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로 데 메디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로 데 메디치는 로렌초 데 메디치와 클라리체 오르시니의 아들로, 1492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피렌체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아버지와 달리 통치자로서의 자질이 부족했고, 1494년 프랑스 국왕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여 피렌체에서 추방되었다. 이후 프랑스 편에서 이탈리아 전쟁에 참여했으나, 1503년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패배한 후 퇴각하던 중 가릴리아노 강에서 익사했다. 그의 동생 조반니 데 메디치가 메디치 가문의 당주 자리를 승계했으며, 피에로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3년 사망 - 이극돈
이극돈은 조선 초 훈구파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대에 이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며 《세조실록》 편찬, 《경국대전》 간행 등 국가 사업에 참여했으나,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사림파로부터 비판받았다. - 1503년 사망 -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의 장녀인 요크의 엘리자베스는 헨리 7세와의 결혼으로 튜더 왕조를 공고히 하고 요크 왕가와 랭커스터 왕가의 결합을 상징하며 왕비로서 예술과 문화를 후원하고 자녀 교육에 힘썼다. - 1471년 출생 - 남곤
남곤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고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역임하고 영의정을 지냈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기묘사화에 가담하기도 한 인물이다. - 1471년 출생 - 프레데리크 1세
프레데리크 1세는 1523년부터 1533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의 공동 공작을 지내다 크리스티안 2세 폐위 후 왕으로 추대되어 루터교를 전파하고 복위 시도를 진압했으나 사후 백작 전쟁을 야기했다. - 메디치가 -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사생아로 피렌체의 첫 번째 세습 공작(1532-1537)이었으며, 어두운 피부색으로 "일 모로"라는 별명을 얻었고, 1530년 권력을 되찾아 피렌체 공작으로 임명되었으나 사촌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암살당했다. - 메디치가 - 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 코지모 3세의 딸이자 메디치 가문의 마지막 상속녀인 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는 팔츠 선제후와의 결혼 후 남편 사후 피렌체로 돌아와 자선 활동에 헌신했으며, 메디치 가문의 미술품 컬렉션을 토스카나 정부에 기증하여 피렌체의 문화적 유산을 영구히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
피에로 데 메디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피에로 디 로렌초 데 메디치 |
이탈리아어 이름 | Piero di Lorenzo de' Medici |
통치 정보 | |
작위 | 피렌체의 군주 |
재임 기간 | 1492년 4월 9일 – 1494년 11월 9일 |
이전 통치자 | 로렌초 데 메디치 |
이후 통치자 |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
가문 | |
가문 | 메디치 가문 |
아버지 | 로렌초 데 메디치 |
어머니 | 클라리체 오르시니 |
배우자 | 알폰시나 오르시니 |
자녀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클라리체 데 메디치 마리아 데 메디치 사생아 루이자 데 메디치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472년 2월 15일 |
출생지 | 피렌체 공화국 피렌체 |
사망일 | 1503년 12월 28일 (31세) |
사망지 | 교황령 가릴리아노강 |
2. 생애
피에로 데 메디치는 로렌초 데 메디치와 클라리체 오르시니의 장남이자 교황 레오 10세의 형으로, 안젤로 폴리치아노 등 유명인사들에게서 가문의 수장이자 피렌체의 참주를 계승할 교육을 받았다. 1492년 아버지 로렌초가 사망하자 피렌체의 지도자가 되었으나, 통치자로서의 자질은 부족했다.
1494년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나폴리 왕국에 대한 상속권을 주장하며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를 침공하면서 평화가 깨졌다. 샤를 8세의 침공은 밀라노의 루도비코 스포르차가 조카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를 몰아내고 권력을 잡기 위해 프랑스에 요청한 것이었다.
샤를 8세는 밀라노를 거쳐 나폴리로 향했고, 토스카나를 통과하며 밀라노와의 연락선 확보가 필요했다. 피에로는 중립을 취했으나, 샤를 8세는 토스카나 침공을 감행했다. 피에로는 저항했지만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영향 아래 있던 피렌체 엘리트 계층과 친척들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결국 피에로는 항복하고 샤를 8세의 요구를 모두 들어주었다. 이는 피렌체에 폭동을 일으켜 메디치 가문은 국외로 도피했고, 필리프 드 코민의 도움으로 베네치아로 망명했다. 메디치 가문은 1512년까지 피렌체 통치권을 상실했다.
1503년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도망치려다 가릴리아노 강에서 익사했고,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피에로 디 로렌초 데 메디치는 로렌초 데 메디치와 클라리체 오르시니의 장남이자 교황 레오 10세의 형이다.[2] 그는 동생 조반니(훗날 교황 레오 10세)와 사촌 줄리오(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와 함께 자랐다.[2]안젤로 폴리치아노 또는 마르실리오 피치노 같은 인물들의 지도 아래, 피에로는 메디치 가문의 수장이자 피렌체 국가의 ''사실상'' 통치자로서 아버지의 뒤를 이을 교육을 받았다.[2] 그러나 그의 허약하고 오만하며 규율 없는 성격은 그러한 역할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폴리치아노는 나중에 1494년 9월 24일에 피에로에 의해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3] 피에로는 또한 사촌인 로렌초와 조반니와 끊임없이 대립했는데, 이들은 피에르프란체스코 데 메디치의 두 아들로 피에로보다 나이가 많고 부유했다.[3]
2. 2. 결혼과 자녀
1486년, 피에로의 삼촌인 베르나르도 루첼라이는 피에로와 알폰시나 오르시니의 결혼을 주선했다.[4] 피에로와 알폰시나는 1488년에 만났다. 알폰시나 오르시니는 탈리아코초 백작 로베르토 오르시니와 카테리나 산세베리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피에로와 알폰시나는 슬하에 두 자녀를 두었다:이름 | 출생-사망 |
---|---|
로렌초 2세 데 메디치 | 1492-1519 |
클라리체 데 메디치 | 1493-1528 |
클라리체 데 메디치는 필리포 스트로치와 혼인했다.[7]
2. 3. 피렌체 통치와 몰락 (1492-1494)
1492년 아버지 로렌초 데 메디치가 사망하자 피에로는 피렌체의 지도자 자리를 이어받았다.[1] 잠시 비교적 평온한 시기가 흘렀으나, 1494년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나폴리 왕국에 대한 상속권을 주장하며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 산맥을 넘으면서 이탈리아 국가 간의 불안정한 평화는 깨지고 말았다.[1] 샤를 8세는 밀라노의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요청으로 이탈리아 원정을 시작했는데,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자신의 조카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를 몰아내고 밀라노 공작이 되기 위해 프랑스의 힘을 빌리고자 했다.[1]샤를 8세는 밀라노에서의 일을 마무리한 후 나폴리로 향했다.[1] 그는 토스카나를 통과해야 했고, 밀라노와의 연락선 확보를 위해 토스카나에 군대를 주둔시켜야 했다.[1] 피에로는 중립을 취했지만, 샤를 8세는 토스카나를 침공할 의도를 가지고 있었기에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 피에로는 저항을 시도했지만, 광신적인 도미니코회 수도사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영향 아래 있던 피렌체 엘리트 계층의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1] 심지어 피에로의 친척들마저 샤를 8세 편에 가담했다.[1]
피에로는 샤를 8세의 군대가 피렌체에 인접해지고 토스카나의 주요 요새가 포위되자 항복하고, 샤를 8세의 모든 요구를 들어주었다.[1] 이러한 상황 처리와 협상 실패는 피렌체 시민들의 분노를 일으켰고, 결국 폭동으로 이어졌다.[1] 메디치 가문은 국외로 도피해야 했으며, 필리프 드 코민의 도움으로 피에로와 그의 가족들은 베네치아로 망명했다.[1] 메디치 가문의 궁전은 약탈당했고, 피렌체 공화국이 복구되면서 메디치 가문은 1512년까지 피렌체에 대한 통치권을 상실했다.[1]
2. 4. 망명과 죽음
1499년 프랑스의 침공으로 시작된 이탈리아 전쟁(1499~1504)이 막바지에 달했을 때, 프랑스와 스페인은 나폴리 분할을 놓고 다투었다. 피에로는 프랑스 편에 가담하여 1503년 12월에 벌어진 가릴리아노 전투에 참전했는데, 곤살로 데 코르도바가 이끄는 스페인군에게 프랑스군이 크게 패했다.[5] 피에로는 프랑스군과 함께 가에타로 퇴각하던 중 가릴리아노강에서 익사했다.[6] 육중한 대포를 싣고 가던 배가 뒤집히는 바람에 사고가 발생했다. 그의 유해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피에로는 체사레 보르자의 군대와 함께 행동하기도 했지만, 1503년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도주하던 중 가릴리아노 강에서 익사했다. 피에로의 죽음으로 메디치 가문의 당주는 동생 조반니(훗날 교황 레오 10세)에게 계승되었다.3. 가계도
4. 더 보기
- Gilbert, Felix (1949). “Bernardo Rucellai and the Orti Oricellari: A Study on the Origin of Modern Political Thought”. 《Journal of the Warburg and Courtauld Institutes》 (Warburg Institute) 12: 101-131. doi:10.2307/750259.
- Tomas, Natalie R. (2003). 《The Medici Women: Gender and Power in Renaissance Florence》. Aldershot: Ashgate. ISBN 0754607771.
참조
[1]
뉴스
The Medici Family – The Leaders of Florence
http://www.italiantr[...]
2014-04-02
[2]
서적
Death in Florence: the Medici, Savonarola and the Battle for the Soul of the Renaissance Cit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10-31
[3]
뉴스
Medici philosopher's mysterious death is solved
https://www.telegrap[...]
2008-02-07
[4]
간행물
Bernardo Rucellai and the Orti Oricellari: A Study on the Origin of Modern Political Thought
https://philpapers.o[...]
The Warburg Institute
[5]
서적
이탈리아 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18-08-31
[6]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7]
서적
The Medici Women: Gender and Power in Renaissance Florenc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