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롤라모 사보나롤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1452년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태어난 도미니크 수도사이자 종교 개혁가이다. 그는 초기 시에서 교회와 세상의 타락을 비판하며 종말론적인 시를 썼으며, 1475년 수도사가 되어 금욕적인 생활과 설교 활동을 시작했다.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정치적, 종교적 개혁을 시도했으나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대립, 파문당하고 이단으로 몰려 화형에 처해졌다. 그는 종교 개혁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광신적인 종교 지도자, 독재자로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고문 피해자 - 지로니마 스파나
17세기 로마의 점성술사이자 약제사였던 지로니마 스파나는 독극물 아쿠아 토파나를 제조 및 판매한 혐의로 처형되었으며, 양어머니에게 제조법을 전수받아 가정 폭력 피해 여성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했다가 체포되어 처형된 후 도시전설의 소재가 되었다. - 1452년 출생 - 리처드 3세
리처드 3세는 잉글랜드 요크 왕가 마지막 왕으로, 장미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조카들을 런던탑에 가두고 왕위에 올랐다가 보즈워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하며 요크 왕가의 몰락을 초래했고, 셰익스피어 희곡 등에서 악인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 1452년 출생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다재다능한 천재로, 미술, 과학,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와 같은 걸작 회화로 유명하다. - 1498년 사망 - 샤를 8세
샤를 8세는 프랑스 발루아 왕가의 왕으로, 브르타뉴 여공작과의 결혼으로 브르타뉴를 프랑스에 통합하고 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큰 성과 없이 사망하여 발루아 왕가의 직계가 단절되었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를 프랑스에 전파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 1498년 사망 - 크리스토포로 란디노
크리스토포로 란디노는 피렌체 출신의 르네상스 시대 인문주의자이자 작가로, 피렌체 스튜디오 교수, 플라톤 아카데미 회원으로서 철학, 문학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치며 이탈리아어 사용을 옹호하고 《아이네이스》와 《신곡》에 대한 주석을 남기는 등 르네상스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
로마자 표기 | Girolamo Savonarola |
출생일 | 1452년 9월 21일 |
출생지 | 페라라, 페라라 공국 |
사망일 | 1498년 5월 23일 |
사망지 | 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
사망 원인 | 처형 |
서명 | [[File:Girolamo Savonarola Signature.svg|150px]] |
종교 | OP |
통치 | |
통치 기간 | 1494년 11월 – 1498년 3월 18일 |
직위 | 사실상의 피렌체 통치자 |
전임자 | 피에로 데 메디치 |
후임자 | 피에로 소데리니 |
가족 | |
아버지 | 니콜로 디 미켈레 달라 사보나롤라 |
어머니 | 엘레나 보나콜시 |
철학 | |
시대 | 르네상스 |
영향 |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아우구스티누스 |
영향 받은 인물 | 마르틴 루터 헨리 8세 장 칼뱅 요제프 슈니처 루이지 스투르초 세바스티안 마기 필립 네리 카타리나 데 리치 니콜로 마키아벨리 비오 10세 비오 12세 |
주요 사상 | 민주적 신권 정치 |
기타 | |
관련 인물 | 피아뇨니 |
관련 정보 |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
2. 생애
사보나롤라는 1452년 9월 21일 페라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니콜로 디 미켈레, 어머니는 엘레나였다. 슬하에 일곱 자녀를 두었고, 지롤라모는 셋째였다. 할아버지 미켈레 사보나롤라는 저명한 의사이자 학자였으며, 지롤라모의 교육을 감독했다. 1468년 할아버지가 사망한 후 페라라 대학교에서 예술 학위를 받고 의과대학에 진학할 예정이었으나, 종교에 귀의하며 포기했다.
초기 시에는 교회와 세계에 대한 깊은 고민이 나타난다. "세계의 멸망에 관하여"(1472), "교회의 멸망에 관하여"(1475) 등 종말론적인 시를 쓰며 로마 교황청을 비난했다.[12] 파엔차에서 설교를 듣고 세속을 떠나기로 결심,[13] 도미니코회 입회 전 아버지에게 쓴 편지에서 육체적 욕망에 시달렸음을 암시한다.[15]
1475년 4월 25일, 볼로냐 산 도메니코 수도원에 입회, 그리스도의 기사가 되기를 원했다. 수도회 규칙에 따라 순종 서약, 1년 후 사제 서품을 받았다. 성경, 논리학,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토마스주의 신학을 공부하고, 설교 연습과 논쟁에 참여했다. 신학부에서 고급 학위를 준비하며 영적 삶을 발전시켰으나, 수도원의 금욕주의 쇠퇴를 비판했다. 1478년 수련자 보조 마스터로 페라라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도미니크 수도원에 파견되며 연구가 중단되었다.
1482년 피렌체 산 마르코 수도원 강사로 임명되었다. 수련자들에게 논리학, 윤리학 등을 가르치고, 지역 교회를 위한 설교를 준비했다.[18] 초기 설교는 페라라 사투리, 날카로운 목소리 등으로 호응을 얻지 못했다.[19]
산 조르조 수도원에서 성경 공부 중 교회가 징벌받고 새로워질 "일곱 가지 이유"를 떠올렸다.[20] 1485년과 1486년 산지미냐노에서 종말론적 주제로 사순절 설교를 했다.[21] 이후 이탈리아 북부 도시와 수도원을 순회하며 회개와 개혁을 설파했다. 1490년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주도로 산 마르코 수도원에 재배치되었다.[23]
요한 1서와 요한 묵시록 설교로 대성당에 인파가 몰렸다. 백성의 자유를 빼앗는 폭군, 가난한 자를 착취하는 부자와 권력자를 비난했다.[25] 1492년 "주님의 칼이 곧 땅 위에 임할 것"이라 경고, 로마의 고난을 예견했다.[26] 1493년경 교회의 쇄신을 시작할 새로운 키루스를 예언했다.[26]
1494년 9월, 프랑스 샤를 8세의 침입은 사보나롤라의 예언 능력을 입증하는 듯했다. 피에로 2세 데 메디치 축출 후, 사보나롤라는 프랑스 진영으로 사절단을 이끌어 샤를에게 피렌체를 보호하고 교회 개혁가 역할을 맡도록 촉구, 11월 28일 프랑스군을 남쪽으로 진군시켰다.
사보나롤라의 정치 "당" 프라테스키가 형성, 메디치 가문 세력을 공직에서 배제했다. 새 헌법은 장인 계급 참정권, 소규모 시민 직책 제비뽑기 선출, 성실한 시민에게 대의회 투표권을 부여했다. “항소법”을 통과시켜 망명과 사형을 파벌의 무기로 사용하는 관행을 제한했다.[29]
피렌체 사람들은 “소돔”, 간음, 음주 등 도덕적 범죄를 없애려는 사보나롤라의 운동을 받아들였다. 프라 실베스트로 마루피는 소년과 청년을 조직, 부도덕한 복장과 행동을 단속했다.[35] 알렉산데르 6세는 사보나롤라의 영향력을 경계했다.
1497년 5월 12일, 알렉산데르 6세는 사보나롤라를 파문,[43] 피렌체가 그를 보호하면 교령을 내리겠다고 위협했다. 1498년 3월 18일, 공개 설교를 중단했다. 파문 스트레스 속에서 『
프란체스코회 설교자가 불의 시련을 제안, 4월 7일 시행 예정이었으나 비로 취소되었다. 군중은 분노, 산 마르코 수도원을 공격했다. 사보나롤라와 동료들은 체포, 투옥되었다. 고문으로 예언과 환상을 자백했다 번복했다.[46] 1498년 5월 23일, 이단과 분리주의자로 유죄 판결, 교수형 후 화형, 재는 아르노 강에 뿌려졌다.[4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1452년 9월 21일 이탈리아 페라라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12] 아버지는 니콜로 디 미켈레, 어머니는 엘레나였다. 그의 할아버지 미켈레 사보나롤라는 저명한 의사이자 학자였으며, 지롤라모의 교육을 감독했다.사보나롤라는 페라라 대학교에서 인문학, 철학, 의학을 공부했다.[75] 그는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의사가 되기 위해 의과대학에 진학할 예정이었으나, 종교적인 소명을 느껴 학업을 포기했다.
1475년, 사보나롤라는 볼로냐에 있는 산 도메니코 수도원의 문을 두드려 도미니코회에 입회했다.[15] 그는 수도회에서 성경, 논리학,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토마스주의 신학을 공부했다.
2. 2. 수도사 생활과 설교 활동
1475년 사보나롤라는 도미니코 수도회에 들어가 인문주의, 철학, 의학을 공부했다.[75] 수도회에서 그는 순종 서약을 하고 1년 후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는 성경, 논리학,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및 토마스주의 신학을 공부하고, 동료 수사들에게 설교 연습을 하고, 논쟁에 참여했다.[17] 1478년, 그는 수련자 보조 마스터로 페라라의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도미니크 수도원으로 파견되었다.[17]1482년 사보나롤라는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 강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수련자들에게 논리학을 가르치고, 윤리학, 논리학, 철학, 정부에 관한 교재를 쓰고, 헌신적인 작품을 만들고, 지역 교회를 위한 설교를 준비했다.[18] 그러나 그의 초기 설교는 피렌체 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들은 그의 이국적인 페라라 사투리, 날카로운 목소리, 우아하지 못한 스타일을 기피했다.[19]
산 조르조 수도원에서 친구를 기다리던 중, 사보나롤라는 성경을 공부하다가 교회가 징벌을 받고 새롭게 될 "약 일곱 가지 이유"를 갑자기 생각해냈다.[20] 그는 1485년과 1486년 산지미냐노에서 이러한 종말론적인 주제로 사순절 설교를 했다.[21]
이후 수년 동안 사보나롤라는 이탈리아 북부의 도시들과 수도원들을 돌아다니며 회개와 개혁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순회 설교자로 살았다. 그의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감과 사명감도 함께 성장했다.[22] 1490년, 그는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주도로 산 마르코 수도원으로 재배치되었다. 피코는 사보나롤라의 학식과 경건함에 깊은 인상을 받아, 그를 자신의 영적 조언자로 삼고 싶어했다.[23] 그는 사보나롤라가 수도원과 메디치 가문에 명성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로렌초 데 메디치를 설득했고, 결국 사보나롤라는 1490년 5월이나 6월에 피렌체에 도착했다.[24]
피렌체로 돌아온 사보나롤라는 당시 지배자인 로렌초 데 메디치를 공격하고, 교회와 속세의 타락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의 설교는 피렌체의 포르노그라피가 불타 없어질 정도로 설득력이 있었다고 한다.[75]
2. 3. 피렌체에서의 정치 활동과 종교 개혁
1494년 프랑스 왕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입하여 메디치가의 통치가 무너지자, 샤를 8세의 침략을 예언했던 사보나롤라의 권위가 높아졌다.[25] 피에로 데 메디치가 망명한 후, 사보나롤라는 중산층을 주축으로 하는 지도자가 되어 정권을 잡았다. 그는 피렌체에 귀족 정치를 배격하고 신정 정치적 민주정을 도입했으며, 종교 개혁을 실현하려는 법률을 제정했다.[25] 그러나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대립하게 되었다.사보나롤라는 피사와의 전쟁 실패, 메디치 파(派)의 모략으로 인심을 잃었다. 그 뒤에도 계속 교황에게 도전하자, 교황은 피렌체 시 당국에 사보나롤라를 로마로 보내거나 설교를 하지 못하게 하라고 지시하고,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피렌체 시를 예배 금지시킬 것이라고 위협했다.
1494년 9월, 프랑스의 샤를 8세는 강력한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를 정치적 혼란에 빠뜨렸다.[27] 많은 사람들이 샤를 왕의 도착을 사보나롤라의 예언 능력의 증거로 보았다. 샤를은 피렌체로 진격하여 토스카나의 요새들을 약탈하고, 그의 원정을 지원하지 않은 것에 대한 처벌을 위협했다. 시민들이 피에로 2세 데 메디치를 몰아내기 위해 거리로 나서자, 사보나롤라는 1494년 11월 중순 프랑스 국왕의 진영으로 사절단을 이끌었다. 그는 샤를에게 피렌체를 아끼도록 압력을 가했고, 신이 임명한 교회 개혁가의 역할을 맡도록 촉구했다.[27]
사보나롤라의 조언과 지지 덕분에 “프라테스키(the Frateschi)”라 불리는 사보나롤라의 정치 “당”이 형성되어, 수도사의 계획을 의회를 통해 추진했다. 메디치 가문에 봉사하면서 가장 타협했던 과두정치 세력은 공직에서 배제되었다. 새로운 헌법은 장인 계급에게 참정권을 부여하고, 소규모 시민 직책을 제비뽑기로 선출하도록 했으며, 모든 성실한 시민에게 새로운 의회인 콘시글리오 마조레(Consiglio Maggiore) 혹은 대의회에서 투표할 권리를 부여했다. 사보나롤라의 촉구에 따라, 프라테스키 정부는 수개월간의 논의 끝에 망명과 사형을 파벌의 무기로 사용하는 오랜 관행을 제한하는 “항소법”을 통과시켰다.[29]
해방과 예언적인 약속에 고무된 피렌체 사람들은 도시에서 “악덕”을 없애려는 사보나롤라의 운동을 받아들였다. 그의 반복적인 주장에 따라, “소돔”(남녀 동성애 포함), 간음, 공공장소 음주 및 기타 도덕적 범죄에 대한 새로운 법률이 제정되었다. 그의 부관인 프라 실베스트로 마루피(Fra Silvestro Maruffi)는 부도덕한 복장과 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소년들과 젊은이들을 배치하여 거리를 순찰하도록 조직했다.[35]
그는 청소년을 위한 특별 미사, 행렬, 허영의 화형식 및 산 마르코(San Marco)의 종교극을 통해 그의 도덕적 운동을 극적으로 만들었다. 그와 그의 절친한 인문주의 시인 지롤라모 베니비에니(Girolamo Benivieni)는 1496년, 1497년, 1498년의 카니발 행렬을 위해 찬가와 기타 헌정 노래를 작곡하여, 로렌초 데 메디치 시대의 음란한 카니발 노래를 대체했다.[37]
2. 4. 파문과 처형
1494년 프랑스 왕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입하여 메디치가의 통치가 무너지자, 사보나롤라는 피에로 데 메디치의 망명 후 중간계급을 주체로 지도자가 되어 피렌체에 신정 정치적 민주정을 도입하고 종교개혁을 실현하려는 법률을 제정했다. 그러나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대립하게 되었다. 1495년 알렉산데르 6세는 사보나롤라에게 로마에 와서 예언 능력을 보이라고 요청했으나, 사보나롤라는 건강이 나쁘고 로마로 가는 도중에 폭행당할 수도 있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교황은 사보나롤라에게 설교를 하지 말라고 명령했지만, 사보나롤라는 1496년 렌트에서 다시 설교를 시작했고, 교황은 불복종의 죄를 물어 그를 파문했다.[43]사보나롤라는 대(對) 피사 전쟁의 실패, 메디치 파(派)의 모략으로 인심을 잃었고, 그 뒤에도 계속 교황에게 도전하자 교황은 피렌체 시 당국에 사보나롤라를 로마로 보내거나 설교를 하지 못하게 하라고 지시하고,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피렌체 시를 예배 금지시킬 것이라고 위협했다. 1497년 5월 12일, 알렉산데르 6세는 사보나롤라를 파문했고,[43] 만약 피렌체가 그를 계속 보호한다면 교령을 내릴 것이라고 위협했다. 사보나롤라는 교회를 창녀라고 묘사한 후 이단과 반란죄로 파문당했다. 1498년 3월 18일, 사보나롤라는 공개 설교를 중단했다. 파문의 스트레스 속에서 그는 자신의 영적 걸작인 『
사보나롤라는 자신의 신성한 사명을 증명하기 위해 기적을 행할 암시를 했지만, 라이벌 프란체스코 수도사 설교자가 불의 시련으로 그 사명을 시험하자고 제안하자 그는 여론을 통제하지 못했다. 그의 심복인 프라 도메니코 다 페시아는 그에게 상의하지 않고 대신 자원했고, 사보나롤라는 거절할 수 없다고 느꼈다. 400년 만에 피렌체에서 처음으로 불의 시련이 4월 7일에 열리게 되었다.[45]
하느님이 개입할지, 그리고 만약 개입한다면 어느 편에 개입할지 보기 위해 열광적인 군중이 중앙 광장을 가득 채웠다. 긴장한 참가자들과 그들의 대표단은 대회 시작을 수 시간 지연시켰다. 갑자기 내린 비로 관중들이 흠뻑 젖었고, 정부 관리들은 진행을 취소했다. 군중은 분노하며 해산했고, 증거의 책임은 사보나롤라에게 있었다. 군중은 산 마르코 수도원을 공격했다. 프라 지롤라모, 프라 도메니코, 프라 실베스트로 마루피는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고문을 받은 사보나롤라는 자신의 예언과 환상을 지어냈다고 자백했다가 번복했다가 다시 자백했다.[46] 정부 궁전 탑의 감옥에서 그는 시편 51편(''Infelix ego'')과 31편(''Tristitia obsedit me'')에 대한 명상을 지었다.[47] 1498년 5월 23일 아침, 세 수도사는 주요 광장으로 끌려나가 고위 성직자들과 정부 관리들의 재판에서 이단과 분리주의자로 유죄 판결을 받고 즉시 사형을 선고받았다. 의식적인 굴욕 속에서 도미니크 수도복을 벗겨내고, 얇은 흰 셔츠를 입은 채 교수대에 올랐다. 각각 따로 교수대에 매달린 후 아래에서 불을 지펴 시신을 태웠다. 신자들이 유물을 찾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의 재는 아르노 강에 뿌려졌다.[48]
3. 사상과 신념
사보나롤라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를 연구했으며, 성경을 깊이 공부하고 일부 구절을 암기했다.[11] 그의 초기 시에는 교회와 세상에 대한 깊은 고민이 나타나는데, 특히 "세계의 멸망에 관하여"(1472)와 "교회의 멸망에 관하여"(1475)와 같은 종말론적인 시를 통해 교황청을 비판했다.[12] 그는 젊은 시절 이웃에게 청혼했다가 거절당한 후, 육체적 욕망에 시달렸음을 암시하며 도미니크 수도회에 입회했다.[14][15] 그는 "세상에 대한 경멸"(De contemptu Mundi)이라는 미완성 논문에서 간음, 남색(男色), 살인, 질투의 세상에서 도망치라고 촉구했다.[16]
사보나롤라는 수도원에서 토마스주의 신학을 공부하고 설교 연습을 하며 영적 삶을 발전시켰지만, 수도원의 금욕주의 쇠퇴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17] 1482년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 강사로 임명된 후, 요한복음 1서와 요한계시록을 설교하며 대중의 큰 호응을 얻었다.[25] 그는 설교에서 백성의 자유를 빼앗는 폭군과 가난한 자를 착취하는 부자를 비난하고, 부패한 성직자를 비판하며 신의 재앙을 경고했다.[25]
1494년 프랑스의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자, 많은 이들이 이를 사보나롤라의 예언이 실현된 것으로 보았다.[27] 그는 샤를 8세에게 피렌체를 보호하도록 설득하고, 피에로 2세 데 메디치 축출 이후 피렌체의 새로운 지도자로 부상했다.[28] 그는 피렌체가 새로운 로마이자 예루살렘이 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신정 정치를 옹호하고, 그리스도를 피렌체의 왕으로 선포했다.[32][33]
3. 1. 종교 개혁 사상
사보나롤라는 부패한 교회와 성직자들의 악한 삶을 비판하며, 초기 기독교 정신과 성경으로 돌아갈 것을 강하게 주장했다.[25] 그는 신의 재앙이 오기 전에 회개와 쇄신을 촉구했으며, 로마 교황청을 특히 비난했다.[12]사보나롤라는 요한복음 1서와 요한계시록을 설교하며, 백성의 자유를 빼앗은 폭군들과 가난한 자들을 착취한 부유하고 권력 있는 자들을 비난했다.[25] 그는 "주님의 칼이 곧 땅 위에 임할 것"이라고 경고했고,[26] 로마에 끔찍한 고난이 닥칠 것이라고 예견했다.[26] 심지어 그는 로마가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예언했다.[41]
그는 교황의 권위를 존중하면서도 알렉산데르 6세 교황과 그의 교황청을 비판했다. 그는 교황이 그리스도의 사랑이나 복음의 법에 위배되는 일을 명령할 경우, 그에게 "당신은 목자가 아닙니다."라고 말할 것이라고 했다.[41]
사보나롤라의 사상은 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 등 후대 종교 개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39] 그는 인간은 스스로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마르틴 루터의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다 함 교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를 버리지 않았고, 일곱 성사와 로마 교회가 "모든 다른 교회의 어머니이자 교황이 그 머리"라는 믿음을 견지했다.[11]
3. 2. 신정 정치와 공화주의
사보나롤라는 신의 법에 따라 통치되는 신정 정치를 추구했다. 그는 그리스도를 피렌체의 왕으로 선포하고, 성스러운 예술을 통해 이러한 세계관을 널리 알리고자 했다.[32][33] 그는 세속적인 예술은 무가치하고 해로울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반대했다.[34]사보나롤라는 귀족 정치를 배격하고 민주정을 옹호했다. 그의 조언과 지지로 '프라테스키(the Frateschi)'라는 정치 세력이 형성되어 그의 계획을 추진했다.[29] 메디치 가문에 협력했던 과두정치 세력은 공직에서 물러나게 되었고, 새로운 헌법이 만들어졌다. 이 헌법은 장인 계급에게 투표권을 주고, 시민 직책을 제비뽑기로 선출하도록 했다. 또한 모든 시민에게 새로운 의회인 콘시글리오 마조레(Consiglio Maggiore)에서 투표할 권리를 부여했다.[29] 사보나롤라는 망명과 사형을 파벌의 무기로 사용하는 오랜 관행을 제한하는 '항소법'을 통과시키도록 했다.[29] 그는 이를 통해 '보편적인 평화'의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선포했다.[29]
3. 3. 금욕주의와 도덕 개혁
사보나롤라는 사치와 향락을 죄악시하고 엄격한 금욕주의를 강조했다. 그는 요한복음 1서와 요한계시록을 설교했고, 그 결과 엄청난 인파가 몰려들자 결국 대성당으로 장소를 옮겼다.[25] 그는 부패한 성직자들의 악한 삶을 비판하며, 신의 재앙이 오기 전에 회개와 쇄신을 촉구했다. 조롱하는 자들은 그를 지나치게 흥분한 광신자이자 "절망의 설교자"로 치부했고, 그의 추종자들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피아뇨니''—"울부짖는 자들" 또는 "통곡하는 자들"—이라는 멸칭으로 비웃었는데, 그들은 이 멸칭을 받아들였다.[25]1495년 4월 1일, 사보나롤라는 피렌체 사람들이 세속적인 권력과 영광에 대한 약속이 천국에서 허락받았다는 것을 강조하는 설교를 했다. 그는 천국에서 성모 마리아에게 신비로운 여정을 묘사했다. 천상의 왕좌에서 사보나롤라는 성모에게 피렌체 사람들이 만든 면류관을 바치고 미래를 밝혀달라고 촉구한다. 마리아는 도시와 그 자신 모두에게 어려운 길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지만, 하나님이 약속을 이룰 것이라고 확신시킨다. 피렌체는 “전례 없는 영광과 권력, 부를 누리며,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날개를 펼칠 것이다.”[31] 그러한 환상을 바탕으로 사보나롤라는 신정을 장려하고 그리스도를 피렌체의 왕으로 선포했다.[32][33] 그는 성스러운 예술을 이러한 세계관을 증진시키는 도구로 여겼고, 따라서 그는 무가치하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보는 세속적인 예술에만 반대했다.[34]
해방과 예언적인 약속에 고무된 피렌체 사람들은 도시에서 “악덕”을 없애려는 사보나롤라의 운동을 받아들였다. 그의 반복적인 주장에 따라, “소돔”(남녀 동성애 포함), 간음, 공공장소 음주 및 기타 도덕적 범죄에 대한 새로운 법률이 제정되었고, 그의 부관인 프라 실베스트로 마루피(Fra Silvestro Maruffi)는 부도덕한 복장과 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소년들과 젊은이들을 배치하여 거리를 순찰하도록 조직했다.[35] 그는 청소년을 위한 특별 미사, 행렬, 허영의 화형식 및 산 마르코(San Marco)의 종교극을 통해 그의 도덕적 운동을 극적으로 만들었다. 그와 그의 절친한 인문주의 시인 지롤라모 베니비에니(Girolamo Benivieni)는 1496년, 1497년, 1498년의 카니발 행렬을 위해 찬가와 기타 헌정 노래를 작곡하여 로렌초 데 메디치 시대의 음란한 카니발 노래를 대체했다.[37]
4. 유산과 영향
사보나롤라의 사후, 그의 사상과 활동은 후대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술은 독일과 스위스에 널리 퍼져나갔고, 많은 사람들이 교황청의 부패를 인식하고 교회 개혁을 추구하게 만들었다.
사보나롤라는 회개와 개혁을 주장하며 이탈리아 북부를 순회하던 설교자였다. 1490년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주선으로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에 자리를 잡았다. 그는 요한복음 1서와 요한계시록을 바탕으로 설교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부패한 성직자들을 비판하며 신의 재앙을 경고했다. 그의 추종자들은 '피아뇨니(Piagnoni, 울부짖는 자들)'라고 불렸다.[25]
1494년 프랑스의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자, 많은 사람들은 이를 사보나롤라의 예언이 실현된 것으로 보았다.[27] 샤를 8세가 피렌체로 진격해오자 사보나롤라는 프랑스 왕을 설득하여 피렌체를 약탈하지 않고 물러나게 하였다. 이후 그는 피렌체 시민들에게 회개를 통해 신의 심판에서 구원받았다고 선언하며, 피렌체가 새로운 번영을 누릴 것이라고 예언했다.[28]
사보나롤라는 피렌체의 정치에도 깊이 관여했다. 그의 지지 세력인 '프라테스키(Frateschi)'는 메디치가를 견제하고, 장인 계급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등 새로운 헌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29] 1495년, 사보나롤라는 성모 마리아를 만나는 환상을 묘사하며, 피렌체가 "전례 없는 영광과 권력, 부를 누리며,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날개를 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31] 그는 그리스도를 피렌체의 왕으로 선포하고 신정 정치를 장려했다.[32][33]
사보나롤라는 피렌체에서 "악덕"을 없애는 운동을 벌였다. 동성애, 간음, 음주 등 도덕적 범죄에 대한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고, 청소년들을 동원하여 거리를 순찰하게 했다.[35] 알렉산데르 6세 교황은 처음에는 사보나롤라의 엄격한 규칙을 용인했지만, 피렌체가 프랑스에 대항하는 신성 동맹에 가입하지 않자 분노하여 사보나롤라를 로마로 소환했다. 사보나롤라가 이에 불응하자 교황은 그에게 설교 금지령을 내렸지만, 사보나롤라는 교황에게 반항하며 더욱 격렬한 설교를 이어갔다.[36] 그는 허영의 화형식 등을 통해 자신의 도덕적 운동을 극적으로 만들었다.[37]
레오폴트 폰 랑케는 저서 『사보나롤라와 15세기 말 피렌체 공화정』에서 사보나롤라가 피렌체에서 큰 지지를 받은 이유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유 | 설명 |
---|---|
샤를 8세의 침입 예언 | 피렌체 시민들은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입(1494년)을 사보나롤라가 예언했고, 그것이 적중했다고 믿었다. |
프랑스의 지지 | 샤를 8세가 메디치가 추방에 큰 역할을 했고, 사보나롤라의 요청으로 프랑스군이 피렌체에서 철수하면서 사보나롤라 뒤에 프랑스 왕의 지지가 있다는 인식이 생겼다. 피렌체는 피사 정복을 위해 프랑스의 협력을 얻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 |
평민파와의 협력 | 사보나롤라는 평민파 지도자 프란체스코 발로리와 협력했고, 발로리 또한 자신의 세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보나롤라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
랑케는 사보나롤라가 정치와 거리를 두려 했으나 결국 휘말렸고, 반교황적 성격을 띤 유럽 군주들에 의한 종교 회의 소집을 구상하게 되었다고 서술했다.
사보나롤라의 종교 사상은 마르틴 루터를 비롯한 초기 종교 개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반종교개혁의 일부 지도자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그는 위클리프와 얀 후스와 함께 종교 개혁의 선구자로 여겨진다.[72]
예술과 문화 방면에서도 사보나롤라는 르네상스 예술, 문학,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허영의 화형식'은 예술계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7] 그는 신정 정치를 장려하며 그리스도를 피렌체의 왕으로 선포했고,[32][33] 성스러운 예술을 이러한 세계관을 증진시키는 도구로 여겼다. 그는 무가치하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보는 세속적인 예술에만 반대했다.[34] 그의 사상과 행적은 윌리엄 버드(William Byrd), 찰스 빌리어스 스탠퍼드(Charles Villiers Stanford), 루이지 달라피콜라(Luigi Dallapiccola), 조지 엘리엇(George Eliot), 토마스 만(Thomas Mann) 등 후대 예술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4. 1. 종교 개혁에 미친 영향
사보나롤라의 저술은 독일과 스위스에 널리 퍼져나갔고, 그의 삶과 죽음은 많은 사람들이 교황청의 부패를 인식하고 교회 개혁을 추구하게 만들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순교자로 여겼으며, 마르틴 루터도 그의 저술에 영향을 받았다.[39] 사보나롤라는 인간은 스스로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마르틴 루터의 오직 믿음 교리와 유사한 면이 있다. 사보나롤라는 장 칼뱅에게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지만, 이는 역사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39]사보나롤라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리를 결코 버리지 않았다.[11] 그는 일곱 성사에 대한 믿음과 로마 교회가 "모든 다른 교회의 어머니이자 교황이 그 머리"라는 믿음을 견지했다.[11] 그러나 교황의 부패에 대한 그의 항의와 성경을 주요 지침으로 삼은 그의 신뢰는 사보나롤라를 후대 종교 개혁과 연결짓는다.[40] 그는 교황직을 존중하면서도 알렉산데르 6세 교황과 그의 교황청을 비판했다. 그는 심지어 로마가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했다.[41]
''교황이 그리스도의 사랑이나 복음의 법에 위배되는 일을 명령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그렇게 명령한다면, 나는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당신은 목자가 아닙니다. 로마 교회가 아니라 당신이 잘못하고 있습니다.''la
''바산의 살찐 암소들은 사마리아 산들에 어디에 있습니까? 나는 그것들이 이탈리아와 로마의 매춘부들이라고 말합니다. 아니면 아무도 없습니까? 로마에는 천 명이 너무 적고, 만 명, 1만 2천 명, 1만 4천 명도 너무 적습니다. 로마여, 준비하십시오. 당신의 벌은 클 것입니다.''la[41]
가톨릭 자료들은 그의 신학이 여전히 로마와 일치하기 때문에 사보나롤라를 프로테스탄트의 선구자로 포함하는 것을 비판한다.[42] 그러나 사보나롤라는 일부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들뿐만 아니라 반종교개혁의 일부 지도자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39]
사보나롤라의 종교 사상은 독일과 스위스에서 초기 개신교 개혁가들, 특히 마르틴 루터에게 영향을 주었다. 루터는 사보나롤라를 순교자이자 선구자로 칭찬했으며, 그의 신앙과 은총에 대한 사상은 루터 자신의 오직 믿음 교리의 예고였다. 프랑스에서는 그의 저술 중 많은 부분이 번역 및 출판되었고, 사보나롤라는 복음주의 또는 위그노 개혁의 선구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사보나롤라 자신은 가톨릭 교회의 교리와 심지어 그의 마지막 주요 저술에서 교황 제도를 옹호했다.[53]
그는 위클리프와 얀 후스와 함께 종교 개혁의 선구자로 여겨진다.[72] 루터는 “그때, 적그리스도[73]는 이 위대한 인물의 기억이 사라지고 저주받기를 바랐다. 그러나 보라, 그는 살아 있으며 그 기억은 축복받고 있다”라고 말했다.[74]
4. 2. 피렌체 공화국에 미친 영향
사보나롤라는 회개와 개혁을 주장하며 이탈리아 북부를 순회하던 설교자였다. 1490년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주선으로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에 자리를 잡았다. 그는 요한복음 1서와 요한계시록을 바탕으로 설교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부패한 성직자들을 비판하며 신의 재앙을 경고했다. 그의 추종자들은 '피아뇨니(Piagnoni, 울부짖는 자들)'라고 불렸다.[25]1494년 프랑스의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자, 많은 사람들은 이를 사보나롤라의 예언이 실현된 것으로 보았다.[27] 샤를 8세가 피렌체로 진격해오자 사보나롤라는 프랑스 왕을 설득하여 피렌체를 약탈하지 않고 물러나게 하였다. 이후 그는 피렌체 시민들에게 회개를 통해 신의 심판에서 구원받았다고 선언하며, 피렌체가 새로운 번영을 누릴 것이라고 예언했다.[28]
사보나롤라는 피렌체의 정치에도 깊이 관여했다. 그의 지지 세력인 '프라테스키(Frateschi)'는 메디치가를 견제하고, 장인 계급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등 새로운 헌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29] 사보나롤라는 "보편적인 평화"의 시대를 선포하고, 피렌체가 부, 영광, 권력을 얻을 것이라고 예언했다.[30]
1495년, 사보나롤라는 성모 마리아를 만나는 환상을 묘사하며, 피렌체가 "전례 없는 영광과 권력, 부를 누리며,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날개를 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31] 그는 그리스도를 피렌체의 왕으로 선포하고 신정 정치를 장려했다.[32][33]
사보나롤라는 피렌체에서 "악덕"을 없애는 운동을 벌였다. 동성애, 간음, 음주 등 도덕적 범죄에 대한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고, 청소년들을 동원하여 거리를 순찰하게 했다.[35] 알렉산데르 6세 교황은 처음에는 사보나롤라의 엄격한 규칙을 용인했지만, 피렌체가 프랑스에 대항하는 신성 동맹에 가입하지 않자 분노하여 사보나롤라를 로마로 소환했다. 사보나롤라가 이에 불응하자 교황은 그에게 설교 금지령을 내렸지만, 사보나롤라는 교황에게 반항하며 더욱 격렬한 설교를 이어갔다.[36] 그는 허영의 화형식 등을 통해 자신의 도덕적 운동을 극적으로 만들었다.[37]
레오폴트 폰 랑케는 저서 『사보나롤라와 15세기 말 피렌체 공화정』에서 사보나롤라가 피렌체에서 큰 지지를 받은 이유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유 | 설명 |
---|---|
샤를 8세의 침입 예언 | 피렌체 시민들은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입(1494년)을 사보나롤라가 예언했고, 그것이 적중했다고 믿었다. |
프랑스의 지지 | 샤를 8세가 메디치가 추방에 큰 역할을 했고, 사보나롤라의 요청으로 프랑스군이 피렌체에서 철수하면서 사보나롤라 뒤에 프랑스 왕의 지지가 있다는 인식이 생겼다. 피렌체는 피사 정복을 위해 프랑스의 협력을 얻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 |
평민파와의 협력 | 사보나롤라는 평민파 지도자 프란체스코 발로리와 협력했고, 발로리 또한 자신의 세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보나롤라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
랑케는 사보나롤라가 정치와 거리를 두려 했으나 결국 휘말렸고, 반교황적 성격을 띤 유럽 군주들에 의한 종교 회의 소집을 구상하게 되었다고 서술했다.
4. 3. 예술과 문화에 미친 영향
사보나롤라는 르네상스 예술, 문학,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허영의 화형식'은 예술계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7] 그는 신정 정치를 장려하며 그리스도를 피렌체의 왕으로 선포했고,[32][33] 성스러운 예술을 이러한 세계관을 증진시키는 도구로 여겼다. 그는 무가치하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보는 세속적인 예술에만 반대했다.[34]피렌체 사람들은 해방과 예언적인 약속에 고무되어 도시에서 "악덕"을 없애려는 사보나롤라의 운동을 받아들였다. 그의 주장에 따라 "소돔"(남녀 동성애 포함), 간음, 공공장소 음주 등 도덕적 범죄에 대한 새로운 법률이 제정되었고, 그의 부관인 프라 실베스트로 마루피는 소년들과 젊은이들을 조직하여 거리를 순찰하며 부도덕한 복장과 행동을 억제했다.[35]
사보나롤라와 그의 절친한 인문주의 시인 지롤라모 베니비에니(Girolamo Benivieni)는 1496년, 1497년, 1498년의 카니발 행렬을 위해 찬가와 헌정 노래를 작곡하여 로렌초 데 메디치 시대의 음란한 카니발 노래를 대체했다.[37] 이 노래들은 그의 사후에도 계속해서 복사되고 공연되었으며, 그의 기억을 기리는 피아뇨니(Piagnoni)가 작곡한 노래도 포함되었다. 그중 다수는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38]
사보나롤라의 사상과 행적은 후대 예술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 윌리엄 버드(William Byrd)는 그의 작품인 "인펠릭스 에고(Infelix ego)"에 사보나롤라의 동명의 텍스트를 사용했다.[60]
- 찰스 빌리어스 스탠퍼드(Charles Villiers Stanford)는 "사보나롤라"라는 제목의 오페라를 작곡했다.[60]
- 루이지 달라피콜라(Luigi Dallapiccola)는 1938년 합창곡 "칸티 디 프리조니아(Canti di prigionia)"에서 사보나롤라의 명상에서 텍스트를 사용했다.
- 조지 엘리엇(George Eliot)의 소설 ''로몰라(Romola)''(1863)에 등장한다.[62]
- 토마스 만(Thomas Mann)의 희곡 ''피오렌차(Fiorenza)''(1909)에 등장한다.[63]
랑케는 『사보나롤라와 15세기 말 피렌체 공화정』에서 사보나롤라가 피렌체에서 열렬한 지지를 받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입(1494년)을 예언하여 적중했다고 피렌체 시민들이 믿었다.
- 샤를 8세가 메디치가 추방에 큰 역할을 했고, 사보나롤라의 요청으로 프랑스군이 피렌체에서 철수한 후에는 사보나롤라 뒤에 프랑스 국왕의 지지가 있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 피렌체의 숙원이었던 피사 정복을 위해 프랑스 국왕의 협력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가 있었다.
- 프란체스코 발로리와 같은 평민파와 협력했고, 발로리 또한 자신의 세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보나롤라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랑케는 사보나롤라가 정치와 거리를 두려고 했으나 휘말렸고, 그 과정에서 반교황적 성격을 띠는 유럽 여러 나라 군주에 의한 일반 종교 회의 소집이라는 구상이 생겨났다고 서술하고 있다.
5. 평가와 논란
사보나롤라는 종교 개혁의 선구자, 사회 개혁가, 민주주의 옹호자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광신적인 종교 지도자, 독재자, 예술 파괴자 등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마르틴 루터는 사보나롤라를 순교자이자 선구자로 칭송하며, 그의 신앙과 은총에 대한 사상을 높이 평가했다.[53] 독일 비텐베르크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55] 19세기 중반 리스르지멘토 시기, "새로운 피아뇨니"는 사보나롤라에게서 영감을 얻어 급진적인 정치 변화를 추구했다.[56] 이탈리아 국민당과 기독민주당은 그를 사회 정의의 챔피언이자 개혁된 가톨릭의 모범으로 존경했다.[58]
반면, 기업인 김경준은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인용해 사보나롤라를 '힘이 없으면 개혁할 수 없는 예'라고 비판했다. 마키아벨리는 시민의 변덕스러운 천성 때문에 설득하기는 쉬우나 설득된 상태를 유지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하며, 사보나롤라의 몰락을 그 예로 들었다.
5. 1. 긍정적 평가
사보나롤라는 종교 개혁의 선구자, 사회 개혁가, 민주주의 옹호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마르틴 루터는 사보나롤라를 순교자이자 선구자로 칭송했으며, 그의 신앙과 은총에 대한 사상은 루터의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다 함 교리의 예고편으로 평가했다.[53] 독일 비텐베르크에는 사보나롤라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져 있다.[55]19세기 중반, 이탈리아의 민족적 각성 시기인 리스르지멘토 때 "새로운 피아뇨니"는 사보나롤라의 저술과 설교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들은 청교도주의와 문화적 보수주의보다는 그의 정치적 활동에 주목하여, 급진적인 정치 변화를 위한 사보나롤라의 목소리를 회복시켰다.[56] 이탈리아 국민당은 사보나롤라를 사회 정의의 챔피언으로 존경했고, 1945년 이후 기독민주당 지도자들은 그를 개혁된 가톨릭의 모범으로 제시했다.[58]
사보나롤라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그가 활동했던 시대적 배경과도 관련이 있다.
-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입(1494년)을 예언하여 적중했다고 피렌체 시민들이 믿었다.
- 샤를 8세가 메디치가 추방에 큰 역할을 했고, 사보나롤라의 요청으로 프랑스군이 피렌체에서 철수한 후, 피렌체 시민들은 사보나롤라 뒤에 프랑스 왕의 지지가 있다고 인식했다.
- 피렌체의 숙원이었던 피사 정복을 위해 프랑스 왕의 협력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시민들 사이에 존재했다.
- 프란체스코 발로리와 같은 평민파와 협력했고, 발로리 또한 자신의 세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보나롤라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랑케는 저서 『사보나롤라와 15세기 말 피렌체 공화정』에서 이러한 점들을 지적하며, 사보나롤라가 정치와 거리를 두려 했으나 휘말렸고, 그 과정에서 반교황적 성격을 띤 유럽 군주들에 의한 종교 회의 소집 구상이 생겨났다고 서술했다.
5. 2. 부정적 평가
사보나롤라는 광신적인 종교 지도자, 독재자, 예술 파괴자로 비판받기도 한다.기업인 김경준은 저서 《지금 마흔이라면 군주론》에서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인용해 사보나롤라를 '힘이 없으면 개혁할 수 없는 예'라고 비판했다. 사보나롤라는 부패한 교회와 정치를 비판했지만, 무능한 정치로 경제가 위축되면서 피렌체 시민들의 지지를 잃고 4년 만에 실각해 1498년 화형으로 처형되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시민의 천성이 변덕스럽기 때문에, 이들에게 어떠한 일을 설득하기는 쉬우나 설득된 상태를 유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말로 되지 않으면 힘으로 믿게 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오늘날에도 수도사 사보나롤라의 예가 있다. (군주론 6장)
레오폴트 폰 랑케는 저서 《사보나롤라와 15세기 말 피렌체 공화정》에서 사보나롤라가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에서 열렬한 지지를 받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입(1494년)을 예언하여 적중했다고 피렌체 시민들이 믿었다.
- 샤를 8세가 메디치가 추방에 큰 역할을 했고, 사보나롤라의 요청으로 프랑스군이 피렌체에서 철수한 후에는 사보나롤라 배후에 프랑스 국왕의 지지가 있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또한 피렌체의 숙원이었던 피사 정복을 위해 프랑스 국왕의 협력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가 시민들 사이에 있었다.
- 프란체스코 발로리와 같은 평민파와 협력했고, 발로리 또한 자신의 세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보나롤라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랑케는 사보나롤라가 정치와 거리를 두려 했으나 휘말렸고, 그 과정에서 반교황적 성격을 띤 유럽 여러 나라 군주에 의한 일반 종교 회의 소집이라는 구상이 생겨났다고 서술했다.
참조
[1]
서적
Triumphus Crucis
unspecified
1961
[2]
웹사이트
Savonarola
https://blogs.uorego[...]
2015-01-01
[3]
웹사이트
Girolamo Savonarola
https://www.newadven[...]
[4]
웹사이트
Savonarola, Girolam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07
[5]
웹사이트
Savonarol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31
[6]
사전
Savonarola
Merriam-Webster
2019-05-31
[7]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1-11-17
[8]
웹사이트
Britannica: Girolamo Savonarola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1-01-01
[9]
서적
Savonarola: The Rise and Fall of a Renaissance Prophe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1
[10]
서적
Savonarola, Erasmus, and Other Essays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870
[11]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1-11-17
[12]
서적
A Guide to Righteous Living and Other Works
Centre for Reformation and Renaissance Studies
2003
[13]
서적
Vita Hieronymi Savonarolae
unspecified
1999
[14]
서적
Vulnera Diligentis
unspecified
2002
[15]
서적
Lettere e Scritti apologetici
unspecified
1984
[16]
서적
La Vita del Beato Girolamo Savonarola
unspecified
1937
[17]
논문
Savonarola and Vincent Bandello
1999
[18]
서적
Selected Writings of Girolamo Savonarola Religion and Politics, 1490–1498
Yale University Press
2006
[19]
서적
Scelta di prediche e scritti di fra Girolamo Savonarola con nuovi documenti intorno alla sua vita
unspecified
1898
[20]
논문
Et andando a San Gimignano a predicarvi. Alle origini della profezia savonaroliana
1998
[21]
서적
Savonarola The Rise and Fall of a Renaissance Prophet
unspecified
2011
[22]
서적
A Guide to Righteous Living and Other Works
unspecified
2003
[23]
서적
Giovanni Pico della Mirandola: Symbol of His Age: Modern Interpretations of a Renaissance Philosopher
unspecified
1981
[24]
논문
Savonarola and Vincenzo Bandello
[25]
논문
Le lezioni o i sermoni sull' Apocalisse di Girolamo Savonarola (1490) 'nova dicere et novo modo'
1988
[26]
서적
Savonarola, Rise and Fall of a Renaissance Prophet
[27]
서적
The French Descent into Renaissance Italy
unspecified
1995
[28]
서적
Savonarola and Florence Prophecy and Patriotism in the Renaiss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29]
논문
Florentine Political Assumptions in the Period of Savonarola and Soderini
1957
[30]
서적
Selected Writings of Girolamo Savonarola
[31]
논문
Savonarola Designs a Work of Art: the Crown of The Virgin in the Compendium of Revelations
1966
[32]
서적
History of the Popes
https://archive.org/[...]
[33]
서적
History of the Popes
https://archive.org/[...]
[34]
서적
History of the Popes
https://archive.org/[...]
[35]
서적
Forbidden Friendships: Homosexuality and Male Culture in Renaissance Florence
unspecified
1996
[36]
서적
Compendium of Revelations
New York
[37]
서적
English translation of a Benivieni laud
[38]
서적
Bonfire Songs Savonarola's Musical Legacy
Oxford, Clarendon Press
[39]
웹사이트
How did Savonarola influence the Reformation and Counter-Reformation - DailyHistory.org
https://dailyhistory[...]
2021-12-04
[40]
백과사전
Savonarola, Girolamo
[41]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1-12-24
[4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 Girolamo Savonarola
https://www.newadven[...]
2021-12-09
[43]
서적
Brief of Pope Alexander VI excommunicating Savonarola
https://books.google[...]
London, Longman, Green, Longman, Roberts, & Green
[44]
서적
Triumphus Crucis
Rome
[45]
서적
Lawyers and Statecraft in Renaissance Florence
Princeton
[46]
서적
I processi di Girolamo Savonarola
Paris
[47]
서적
Prison Meditations on Psalms 51 and 31
Milwaukee, Marquette University Press
[48]
서적
A Florentine Diary from 1460 to 1516
London
[49]
서적
Nuns and Nunneries in Renaissance Flor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0]
서적
Savonarola The Rise and Fall of a Renaissance Prophet
[51]
서적
The Last Florentine Republic
London
[52]
웹사이트
The Prince
https://archive.toda[...]
2012-11-30
[53]
서적
Savonarola Rise and Fall
[54]
서적
The Elect Nation
[55]
서적
Philosophers and Religious Leaders
Routledge
[56]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Girolamo Savonarola
New York
[57]
서적
Savonarola
Milan
[58]
서적
Vita di Girolamo Savonarola
Florence
[59]
서적
Iniziative dell'Ordine Domenicano per promuovere la causa di beatificazione del Ven. fra Girolamo Savonarola O.P.
Florence
[60]
백과사전
Grove's Dictionary
[61]
서적
Savonarola ein Gedicht
https://archive.org/[...]
J.G. Cotta
2021-03-04
[62]
서적
Romola
Broadview Press
[63]
웹사이트
Katalog der Deutschen Nationalbibliothek
http://d-nb.info/gnd[...]
[64]
서적
Savonarola im Feuer
[65]
서적
Savonarola: A Biography in Dramatic Episodes
Kessinger Publishing, LLC
[66]
서적
Botticelli in the Fire
Faber & Faber
[67]
웹사이트
Girolamo Savonarola Italian preacher
https://www.britanni[...]
[68]
서적
印刷という革命――ルネサンスの本と日常生活――
白水社
[69]
서적
ヤマザキマリの偏愛ルネサンス美術論
集英社
[70]
서적
ルネサンス・フィレンツェ統治論―説教と論文
[71]
서적
リバイバルの源流を辿る
[72]
서적
基督教全史
[73]
설명
[74]
서적
リバイバルの源流を辿る
[75]
서적
사도행전2
복있는사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