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48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86년은 명나라 성화 22년, 일본 분메이 18년, 조선 성종 17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잉글랜드 왕 헨리 7세와 요크의 엘리자베스의 결혼으로 장미 전쟁이 종결되었고, 막시밀리안 1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로마 왕으로 선출되었으며,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한 해이다. 또한, 조선에서는 여외 정병이 혁파되고 보인으로 대체되었으며, 아즈텍 통치자 티족이 사망하고 아후이초틀이 즉위했다. 1486년에는 김정, 마르틴 아그리콜라, 아서 튜더, 야코포 산소비노, 안드레아 델 사르토, 지기스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등 다양한 인물들이 태어났으며, 효령대군, 덴마크의 마가렛, 오타 도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86년
년도 정보
기원서기 1486년
간지병오년
세기15세기
십진법 표기1486
이진법 표기10111001110
십육진법 표기5CE
주요 사건
사건잉글랜드의 헨리 7세와 요크의 엘리자베스의 결혼. 이 결혼으로 장미 전쟁이 종식됨.
신성 로마 제국의 막시밀리안 1세가 합스부르크 가의 영지를 계승함.
레오나르도 다 빈치, 《수태고지》 그림.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아프리카 남단을 탐험.
탄생
인물안드레아 델 사르토(이탈리아 화가)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독일 화가)
길레스 판 브레데로데(위트레흐트 주교)
한효원(조선 중기의 문신)
오언 퓨더(잉글랜드의 역사가)
조반니 다 우디네(이탈리아 화가, 장식가)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스페인의 역사가)
피에르 파울리(스위스 태생의 기사, 군인, 정치가)
사망
인물에리크 4세(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마르코 바르바리고(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엘레오노르 드 부르봉(부르고뉴 여공)
이저(명나라 환관)
장욱(명나라 서예가, 화가)
야콥 아르카델트(프랑코-플랑드르 작곡가)

2. 연호

3. 기년

간지병오
조선성종 17년
명나라성화 22년
일본분메이 18년
후 레 왕조홍득 17년
단기3819년
황기2146년
불멸기원2028년 - 2029년
이슬람력890년 - 892년
유대력5246년 - 5247년


4. 사건


  • 1월 18일 - 잉글랜드 국왕 헨리 7세와 요크의 엘리자베스가 결혼하여 장미 전쟁 이후 랭커스터 왕가와 요크 왕가를 통합하였다.
  • 2월 16일 - 합스부르크 왕가의 막시밀리안 1세 대공이 프랑크푸르트에서 로마 왕으로 선출되었다.
  • 4월 21일 - '과달루페 중재 판결' 채택으로 카탈루냐 공국에서 레멘세 전쟁이 종식되었다.
  • 6월 22일 - 조선이 여외 정병(旅外正兵)을 혁파하여 보인(保人)으로 하도록 하였다.
  • 테노치티틀란의 아즈텍 통치자 티족이 사망하고, 그의 형제 아후이초틀이 즉위한다.
  •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했다.
  • 콘스탄틴 오스트로스키 공작이 오스트로그 성경을 썼다.
  • 독일 티롤의 대공 지기스문트가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발행했으며, 이는 후에 탈러가 되었다.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피렌체로 돌아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연설''을 저술했다.
  • 메디치 기린이 피렌체에 도착했다.
  • 요한 로이힐린이 히브리어 연구를 시작했다.
  • 공을 묘사하는 단어로서 "풋볼"이 처음으로 기록상 사용되었다.

4. 1. 조선

6월 22일 - 조선이 여외 정병(旅外正兵)을 혁파하여 보인(保人)으로 하도록 하였다.[1]

4. 2. 잉글랜드

1월 18일 - 잉글랜드 국왕 헨리 7세와 요크의 엘리자베스가 결혼하여 장미 전쟁 이후 랭커스터 왕가와 요크 왕가를 통합하였다.[1]

1월 19일 - 잉글랜드 헨리 튜더 왕의 첫째 아들 아서 튜더가 웨스트민스터 궁전에서 태어났다.

4. 3. 신성 로마 제국

4. 4. 기타 유럽

4. 5. 오스만 제국

1486년에는 오스만 제국과 관련된 기록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

4. 6. 아즈텍

테노치티틀란의 아즈텍 통치자 티족이 사망한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독살되었다고 주장하며, 다른 자료에서는 "마법"이나 질병의 희생자였다고 한다.[1] 그의 뒤를 이어 형제 아후이초틀이 즉위한다.[1]

4. 7. 기타


  • 바르톨로뮤 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했다.
  • 콘스탄틴 오스트로스키 공작이 오스트로그 성경을 썼다.
  • 독일 티롤의 대공 지기스문트가 유럽 최초의 대형 은화인 굴덴그로셴을 발행했으며, 이는 후에 탈러가 되었다.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피렌체로 돌아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연설''을 저술했다.
  • 메디치 기린이 피렌체에 도착했다.
  • 요한 로이힐린이 히브리어 연구를 시작했다.
  • 공을 묘사하는 단어로서 "풋볼"이 처음으로 기록상 사용되었다.

5. 탄생


  • 1월 6일 - 마르틴 아그리콜라, 독일 르네상스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3]
  • 2월 10일 - 팔라티네이트의 게오르크, 독일 귀족, 슈파이어 주교 (1513–1529)
  • 2월 18일 - 차이탄야 마하프라부, 벵골의 수행자이자 승려
  • 7월 2일 - 야코포 산소비노, 이탈리아 조각가이자 건축가[4]
  • 7월 16일 - 안드레아 델 사르토, 이탈리아 화가
  • 7월 25일 - 메클렌부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7세 (1503–1520), 이후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 공작 (1520–1547)
  • 7월 28일 - 피테르 길리스, 프랑스 철학자
  • 8월 3일 - 임페리아 코냐티, 이탈리아 고급 창부
  • 8월 23일 - 지기스문트 폰 헤르버슈타인, 오스트리아 외교관이자 역사가
  • 9월 14일 -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독일 점성가이자 연금술사
  • 9월 20일 - 웨일스 공 아서, 잉글랜드의 헨리 7세의 아들[5]
  • 10월 10일 - 사보이 공작 샤를 3세
  • 11월 13일 - 요한 에크, 독일 스콜라 철학자이자 개신교 종교 개혁 시기 가톨릭교의 옹호자
  • 12월 9일 - 발데크 백작 필리프 3세-아이젠베르크 (1524–1539)
  • ''날짜 불명'' - 시몬 라비, 세파르딤 카발리스트
  • ''추정''
  • * 아가일 백작 콜린 캠벨 3세
  • * 제롤라모 에밀리아니, 베네치아 출생의 인도주의자, 시성
  • * 루트비히 센플, 스위스 작곡가

5. 1. 조선


  •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 김정이 태어났다. (1521년 사망)

5. 2. 유럽

1월 18일 - 잉글랜드의 국왕 헨리 7세와 요크의 엘리자베스가 결혼하여 장미 전쟁 이후 랭커스터 왕가와 요크 왕가를 통합하였다.[1]

2월 16일 - 합스부르크가의 막시밀리안 1세 대공이 프랑크푸르트에서 로마 왕으로 선출되었다(4월 9일 아헨에서 대관).

4월 21일 - ''과달루페 중재 판결'' 채택으로 카탈루냐 공국에서 레멘세 전쟁이 종식되었다.

5. 3. 그 외

'''1486년 출생'''

  • 1월 6일 - 마르틴 아그리콜라, 독일 르네상스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3]
  • 2월 10일 - 팔라티네이트의 게오르크, 독일 귀족, 슈파이어 주교 (1513–1529)
  • 2월 18일 - 차이탄야 마하프라부, 벵골의 수행자이자 승려
  • 7월 2일 - 야코포 산소비노, 이탈리아 조각가이자 건축가[4]
  • 7월 16일 - 안드레아 델 사르토, 이탈리아 화가
  • 7월 25일 - 메클렌부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7세 (1503–1520), 이후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 공작 (1520–1547)
  • 7월 28일 - 피테르 길리스, 프랑스 철학자
  • 8월 3일 - 임페리아 코냐티, 이탈리아 고급 창부
  • 8월 23일 - 지기스문트 폰 헤르버슈타인, 오스트리아 외교관이자 역사가
  • 9월 14일 -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독일 점성가이자 연금술사
  • 9월 20일 - 웨일스 공 아서, 잉글랜드의 헨리 7세의 아들[5]
  • 10월 10일 - 사보이 공작 샤를 3세
  • 11월 13일 - 요한 에크, 독일 스콜라 철학자이자 개신교 종교 개혁 시기 가톨릭교의 옹호자
  • 12월 9일 - 발데크 백작 필리프 3세-아이젠베르크 (1524–1539)
  • ''날짜 불명'' - 시몬 라비, 세파르딤 카발리스트
  • ''추정''
  • * 아가일 백작 콜린 캠벨 3세
  • * 제롤라모 에밀리아니, 베네치아 출생의 인도주의자, 시성
  • * 루트비히 센플, 스위스 작곡가


'''1486년 사망'''

  • 5월 4일 (분명 18년 4월 1일) - 야마시나 토키츠나, 전국 시대의 공경
  • 8월 10일 - 구리에르모 9세 델 몬페라토, 몬페라토 후작
  • 이노우에 모토카네, 전국 시대의 무장
  • 오스카 마사츠네, 전국 시대의 무장
  • 오타하라 스케키요, 전국 시대의 무장
  • 셰르 샤, 수르 왕조의 창시자
  • 지츠겐, 전국 시대의 정토진종 승려
  • 지로라모 프리울리, 베네치아의 원수
  • 도메니코 베카푸미, 이탈리아의 화가
  • 호소카와 유키모치, 전국 시대의 무장, 아와 호소카와 가문의 당주
  • 요코세 야스시게, 전국 시대의 무장, 요코세 씨의 제7대 당주
  • 나가오 타메카게, 전국 시대의 무장, 우에스기 겐신의 친부
  • 레이젠 타메카즈, 전국 시대의 공경

6. 사망

사망일인물설명
5월 11일효령대군조선의 왕족[2]
1월 30일사보이의 자크, 로몽 백작사보이 공자 (출생 1450년)
3월 11일알브레히트 아킬레스호엔촐레른 가문의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출생 1414년)
3월 30일토머스 부르시에캔터베리 대주교이자 잉글랜드 재상 (출생 c. 1404년)
5월몽팡시에 백작 루이 1세(출생 1405년)
7월 14일덴마크의 마가렛스코틀랜드 왕비이자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1세의 딸 (출생 1456년)[6]
8월 (날짜 불명)마르코 바르바리고제73대 베네치아 도제, 동생이자 후계자인 아고스티노 바르바리고와의 분쟁으로 사망했다고 전해짐.
8월 3일아사쿠라 우지카게일본 아사쿠라 씨족의 8대 수장 (출생 1449년)
8월 11일윌리엄 웨인플리트잉글랜드 재상 겸 윈체스터 주교 (출생 c. 1398년)[7]
8월 26일작센 선제후 에른스트에른스틴 베틴 가문의 조상 (출생 1441년)
9월 2일기 14세 드 라발프랑스 귀족 (출생 1406년)
9월 19일리처드 올드햄잉글랜드 가톨릭 주교
날짜 불명티족테노치티틀란의 아즈텍 통치자 (아마 독살됨)[8]
날짜 불명수반나 반랑란쌍 왕 (출생 1455년)
추정아리스토틸레 피오라반티이탈리아 건축가이자 기술자 (출생 1415년)
2월 5일시오야 카몬노스케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2월 12일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작센 선제후프리드리히 2세의 부인 (출생 1416년)
3월 2일도쿠다이지 킨아리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공경 (출생 1422년)
3월 15일마르그리트 드 푸아브르타뉴 공작 프랑수아 2세의 두 번째 부인 (출생 1458년 이후)
3월 18일쿠스바 니시닌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상인 (출생 1395년)
6월 14일간아미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지슈 승려 (출생 미상)
7월 3일세츠에 소신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린자이종 승려 (출생 1408년)
8월 4일나가노 후지쓰구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센고쿠 다이묘 (출생 1449년)
8월 25일오타 도칸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슈고다이 (출생 1432년)
9월 14일타가 타카타다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의 무장 (출생 1425년)
루이 1세몽팡시에 백작 (출생 1405년)


6. 1. 조선

6. 2. 유럽

사망일인물설명
3월 11일알브레히트 아킬레스호엔촐레른 가문의 브란덴부르크 선제후[7] (출생 1414년)
3월 30일토머스 부르시에캔터베리 대주교이자 잉글랜드 재상 (출생 c. 1404년)
5월몽팡시에 백작 루이 1세(출생 1405년)
7월 14일덴마크의 마가렛스코틀랜드 왕비이자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1세의 딸 (출생 1456년)[6]
8월 (날짜 불명)마르코 바르바리고제73대 베네치아 도제, 동생이자 후계자인 아고스티노 바르바리고와의 분쟁으로 사망했다고 전해짐.
8월 11일윌리엄 웨인플리트잉글랜드 재상 겸 윈체스터 주교 (출생 c. 1398년)[7]
8월 26일작센 선제후 에른스트에른스틴 베틴 가문의 조상 (출생 1441년)
9월 2일기 14세 드 라발프랑스 귀족 (출생 1406년)
9월 19일리처드 올드햄잉글랜드 가톨릭 주교
추정아리스토틸레 피오라반티이탈리아 건축가이자 기술자 (출생 1415년)
2월 12일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작센 선제후프리드리히 2세의 부인 (출생 1416년)
3월 15일마르그리트 드 푸아브르타뉴 공작 프랑수아 2세의 두 번째 부인 (출생 1458년 이후)
8월 26일에른스트작센 선제후, 튀링겐 백작, 마이센 변경백 (출생 1441년)
루이 1세몽팡시에 백작 (출생 1405년)


6. 3. 아즈텍

참조

[1] 서적 Early Music History: Volume 19: Studie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Mus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4-19
[2] 서적 Sri Caitanya Mahaprabhu: His Life and Precepts 1896-08-20
[3] 서적 The Harvard Biographical Dictionary of Mus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Building Renaissance Venice: Patrons, Architects and Builders, C. 1430-15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6-01-01
[5] 서적 Humanistica Lovanien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Margaret of Denmark: Biography on Undiscovered Scotland https://www.undiscov[...] 2019-05-14
[7] 서적 The Register of Richard Fox, While Bishop of Bath and Wells, A.D. MCCCCXCII-MCCCCXCIV: ... https://books.google[...] Harrison
[8] 웹사이트 Tízoc, "El que hace sacrificio" (1481-1486) https://arqueologiam[...] 2016-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