]
웹사이트
The Battle of Kadesh in the context of Hittite history
http://www.hittites.[...]
[36]
AV media
Ancient Discoveries: Egyptian Warfare
https://web.archive.[...]
2008-05-15
[38]
서적
Ramesess the Great
Yale University Press
[39]
AV media
Ancient Discoveries: Egyptian Warfare
https://web.archive.[...]
2008-05-15
[42]
문서
A History of the Ancient Egyptians
http://kart-hadasht.[...]
[4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Publishing
[47]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6]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Archives
http://www.unesco.or[...]
[57]
서적
인류본사
휴머니스트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